|
#.도로의 위계 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집산도로, 국지도로 #.주택단지의 도로 간선도로, 지선로(단지내), 집산로(주구내), 주동접근로
이렇게 나눈다고 책에 나와 있는데 개념이 잘 안 잡혀서요... 국지도로=주동접근로 집산도로=집산로 보조간선도로=지선로 간선도로=간선도로 이렇게 생각하면 되나요? 너무 엉뚱한 질문이 아닌지?
대단한 체력이라고 생각했는데 빨리 완쾌되시길 바랍니다. 수험생보다 더 바쁘게 사시는 모습을 보여주셔서 문제풀이 강의 들을때 엄청난 자극제 였는데.. 훌훌 털어버리고 일어나셔서 다시 신선한 자극제가 되어주셔야죠^^ 힘내세요^^ |
답글) 우선, 감사드립니다......체력이 많이 보강되었고,,,덕분에 좋아졌습니다. 건강한 모습으로 이번주 짜짠 하고 나타날 것입니다.
답글)도시계획 체계상 도로의 위계는 간선-보조간선-집산-국지 도로로 위계가 정해져 있습니다. 도시계획시설로 구분되는 법적인 명확한 용어이지요...
주동접근로는 주동 앞에 있는 것으로 단독주택지에는 개념이 없는 단지계획적 개념입니다.
집산로는 집분산로, 즉 분산되는 도로의 유형으로,,,,도시계획 용어인 집산도로 즉 , 국지도로보다 폭원이 크고 속도가 다소 높은 도로망을 말하고요,,,,단지계획에서의 집산로는 단지 내에서 분산이 되는 도로를 말한다고 보시면 될 것....
지선로 역시,,,,가지처럼 분리되는 도로의 유형을 말하고요...
간선로 하면 지선로 보다 큰 도로의 유형을 말합니다. 즉, 우리는 현재 도시계획 시설도로와 단지계획적인 도로망을 다소 혼동스럽게 이용하고 있지만, 도시계획적인 시설도로는 명확히 법적으로 명시된 것은 간선,보조간선,집산,국지 도로라고 명시되어 있고,,,,단지계획에서는 도로망의 체계를 말하다 보니 도시계획적 도로체계에서 단지 출입구의 도로,,,,그래서 내부의 간선적인 도로,,,다시 조금 작은 위계를 갖는 가지처럼 뻗는 지선로,,,,그리고 다시 건물 출입구까지 연계가 되는 주동접근로로 불리는 것이라 보시면 될 것 같군요. 아마, 이 부분이 명쾌하게 설명되는 책들이 흔하지 않은 데, 그 이유는 도시계획 시설체계상은 아까 논했던 도로 시설유형이 명시된 것이고, 나머지는 책을 쓰시는 저자분들이 단지계획적 위계를 구분하기 위한 도로를 그렇게 불렀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첫댓글 답변 감사합니다..완쾌 되셨다니 다행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