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번역하는사람들
 
 
 
 
 
카페 게시글
Q & A floating point 와 digit
때복 추천 0 조회 59 06.04.02 18:54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04.02 19:04

    첫댓글 그냥 뜻대로 옮기면 '소수점의 위치는 숫자에 대해 유동적이다. 따라서 일정한 갯수의 숫자를 가지고 광범위한 수를 나타낼 수 있다'로 되는군요. 예를 들면 3.141592, 31.41592, 314.1592.....어런 뜻 아닐까요?

  • 06.04.02 19:19

    자릿수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10의 2승 3승 뭐 이런식으로요. 3.141592X 10^1 = 31.41592 10^0 이런 개념 아닐가요? digit 자릿수, 숫자 등 다양하게 사용되기에 조금 혼란스럽습니다. 문장에 따라 확인하는 수밖에는...

  • 작성자 06.04.02 20:10

    고맙습니다. 어느 정도는 감이 잡힙니다^^

  • 06.04.03 02:19

    늦지 않았는지 모르겠네요. 참고하세요. 용어용례입니다. decimal number 10진수/ decimal point 소수점 / digit 수자, 자리수 / floating point 이동 소수점 / fixed number 정수 定數 / 정수 비교 :

  • 06.04.03 02:20

    cf) 진정수. integral number, 眞整數 [기초]. 수치적 개념에서 가정된 소수점의 왼편에 위치하는 정수. 예를 들면, 10진수의 2345.67은 4 개의 진정수 또는 정수 부분을 갖는다. [=> 정수와 혼동될 것 같아서 추가로 올립니다.]

  • 06.04.03 02:22

    numbers of ten digits 열자리 수

  • 06.04.03 04:51

    소수점의 위치는 자릿수에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특정 자릿수 수자는 실로 엄청난 수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a fixed number of digits 는 1은 한자릿수, 11은 두자릿수, 111은 세자릿수 이런 겁니다. 다섯자리수(a 5-digit number)를 예로 들면 10000부터 99999까지 사이에 엄청 많은 수들을 지니고 있지요

  • 06.04.03 04:56

    소수점의 위치는 자릿수에 따라 이동한다. ==> 자릿수는 소수점 위치로 결정된다. 123456.7 6자릿수, 12345.67 다섯자릿수, 1234.567 네자릿수... 그러니까 소숫점이 움직일 때 the number of digits가 변하는데 이 별것아닌 digit하나의 차이가 실제로 엄청난 군번 차이를 낳는다는 개념이 아닐까 슬쩍 끼어들봅니다.

  • 작성자 06.04.04 05:13

    고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