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2024. 7. 20. (토)
ㅇ날씨; 흐리고 비조금의 더운 날.
ㅇ홀로 탐방.
2. 교통
ㅇ갈때
*신사역; 전철 4호선으로 충무로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
* 신사역-삼동역; 신사역에서 신분당선 이용, 판교역에서 경강선으로 환승.
ㅇ올때
*갈때의 역순으로 전철 이용 귀가.
(삼동역과 중대물빛공원 구간은 시내버스가 수시 운행중으로 이용이 편리함.)
3. 진행경과
ㅇ요즘 장마 날씨가 예년과 달리 예상을 벗어나는 폭우가 빈발하고 더운날씨로 원거리 이동이나 산행지
선택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ㅇ오늘도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지역에 비 예보를 하고있어 이른 시간 신속히 마무리 할수 있
는 코스로 경기 광주시 삼동의 "중대물빛공원" 산책길을 걸었습니다.
ㅇ금일 시간대별 기상청 강우량 예보가 오전과 오후에 걸쳐 1-3㎜로, 신기할 정도로 적중해, 그 동안 오보
에 따른 사전 중무장은 기우가 되고 말았습니다.
ㅇ중대물빛공원 산책로는 길이가 단거리(2km 정도)여서 삼동역에서 부터 중대물빛공원까지 경충대로와
나란히 이어지는 중대천변의 광주 2번시도인 "순암로"의 보도를 왕복하여 걸었고, 삼동역에서 중대천 상
류로 가설된 데크길을 따라서 직동 갈림 3거리를 돌아오는 삼동 시가지 길을 추가로 걸었습니다.
ㅇ진행코스
*삼동역-데크길-고려ST-양평해장국-대통장어마을(약왕사앞)-이마트24(텃골길3거리,중대교앞)-중대
물맞이공원-아치목교-연꽃밭-전망쉼터-데크길-제방-장미터널-제방포토죤-수문(전망대갈림)-꿈꾸는
고래-음용수포토죤쉼터-연꽃로드-분수광장-야외무대-삼동역(중대물빛공원 왕복)-데크길-직동갈림3
거리-식자재 마트-파리바게트-삼동역.
ㅇ탐방거리;
*GPS 측정거리; 7.04km(아래 개념도 참조)
4. 중대물빛공원
1)위치; 경기도 광주시 중대동 229(광주시 순암로 307)
2)중대물빛공원은 1957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건설된 "홍중저수지"를 산책길을 만드는등
리모델링하여 어린이 놀이시설 운동시설 분수광장등을 설치하여 2012년 8월 17일 개장한
수변 공원입니다.
3)규모
총 부지면적 14,751㎡.
총 저수량 517,000㎥.
4)주요시설
ㅇ공원산책로; 2km 정도. 일부 나무 데크길 조성.
ㅇ전망대
▲두산 두피아 펌사진; 여름철에는 수목에 가려 시원한 조망도 없고, 당일 비가 내려 전망대 경유를
하지 않았슴.
ㅇ장미터널
ㅇ장미로드
ㅇ아치목교
ㅇ인공섬 등
5)공원에는 때죽나무 매화나무 산수유 칠엽수 모과나무등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심어져
있습니다.
5. 풍광사진
1) 삼동역-중대물빛공원 입구 구간의 풍광
▲삼동역; 터널과 터널 사이에 역사가.........
▲이상, 중대천 변 언덕의 나리 꽃
▲같은 방향으로 뻗은 경충로와 순암로가 만나는 지점; 좌 순암로 우 경충로.
2)중대물빛공원 입구-호수 산책길 데크 구간 시점전(작은 계곡 합류부) 구간의 풍광
▲중대공원 입구
▲공원 관리소
▲공원 안내도
▲공원 산책로
▲연필모형으로 만든 조형물
▲이상, 아치 목교원근 풍경
▲이상, 아치목교와 그 부근에서 호수전경 조망의 이모 저모
▲호수 수변 쉼터
▲주변 계곡의 작은 물 줄기가 호수로 흘러 든다.
3)호수변 데크길 시점-제방 길 구간의 풍광
▲이상, 제방 방향으로연결되는 데크길 곡선.
▲인공 섬
▲이상, 장미터널; 장미는지고 일부 능소화가.......
4)제방앞 포토 죤-음용수 포토죤 쉼터의 풍광
▲제방 아래 귀여운 포토죤
▲야생화와 호수와 건너편 데크길 그리고 산 능선
▲오리 3형재의 이동.
▲"꿈꾸는 고래" 조형물
▲이번에는 오리 4형제의 이동
▲호수위로 떨어지는 빗방을과 건너편 대크 길
▲비가 내리니 건너편 산에 운무가 서린다
▲이상, 행운을 기원하는 데크 로드
▲음용수시설과 포토죤이 공존하는 쉼터
5)연꽃로드-공원 분수광장 구간의 풍광
▲이상 연꽃 로드
▲진행방향의 야외무대
▲해맞이 포토죤
▲공원광장의 원형분수와 뒤의 야외무대
▲어린이 분수 물놀이터
▲시계 탑과 생명의 물결 조형물
▲스마트 도서관
▲수국
6)중대물빛공원 주차장-삼동역 구강의 풍광
▲메꽃
▲넝쿨장미
▲산 기슭의 조광콜프 연습장
▲중대천 상류
7)트랭글 궤적등
첫댓글 장마철 폭우땜에 물난리가 났는데도 잘 다녀 오셔군요. 수고가 많았습니다.
"꿈꾸는 고래" 조형물이 너무 이쁘게 전시 되였내요.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