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연기설이야말로 참으로 중도를 나타내는 귀중한 진리
원시불교에서 말하는 중도의 유형은 앞에서도 일부 고찰한 바와같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제 무엇보다도 의미 깊고 다시금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은 연기(緣起)에 입각한 중도설입니다.
연기설은 보통 십이연기(十二緣起)가 대표적인데, 이 십이연기설은 사성제(四聖諦) 중도(中道)등과 함께 부처님이 최초기부터 말씀하신 근본불교의 가장 중요한 교리에 속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이 중도를 깨달아서 정각자가 되었듯이,
부처님이 발견한 이 연기설, 또는 십이연기설 역시 중도의 궤도를 이탈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부처님의 핵심교리인 이 십이연기설이야말로 참으로 중도를 나타내는 귀중한 진리라 할 만합니다.
앞으로 이 십이연기에 근거한 중도설을 더듬어 설명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십이연기를 설한 일부의 경문을 살펴보겠습니다.
세존(世尊)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연기(緣起) 및 연하여 생긴 법〔緣生法〕을 설하리니 그대들은 듣고 서 잘 생각하라.
비구들이여, 연기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생(生)에 연(緣)하여 노사(老死)가 있느니라.
여래가 세상에 나오지 않아도 이것은 정하여져서, 법으로 정하여져서 법으로 확립되 어져 있느니,
곧 서로 의지하는 성품〔相依性〕이니라. 여래는 이것을 증득하고 이를 아느니 라.
증득하고 알아서 교시하고 선포하고 상설하고 개현하고 분별하고 명료하게 하여 '너희들은 보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이여, 생(生)에 연(緣)하여 노사(老死)가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유(有)에 연(緣)하여 생(生)이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취(取)에 연(緣)하여 유(有)가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애(愛)에 연(緣)하여 취(取)가 있느니라.
비구들이여, 수(受)에 연(緣)하여 애(愛)가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촉(觸)에 연(緣)하여 수(受)가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육처(六處)에 연(緣)하여 촉(觸)이 있느니라.
비구들이여, 명색(名色)에 연(緣)하여 육처(六處)가 있느니라.비구들이여, 식(識)에 연(緣)하여 명색(名色)이 있느니라.비구들이여, 행(行)에 연(緣)하여 식(識)이 있느니라.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에 연(緣)하여 행(行)이 있느니라.여래가 세상에 나오거나 여래가 세상에 나오지 않아도 이것은 정하여져서, 법으로써 정하여 져서 법으로 확립되어져 있느니, 곧 서로 의지하는 성품이니라.
여래는 그것을 증득하고 아느니라. 증득하고 알아서 교시하고 선포하고 상설하고 개현하고 분별하고 명료하게 하여
'너희들 은 보라'고 말하느니라.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에 연(緣)하여 행(行)이 있느니라. 비구들이여, 이렇게 여(如)이며 불 허망성(不虛妄性)이며 불이여성(不異如性)이며 상의성(相依性)인 것, 비구들이여, 이것을 연기라 고 말하느니라.
비구들이여, 연하여 생긴 법이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노사(老死)는 무상(無常) 유위(有爲) 연생(緣生) 멸진(滅盡)의 법이고, 패괴(敗壞)의 법이고,
탐욕을 떠나야 할 법이며, 멸(滅)의 법이니라.비구들이여, 생(生)은, 유(有)는, 취(取)는, 애(愛)는, 수(受)는, 촉(觸)은, 육처(六處)는, 명색(名 色)은, 식(識)은, 행(行)은,무명(無明)은 무상(無常) 유위(有爲) 연생(緣生) 멸진(滅盡)의 법이 고,
패괴(敗壞)의 법이고, 탐욕을 떠나야 할 법이며, 멸(滅)의 법이니라.
비구들이여, 이들을 연 하여 생긴 법이라고 하느니라." [南傳大藏經 13, 相應部經典 2권 p.36-38]
무명(avijja)은 지혜인 명(明)이 없음을 말하며,
이는 곧 불교의 진리인 연기나 무아의 도리를 알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행(sankhara)은 제법을 지어나가는 행위를 말하는데, 여기서는 특히 무명, 무지로 인하여 행한 행위의 형성력을 뜻합니다.
식(vinnana)은 인식작용 또는 인식의 주체를 말하며, 명색(namarupa)은 앞의 식(識)의 인식대상이 되는 물질(色)과 정신(名)입니다.
육처(salayatana)는 인식대상을 감지하는 눈 귀 코 혀 몸 의지의 육근(六根)이며, 촉(phassa)은 앞에서 말한 식(識) 근(根)과 명색인 경계(境)의 셋이 접촉함을 뜻합니다.
수(vedana)는 근 경 식의 셋이 접촉하여 생겨나는 괴로움이나 즐거움 등의 감수작용이며,
애(tanha)는 괴로움이나 즐거움 등의 감수작용에 따른 그릇된 애증을 말하며,
취(upadana)는 맹목적인 애증에 따른 집착을 말합니다.
유(bhava)는 애증과 집착에 의해 결정된 존재를 뜻하며, 생(jati)은 그 존재의 발생 또는 영위를 말하며,
노사(jara-marana)는 생으로부터 빚어지는 늙고 죽음이나 그로 인한 괴로움을 말합니다. 부처님께서 연기를 자주 말씀하셨으므로 연기는 부처님이 처음으로 만든 것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할지 모르나 연기란 결코 부처님께서 만든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이 이 세상에 나시기 전에도 연기법은 있었으며 부처님이 나신 뒤에도 연기법은 그대로입니다.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연기법이란 내가 만든 법이 아니라 본래 있는 법이라고 하셨습니다.
상의성(相依性)이란 서로 의지해 있다는 뜻입니다.
곧 삶〔生〕은 죽음〔死〕에 의지하고 죽음〔死〕은 삶〔生〕에 의지하고, 무명은 행(行)을 의지하고 행은 무명을 의지합니다.
이와같이 연기법은 무명, 행 등 여러 가지 항목에 의지하여 존립한다는 것입니다.
생(生)에 연(緣)하여 노사(老死)가 있느니라. 모든 여래가 세상에 나오거나 세상에 나오지 않 거나를 불구하고 이 원리는 정하여진
것으로서 법의 고정성(固定性), 법의 정칙성(定則性) 곧 상의성(相依性)이니라. 여래는 이것을 깨치고 이것에 도달하느니라.
깨치고 도달하여서 이것 을 널리 알리고 말해 주고 자세히 설하고 분별하여 명료히 하느니라.
너희들은 보아라.
생(生) 에 연(緣)하여 노사(老死)가 있느니라.
여기에서 진여성(眞如性) 불허망성(不虛望性) 불이여성(不異如性) 상의성(相依性)을 띠고 있으니 이것을 곧 연기(緣起)라고 말하느니라. [字井伯壽著 印度哲學硏究 第二]
위 우정(宇井)박사의 인용문은 앞 상응부 경전의 것보다 번역이 자세하므로 같은 내용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시 인용한 것입니다. 이 번역에 의하면 연기는 제법이 상의함을 말 한 것이며, 그것은 진여를 바탕으로 한 진여성이라는 점이 분명합니다.
다음에는 이 경전에 해당하는 한역 경전과 비교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그때에 세존은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나는 이제 마땅히 인연법(因緣法)과 연생법(緣生法)을 말하리라.
어떤 것을 인연법이라 하는 가.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다'고 하느니라. 무명(無明)을 연(緣)하여 행(行)이 있으며 행(行)을 연(緣)하여 식(識)이 있으며 내
지 이렇고 이렇게 하여 순수한 큰 괴로움의 무리 [純大苦聚]가 모이느니라.
어떤 것을 연생법이라 하는가?
무명으로 지어진 법은 멸진의 법이요 패괴의 법이라 말하느니라.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거나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지 않거나 이 법은 항상 머물며 법은 법계에 머무느니라.그것을 여래가 스스로 깨달아 알아서 등정각(等正覺)을 이루고 사람들을 위해 연 설하여
열어 보이고 드러내 밝히니 무명(無明)을 연(緣)하여 행(行)이 있고 내지 생(生)을 연 (緣)하여 노사(老死)가 있다고 하느니라.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거나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지 않거나 이 법은 항상 머물러 법은 법계에 머무느니라.
그것은 여래가 스스로 깨달아 등정각을 이루고 사람들을 위해 연설하여 열어 보이고 드러내 밝히니, 생(生)을 연(緣)하므로 노(老) 병 (病) 사(死)와 우(憂) 비(悲) 뇌(惱) 고(苦)가 있다고 하느니라.
이들 모든 법은, 법이 머무르며〔法住〕, 법이 공하며 〔法空〕, 법이 여여하며〔法如〕, 법이 그러하며〔法爾〕, 법이 여여함(如)함을 떠나지 아니하며, 법은 여여와 다르지 아니하며, 참으로 진실하여 전도되지 아니하니,
이와같이 연기에 수순하여 생하는 것을 연생법이라고 하느니라. [雜阿含經 제12권; 大正藏 제2권 p.84]
이 연기법은 항상 있어서 법이 법계(法界)에 머문다는 표현 속에서 연기의 근본이 다 드러나 있습니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연기법이란 법계이며,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진여법계(眞如法界)의 의미까지 내포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법이 머문다〔法住〕'는 것은 법이 연기하여 존재함을 말하며, 연기한 모든 법은 다 공하므로 '법이 공〔法空〕'하다는 것입니다.
'법이 여여함〔法如〕'이란 일체만법이 진실하여 여여하다는 것입니다.
'법이 그대로〔法爾〕'란 흔히 연기법을 자연법 그대로가 아니냐고 해석할 수 있는데 그런 의미가 아니며, 그 참된 의미는 '진여법 그대로다'하는 뜻입니다.
앞의 파리문 경전에서는 연기법과 연생법을 진여성(眞如性) 불허망성(不虛妄性) 불이여성(不異如性)상의성(相依性)이라 말한 것을, 여기 한역 경전에서는 '법이 머물고〔法主〕법이 공〔法空〕하며, 법이 여여하고〔法如〕법 그대로다〔法爾〕'거나, '법이 여
여와 다르지 않다〔法不異如〕'라고 말했는데 이 양자의 표현은 달라도 내용은 거의 같다고 하겠습니다.
-백일법문에서-
☞ 공덕총림의 세계 덕림회 http://cafe.daum.net/cnub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