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으며 가슴에 뜨거운 여운이 꿈틀거렸습니다.
인간사 정이 마주하며 사는 게 참 삶이라 생각해 봅니다.
만두집 할머니가 훌륭하신 건지
남매의 누나가 동생이 그토록 훌륭하게 자라는 데 밑거름이 된 건지
읽으며 많은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베품이 세상을 밝게 만듭니다.
속 터진 만두
60년대 겨울, 서울 인왕산 자락에 초가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가난에 찌든 사람들이 그날 그날 목숨을
이어가고 있었다.
빈촌 어귀에 길갓집 툇마루 앞에 찜솥을 걸어 놓고 만두 쪄서 파는 조그만 가게가 있었다.
만두소를 만들고 만두피를 빚고 손님에게 만두 파는 모든 일을 혼자서 다 하는 만두가게 주인 이름은
순덕 아지매였다.
입동이 지나자 날씨가 제법 싸늘해졌다.
매일 빠짐없이 어린 남매가 보따리를 들고 만두 가게 앞을 지나다 추위에 곱은 손을 솥뚜껑 위에서
녹이고 가곤 하였다.
어느 날 순덕 아지매가 만두소와 피를 장만해 나갔더니 어린 남매는 이미 골목길 끝자락을 돌고 있었다.
얼핏 기억에 솥뚜껑 위에 만두 하나가 없어진 것 같아 남매가 가는 골목길을 따라 올라갔다.
애들이 만두를 훔쳐 먹은 것 같아 혼을 내려고 하였다.
그때 꼬부랑 골목길을 막 쫓아 오르는데 아이 울음소리가 났다.
바로 그 남매였다.
흐느끼며 울던 누나가 목멘 소리로 말하였다.
"나는 도둑놈 동생을 둔 적이 없어. 이제부터는 누나라고 부르지도 말아라."
예닐곱 살쯤 되는 남동생이 울며 말하였다.
"누나야, 내가 잘못했어. 다시는 안 그럴게."
담 옆에 숨어 보고있던 순덕 아지매가 남매를 달래줄까 하다가 더 무안해 할 것 같아 가게로 돌아왔다.
이튿날에 보따리를 든 남매가 골목을 내려와서 만두가게 앞에서 걸음을 멈추더니 누나가 동전 한 닢을
툇마루에 놓으며 중얼거렸다.
"어제 아주머니가 안 계셔서 외상으로 만두 한 개 가지고 갔구만요."
어느 날 저녁 보따리를 들고 올라가던 남매가 손을 녹이지 않고 지나치기에 순덕 아지매가 남매를 불렀다.
"얘들아, 속 터진 만두는 팔 수가 없으니 우리 셋이서 먹자구나."
누나가 미소를 지어 보이면서 '고맙습니다만 집에 가서 저녁을 먹을래요'
하고는 남동생의 손을 끌고 올라가면서 동생에게 말하였다.
"얻어 먹는 버릇 들면 진짜 거지가 되는 거야. 알았지?"
어린 동생 달래는 나지막한 목소리가 바람에 실려 순덕 아지매 귀에 닿았다.
어느 날 보따리를 또 들고 내려가는 남매에게 물었다.
"그 보따리는 무엇이며 어디 가는 거냐?"
여자 아이는 땅만 보며 말하였다.
"할머니 심부름 가는 거예요."
더욱 궁금해진 순덕 아지매는 여기 저기 물어 그 남매의 집 사정을 알아냈다.
얼마 전에 이곳 서촌으로 거의 봉사에 가까운 할머니와 어린 남매 세 식구가 이사와서 궁핍속에 산다는
것이었다.
그래도 할머니는 바는질 솜씨가 좋아서 종로통 포목점에서 바느질꺼리를 맡기면 , 어린 남매가 타박타박
걸어서 자하문을 지나 종로 통까지 바느질 보따리를 들고 오간다는 것이다.
남매의 아버지가 죽고 나서 이듬해 어머니도 유복자인 동생을 낳다 이승을 하직하였다는 것이었다.
응달진 인왕산 자락의 빈촌에 매서운 겨울이 찾아왔다.
남동생이 만두 하나 훔친 이후로도 남매는 여전히 만두가게 앞을 오가며 다니나 솥뚜껑에 손을 녹이긴
고사하고 아예 고개를 돌리며 외면하고 지나 다니고 있었다.
어느 날에 순덕 아지매가 가게 앞을 지나가는 남매를 잡고 물었다.
"너희 엄마 이름이 봉임이지. 신 봉임 맞지?"
놀란 남매가 발걸음을 몸추고 쳐다 보았다.
"아이고, 봉임이 아들 딸을 이렇게 만나다니 천지신명 님 고맙습니다."
남매를 꼭 껴안은 아지매 눈에 눈물이 고이기 시작하였다.
"너희 엄마와 어릴 때 둘도 없는 친구였단다.
우리 집은 찢어지게 가난하였고, 너희 집은 잘 살아 인정이 많은 너희 엄마는 우리 집에 쌀도 퍼담아 주고
콩도 한 자루씩 갖다 주었단다."
그날 이후로 남매는 저녁 나절 올라갈 때는 꼭 만두 가게에 들려서 속 터진 만두를 먹고 순덕 아지매가
주는 만두를 들고 할머니께 가져다 드렸다.
순덕 아지매는 동사무소에서 호적부를 뒤져서 남매의 죽은 어머니의 이름이 '신 봉임'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그 이후로는 만두를 빚을 때는 꼭 몇개는 아예 만두피를 일부러 찢어 놓았다.
인왕산 달동네 만두 솥에 속 터진 만두가 익을 때 만두 솥은 눈물을 흘렸다.
30여 년 후 어느 날에 만두 가게 앞에 승용차 한 대가 서고 중년 신사가 내렸다.
신사는 가게 안에서 꾸부리고 만두 빚는 노파의 손을 잡았다.
신사는 눈물을 흘리며 할머니를 쳐다보았다.
깜짝 놀란 할머니가 물었다.
"누구이신가요?"
신사가 정중하게 대답하였다.
."할머니, 친구 봉임의 아들입니다."
만두집 노파는 옛날의 그 남매를 기억하였다.
두 사람은 말없이 흐느끼고 있었다.
그가 바로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명문 미국대학 유학을 다녀와 병원 원장이 된
최 낙원 강남제일병원 원장이다.
* 남매 중 누나의 어른보다 더 어른스러운 품격 있는 가치관과 만두 가게 주인의 고상한 품격에 고개
숙여집니다.
학력과 경력이 과연 이들의 삶에 비교 우위에 있었을까요?
우리 주변에서 이렇게 아름다운 이야기가 쓰여질 수 있는 일들이 있을지 생각해 봅니다.
<받은 메일을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