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吾家麒麟(오가기린) 우리 집의 기린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기(自己) 자식(子息)의 준수(俊秀)함을 칭찬(稱讚)하는 말.
◎ 吾家所立(오가소립) 吾;나 오, 家:집 가, 所:바 소, 立;설 립. 자기가 뒤를 보아 출세시켜 준 사람이라는 뜻.
◎ 吾家之明珠(오가지명주) 자기 아들의 준수함을 칭하는 말, 즉 내 집의 보물이라는 뜻. -양서-
◎ 吾家千里駒(오가천리구) 吾:나 오, 家:집 가, 千:일천 천, 里:마을 리, 駒:망아지 구. 재주가 뛰어난 연소(年少)한 자를 이름. -진서-
◎ 五蓋(오개) 五:다섯 오, 蓋:덮을 개. [불교]마음을 가려서 선법(善法)을 할 수 없게 하는 다섯 가지 번뇌(煩惱), 곧 탐욕(貪慾), 진애(瞋애:성내는 것으로 마음을 가림), 수면(睡眠:마음이 흐리고 몸이 무거워 짐으로써 마음을 가림), 의회(疑悔:법에 대하여 결단이 없이 미룸으로서 마음을 가리는 것), 조희(調戱:경멸하고 놀림)
◎ 五車書(오거서) 五:다섯 오, 車:수레 거, 書:글 서. 다섯 수레에 실을 만한 책이라는 뜻으로, 장서가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장자-
◎ 惡其意不惡其人(오거의불오기인) 죄를 범한 그 마음은 미워하지만 그 사람은 미워하지 않는다는 말, = 오기죄불오기인. -공총자-
◎ 五經(오경) ① 유학의 기본적인 문헌인 다섯 가지 경서, 곧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여기에 주례(周禮)나 악기(樂記)를 넣어 육경(六經)이라 함.
◎ 五更(오경) = 무야(戊夜), 오야(五夜) 五:다섯 오, 更:고칠 경. ①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통틀어 일컬음. 곧 초경(初更), 이경(二更), 삼경(三更), 사경(四更), 오경(五更)으로 나뉨. ②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누었을 때의 다섯 부분, 새벽 세 시에서 다섯 시까지에 해당함.
◎ 五更三點(오경삼점) 五:다섯 오, 更:고칠 경, 參:석 삼, 點:점찍을 점. 하룻밤을 다섯 경(更)으로 나누고 일경(一更)을 다섯점으로 나눔, 그 중의 오경(五更)의 삼점(三點)이란 말로 지금의 몇 시 몇 분과 같음. -수허전-
◎ 五經掃地(오경소지) 五:다섯 오, 經:지날 경, 掃:쓸 소, 地:땅 지. 공맹(孔孟)의 교(敎)가 쇠퇴하여 행하여지지 않음을 이름.
◎ 五戒(오계) 속세에 있는 신자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禁戒(금계). 곧, 중생을 죽이지 말 것, 훔치지 말 것, 음행하지 말 것, 거짓말 하지 말 것, 술 마시지 말 것, 등 임.
◎ 五苦(오고) 인생의 다섯 가지 괴로움. ①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哀別離苦(애별이고), 怨憎會苦(원증회고), 求不得苦(구부득고), 五陰盛苦(오음성고), 또는 生苦, 老苦, 病苦, 死苦, 獄苦(옥고). ② 迷界의 다섯 가지 괴로움, 諸天苦(제천고), 人道苦(인도고), 畜生苦(축생고), 餓鬼苦(아귀고), 地獄苦(지옥고).
◎ 五穀(오곡) 五:다섯 오, 穀:곡식 곡. 다섯 종류의 곡물, 그 명목에 수설(數說)이 있음, 주로 쌀, 보리, 조, 콩, 기장을 말하며 중요한 곡식의 총칭으로도 쓰임. -논어-
◎ 五穀不升(오곡불승) 五:다섯 오, 穀;곡식 곡, 不:아닐 불, 升:되 승. 오곡이 모두 여물지 않았다는 뜻으로, 흉년이 듦을 이르는 말. -곡량전-
◎ 五果(오과) 五:다섯 오, 果:열매 과. ①오얏, 살구, 밤, 복숭아, 대추의 다섯 가지의 과실. ②범서(凡書)에서 다섯 종류로 분류하여 이르는 과실을 통틀어 일컬음. 핵과(核果)에 복숭아, 살구, 대추, 부과(부果)에 사과, 배, 각과(角果)에 콩, 팥, 회과(檜果)에 잣, 각과(殼果)에 야자, 호두 등.
◎ 五關斬六將(오관참육장) 關:빗장 관, 斬:벨 참, 將;장수 장. 다섯 관문을 지나며 여섯 장수의 목을 베다. 주인을 찾아가기 위해 거침없이 앞으로 나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비를 향한 관우의 변함없는 의리가 담겨 있는 사건이다. -삼국지연의-
◎ 梧丘之魂(오구지혼) 梧:벽오동나무 오, 丘:언덕 구, 之:갈 지, 魂:넋 혼. 죄없이 살해되는 것, 제(齊)나라 경공(景公)이 오곡에서 사냥을 한 날 밤 꿈에 선군인 영공(靈公)에 의하여 죄없이 죽어간 다섯 사나이가 나타났다. 잠에서 깬 경공은 신하에게 명하여 땅을 파서 찾게 했더니 과연 다섯 구의 해골이 나왔다, 경공은 놀라서 그 해골을 새삼 정중히 장사지내게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안자춘추-
◎ 烏龜(오귀) 烏:가마귀 오, 龜:거북 귀. 처(妻)가 다른 남자(男子)와 간통(姦通)하였을 때, 처의 본부(本夫)를 오귀라고 칭함. -오잡조(五雜俎)-
◎ 五極(오극) 五:다섯 오, 極:다할 극.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지극함을 이름. -서경-
◎ 吾謹避之(오근피지) 吾:나 오, 謹:삼갈 근, 避:피할 피, 之:갈 지. 자기가 삼가서 스스로 피함.
◎ 五禽之戱(오금지희) 五:다섯 오, 禽:날짐승 금, 之:갈 지, 戱:놀 희. 도가(道家), 도인(導引)의 술(術)로서 다섯 종류 짐승의 자세(姿勢)를 취하여 근골(筋骨)을 부드럽게하고 혈액을 잘 순환케 하는 양생법(養生法). -후한서-
◎ 五氣(오기) 五:다섯 오, 氣:기운 기. ①다섯 가지 기운이나 기미. ②비 오고, 볕 나고, 덥고, 춥고, 바람부는 다섯 가지 일기.
◎ 五達(오달) 五:다섯 오, 達:통달할 달. 길이 다섯 갈래로 통한 것. -이아-
◎ 吾黨之士(오당지사) 吾:나 오, 黨:무리 당, 之:갈 지, 士:선비 사. 같은 동아리인 사람, 또 같은 고향마을, 또는 한 집안 사람.
◎ 五道南矣(오도남의) 뛰어난 제자가 스승곁을 떠나는 것을 아쉬워하는 말. -송사,양시전-
◎ 吾刀入他鞘難拔(오도입타초난발) 吾:나 오, 刀:칼 도, 入:들 입, 他:다를 타, 鞘:칼 집 초, 難:어려울 난, 拔:뺄 발. 내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빼기 어렵다.
◎ 梧桐斷角(오동단각) 무른 오동나무가 견고(堅固)한 뿔을 자른다는 뜻으로,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强)한 것을 이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梧桐一葉(오동일엽) 梧;백오동나무 오, 桐:오동나무 동, 葉:입 옆. 오동나무 한 잎이라는 뜻으로, ①오동잎 하나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가을이 왔음을 안다는 말 ②한 가지 구실을 보면 일의 전말을 알 수 있다는 말. -군방보-
◎ 五冬至(오동지) 五:다섯 오, 冬:겨울 동, 至:이를 지. 음력 5월과 동짓달, 동짓달에 오는 눈의 양(量)을 보고 이듬해 5월에 오는 비의 양을 헤아릴 수 있다는 데서 오월과 동짓달을 상대적으로 이르는 말.
◎ 五斗米(오두미) 五:더섯 오, 斗;말 두, 米:쌀 미. 근소(僅少)한 녹봉(祿俸)을 이름. -송서-
◎ 五斗發狂(오두발광) 五:다섯 오, 斗:말 두, 發:쏠 발, 狂:미칠 광. 매우 방정맞게 날뛰는 짓.
◎ 烏頭白馬生角(오두백마생각) 까마귀 머리가 희어지고, 말 대가리에 뿔이 난다는 뜻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吳頭楚尾(오두초미) 吳:나라이름 오, 頭:머리 두, 楚:초나라,회초리 초, 尾:꼬리 미. 머리는 오나라에 가 있고 꼬리는 초나라에 가 있다. 두 지역이 아주 가까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왕사정 시 강상-
◎ 五斗解酲(오두해정) 五:다섯 오, 斗:말 두, 解:풀 해, 酲:숙취 정. 숙취(宿醉)로 좋지 않은 기분을 다섯 말의 술로 없애버림을 이름. -세설-
◎ 五倫(오륜) 五:다섯 오, 倫:인륜 륜.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 곧 부자(父子)의 친애(親愛), 군신(君臣)의 의리(義理), 부부(夫婦)의 분별(分別), 장유(長幼)의 차서(次序), 붕우(朋友)의 신의(信義). -맹자-
◎ 五輪成身(오륜성신) 오대가 육체(肉體)를 이룬다는 뜻으로, 진언종(眞言宗)에서 말하는 부모(父母)로부터 물려받은 몸.
◎ 五輪五體(오륜오체) 오대가 육체(肉體)를 이룬다는 뜻으로, 진언종(眞言宗)에서 말하는 부모(父母)로부터 물려받은 몸.
◎ 五里霧中(오리무중) 짙은 안개가 5리나 끼어 있는 속에 있다는 뜻으로, ①무슨 일에 대(對)하여 방향(方向)이나 상황(狀況)을 알 길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②일의 갈피를 잡기 어려움. -후한서,장해전-
◎ 烏面鵠形(오면곡형) 烏:까마귀 오, 面:낯 면, 鵠:고니 혹, 따오기 혹, 과녘 곡, 形:형상 형. 까마귀와 같은 얼굴, 따오기와 같은 모습으로 기아(饑餓)에 굶주린 사람의 형용(形容). -남사-
◎ 寤寐不忘(오매불망) 누군가를 그리워하여 자나깨나 잊지 못함. -시경,국풍-
◎ 寤寐思服(오매사복) 寤:잠 깰 오, 寐:잠 잘 매, 思:생각할 사, 服:옷 복. 자나깨나 생각 함. -시경-
◎ 五味(오미) 五:다섯 오, 味:맛 미. 다섯 종류의 맛, 곧 달고(甘), 짜고(鹽), 맵고(辛), 시고(酸), 쓴(苦) 것. -예기-
◎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吾:나 오, 未:아닐 미, 見:볼 견, 好;좋을 호, 德;큰 덕, 如:같을 여, 色:빛 색, 也:어조사 야. 세상에 덕을 좋아하는 자는 있으나 그 진정 좋아함이 색(色)을 좋아하듯 함으로 좋아하는 사람은 본 일이 없다는 뜻의 공자(孔子)의 탄사(嘆辭)임. -논어-
◎ 五方雜處(오방잡처) 五:다섯 오, 方;모 방, 雜;섞일 잡, 處;곳 처. 각처의 사람들이 섞여 삶.
◎ 五方猪尾(오방저미) 권세와 재화 있는 자에게는 누구에게나 아첨하는 사람을 이름. -세종실록-
◎ 五方之民(오방지민) 五:다섯 오, 方:모 방, 之:갈 지, 民:백성 민. 중화 및 사이(四夷)의 백성을 이름. -대대(大戴)-
◎ 五福(오복) 五:다섯 오, 福:복 복. 다섯 가지 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서경-
◎ 惡不佞者(오부녕자) 惡:욕설할 오, 不:아닐 부, 佞:아첨할 녕, 者:사람 자. 아첨하는 사람을 미워함.
◎ 誤付洪喬(오부홍교) 誤:그릇할 오, 付:줄 부, 洪:큰물 홍, 喬:높을 교.우편물을 남에게 잘못 맡겠다는 뜻으로 편지 같은 것이 분실되었을 때 쓰이는 말이다. -진서 온호전-
◎ 惡不去善(오불거선) 사람은 미워하더라도 그 사람의 착한 점만은 버리지 않음. -춘추좌씨전-
◎ 吾不關焉(오불관언) 吾:나 오, 不:아닐 불, 關:빗장 관, 焉:어찌 언.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아니 함, 모르는 체함.
◎ 五不取(오불취) 五:다섯 오, 不:아닐 불, 取:취할 취. 아내로 취(娶)해서는 안될 다섯 가지 조건, 역가자(逆家子:모반한 자를 낸 집), 난가자(亂家子:가정이 어지러운 집), 세유형인(世有刑人:형을 받은 자가 있는 집), 세유악질(世有惡疾:악질병이 있는 집), 상부장녀(喪父長女:빈부의 맏 딸, 멋대로 자란 여자) -대대(大戴)-
◎ 五不孝(오불효) 五;다섯 오, 不:아닐 불, 孝:효도 효. 다섯 가지 불효의 행위, 즉 성품이 게으름, 노름과 술을 즐김, 재물을 좋아하고 처자만 사랑함, 환락에 탐닉함, 만용을 부려 다투기를 잘하여 부모를 봉양하지 않음을 말함. -맹자-
◎ 吾鼻三尺(오비삼척) ①오비체수삼척(吾鼻涕垂三尺)의 준말로, 곤경(困境)에 처해 자기(自己) 일도 해결(解決)하기 어려운 판국(版局)에 어찌 남을 도울 여지가 있겠는가라는 말 ②'내 코가 석 자'라는 속담(俗談)으로, 내 일도 감당(堪當)하기 어려워 남의 사정(事情)을 돌볼 여유(餘裕)가 없다라는 말. -순오지-
◎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아무런 관계(關係)도 없이 한 일이 공교(工巧)롭게 다른 일과 때가 일치(一致)해 혐의(嫌疑)를 받게 됨을 이르는 말. -순오지-
◎ 烏飛一色(오비일색) 烏:까마귀 오, 飛:날 비, 一:한 일, 色:빛 색. 날고 있는 까마귀가 모두 같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두 같은 종류 또는 피차 똑같음을 이르는 말.
◎ 烏飛兎走(오비토주) 烏:까마귀 오, 飛:날 비, 兎:토끼 토, 走:달릴 주. 세월이 빠름을 이르는 말, 오(烏)는 까마귀로 태양의 뜻, 토(兎)는 토끼로 달에 해당한다. 태양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살고, 달 속에는 토끼가 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던 중국의 오랜 전설에서 온 말. 오토(烏兎)는 태양과 달을 가리키며 전(轉)해서 세월, 일월(日月)의 비유가 되었다.
◎ 吾事畢矣(오사필의) 吾:나 오, 事:일 사, 畢:마칠 필, 矣:어조사 의. 나의 일은 끝났다는 뜻으로, 자신의 역할을 다 했음을 이르는 말. -송사-
◎ 五常(오상) 五:다섯 오, 常:항상 상. ①오륜(오륜), ②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이르는 말. ③아버지는 의리로, 어머니는 자애(慈愛)로, 형은 우애(友愛)로, 아우는 공경(恭敬)으로, 자식은 효도(孝道)로 각각 대하여야 할 마땅한 길, 오전(五典). ④[불교]오계(五戒)
◎ 傲霜孤節(오상고절) 傲:거만할 오, 霜:서리 상, 孤:외로울 고, 節:마디 절. 서릿발이 심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의 뜻으로, 국화(菊花)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五色無主(오색무주) 공포에 질린 나머지 얼굴 빛이 여러 가지로 변하는 것. (五色: 靑(청),黃(황),赤(적),白(백),黑(흑) -회남자,정신훈-
◎ 五色玲瓏(오색영롱) 五:다섯 오, 色:빛 색, 玲:옥소리 영, 瓏:옥소리 롱. 여러 가지 빛깔이 한데 어울려 눈부시게 찬란함.
◎ 鼯鼠之技(오서지기) 鼯:날 다람쥐 오, 鼠:쥐 서, 之:갈 지, 枝:가지 지, 날다람쥐의 재주, 날다람쥐는 날고 뛰고, 헤엄치는 등 다양한 재주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서투르다는 뜻으로, 재주는 많아도 제대로 이룬 것이 없을 때 쓴다. -순자 권학편-
◎ 吾舌尙在(오설상재) 吾;나 오, 舌:혀 설, 尙;오히려 상, 在:있을 재. '나의 혀는 아직 살아 있오?'라는 뜻으로, 몸이 망가졌어도 혀만 살아 있으면 천하를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다는 말
◎ 五性(오성) 五:다섯 오, 性:성품 성. 사람의 성품(性品)에 다섯 가지가 있음을 이름. 희(喜),노(怒), 욕(欲), 구(懼), 우(憂), -대례(大禮)-
◎ 烏孫公主(오손공주) 烏;까마귀 오. 孫:손자 손, 公;공변될 공, 主:주인 주. 한 무제의 딸로 위장하여 오손에 시집을 간 강도왕(유건)의 딸 유세군을 일컫는 말로,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된 슬픈 운명의 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서 서역전-
◎ 五獸不動(오수부동) 五:다섯 오, 獸:짐승 수, 不:아닐 부, 動:움직일 동. 쥐, 고양이, 개, 범, 코끼리가 한 곳에 모이면 서로 두려워하고 꺼리어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회(社會) 조직(組織)이 서로 견제(牽制)하는 여러 세력(勢力)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五矢五中(오시오중) = 오중몰기(五中沒技) 五;다섯 오, 矢:화살 시, 中:가운데 중. 화살을 다섯 대 쏘아서 다섯 번 다 맞힘.
◎ 吾心卽汝心(오심즉여심) 내 마음이 곧 네 마음이라는 뜻으로, 천도교(天道敎)의 교조 최제우(崔濟愚)가 한울님과의 대화(對話)에서 인간(人間)은 근본(根本)에서 같다고 하는 말.
◎ 五拾步百步(오십보백보) 오십보도 백보와 같이 후퇴한 자이다. -맹자. 양해왕 상편- [고사]중국 양(梁)나라의 혜왕(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해서 맹자에게 물었을 때 맹자가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불러간 사람이 있었는데 그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옛일에서 온 말.
◎ 五十步笑百步(오십보소백보) 步:걸음 보. 笑:웃을 소, 오십 보 달아난 사람이 백 보 달아난 사람을 비웃다. 정도의 차이가 나도 본질은 같다. "검정개 돼지 흉본다" 나 '뒷간 기둥이 물방아 기둥을 더럽다 한다' 등의 속담과 비슷하다. -맹자 양혜왕장구 상편-
◎ 五十天命(오십천명) = 불혹지년 天:하늘 천, 命:목숨 명. "오십이 되어 천명을 안다" 라고 했다. 공자가 만년(晩年)이 되어서 자기 자신의 인간형성의자취를 되돌아보며 회고한 유명한 논어의 일 절. 50세가 되어 겨우하늘로 부터 주어진 사명을 자각했다고 하는 것. 인생 50년이 아니다, 논어 위정편에 15세에 지학(志學), 30세에 이립(而立), 40세에 불혹(不惑), 50에 지천명(知天命), 60에 이순(耳順), 70에 종심소욕(從心所欲)이라고 했다.
◎ 五嶽(오악) 五:다섯 오, 嶽:큰 산 악. 다섯 개의 높은 산, 높은 산을 악(嶽)이라 함. 악은 악(岳)과 같음, 동악(東嶽)은 태산(泰山:산동성에 있음). 서악(西嶽)은 화산(華山:섬서성), 남악(南嶽)은 형산(衡山:호남성), 북악(北嶽)은 항산(恒山:산서성), 중악(中嶽)은 숭산(崇山:하남성)임, 당우(唐虞) 때에는 사악에 제후(諸侯)를 두었음. -이아석산-
◎ 五惡(오악) 五:다섯 오, 惡:악할 악. ①[불교]오계(五戒)를 파(破)하는 다섯 가지 악한 일, 곧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망어(妄語), 음주(飮酒). ②오상(五常)에 어긋나는 다섯 행위, 곧 불인(不仁), 불의(不義), 불례(不禮), 부지(不智), 불신(不信).
◎ 傲岸不遜(오안불손) 傲:거만할 오, 岸:언덕 안, 不:아닐 불, 遜:겸손할 손, 행동거지가 오만불손하고 잘난 체하는 태도, 오안은 자존심이 높아 남에게 겸양하지 않는 모양, 안은 깎아지른 듯이 우뚝 솟은 벼랑.
◎ 五言長城(오언장성) 五:다섯 오, 言:말씀 언, 長:긴 장, 城:재 성. 장성은 만리장성으로, 오언의 시(詩)에 능숙함. -신당서-
◎ 五言絶句(오언절구) 五:다섯 오, 言:말씀 언, 絶:끊을 절, 句:글귀 구. 오언 사구(四句)로 된 시, 오언율시(五言律詩)와 함께 근대적인 한시형(漢詩型)의 하나로 중국 당나라 때 성하였다. 각 구를 순서로 기, 승, 전, 결이라 부르고, 한 구의 자수에 따라 오언과 칠언으로 구분한다.
◎ 五夜(오야) 五:다섯 오, 夜:밤 야. 오야(五夜), 오경(五更)과 같음. 오(午)는 오(五)와 통함, 술시(戌時), 즉 오후8시가 초경(初更)으로 오경(五更)은 인시(寅時), 즉 새벽4시경을 이르는 말.
◎ 忤於耳而倒於心(오어이이도어심) 忤:거스를 오, 於:어조사 어, 耳:귀 이, 而:말이을 이, 倒:넘어질 도, 心:마음 심. 좋은 말은 귀에 거슬려 사람의 마음에 들기 어려움을 이름. -한비자-
◎ 五言詩(오언시) 五:다섯 오, 言:말씀 언, 詩:시 시. 한 구가 5언으로 된 한시를 통틀어 일컬음. 한(漢)의 천한(天漢)3년 소무(蘇武)가 흉노(匈奴) 땅에서 돌아올 때 이능(李陵)과 화답(和答)한 시(詩)인 하량지음(河梁之音)에서 시작되었다 함.
◎ 五言長城(오언장성) 오언의 만리장성이라는 뜻으로, 오언시(五言詩)를 잘 지음을 이르는 말
◎ 烏鳶之卵不毁而後鳳凰至(오연지란불훼이후봉황지) 烏:까마귀 오, 鳶:솔개 연, 之:갈 지, 卵;알 란, 不;아닐 불, 毁:헐 훼, 而:말이을 이, 後:뒤 후, 鳳:봉황새 봉, 凰:봉황새 황, 至:이를 지. 인혜(仁惠)의 마음이 두터워 까마귀. 솔개의 알까지도 깨는 일이 없으면 봉황(鳳凰)도 그 세상을 그리워 하여 모여든다는 뜻. -로온서(路溫舒)의 서(書)-
◎ 五蘊盛苦(오온성고) 오온(五蘊)인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즉 정신(精神) 세계(世界)와 물질 세계(世界)가 너무 성성(盛盛)한 고통(苦痛). ◎ 五欲(오욕) 五:다섯 오, 欲:바랄 욕. 이목구비(耳目口鼻)의 욕(欲)과 마음에서 우러나는 욕(欲), 또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의 다섯 가지 정욕, 또 재욕(財欲), 색욕(色欲), 음욕(飮欲), 명욕(名欲), 수면욕(睡眠欲). -관자(관자)-
◎ 五友(오우) 五:다섯 오, 友;벗 우. 다섯 종류의 벗 삼을 만한 사물을 이름. ①유병(游炳)의 고사, ②다섯 종류의 절조(節操)있는 식물로서 대, 매화, 난초, 국화, 연꽃을 이름.
◎ 五雲(오운) 五:다섯 오, 雲:구름 운. ①오색(오색)의 구름, ②남의 서독(書:글,牘:편지). 다시 말해 편지를 이름. -주례-
◎ 吳牛喘月(오우천월) 오(吳)나라의 소가 달을 보고 헐떡인다는 뜻으로, 공연(公然)한 일에 지레 겁먹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세설신어,언어-
◎ 吳越同舟(오월동주) 오(吳)나라 사람과 월(越)나라 사람이 한 배에 타고 있다라는 뜻으로, ①어려운 상황(狀況)에서는 원수(怨讐)라도 협력(協力)하게 됨 ②뜻이 전혀 다른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됨. -손자병법,구지편-
◎ 五月爐(오월로) 五:다섯 오, 月:달 월, 爐:화로 로. 5월의 화로라는 뜻으로, 필요는 없어도 없어지면 아쉬운 물건의 비유.
◎ 烏雲之陣(오운지진) 烏:까마귀 오, 雲:구름 운, 之:갈 지, 陣:진칠 진. 까마귀가 흩어지는 것과 같고 구름이 모이는 것과 같이 집산(集散)이 그지없으며 변화가 많은 진법(陣法). -육도(六韜:감출 도)-
◎ 烏有(오유) 烏:까마귀 오, 有:있을 유. 사물이 아무것도 없이 됨, 오는 반어(反語)를 나타내는 조자(助字), 따라서 오유는 "어찌 있으리오 아무것도 없다"의 뜻이 된다. 현재는 화재를 만나 모든 것을 잃는다는 뜻으로 쓰인다. -사기-
◎ 烏有反哺之孝(오유반포지효) 烏:까마귀 오, 有:있을 유, 反:되돌릴 반, 哺:먹을 포, 之:갈 지, 孝:효도 효.
◎ 五日京兆(오일경조) 五:다섯 오, 日:날 일,京:서울 경, 兆:조짐 조. 하던 일이 며칠 안 가서 끝장이 나리라는 뜻이다. 옛날에는 관리의 임기가 곧 만료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여졌다. -한서 장창전- [고사]경조윤(京兆尹)은 중국 한(漢)나라의 관명(官名)으로 장창(張敞)이란 자가 경조윤이 되었다가 5일만에 면직되었다는 옛 이야기에서 나온 말.
◎ 誤字落書(오자낙서) = 오서낙자 誤:그릇할 오, 字;글자 자, 落:떨어질 낙, 書:글 서. 글자를 잘못 쓰는 일과 빠뜨리고 쓰는 일, 또는 그러한 글자.
◎ 惡紫奪朱(오자탈주) 자색(자색)이 붉은 주색(주색)을 망쳐 놓음을 미워한다는 말이니 ①거짓된 것이 참된 것을 욕보인다는 뜻. ②소인이 현자를 욕보인다는 뜻. -논어-
◎ 烏鵲通巢(오작통소) 까마귀와 까치가 둥우리를 같이 쓴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무리가 함께 동거(同居)함을 이르는 말.
◎ 烏將軍(오장군) 烏:까마귀 오, 將:장수 장, 軍;군사 군. 돼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왕운 유괴록-
◎ 烏鳥私情(오조사정) 까마귀가 새끼 적에 어미가 길러 준 은혜(恩惠)를 갚는 사사(私事)로운 애정(愛情)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려는 마음을 이르는 말
◎ 烏之雌雄(오지자웅) 까마귀는 수컷,암컷이 서로 비슷해 구별하기 어렵다는 데서 시비선악(是非善惡)을 가리기 어려움의 비유.
◎ 烏集之交(오집지교) 烏:까마귀 오, 集;모을 집, 之:갈 지, 交:사귈 교. 까마귀처럼 많이 모인 교제라는 뜻으로 잇속으로 맺어진 교제. -관자-
◎ 五尺之童(오척지동) 어린아이를 가리키는 말로, 어른의 신장을 1장(丈)이라 하여 장부(丈夫)라 하고, 그 반인 5척(尺)을 童子(동자)라 함.
◎ 五疊飯床(오첩반상) 五:다섯 오, 疊:겹쳐질 첩, 飯:밥 반, 床:평상 상. 칠첩반상보다 그릇 두 개가 적은 밥상.
◎ 五濁惡世(오탁악세) ①오탁(五濁)으로 가득한 죄악(罪惡)의 세상(世上) ②쇠퇴(衰退)하여 끝판이 다 된 세상(世上).
◎ 五風三雨(오풍삼우) = 우순풍조 五:다섯 오, 風:바람 풍, 三:석 삼, 雨:비 우. 닷새만에 바람이 불고 열흘만에 비가 온다 함은, 비바람이 적당히 때맞춰 있어 농사가 잘되게 한다는 뜻. -논형-
◎ 五風十雨(오풍십우) 닷새에 한 번씩 바람이 불고, 열흘 만에 한 번씩 비가 온다는 뜻으로, ①기후(氣候)가 순조(順調)로움을 이르는 말 ②정치가(政治家) 잘 되어 세월(歲月)이 태평(太平)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五濁增時(오탁증시) 오탁(五濁)이 시대(時代)가 지남에 따라 점점 그 정도(程度)를 더하여 가는 때.
◎ 吳下阿蒙(오하아몽) 吳:나라이름 오, ,下:아래 하, 阿:언덕 아, 蒙:어릴 몽. 삼국(三國) 시대(時代)에 오(吳)나라의 여몽은 주군인 손권(孫權)이 학문(學問)에 힘쓰라는 말에 부지런히 공부(工夫)했다. 그 후(後), 손권의 신하(臣下)인 노숙(魯肅)이 여몽과 다시 만나 여몽의 학문(學問)이 대단히 진보(進步)한 것을 칭찬(稱讚)하고, 이전(以前)에는 무략(武略)만 있는 사람이라고 여겼는데, 지금은 학문(學問)도 향상(向上)되어 일찍이 오(吳)나라에 있었던 여몽이 아니라고 말했다고 함. 원래는 사람의 교양이 갑자기 풍부해 진 것을 일컫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평범하고 교양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삼국지 오지 여몽전-
◎ 오합지졸(오합지졸) = 烏合之衆(오합지중) 烏:까마구 오, 合:합할 합, 卒:군사 졸. 까마귀를 모아 놓은 군대, 임시로 모아 훈련이 부족하고 규율이 없는 군대, 즉 어중이 떠중이를 비유하는 말. -후한서,경엄편-
◎ 吾兄(오형) 吾:나 오, 兄:맏 형.
나의 형이란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에서 쓰는 말.
◎ 烏獲之力(오획지력) 秦(진)나라의 壯士(장사) 오획이 힘이라는 뜻으로, 매우 센 힘을 두고 이르는 말.
◎ 午後閑良(오후한량) = 한량음식(閑良飮食) 午:낮 오, 後:뒤 후, 閑:한가할 한, 良:어질 량. 활을 쏜 한량들이 오후에는 매우 시장하므로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무엇이나 잘 먹는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