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이 건설사들의 수주 타깃으로 정조준 되고 있다. 서울·수도권의 재개발 물량이 어느 정도 소진돼 가는 시점에서 건설사들은 이제 수원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건설사들의 수주경쟁만큼이나 주민들 간 갈등과 각종 비리로 고소·고발이 잇따르는 등 마찰이 끊이질 않고 있다.
◆수원, 건설사들의 수주 베이스캠프
현재 수원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르면 25개(260만241㎡) 구역 중 20개 구역 176만2848㎡가 재개발되며, 3곳이 주거환경개선사업(74만4855㎡)으로, 나머지 2곳(9만4873㎡)이 재건축사업으로 재정비된다.
정부가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시는 정비구역지정의 권한을 기초자치단체장에게 위임함에 따라 사업 추진에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수원지역 구도심권 재정비사업이 이르면 2011년부터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시공사들의 움직임도 사업추진 속도에 발맞춰 빨라지고 있다. 실례로 현재 수원지역 재개발지역 20곳 중 장안구 정자동 1구역을 비롯한 9곳이 조합설립인가를 받고 시공사를 선정했거나 총회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수원지역에서 처음으로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팔달 115-3구역은 GS·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으며, 조원동 111-4구역이 포스코건설을, 권선 113-6구역은 삼성건설 컨소시엄(삼성건설, SK건설, 코오롱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이처럼 수원지역 구도심 재개발사업구역의 시공권을 따내기 위한 대형건설사들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중견건설사들의 약진도 두드러지고 있다. 수원 영화동 111-3구역과 고색동 113-8구역을 단독수주한 두산건설을 필두로, 조원동 111-2구역 수주에 성공한 코오롱건설과 화서동 4-26번지 일대 111-5구역을 수주한 한신공영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못지않게 조합들 역시 우수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때문에 수원지역은 올해 안에 16곳 이상이 조합설립인가 및 시공사선정을 완료할 것으로 보인다.
◆수원, 재개발구역서 주민 간 불협화음 처리로 골머리
빠른 사업진행 속도만큼 주민 간 반목 등 만만찮은 부작용도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수원지역 재개발 예정구역 20곳 중 12곳이 이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생겨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구역지정을 마치고 조합설립에 나선 지역은 조합장 선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례로 지난해 5월 정비구역지정을 받고 조합설립을 준비 중인 팔달구 교동 115-6구역은 조합장 선거후유증으로 파행을 빚고 있다. 조합장 입후보자들 간 상호비방 유인물 살포의혹을 제기하는가 하면 정비업체가 특정후보를 지원한다는 설까지 나돌면서 급기야 동의서 철회를 요구하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합이 설립된 115-3구역과 정자동 111-1구역도 조합장 선거과정에서 조합원들 간 의견대립으로 간극이 크다. 더욱이 특정 건설사의 선거개입의혹도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조합설립을 마쳤다 해도 더 큰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조합원과 세입자에 대한 보상 등의 관리처분단계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5월부터 보상이 진행 중인 세류동 주거환경개선지구 주민들의 현 시세에 맞는 적정한 보상을 요구하라는 항의방문 및 집회 등 집단행동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는 용산사태 이후 세입자의 권익이 강화되며 소유주가 보상을 받아도 세입자의 보증금과 각종 영업보상금을 해결하고 나면 돈이 얼마 남지 않아 소유주가 세입자가 되는 악순환 또는 지금 사는 곳보다 못한 시 외곽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여타 재개발·재건축지역들과 달리 수원의 경우 뉴타운 지구에서나 볼 수 있었던 소위 ‘떴다방’으로 불리는 기획부동산(중개업소)들과 조합원으로 가장한 브로커들의 기승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건설사들이 주민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말들도 새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건설사에서 고용된 OS요원들이 수시로 주민들을 방문하거나 스피커가 부착된 차량을 동원해 밤낮없이 요란한 홍보전을 펼치고 있지만 시는 어떠한 제제도 하지 않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고통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 부동산 전문가는 “기반시설이 약한 구도심 정비사업을 지금처럼 지속할 경우 실제 수혜자는 조합원도 일반분양을 통해 들어올 거주자도 아닌 시공사”라며 “수원시가 원주민 재정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하지만 수원시 주택과 관계자는 “재정비예정구역은 시에서 지정했으나 조합의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결국 조합원들의 몫”이라며 “재개발의 필요성을 느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재정착률도 높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수원시가 이 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애초 단계별로 나눠 순환개발방식으로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려 했으나 지난 2006년 참여정부시절 한 차례 유보된 적이 있기 때문에 또다시 연기할 경우 후폭풍이 우려된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