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항공안전투자’ 5조 8,453억원 |
- ’22년(4조 2,298억원) 대비 1조 6,155억원 증가(38.2%)한 규모 |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해 국내 항공사 등 항공업계 안전 투자 규모가 총 5조 8,453억원으로 ’22년(4조 2,298억원) 대비 1조 6,155억원(38.2%)이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는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 및 공항운영자 등 18개 항공교통사업자들이 공시한 ’23년도 안전투자 실적과 향후 투자계획을 집계한 결과이다.
* 항공업계의 자발적 안전 투자 유도를 위해 도입(‘19)되었고, 시범운영 후 ’23년 (‘22년 안전투자 실적 등) 최초 시행(근거: 「항공안전법」 제133조의2)
항공안전투자 공시 참여 항공교통사업자
투자년도 | 대형社* | 소형社(운항중지社 제외) | 공사 |
‘23년(18개) | 11개社(플라이강원 제외) | 글로리아, 헬리코리아, 더스카이, 유아이헬리제트 | +K-에비에이션 | 인천, 한국 |
‘22년(19개) | 11개社(이스타 제외) | +하이에어, NF에어 |
*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티웨이, 에어서울,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에서 ’23년도 투자 내역을 검증한 결과, 대부분 항공사의 투자 실적은 ’22년 대비 증가하였다. 항목별 투자규모는정비 비용, 엔진·부품 구매비, 경년항공기(20년 이상된 항공기) 교체비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ㅇ정비 비용은 2.94조원이다. 예방 정비 차원의 사전 정비 비용(2.53조원, 86.1%)이 운항 중 발생한 고장 등에 대한 사후 정비비용(0.41조원, 13.9%)보다 높게 집계되어, 항공사들이 사전 정비체계 강화를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ㅇ 경년 항공기도 14대(평균 기령 22.6년)를 신규기(평균 기령 2.9년)로 교체(1.19조원 투자)하여 보유 비중이 감소(’22→’23: 14.6%→14.2%)하였다. 평균기령(12.2년)도 전년 수준(12.0년)으로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고장 시 장시간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엔진 고장에 대비해서도 1.32조원을 투자하여 예비 엔진을 추가로 확보(’22: 138대→ ’23: 195대)하는 등 항공 수요 증가에 대비하였다.
□ 국토교통부는 ’20년부터 3년간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를 시범운영하고 ’23년(’22년도 실적)부터 운영하고 있다.
ㅇ 올해 2월에는 항공사의 자발적 안전투자와 안전관리 노력 증진을 위해 안전투자 실적을 운수권 배분 평가에 반영하도록 제도*도 개선하였다.
* 「국제항공운수권 및 영공통과 이용권 배분 등에 관한 규칙」 중 안전성 평가지표에 항공안전투자 실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정(’24.2.2. 개정)
□ 국토교통부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운영 이후, 항공안전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항공안전은 항공사 경영의 최우선 과제이며, 핵심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항공안전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회사 규모에 맞는 적절한 안전 투자로 안전도와 신뢰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야말로 항공 수요를 견인하고, 건실한 항공산업 성장을 이끄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 공시자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각 사업자의 누리집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www.airportal.go.kr)에서 7월 4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