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postype.com/@guktobu88/post/15718980
당 문서는 2급 보안 문서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캡처, 무단 유포를 허용하지 않음.
[이상현상 설명]
해당 이상 현상은 2016년 3월 8일을 시작으로 발생 중이다.
대한민국의 아무 선착장, 항구에서 제주행 카페리를 타는 도중 낮은 확률로 이상 현상에 휘말리게 된다.
해상 이상 현상에 의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선 항구 근처 이상 현상 발생 신호를 파악하는 방법밖에 없으며, 이 때문에 조사를 시작하는데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총 항해 시간은 짧으면 왕복 5시간에서 길면 왕복 30시간까지 이어지며, 중간에 제주항에 도착하여 한 시간 동안 정박한다.
이 시간 동안 잠이 드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1차 조사 결과 13시간째에 잠이 들다가 선원이 깨우면서 통신 두절됨)
강촌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비슷하게 시선을 바닥에 두고 귀를 막는 편이 좋다.
대략 71차 조사 때부터 시작된 현상이지만 아직 이 원인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다.
매점에서 음식을 구매하는 행위는 권하지 않으며 내용물이 현실의 음식과는 많이 다르다. (8차 조사 결과 음식물을 열어보고 충격을 먹은 조사대원이 음식물을 바다에 버리다가 선원에게 발각됨)
제주항에 도착해도 내려서는 안 되며, 현실의 제주도와는 다른 모습이지만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차 조사 결과 제주항에서 하선하자 마자 통신 두절됨)
제주항에 정박 중에 선원에게 발각되는 경우가 많다. 발각되어도 잡히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1차 조사 결과 발각되어서 도망다니는 도중 출발시간 근처까지 되어서까지 잡히지 않자 선원들이 철수하고 다른 선원들로 교체됨. 이후 해당 조사 대원은 돌아가는 배를 타는 도중 발각됨)
출발했던 항구로 돌아가서 하선하는 순간 배의 선원들이 실종자(혹은 조사대원)를 알아채고 추격하기 시작한다.
근처 건물에서 숨거나 선원들이 못 찾는 곳까지 도망쳐야 현실로 돌아갈 수 있다.
[실종자/생환자 현황]
(1) 총 실종자/생환자 현황
(407/38) (9.3%)
(2) 연도별 실종자/생환자 현황
2016 (45/0) (0%)
2017 (57/6) (10.5%)
2018 (58/7) (12.1%)
2019 (55/6) (10.9%)
2020 (39/4) (10.3%)
2021 (45/4) (8.9%)
2022 (52/5) (9.6%)
2023 (56/6) (10.7%) (집계중)
[조사 현황]
총 조사 수 : 127
총 조사 인원 : 105
조사 중 실종된 인원: 92
[이상 현상 발생 현황]
2016.03.08
부산항에서 민간인 1명 실종되는 현상 보고. 원인 파악 중
=============
2016.03.17
목포항에서 민간인 1명 실종되는 현상 보고. 원인 파악 중
2016.03.22
삼천포항에서 민간인 1명 실종되는 현상 보고. 8일, 17일에 일어난 실종 사건과 연관성 파악 중
2016.03.28
인천항에서 민간인 1명 실종되는 현상 보고. 원인 파악 완료
해당 현상 관리 권한을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이상현상대책기구"로 이관.
2016.04.01
탑승 방법 찾아냄. 이상 현상 조사 시작
조사 대원(1차) 13시간째에 잠이 들다가 선원이 깨우면서 통신 두절됨 .
=============
2016.12.13
조사 대원(9차) 출발했던 선착장에 도착 후 추격하는 선원들을 전력 질주로 따돌리고 생환에 성공함.
=============
2017.01.12
민간인 최초로 생환 성공.
=============
2020.02.10
조사 대원(71차) 제주행 카페리 탑승 1시간 후 굉음, 환각 호소, 통신 두절
강촌역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의 현상과 비슷한 현상으로 보임.
=============
"저 귀 막고 시선 내리라는 수칙이 중간에 생겼던 겁니까?"
"ㅇㅇ 내가 조사 뛰었을 땐 그런 거 없었는데 갑자기 생겼더라. 그래서 여기서 실종되면 탈출하기 더 힘들어.
첫댓글 조사원들은 용감..
생환한 민간인 개똑똑하다
생환 민간민 특채로 입사해야할듯 …..
조사원들은 연봉이 얼마길래
와 여긴 생환율 너무 낮다
생환률 미쳤나요
생환민간인 유퀴즈나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