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怨歌(원가)
향가(鄕歌)의 하나, 신라(新羅) 효성왕(孝成王) 원년(元年, 737)에 화랑(花郞) 신충(信忠)이 지은 팔구체(八句體)의 노래.
◎ 爰居爰處(원거원처)
여기저기 옮겨 삶.
◎ 願乞終養(원걸종양)
부모가 돌아가시는 날까지 봉양(奉養)하기를 원한다는 뜻으로,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 援古證今(원고증금)
援:도울 원, 古:옛 고, 證:증거 증, 今:이제 금.
옛날의 경서(경서)를 인용하여 오늘의 사물을 밝히는 것, 전하여 현재의 사물에 대하여 과거의 일을 예로 들어서 증거로 삼는 것.
◎ 圓孔方木(원공방목)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遠交近攻(원교근공)
이해관계가 없는 먼 나라와 동맹을 맺고,
가까운 나라는 침공하는 정책을 말한다. -사기,범저채택열전-
◎ 遠求麒驥不知近在東隣(원구기기부지근재동린)
遠:멀 원, 求:구할 구, 騏:털총이 기, 驥;천리마 기, 不:아닐 부, 知:알 지, 近:가가울 근, 在:있을 재, 東:동녘 동, 隣:이웃 린.
현인(賢人)이 근처에 있음을 모르는 것을 이름. -진서-
◎ 元規之塵(원규지진)
元:으뜸 원, 之;갈 지, 塵:티끌 진.
내 마음에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타인의 행위(行爲)를 이름,
원규(元規)는 진(晉)나라 유양(庾亮)의 자(字). -진서(晉書)-
◎ 圓頓一乘(원돈일승)
모든 법이 원만(圓滿)하여 많은 시간(時間)을 경과(經過)하지 않고 곧 성불하는 일승교.
◎ 圓頭方足(원두방족)
圓:둥글 원, 頭:머리 두, 方:모 방, 足:발 족.
둥근 머리에 모진 발이라는 뜻으로 사람을 이름.
◎ 援得木而捷魚得水而騖(원득목이첩어득수이무)
援;도울 원, 得:얻을 득, 木:나무 목, 而:말이을 이, 捷:이길 첩, 魚:물고기 어, 水:물 수, 騖:달릴 무.
환경이 맞으면 행동이 자유롭다는 비유. -준남자(准南子)-
◎ 圓顱方趾(원로방지)
圓:둥글 원, 顱:머리뼈 로, 方:모 방, 趾:발 지.
둥근 머리와 모난 발뒤꿈치라는 뜻으로 인간을 가리켜서 이르는 말.
◎ 圓顱之徒(원로지도)
圓:둥글 원, 顱:머리뼈 로, 之:갈 지, 徒:무리 도.
머리를 박박 깎은 무리라는 뜻으로, 중을 낮추어 이르는 말.
◎ 元龍高臥(원룡고와)
원룡이 높은 침상에 눕는다는 뜻으로, 손님을 업신여김을 이름.
◎ 爰立之命(원립지명)
爰:이에 원, 立:설사 립, 之:갈 지, 命:목숨 명.
재상(宰相)의 임명(任命). -서지남-
◎ 遠莫致之(원막치지)
遠:멀 원, 莫:없을 막, 致:이를 치, 之:갈 지.
먼곳에 있어 올 수 없음.
◎ 園莽抽條(원망추조)
동산의 풀은 땅속 양분(養分)으로 가지가 뻗고 크게 자람.
◎ 圓木警枕(원목경침)
공부(학문)에 열중하는 것, 고학(苦學)의 비유도 있다. 원형의 나무에 큰 방울 따위를 달아 베개로 삼고 베개가 구르면 방울이 울려 눈이 떠지는 것이다. -범태사집-
◎ 猿臂(원비)
猿:원숭이 원, 臂:팔 비.
①원숭이의 팔이라는 뜻으로, 팔이 길고 힘이 있음을 이르는 말.
②팔을 내밀어 물건을 쥐는 모양을 가리키는 말.
◎ 猿臂之勢(원비지세)
猿:원숭이 원, 臂:팔 비, 之;갈 지, 勢:권세 세.
원숭이의 긴 팔과 같이 멀리 떨어져 있는 군대의 진퇴 공격 수비를 자유자재로 한다는 뜻으로, 군의 위세가 멀리까지 미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구당서-
◎ 願賜骸骨(원사해골)
사직(사직)을 청원하는 것, 군주를 섬기는 것은 자신의 목숨이나 몸을 바치는 것이였으므로 사직을 원할 때는 적으나마 해골만은 돌려주십사고 말했던 것이다. -사기-
◎ 遠山黛(원산대)
遠:멀 원, 山:뫼 산, 黛:눈썹먹 대.
부인의 눈썹이 매우 아름다움을 형용한 말. -조비연외전-
◎ 遠山眉(원산미)
파랗게 그린 먼 산 같은 눈썹이라는 뜻. 미인의 눈썹을 형용한 말. -서경잡기-
◎ 遠水(원수)는 不求近火(불구근화)요, 遠親(원친)은 不如近隣(불여근린)이니라.
멀리 있는 물은 가까운 불을 구하지 못하고,
먼곳에 있는 일가는 가까운 이웃만 같지 못하니라. -명심보감-
◎ 原始要終(원시요종)
原:근원 원, 始:비로소 시, 要:중요할 요, 終:마칠 종.
원인이 되는 이치(理致)를 추찰(推察)하고 그 결과인 성부(成否)를 요약(要約)함. -역경-
◎ 元惡大懟(원악대대)
元:으뜸 원, 惡:악할 악, 大:큰 대, 懟:원망할 대.
①반역죄를 저지른 사람. ②매우 악하여 온 세상이 미워하는 놈.
◎ 袁安高臥(원안고와)
어려운 처지(處地)에 있어도 절조(節操)를 굳게 지킴.
◎ 鴛鴦契(원앙계)
鴛:원앙 원, 鴦:원앙 앙, 契:맺을 계.
원앙(鴛鴦)은 자웅(雌雄)이 언제나 붙어다니고 떨어지지 아니하듯이 부부(夫婦) 사이의 의가 썩 좋음을 이름. -열이전(列異傳)-
◎ 鴛鴦繡出從軍看(원앙수출종군간)
鴛:원앙 원, 鴦:원앙 앙, 繡:수 수, 從:좇을 종, 軍:군사 군, 看:볼 간.
비ㅣ결을 타인에게 가르쳐주는 것을 싫어함을 이름. -원의원호문-
◎ 鴛鴦之契(원앙지계)
鴛:원앙 원, 鴦;원앙 앙, 之:갈 지, 契:맺을 계.
원앙새와 같이 금술이 좋은 맺음. 부부사이에 우애가 깊은 것을 일컫는 말이다.
-수신기-
◎ 源源而來(원원이래)
源:근원 원, 而:말이을 이, 來:올 래.
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것. -맹자-
◎ 怨入骨髓(원입골수)
怨:원망할 원, 入:들 입, 骨:뼈 골, 髓:골수 수.
원한이 뼈 속까지 들어가 있다는 뜻으로, 곧 뼈에 사무친 원한을 말한다.
◎ 原田每每(원전매매)
原:근원 원, 田:밭 전, 每:매양 매.
들판과 밭에 풀이 무성하다는 뜻으로, 군병(軍兵)이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좌전-
◎ 圓轉滑脫(원전활탈)
圓:둥글 원, 轉:구를 전, 滑:미끄러울 활, 脫:벗을 탈.
말을 하거나 일을 처리하는 데 모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단을 써서 원만하게 난국을
혜쳐나감.
◎ 原情定罪(원정정죄)
사실을 규명한 연후에 형벌을 정함. -한서-
◎ 圓頂黑衣(원정흑의)
圓:둥글 원, 頂:정수리 정, 黑:검을 흑, 衣:옷 의.
둥근 머리에 검은 옷이란 뜻으로, 중(僧)을 이르는 말
◎ 圓鑿方枘(원조방예) ☞ 방저원계
圓:둥글 원, 鑿:구멍 조, 뚫을 착. 方:모 방, 枘:장부 예,
일이 어긋나서 맞지 않음의 비유, 원조는 끌로 뚫은 둥근 구멍, 방예는 네모난 나무로 끼우는 것, 네모난 나무를 둥근 구멍에 끼우려고 해도 들어가지 않는 것. -사기-
◎ 遠族近隣(원족근린)
遠:멀 원, 族:겨레 족, 近:가까울 근, 隣:이웃 린.
먼 일가와 가까운 이웃.
◎ 怨憎會苦(원증회고)
원한을 품어 미워하는 자(者)와 만나는 괴로움으로서,
불교의 팔고(八苦)의 하나. -법화경-
◎ 怨天尤人(원천우인)
怨:원망할 원, 天:하늘 천, 尤:더욱 우, 人:사람 인.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
◎ 怨徹骨髓(원철골수)
怨:원망할 원, 徹:뚫을 철, 骨;뼈 골, 髓:골수 수.
원한이 깊어 골수에 사무치다.
결코 잊을 수 없는 깊은 원한을 비유하는 말. -사기 진본기-
◎ 原淸卽流淸(원청즉류청)
근원이 맑고 올바르면, 그 말단까지도 맑고 깨끗하다는 뜻.
사람의 위에 서는 자가 자기 몸가짐을 올바르게 가지고 있으면,
그 영향하에 있는 사람도 올바를 수 있다. -순자,군도-
◎ 遠親不如近隣(원친불여근린)
遠:멀 원, 親:친할 친, 不:아닐 불, 如:같을 여, 近:가까울 근, 隣:이웃 린,
먼 친척보다는 가까운 이웃 사람이 낫다는 뜻, 이웃사촌. -보감-
◎ 怨親平等(원친평등)
자기(自己)에게 해를 끼치는 자나 자기(自己)에게 사랑을 베푸는 자를 평등(平等)하게 대함.
◎ 猿抱樹號(원포수호)
猿:원숭이 원, 抱:안을 포, 樹:나무 수, 號:부르짖을 호.
명궁(名弓) 양유기(養由基)의 고사(古事)로 흰 원숭이가 양유기를 만나자 죽을 것을 알고서 나무를 붙들고 울부짖었다 함. -준남자-
◎ 轅下之駒(원하지구)
끌채에 매인 망아지라는 뜻으로, ①남의 속박(束縛)을 받아서 스스로는 자유(自由)를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 ②또는 도저히 그 임무(任務)를 다할 힘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元亨利貞(원형이정)
역학(易學)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네 원리(原理)라는 뜻으로, ①사물(事物)의 근본(根本) 되는 원리(原理) ②만물(萬物)이 처음 생겨나서 자라고 삶을 이루고 완성(完成)함 ③또는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주역,건괘-
◎ 遠禍召福(원화소복)
遠;멀 원, 禍:재앙 화, 召:부를 소, 福:복 복.
화를 물리쳐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 猿猴取月(원후취월)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 물에 빠져 죽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제 분수를 지키지 않으면 화를 입는다는 뜻.
◎ 越犬吠雪(월견폐설) =蜀犬吠日(촉견폐일)
줄국의 월나라는 일기가 사뭇 온화하여 눈이 오는 일이 적으므로,
개가 눈이 오는 것을 보면 이상해서 짓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식견이 좁아 보통의 사물을 보고도 크게 놀람을 이르는 말.
◎ 越雞不能伏鵠卵(월계불능복혹란)
越:넘을 월, 雞:닭 계, 不;아닐 불, 能:능할 능, 伏:엎드릴 복, 鵠고니 곡(혹), 卵:알 란.
월계(越雞)는 조그만 닭, 혹(鵠)은 따오기, 월계가 큰 따오기의 알을 품을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재주에는 각각 대소의 차가 있다는 비유. -장자-
◎ 月光讀書(월광독서)
月;달 월, 光;빛 광, 讀:읽을 독, 書:글 서.
달빛으로 책을 읽는 것, -제서강(齊書江)-
◎ 月宮姮娥(월궁항아)
月:달 월, 宮:집 궁, 姮:항아 항, 娥:예블 아.
달나라 궁궐 속의 선녀 항아라는 뜻으로, 미인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月幾望(월기망)
月:달 월, 幾:기미 기, 望:바랄 망.
그늘이 빛을 받는 것이 달이 햇빛을 받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대신이 오직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는 것을 이름. -역경-
◎ 越女齊姬(월녀제희)
월(越)나라와 제(齊)나라에서 미인(美人)이 많이 나온 데서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 月旦評(월단평)
旦:아침 단, 評:평론할 평.
달의 초하루의 인물평, 매월 초하루에 한 인물평을 말함. -후한서 허소전-
◎ 月麗于箕(월려우기)
月;달 월, 麗;고울 려, 于;오조사 우, 箕;키 기.
달이 기성(箕星)에 걸림, 바람이 불 징조라 함. -춘추위-
◎ 月老繩(월로(노)승) = 월로(노)적승
月;달 월, 老;노인 로(노), 繩:줄 승.
월하노인(月下老人)이 가지고 다니며 남녀의 인연을 맺어준다고 하는 주머니의 붉은 끈.
◎ 月露風雲(월로풍운)
月:달 월, 露:이슬 로, 風;바람 풍, 雲:구름 운.
시문(詩文)의 내용이 월로풍운을 형용하는데 지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무용(無用)의 한문자(閑文字)를 이름. -수서-
◎ 月滿卽虧(월만즉휴)
달이 차면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사물은 가장 훌륭한 때를 지나면 그 후는 다시 쇠퇴해 갈 뿐임의 비유. -사기-
◎ 月明星稀(월명성희)
능력이 있는 사람이 출현하면 주위의 사람들의 존재가 희미해 진다는 뜻.
-조조 시, 단가행-
◎ 越㫠之思(월반지사)
자기 임무를 완수하고 타인의 직권(직권)을 침범하지 않으려고 근신하는 생각.
-당송필가문 독본-
◎ 月白風淸(월백풍청)
月:달 월, 白:흰 백, 風:바람 풍, 淸:맑을 청.
달은 밝고 바람은 맑음, 곧 가을밤의 정취를 형용하는 말.
◎ 越石見(월석현)
越:넘을 월, 石:돌 석, 見:나타날 현.
항상 구름과 안개에 싸여 보이지 않는 월왕석(越王石)이란 돌(石)이 있는데 청렴(淸廉)한 관리가 나타나면 보인다 하여 좋은 정치가 베풀어 짐을 이름. -남제서-
◎ 越視秦塉(월시진척)
塉:메마른 땅 척,
월나라가 멀리 떨어진 진나라의 땅이 거칠고 메마름을 상관하지 않았듯이,
남의 환난이나 일에 일체 개입하지 않음을 일컫는 말. -송남잡식-
◎ 月양一雞以待來年(월양일계이대래년)
月:달 월, 一:한 일, 雞:닭 계. 以:써 이, 待:기다릴 대, 來:올 래, 年;해 년.
나쁜 짓임을 알고도 곧 고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맹자-
◎ 越女齊姬(월여(녀)제희)
越:넘을 월, 女:계집 여, 齊:엄숙할 제, 姬:아가씨 희.
월(越)나라와 제(齊)나라는 예부터 미녀(美女)가 많다하여 아름다운 여자를 월여제희라
이름. -매승칠발(枚乘七發)-
◎ 月盈卽食(월영즉식)
달이 꽉 차서 보름달이 되고 나면 줄어들어 밤하늘에 안보이게 된다는 뜻으로, 한번 흥하면 한번은 망함을 비유(比喩)하는 말로 쓰임. -역경-
◎ 月章星句(월장성구)
月:달 월, 章:글 장, 星:별 성, 句:글귀 구.
달과 별과 같은 문장이라는 뜻으로, 글월이 아름다움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 越俎(월조)
越:넘을 월, 俎:도마 조,
요리사가 제사 음식을 준비하지 않았다고 해서 제물을 차리는 시축(尸祝)이 요리사의
일을 대신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신의 본분을 넘어서 남의 권한을 침범하는 일, 또는
남의 일에 간섭하는 일. 조는 제기(祭器)인데 제사 때 희생물을 올려놓는 대(臺).
◎ 越俎代庖(월조대포)
越:넘을 월, 俎:도마 조, 代:대신할 대, 庖:부엌 포.
자기의 직권을 벗어나서 남의 일을 대행하다. -장자 소요유편-
◎ 越鳥巢南枝(월조소남지)
越:넘을 월, 鳥:새 조, 巢:새집 소, 南:남녘 남, 枝:가지 지.
월나라에서 온 새는 항상 남쪽에 둥지를 뜬다는 뜻으로, 고향을 잊지 못함의 비유.
◎ 越俎之嫌(월조지혐)
越:넘을 월, 俎:도마 조, 之:갈 지, 嫌:싫어할 혐.
남의 직권(職權)을 범하는 것을 꺼리낀다는 뜻. -장자-
◎ 刖趾適屨(월지적구)
발꿈치를 잘라 신에 맞춘다는 뜻으로, 본말(本末)이나 주객(主客)을 뒤집음. 좋게 하려다 도리어 더 나쁘게 됨.
◎ 越津乘船(월진승선)
越:넘을 월, 津:나루 진, 乘:탈 승, 船:배 선.
나루 건너 배 타기라는 뜻이니 아무 소용 없는 말을 이름.
◎ 月態花容(월태화용) = 화용월태
月;달 월, 態:태도 태, 花:꽃 화, 容:얼굴 용.
달과 같은 태도에 꽃과 같은 얼굴 생김새라는 뜻으로, 미모(美貌)의 여인을 이름.
◎ 月下老人(월하노인)
혼인을 맺어주는 노인. -속유괴록-
◎ 月下氷人(월하빙인)
월하노인과 빙상인이 합쳐진 것,
남녀의 혼인을 맺어주는 중매쟁이를 일컫는 말. -진서,예술전-
◎ 月寒江淸(월한강청)
달빛은 차고 강물은 맑게 조용히 흐른다는 뜻으로, 겨울철의 달빛과 강물이 이루는 맑고 찬 정경(情景)을 이르는 말.
◎ 越人安越楚人安楚(월인안월초인안초)
월나라 사람은 월나라가 편하고 초나라 사람은 초나라가 편하다는 뜻으로,
사람은 제각기 자기 고향이 가장 편안함을 이르는 말. -순자-
◎ 爲可者半不可者半(위가자반불가자반)
爲;할 위, 可:옳을 가, 者:사람 자, 半:반 반, 不:아닐 불,
어떤 의문이 있을 때 옳다고 하는 사람이 반(半)이고 옳지 못하다고 하는 사람이 반이라는 뜻. -한비자-
◎ 威姑(위고)
威:위엄 위, 姑:시어미 고.
며느리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아들이 아버지를 엄군(嚴君)이라 칭(稱)함과 같음.
-이아(爾雅)의 소(疏)-
◎ 位高望重(위고망중)
位:벼슬 위, 高:높을 고, 望:바랄 망, 重:무거울 중.
지위가 높고 명망이 큼.
◎ 韋袴布被(위고포피)
韋:가죽 위, 袴:바지 고, 布:베 포, 被:이불 피.
가죽바지에다 베옷을 입는다는 말로 가난한 선비 모습을 이름. 후한서.
◎ 爲高必因丘陵(위고필인구릉)
爲:할 위, 高;높을 고, 必;반드시 필, 因;인할 인, 丘:언덕 구, 陵;언덕 릉.
일을 할 때 자연의 형세(形勢)를 좇아서 하면 작은 노력으로 많은 공을 거둘 수 있다는 말.
-예기-
◎ 爲官乎爲私乎(위관호위사호)
爲:할 위, 官:벼슬 관, 乎:어조사 호, 私;사사로울 사.
진(晉)나라 혜제(惠帝)가 화림원(華林園)의 개구리 소리를 듣고 저것이 사(私)를 위하여 우느냐 관(官)을 위하여 우느냐 하고 어리석은 질문을 했다는 고사(古事). -진서(晉書)-
◎ 爲國忠節(위국충절)
爲:할 위, 國;나라 국, 忠;충성 충, 節:마디 절.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
◎ 爲君難爲臣不易(위군난위신불이)
임금 노릇하기도 신하 노릇하기도 어렵다는 말로, 군림하기도 어렵지만
보좌하기도 쉽지 않다는 뜻이다. 제각기 자기가 맡은 본분을 잘 하기란 어렵다는
뜻으로 풀 수도 있다. -논어 자로편-
◎ 僞君子(위군자)
僞:거짓 위, 君:임금 군, 子:아들 자.
표면(表面)을 군자(君子)같이 거짓 꾸며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리는 사람. -만연총록-
◎ 爲鬼所笑(위귀소소)
爲:할 위, 鬼:귀신 귀, 所:바 소, 笑:웃을 소.
가난(貧)의 신(神)이 비웃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면치 못함을 이름. -남사유졸전-
◎ 位極人臣(위극인신)
신하로서는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 -삼국지,오서 손침전-
◎ 危急存亡之秋(위급존망지추)
危:위태할 위, 急:급할 급, 存:있을 존, 亡:망할 망, 之:갈 지, 秋:가을 추.
국가의 존망(存亡)이 달린 중요한 때, 추는 만물이 성숙하는 때로 긴요한 때를 이름,
-제갈량 출사표-
◎ 危機一髮(위기일발)
조금도 여유가 없는 위급한 고비에 다달은 순간. -여맹간,상서 시-
◎ 危多安少(위다안소)
危:위태할 위, 多:많을 다, 安:편안 안, 少:적을 소.
위험은 많고 안전은 적다는 뜻으로, 시국이나 병세가 위급하여 안심하기 어려움.
◎ 違道干譽(위도간예)
違:어길 위, 道:길 도, 干:방패 간, 譽:기릴 예.
도리(道理)를 어기고 무리하게 백성의 칭송을 구하는 것. -서경-
◎ 爲狼爲虎(위랑위호)
爲;할 위, 狼:이리 랑, 虎:범 호.
인심이 사나운 것을 비유하는 말. -사기-
◎ 爲誄者四十輩(위뢰자사십배)
爲;할 위, 誄:매도할 뢰, 者:사람 자, 四:넉 사, 十:열 십, 輩:무리 배.
죽었을 때 제문을 지은 사람이 40명이었다는 말로 명망이 대단한 것을 이름. -진서-
◎ 爲輪爲彈(위륜위탄)
바퀴도 되고 탄환(彈丸)도 된다는 뜻으로, 하늘의 뜻대로 맡겨 둠을 이르는 말.
◎ 圍籬安置(위리안치)
圍:둘레 위, 籬:울타라 리 安:편안 안, 置:둘 치.
죄인을 배소(配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두어 둠.
◎ 緯武經文(위무경문)
緯:씨줄 위, 武:굳셀 무, 經:지날 경, 文:글월 문.
국정의 기본은 문무양도(文武兩道)에 있다는 것, 가정이나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직물에 비유하여 무(武)를 씨실(위), 문(文)을 날실(經)로 보아 나라를 완전하게 다스리는 것을 말한다. -진서-
◎ 威武不屈(위무불굴)
어떠한 위압이나 무력에도 굴복함이 없이, 스스로의 의지를 관철하는 것.
위무는 권세, 무력의 뜻. -맹자,등문공-
◎ 萎靡沈滯(위미침체)
인심(人心)과 문화(文化), 사회(社會)에 새롭고 확실(確實)한 것을 찾는 활기가 없어 진보(進步), 발전(發展)하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음.
◎ 爲民父母(위민부모)
임금은 온 백성(百姓)의 어버이가 되고, 고을의 원은 고을의 어버이가 됨을 뜻함.
◎ 危邦不入(위방불입)
危;위태할 위, 邦;나라 방,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반드시 나라만이 아니고 사람이나 단체모임 또는 지역에도 들어가지 않는다는 넓은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논어 태백편-
◎ 爲白玉樓中人(위백옥루중인)
爲:할 위 白:흰 백, 玉:구슬 옥, 樓:다락 루, 中:가운데 중, 人:사람 인.
문인(文人)의 죽음을 비유하는 말, 백옥루는 중당(中唐)의 시인 이하(李賀)가 죽자 이하를 맞이하기 위하여 천제(天帝)가 만들었다는 천상계의 누각을 말한다.
◎ 爲法自弊위법자폐)
爲:할 위, 法:법 법, 自:스스로 자, 弊:폐단 폐.
자기가 정한 법을 스스로 범하여 죄를 지음, 곧 자기가 놓은 올가미에 자기가 걸림.
◎ 爲富不仁(위부불인)
재물을 모으려면 남에게 어진 덕은 베풀지 못한다는 말. -맹자-
◎ 爲不爲間(위불위간)
①되거나 안 되거나 좌우(左右) 간(間), 또는 하든지 아니 하든지 ②아무렇거나.
◎ 位卑言高(위비언고)
낮은 지위에 있으면서 윗사람의 정치를 이렇다 저렇다 비평함. -맹자-
◎ 爲山九仞功虧一簣(위산구인공휴일궤)
爲:할 위, 山:뫼 산, 九:아홉 구, 仞:길 인, 功:공 공, 虧:이지러질 휴, 一:한 일, 簣:삼태기 궤.
높이 구인(九仞)의 산을 쌓는데 최후의 한 짐 흙을 빼면 이룰 수 없다 함이니, 오랫동안 애써서 해놓은 일이 한번 실수로 말미암아 그릇됨을 이름. -서경-
◎ 爲先之道(위선지도)
爲:할 위, 先:먼저 선, 之:갈 지, 道:길 도.
조상을 위하는 도리.
◎ 爲先最樂(위선최락)
선한 일을 하는 것은 인생 최대의 즐거움임을 이름. -후한서-
◎ 爲善者(위선자)는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하고,
爲不善者(위불선자)는 天報之以禍(천보지이화)니라.
선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이에 복으로써 갚고,
불선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이에 화로써 갚느니라.
-명심보감. 계선 편-
◎ 葦巢之悔(위소지회)=葦巢悔(위소회)
갈대 위에 둥지를 튼 뉘우침이라는 뜻으로, 정착할 곳이 없는 불안, 의지할 데 없는
허전함, 학문하는 사람은 확고한 주관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제시한 비유하여
이르는 말. -순자 권학편-
◎ 渭樹江雲(위수강운)
渭:강 이름 위, 樹:나무 수, 江:큰 내 강, 雲:구름 운.
위수(渭水)가의 나무와 장강(長江:양자강) 위를 떠도는 구름이라는 뜻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를 그리워하는 정이 간절함의 비유. -두보춘일억이백-
◎ 爲豎子名(위수자명)
爲:할 위, 豎:세울 수, 子:아들 자, 名:이름 명.
평소 멸시하던 사람에게 공명을 이루게 하였다고 분해서 하는 말로, 사람을 경멸하여 이르는 말.
◎ 渭水盡赤(위수진적)
渭:강이름 위, 水:물 수, 盡:다할 진, 赤:붉을 적.
끔찍하고 비참함을 이름, 위수는 중국 섬서성에 있는 강인데, 진나라의 수도 함양의 남쪽을 흘러서 황하로 들어간다, 진나라 상앙(商鞅)의 가혹한 법령에 많은 사람들이 처형되어 그 피로 위수가 빨갛게 물었다고 한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십팔사략-
◎ 危若踏虎尾(위약답호미)
危:위태할 위, 若:같을 약, 踏:밟을 답, 虎:범 호, 尾:꼬리 미.
범꼬리를 밟는 것같이 위험함을 이름. -서경-
◎ 危若朝露(위약조로)
위태롭기가 마치 해가 뜨면 곧 말라 없어질 아침 이슬과도 같음,
인생의 무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사기-
◎ 爲魚肉(위어육)
도마 위의 물고기가 된다는 뜻으로, 죽임을 당(當)하는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謂語助者(위어조자)
어조(語助)라 함은 한문(漢文)의 조사(助辭), 즉 다음의 4글자임.
◎ 危如累卵(위여누란)
알을 쌓아둔 것과 같은 위태로움, 아주 위태로운 상태를 이름. -사마상여-
◎ 爲汝妄言之(위여망언지)
爲:할 위, 汝:너 여, 妄:망령 망, 言:말씀 언, 之:갈 지.
내가 너를 위하여 망령된 말인지는 모르나 생각하는 바를 솔직이 말하겠다는 뜻.
-장자-
◎ 危如一髮(위여일발)
①아슬아슬한 순간(瞬間) ②아주 급(急)한 순간(瞬間).
◎ 危如朝露(위여조로)
아침 이슬은 해가 뜨면 곧 사라지듯이 위기(危機)가 임박(臨迫)해 있음을 말함.
◎ 爲淵驅魚(위연구어)
물고기를 깊은 물속에 몰아넣는다는 뜻으로,
폭군(暴君)이 백성을 몰아내어 인자(仁者)에게 돌아가게 함을 이름. -맹자-
◎ 爲淵驅魚爲叢驅雀(위연구어위총구작)
爲:할 위, 淵:못 연, 驅:몰 구, 魚:물고기 어, 叢:모일 총, 雀:참새 작.
백성들이 탐관오리들을 증오하고 멀리한다는 듯으로, 잘못된 정치가 빚어내는 과오를
비유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맹자 이루장구 상편-
◎ 喟然歎息(위연탄식)
喟:한숨 쉴 위, 然:그러할 연, 歎:탄식할 탄, 息:숨쉴 식.
한숨을 쉬며 크게 탄식함.
◎ 爲五斗米折腰(위오두미절요)
하잘 것 없는 녹(祿) 때문에 비굴한 태도를 취하는 것, 오두미는 하잘 것 없는 녹,
박록(薄祿)으로, 현령(縣令)의 박한 녹봉을 일컬음. -진서-
◎ 圍魏求趙(위위구조)
圍:둘레 위, 魏:나라이름 위, 求:구할 구, 趙:나라 조.
위나라의 도읍지를 포위하는 방법으로 조나라를 구원한다는 뜻으로서, 제삼자가 상대의 허점을 공격해서 다른 사람을 구한다는 말이다. -사기 손자오기 열전-
◎ 違而道(위이도)
違:어길 위, 而:말이을 이, 道:길 도.
명령에는 어긋나도 도리(道理)에는 맞는다는 말. -범어상-
◎ 威而不猛(위이불맹)
威:위엄 위,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猛:사나울 맹.
위엄이 있으나 위압적은 아니다, 위엄은 있더라도 뽐내지를 않는다. 원래는 공자를 평한 말로, 군자의 이상적인 인품을 말한다. -논어-
◎ 謂人莫己若者亡(위인막기약자망)
謂:이를 위, 人:사람 인, 莫:없을 막, 己:자기 기, 若:같을 약, 者:사람 자, 亡:망할 망.
자,만(自慢)하는 자는 망한다는 뜻 -서경-
◎ 爲人謀而不忠乎(위인모이불충호)
남을 위하여 일을 꾀할 때, 이것이 진심에서 나온 것인가를 반성해 보는 것. -논어-
◎ 爲人謀忠(위인모충)
爲:할 위, 人:사람 인, 謀:꾀할 모, 忠:충성 충.
남을 위하여 정성껏 꾀하는 것.
◎ 爲人設官(위인설관)
爲:할 위, 人:사람 인, 設:베풀 설, 官:벼슬 관.
남을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하는 일.
◎ 爲人說項(위인설항)
爲:할 위, 人:사람 인, 說:말씀 설, 項:목덜미 항.
남을 칭찬하거나 남을 위해 부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당시기사 항사 조-
◎ 爲人作嫁(위인작가)
爲:할 위, 作:지을 작, 嫁;시집 갈 가.
남을 위해 바삐 서둘다. 다른 사람 밑에서 그럭저럭 살아가다, 공연히 남을 위해
고생하는 것을 말한다. -진도욱 시 빈녀-
◎ 爲子孫計(위자손계)
爲;할 위, 子:아들 자, 孫:손자 손, 計:셈할 계.
자손을 위하여 계획을 함, 또는 그 계획.
◎ 爲者如牛毛(위자여우모)
일을 하는 사람이 소털과 같이 많다는 뜻, 곧 사람의 수가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
-포박자-
◎ 爲者敗之(위자패지)
자연(自然)을 거역(拒逆)하여 私意(사의)를 끼우면 길패함을 이르는 말.
◎ 爲者侄對者叔(위질대자숙)
爲:할 위, 者:사람 자, 侄:어리석을 질, 對:대답할 대, 叔:아재비 숙.
일 저지른 사람은 조카인데 그 일에 책임을 지고 나서는 사람은 그 아재라는 말로서 사소한 남의 다툼에 뛰어들어 일을 저지름을 이름.
◎ 爲長者折枝(위장자절지)
爲:할 위, 長:긴 장, 者:사람 자, 折:꺾을 절, 枝:가지 지.
어른의 명령에 따라 나뭇가지를 꺾는 일이라는 뜻으로, 아주 쉬운 일의 비유. -맹자-
◎ 危在朝夕(위재조석)
危:위태할 위, 在:있을 재, 朝:아침 조, 夕:저녁 석.
몹시 위험하여 하루 동안을 지내기가 몹시 힘든 형편.
◎ 爲政在人(위정재인)
정치는 사람에게 있다. -중용-
◎ 圍之三匝(위지삼잡)
圍:둘레 위, 之:갈 지, 三:석 삼, 匝:두를 잡.
여러 겹으로 둘러 쌈.
◎ 威之脅之(위지협지)
각가지 방법으로 위협함.
◎ 蝟集(위집)
고슴도치의 털과 같이 많은 것이 한 곳에 모여든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한꺼번에 많이 모임의 비유(比喩).
◎ 爲楚非爲趙(위초비위조)
爲:할 위, 楚:나라이름 초, 非:아닐 비, 趙:나라 조.
겉으로는 이것을 위하는 체하면서 실상은 딴 일을 위함을 이르는 말,
속과 겉이 다름을 일컫는 말.
◎ 爲叢驅雀(위총구작)
爲:할 위, 叢:모일 총, 驅:몰 구, 雀;참새 작.
자기를 이롭게 하려다가 도리어 남을 이롭게 함을 이르는 말.
◎ 渭濁(위탁)
渭:강이름 위, 濁:흐릴 탁.
위(渭)는 중국 감숙성(甘肅省)에서 발원(發源)하여 황하(黃河)로 흐르는 강의 이름으로,
항상 탁하므로 이름. -조백계의 시-
◎ 韋編三絶(위편삼절)
韋:가죽 위, 編:엮을 편, 絶:끊을 절.
종이가 없던 옛날에는 대나무에 글자를 써서 책으로 만들어 사용(使用)했었는 데, 공자(孔子)가 책을 하도 많이 읽어서 그것을 엮어 놓은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단 데에서 비롯된 말로, 한 권의 책을 몇 십 번이나 되풀이 해서 읽음을 비유(比喩)하는 말로 쓰임.
-사기 공자세가-
◎ 爲表裏(위표리)
爲:할 위, 表;겉 표, 裏:속 리.
서로 돕고 서로 보완하는 것, 둘이 합해서 하나의 사물을 이루는 것, 또 하나의 사물에는 두 면이 겸해서 갖추어져 있다는 것. -한서-
◎ 韋弦之佩(위현지패)
결점을 고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 기질을 바꾸고 몸을 수양하는 경계로 삼는 것.
위는 무두질한 가죽, 곧 유연한 것의 비유, 현은 활시위, 곧 긴장한 것의 비유.
-한비자-
◎ 爲虎傅翼(위호부익)
범에게 날개를 달아준다는 뜻으로, 세력이 있는 사람에게 더욱 기세를 높여줌의 비유.
흉악한 사람에게 권세를 덧붙여준다는 말. -한비자-
◎ 爲虎作倀(위호작창)
爲:할 위, 虎:범 호, 作:지을 작, 倀:갈팡질팡할 창,
호랑이에 물려 죽은 사람이 귀신이 되어 호랑이를 도와 나쁜 짓을 한다는 뜻으로,
남의 앞잡이가 되어 나쁜 짓을 일삼는 사람이나 그런 행동을 비유하는 말.
-장자열 정자통에 나오는 전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