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을 태우며
- 이효석 가을이 깊어지면, 나는 거의 매일 뜰의 낙엽을 긁어모으지 않으면 안 된다. 날마다 하는 일이건만, 낙엽은 어느 새 날아 떨어져서, 또 다시 쌓이는 것이 다. 낙엽이란 참으로 이 세상의 사람의 수효보다도 많은가 보다. 삼십여 평에 차지 못하는 뜰이건만 날마다의 시중이 조련(調練)하지 않다. 벚나무, 능금나 무---제일 귀찮은 것이 담쟁이이다. 담쟁이란 여름 한철 벽을 온통 둘러싸고, 지붕과 굴뚝의 붉은 빛만 남기고, 집안을 통째로 초록의 세상으로 변해 줄 때가 아름다운 것이지, 잎을 다 떨어뜨리고 앙상하게 드러난 벽에 메마른 줄 기를 그물같이 둘러칠 때쯤에는, 벌써 다시 거들떠 볼 값조차 없는 것이다. 귀찮은 것이 그 낙엽이다. 가령, 벚나무 잎같이 신선하게 단풍이 드는 것도 아니요, 처음부터 칙칙한 색으로 물들어, 재치 없는 그 넓은 잎은 지름길 위 에 떨어져 비라도 맞고 나면, 지저분하게 흙속에 묻히는 까닭에, 아무래도 날아 떨어지는 족족 그 뒷시중을 해야 한다. 벚나무 아래에 긁어모은 낙엽의 산더미를 모으고 불을 붙이면, 속엣것부 터 푸슥푸슥 타기 시작해서, 가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바람이나 없는 날이 면, 그 연기가 낮게 드리워서, 어느덧 뜰 안에 자욱해진다. 낙엽 타는 냄새같 이 좋은 것이 있을까? 갓 볶아 낸 커피의 냄새가 난다. 잘 익은 개암 냄새가 난다. 갈퀴를 손에 들고는 어느 때까지든지 연기 속에 우뚝 서서, 타서 흩어 지는 낙엽의 산더미를 바라보며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있노라면, 별안간 맹 렬(猛烈)한 생활의 의욕(意欲)을 느끼게 된다. 연기는 몸에 배서 어느 결엔지 옷자락과 손등에서도 냄새가 나게 된다. 나는 그 냄새를 한없이 사랑하게면서 즐거운 생활감(生活感)에 잠겨서는, 새 삼스럽게 생활의 제목을 진귀한 것으로 머릿속에 띄운다. 음영(陰影)과 윤택 (潤澤)과 색채(色彩)가 빈곤해지고, 초록이 전혀 그 자취를 감추어 버린, 꿈을 잃은 허전한 뜰 한 복판에 서서, 꿈의 껍질인 낙엽을 태우면서 오로지 생활 의 상념(想念)에 잠기는 것이다. 가난한 벌거숭이의 뜰은 벌써 꿈을 꾸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탓일까? 화려한 초록의 기억은 참으로 멀리 까마득하게 사라 져 버렸다. 벌써 추억에 잠기고 감상(感傷)에 젖어서는 안 된다.
가을이다! 가을은 생활의 계절이다. 나는 화단의 뒷자리에를 깊게 파고, 다 타 버린 낙엽의 재를---죽어 버린 꿈의 시체를---땅 속에 깊이 파묻고, 엄연 (儼然)한 생활의 자세로 돌아서지 않으면 안 된다. 이야기 속의 소년같이 용 감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 전에 없이 손수 목욕물을 긷고, 혼자 불을 지피게 되는 것도, 물론 이런 감 격에서부터다. 호스로 목욕통에 물을 대는 것도 즐겁거니와, 고생스럽게, 눈 물을 흘리면서 조그만 아궁이에 나무를 태우는 것도 기쁘다. 어두컴컴한 부 엌에 웅크리고 앉아서, 새빨갛게 피어오르는 불꽃을 어린아이의 감동을 가 지고 바라본다. 어둠을 배경(背景)으로 하고 새빨갛게 타오르는 불은, 그 무 슨 신성(神聖)하고 신령스런 물건 같다. 얼굴을 붉게 태우면서 긴장된 자세로 웅크리고 있는 내 꼴은, 흡사 그 귀중 한 선물을 프로메테우스에게서 막 받았을 때, 태곳적 원시의 그것과 같을는 지 모른다. 나는 새삼스럽게 마음속으로 불의 덕을 찬미하면서, 신화 속의 영웅(英雄) 에게 감사의 마음을 바친다. 좀 있으면 목욕실에는 자욱하게 김이 오른다. 안개 깊은 바다의 복판에 잠 겼다는 듯이 동화 감정으로 마음을 장식하면서, 목욕물 속에 전신을 깊숙이 잠글 때, 바로 천국에 있는 듯한 느낌이 난다. 지상 천국은 별다른 곳이 아니 라, 늘 들어가는 집 안의 목욕실이 바로 그것인 것이다. 사람은 물에서 나서 결국 물속에서 천국을 구하는 것이 아닐까? 물과 불과---이 두 가지 속에 생활은 요약된다. 시절의 의욕이 가장 강렬하 게 나타나는 것은 이 두 가지에 있어서다. 어느 시절이나 다 같은 것이기는 하나, 가을부터의 절기(節氣)가 가장 생활적인 까닭은 무엇보다도 이 두 가지 의 원소의 즐거운 인상 위에 서기 때문이다. 난로는 새빨갛게 타야하고, 화 로의 숯불은 이글이글 피어야 하고, 주전자의 물을 펄펄 끓어야 된다. 백화점 아래층에서 커피의 알을 찧어 가지고는 그대로 가방 속에 넣어 가지고, 전차 속에서 진한 향기를 맡으면서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는 내 모양을 어린애답 다고 생각하면서, 그 생각을 또 즐기면서 이것이 생활이라고 느끼는 것이다. 싸늘한 넓은 방에서 차를 마시면서, 그제까지 생각하는 것이 생활의 생각이 다. 벌써 쓸모 적어진 침대에는 더운 물통을 여러 개 넣을 궁리(窮理)를 하고, 방구석에는 올 겨울에도 또 크리스마스트리를 세우고 색전등으로 장식할 것을 생각하고, 눈이 오면 스키를 시작해 볼까 하고 계획도 해보곤 한다. 이 런 공연한 생각을 할 때만은 근심과 걱정도 어디론지 사라져 버린다. 책과 씨름하고, 원고지 앞에서 궁싯거리든던 그 같은 서재에서, 개운한 마음으로 이런 생각에 잠기는 것은 참으로 유쾌한 일이다. 책상 앞에 붙은 채, 별일 없으면서도 쉴 새 없이 궁싯거리고, 생각하고, 괴 로워하면서, 생활의 일이라면 촌음(寸陰)을 아끼고, 가령 뜰을 정리하는 것도 소비적이니, 비생산적이나 하고 멸시하던 것이, 도리어 그런 생활적 사사(些 事)에 창조적, 생산적인 뜻을 발견하게 된 것은 대체 무슨 까닭일까? 시절의 탓일까? 깊어 가는 가을, 이 벌거숭이의 뜰이 한층 산 보람을 느끼 게 하는 탓일까? ================================================ =========================== 이글을 처음 대했던 게 교과서에서였었지..^^ 중학교 때였던가? 고등학교 때였던가..?? 가물가물~~-_-; 그때 이글을 배우고.. 수시로 그 낙엽태운 냄새라는 게 궁금해서 가을이 깊어갈 때쯤 길거리에 흩어져 나부끼는 낙엽들을 보면 문득문득 태워보고 싶었다는.. 정말 갓볶아낸 커피의 냄새가 나는지.. 잘익은 개암냄새가 나는지 그게 왜 그리 궁금하던쥐...ㅎㅎ [출처] 낙엽을 태우며.. (이효석).
|
첫댓글 이효석..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메밀꽃 필 무렵이 생각나네요
이효석님의 낙엽을 태우며
감사히 즐감 합니다..
고맙습니다..망실봉님
환절기 감기조심 하세요..^^
안녕하세요
핑크하트 님 !
소중한 방문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석으로 기온이 마니
내려가 짧은 가을도
곧 지나가 버릴것만
같습니다~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