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산팔해도(九山八海圖) |
※출처:시개인도세계건립설소표지산해총수(是蓋印度世界建立說所表之山海總數
(2).구산팔해는 세계의 구조에 대한 인도 고대의 관념으로 불교에서도 채용된 설.
수미산을 중심으로 하고 철위산을 가장 바깥으로 하여 그 사이에 일곱 개의 금산(金山)과 여덟 개의 바다가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그 위치의 순서에 관해서는 문헌마다 차이가 있으나,『구사론』(대정장 29.P.57b)에 따르면 수미산의 바깥에 차례로 유건달나 · 이사다라 · 걸지락가 · 소달리사나 · 알습박걸나 · 비나달가 · 니민달라산이 있고,『유가사지론』(대정장30.p286c)에 따르면, 차례로 지쌍산(持雙山) · 비나탁가산(毘那矺迦山) · 마이산(馬耳山) · 선견산(善見山) · 걸달락가산(朅達洛迦山) · 지축산(持軸山) · 니민달라산(尼民達羅山) 등 이라고 하여그 순서가 다르다·
여덟개의 바다는 가각 산과 산 사이에 있다. 일곱 개의 금산의 마지막인 니민달라산(지지산) 바깥에 네 개의 대륙이 있는데, 동쪽에 비데하, 남쪽에 잠부, 서쪽에 고다니야, 북쪽에 쿠루가 그것이다.
수미산의 높이는 8만 유순으로 허리가 잘록한 모래시계 모양이고 수미산 중턱에 사천왕이 거주한다. 그 정상은 한 변이 8만 유순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33천이 거주한다. 일곱 외륜산(7산)의 높이는 수미산과 가장 가까이 있는 유건달나산이 수미산의 절반이고, 이사다라산은 다시 이것의 절반이다. 이렇게 수미산과 멀어질수록 그 높이는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참고문헌「구사론」,「유가사지론」
(3).8해(八海)에는 팔공덕수(八功德水)가 가득차 있다.
극락의 못 가운데와 수미산과 7산의 내해에 모두 팔공덕수가 가득하다는 것. 「무량수경上」에〔팔공덕수(八功德水)가 담연(湛然)히 가득차고 청정(淸淨)하고 향결(香潔)하여 맛이 감로(甘露)와 같았다〕하였고,「칭찬정토경(稱讚淨土經)」에 〔무엇을 팔공덕수라 하느냐 하면, ①징정(澄淨) ②청냉(淸冷) ③감미(甘美) ④경연(輕軟) ⑤윤택(潤澤) ⑥안화(安和) ⑦마실 때에 기갈(飢渴)등의 무량한 고충을 제(除)한다. ⑧마시면 이미 정해진 제근(諸根)을 장양(長養)하여 4대(四大)가 증익(增益)한다. 「구사론十一」에 묘고(妙高-수미산을 지칭)가 처음이 되고, 윤위(輪圍)가 최후가 된다. 중간에 8해가 있고, 앞의 7개(七個)의 명내(名內)와 7중에 모두 팔공덕수가 갖추어져 있다. ①감(甘-달고) ②냉(冷-시원하고) ③연(軟-부드럽고) ④경(輕-가볍고) ⑤청정(淸淨-맑고) ⑥불취(不臭-무취하고) ⑦음시불손후(飮時不損喉-마실 때 목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⑧음이불상복(飮已不傷腹-마신뒤에는 창자가 상(傷)하지 않는다〕하였음.
3).수미산 일세계 모습
수미세계의 모습을 나누어보면,
(1).공륜(空輪) - 이 세계 가장 밑에 있는 허공.
(2).삼륜(三輪) - 맨 아래에 풍륜, 풍륜 위에 수륜, 수륜위에 금륜, 금륜위에는 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3).수미산(須彌山) - 대지의 중앙에 수미산이 솟아 있고,
(4).7산8해(七山八海) - 그 주위에 7개의 외륜산(外輪山) (7산-쌍지산, 지축산, 첨복산, 선견산, 마이산, 장애산, 지지산)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일곱겹으로 둥글게 감싸고 있다. 일곱 외륜산(7산)의 높이는 수미산과 가장 가까이 있는 산이 수미산의 절반이고, 그 다음 산은 다시 이것의 절반이다. 이렇게 수미산과 멀어질수록 그 높이는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5).4주(四洲) - 가장 바깥에 있는 니민다라산(지지산) 주위를 둘러싼 바다의 4방(동서남북) 에 4개의 대륙(동승신주, 남섬부주, 서우화주, 북구로주)이 있어 사람들이 거주한다.
(6).철위산(鐵圍山) - 다시 이 4개의 대륙이 있는 바다를 하나의 산이 둥글게 감싸고 있는데, 이 마지막 외륜산을 철위산이라 한다.
(7).9산8해(九山八海) - 수미산을 중심으로 바깥으로 둘러싼 7산과 7산의 가장 바깥의 니민달라산(지지산) 바다의 4방의 4주를 둥글게 감싼 철위산과 산과 산 사이의 바다를 모두 합해 9산 8해라 한다. 또한 8해에는 8공덕수로 가득차 있다.
(8).해와달(日月) - 수미산과 일곱 개의 외륜산의 허리와 산정은 천계의 일부이다. 수미산은 허리 부분이 안으로 들어가 모래시계와 같은 모습인데, 해와 달은 그 잘록하게 들어간 허리 주위를 일주한다.
(9).사천왕(四天王) - 수미산의 허리 아래, 일곱 외륜산의 위. 수미산 중턱에 사천왕이 거주한다.
(10).33천(三十三千) - 수미산 정상은 한 변이 8만유순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33천이 거주한다. 중앙에 제석천왕이 거주하는 선견성이 있고, 그 성을 중심으로 4방(동서남북)에 각각 8왕을 거느리고 있다. 33천 = 제석천 +8왕×4방.
(11).제석천왕(帝釋天王) - 수미산 꼭대기에는 제석천왕이 거주한다.
(12).이보다 더 뛰어난 천은 더 높은 곳에 거주한다.
(13).남섬부주의 지하에는 온갖 지옥이 존재한다.
(14).이렇게 해와 달을 비롯한 인도(人道) · 천도(天道) 등 모든 것을 포함한 자연계의 한 단위를 수미세계라고 한다. ※참고문헌「무량수경」,「묘법연화경」,「화엄경」
제천보다 수승한 천은 더 높은 곳에 거주 | |||
수미산 정상 |
수미산 정상(도리천)에 제석천왕이 거주 |
제석천왕 (33천) (수미산 정상 선견성에 거주) | |
수미산 꼭대기에 33천 거주 |
선견성 주위로 4방에 각 8왕을 거느림 ↙ ↓ ↓ ↘ 8왕 8왕 8왕 8왕 (32천)+제석천 | ||
수미 허 리
위 |
수미산은 허리 부분이 잘록한 모래시계와 같은 모습, 해와 달은 그 잘록하게 들어간 허리주위를 일주한다고 함. |
▦△△▦▤▧△△△△△△▽▤▧△△▽▤▧△△△▽ △△▽⊂산⊃△△⊂산⊃▽▽▽▤⊂산⊃△△▽▤⊂산 ▦▤▧▤⊂산⊃△△▤▥▲△△△▧△△▤▧△△ ▲△△▽▲△▽▤⊂산⊃△▽△▽▲△△ ▲△△▽▤⊂산⊃▲△▽△▽△▽ ▦△△△△▽△▽▲△ | |
수미허리 |
△△△▽▤▥▩▲▦▤ ▽▤⊂산⊃▲△▽△▽△ 흑산․철위산 봉우리 위 |
△△△▲△△△▽ △⊂산⊃△ 月-달 △▦ 日-해 △⊂산⊃▽ | |
이 4주 바깥에 다시 철위산이 둘러싸고 있다. ○◦~⊂바다⊃○◦∘○◦∘~ △▤▥▩▲△⊂산⊃△ 7산 중 7번째 바깥 큰산 니민다라산 주위에 동승신주, 남섬부주, 서우화주, 북구로주 4주가 있어 사람이 산다. ○◦∘○◦∘~~⊂바다⊃○◦∘ ▦△⊂산⊃△▲ △▽▲△▽△▽▲△▽△ |
수미산 허리 아래, 7산위에, 수미산 중턱에 사천왕 거주 ▲△△▽▲△▽△▽ ▲△△▽▲△▽△▽▲△▽△▽ ▦△△▦▤△△▧△△△▽▤▥▩▲▦▤ 7산-쌍지산,지축산,첨목산,선견산,마이산,장애산,지지산 △△△▽⊂산⊃△⊂산⊃▽▽▤⊂산⊃△△△▽▦▤ ▦▤▧△△▤▲△△△▤▧△△△△▽△△△△▽▤▧△ 수미산 주변을 7산 8해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일곱겹으로 둥글게 감싸고 있다. ▦▤▧△△▤▥▩▲△△△▤▧△△△△▽△△△△▽ | ||
수 미산
허리
아래 | |||
대지 |
대지 중앙에 수미산이 솟아있고, 이 대지 위에 9산 8해(7산+수미산+철위산)가 있다. | ||
수륜 |
~~○◦∘○◦∘~~⊂바다⊃~~○◦∘○◦∘◦∘~~~○◦∘○◦∘○◦∘◦∘○∘○◦⊂물⊃~◦∘○◦∘○◦∘○◦∘◦∘○∘ 수미산 물 위로 드러난 것이 팔만유순 ~~~~○◦∘○◦∘~~~~○◦∘○~~~~~○◦∘○◦∘~~~~○◦∘○◦∘~~~ ○◦∘○◦∘~○◦∘○◦∘~~⊂바다⊃○◦∘○◦∘~ ⊂바다⊃~○◦∘○◦∘~~⊂바다⊃○◦∘○◦∘~ ~~~~○◦∘○◦∘~~~○◦∘○◦∘~~~~○◦∘○~~~~~○◦∘○◦∘~~○◦∘~~~~○◦∘○◦∘~ 수미산 물속에 잠긴 것이 팔만유순 ∘○◦∘○◦∘◦∘○◦∘◦∘○◦∘○◦∘◦∘○◦○◦∘○◦∘○◦∘○◦∘○◦∘◦∘○∘○◦∘◦∘○ ◦∘○~⊂물⊃~◦∘○◦~⊂물⊃~○◦∘○◦⊂물⊃○◦∘○◦∘⊂물⊃○◦∘∘∘○◦∘○◦∘◦∘○◦∘◦∘○◦∘○◦∘◦∘○◦○◦∘○◦∘○◦∘○◦∘○◦∘◦∘○∘○◦∘◦∘○○◦∘◦∘○◦○◦∘○◦∘○◦∘○◦∘○◦∘◦∘○∘○◦∘◦∘ | ||
3 륜 |
금륜 수륜 풍륜 |
맨 아래에 풍륜, 풍륜 위에 수륜, 수륜위에 금륜, 금륜위에는 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풍륜, 수륜, 금륜이 중첩되어져 있다. | |
허공 |
공 륜 |
풍륜 아래, 이 세계의 가장 밑에 있는 허공 |
4).수미세계 구성개념(構成槪念) 설명
1광년에 9조 4천만km를 가며, 수미산 까지는 25광년을 간다.
(1).공륜(空輪) -이 세계의 가장 밑에 있는 허공.
-풍륜 밑에 허공, 이것을 공륜이라 하니, 모두 합하여 4륜.
(2).삼륜(三輪) -풍륜(風輪), 수륜(水輪), 금륜(金輪)
이 세계의 맨 아래에 풍륜, 풍륜 위에 수륜, 수륜위에 금륜, 금륜위에 9산 8해가 있다.
⑴풍륜(風輪) -이 세계를 붙들어 받치고 있는 3륜의 맨 밑에 있는 륜.
-넓이(무수), 두께(16억 유순)
⑵수륜(水輪) -땅 밑에 있어 대지를 받치고 있는 물
-풍륜 위에 있으며, 깊이(11억2만 유순), 지름(12억3천450 유순)
둘레(36억1만3백5십 유순)이라 한다.
⑶금륜(金輪) -수륜 위에 있어 세계를 받들었다는 한 지층. 수륜이 엉기어 맺혀서 이룬 금의 윤위를 말한다.
-두께(3억2만 유순), 직경(12억3천450 유순), 둘레(36억1만350 유순)
-이 금륜 위에 수미산등, 9산 8해 4주를 실었다 한다.
(3).수미산(須彌山) - 대지의 중앙에 수미산이 솟아 있고, (앞 설명 참조).
(4).7산8해(七山八海)와 9산8해(九山八海) -수미산+7산+철위산, (앞 설명 참조).
(5).4주(四洲)
수미산(須彌山)에 주하는 사방함해(四方醎海)의 4대주(四大洲)이다.
⑴동승신주(東勝神洲) - 범어에 동비제가(東毘提訶)라 하며, 구역에는 동불파제(東弗婆提)라 하며, 신형(身形)이 승(勝)하므로, 승·신(勝·身)이라 함.
⑵서우화주(西牛貨洲) - 범어로 서구다니(西瞿陀尼)라 하며, 구역에는 서구야니(西瞿耶尼)라 함. 무역 우(貿易 牛)가 되므로, 우화(牛貨)라 함.
⑶남섬부주(南贍部洲) - 구역에는 남염부제(南閻浮提)라 하며, 혹은 임입(林立)으로 호(號-이름)하고 혹은 과립(菓立)으로 이름한 것.
⑷북구로주(北瞿盧洲) - 구역에는 북울단월(北鬱單越)이라 하며, 번역하여 승처(勝處)라 함. 4주 중에 국토가 최승하므로 승처라 함.
•수미사주(須彌四洲)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하고, 7산 8해가 있으며, 그 둘레에 또 대함해(大醎海)와 철위산(鐵圍山)이 있는데, 이는 대함해 가운데 있는 4대주는 네 개의 섬. 네 개의 대륙 ․ 전세계 사주 ․ 사천하 ․ 수미산의 사방바다 가운데 있는 대륙. 동승신주(동불바데), 남섬부주(염부제), 서우화주(서구야니), 북구로주(북울단월)라 함. 일월성신(해와 달)이 수미산의 중앙에 해당하는 허리 부분을 둘러싸고 사천하를 비춘다. 각 주마다 2개의 중주와 5백 개의 소주가 있고, 4대주와 8중주에는 모두 사람이 살고, 2000개의 소주에는 혹은 사람이 머물기도 하고, 머물지 않기도 한다.
⑴동승신주 -동불바뎨 ․ 동비뎨하 ․ 음역하여 불우바비뎨하 ․ 포리바비뎨하 ․ 포아간미디갈 ․ 수미산 동쪽으로 7금산(金山)과 철위산 사이 짠물바다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는 세계(부유하고 장수하며), 이 땅 사람들은 몸이 매우 훌륭하므로 승·신주(勝·身洲)라 한다. 땅 모양은 동쪽이 좁고, 서쪽이 넓어서 세로와 넓이가 9천 유순, 반달모양 수명은 250세 또는 500세, 키는 8주(肘:팔꿈치주) 동천하는 부유하고 장수하다.
①동쪽세계 - 동승신주(동불바뎨). 수미산의 동쪽에 있다.
*모양 -반달. 대지와 사람의 얼굴모양은 모두 반달과 같음.
*넓이 -9천 유순, 동쪽이 좁고 서쪽이 넓으며, 3변의 양이 같다. 한 변이 남섬부주 보다 조금 크다.
*수명 -250(500)세,
*사람신장 -8주, 이 땅 사람들은 신체적 조건이 뛰어나기 때문에, 몸이 매우 훌륭하므로 승신주라 함.
⑵서구화주 -또는, 서구다니 ․ 구가니 ․ 구다니야 ․ 과박니라 번역. 수미산의 서쪽에 있는 대주를 말하며, 그 곳의 풍속이 소와 양이 많아서 소를 시장에서 다른 물품들과 거래하는 것이 화폐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일컬음. 인간 수명은 5백세.
②서쪽세계 - 서구화니(서구야니) --인간세계. 수미산의 서쪽에 있다.
*모양 -둥글다. 대지와 사람의 얼굴 모양은 모두 둥글다.
*넓이 -한 변이 직경 20,000㎞이다.
*수명 -250(500)세
*화폐 -소(소를 무역하기 때문에 우화(牛貨)라 한다.)
⑶사바세계 남섬부주(염부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수명은 10세 정명에서 길게는 8만 4천세를 살고, 지금은 수명의 한계가 백세인 때이므로 석가모니불이 나타나신 것이 되며, 이 소겁이 끝나고 다시 수명이 8만 세에 이른다면, 그때 미륵불이 출현하시는 시기가 된다.
③남쪽세계 - 남섬부주(남염부제) --인간세계. 佛. 수미산의 남쪽에 있다.
*모양 -수레. 대지와 사람의 얼굴 모양은 모두 수레의 짐상자와 같다.
*넓이 -한 변이 16,000㎞이며, 북쪽이 넓고 좁으며 3변의 양이 같다.
*수명 -최대8만 4천세 최단은 10세(10세~300세)
*화폐 -지폐
⑷북구로주 -또는, 울다라구루 ․ 울달라구로 ․ 욱다라구류 ․ 울단월이라 음역.
북승처 ․ 북승생 ․ 북고상이라 번역. 수미산의 북방 제 칠금산과 대철위산 사이에 큰 바다가 있고, 바다 가운데 있는 인취(지옥, 아귀, 축생, 인간, 천상)등이 사는 곳. 모양은 방좌와 같고, 지반은 다른 3주 보다 높으며, 사람의 키는 32주(肘), 목숨은 1000세, 중간에 죽지 않으며, 쾌락이 끝이 없어 4주 중에서 중생 ․ 처소 ․ 재물 ․물품들이 제일 수승하다고 한다.
④북쪽세계 -북구로주(북울단월) --인간세계. 佛이 출현하지 않는 세계. 수미산의 북쪽에 있다.
*모양 -정방형. 대지와 사람의 얼굴 모양은 모두 정사각형으로 방좌와 같음.
*넓이 -한 변이 16,000㎞이다. 지반은 다른 주 보다 높다.
*수명 -1000세.
*사람신장 -32주(肘:팔꿈치주)
*구로(瞿盧)의 한역어는 승처(勝處)인데, 4주 가운데 가장 뛰어난 곳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혹은 승생(勝生)이라고 도 불리는데, 이는 수명이 4주 가운데 가장 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일찍 죽지 않고, 쾌락이 끝이 없으며, 4주 중에서 중생, 처소, 재물, 물품들이 모두 수승하다고 한다.
즐거움이 많고 고통이 적어 부처님께서 세간에 출현하시지 않기 때문에 팔난(八難處)의 하나가 되기도 한다.
•『장아함경』 권20「세기경世記經」(대정장1,p135b23)에 따르면 4주 각각에는 독자적으로 뛰어난 일이 3가지가 있다.
⑴동승신주
-첫째 : 토지가 아주 넓은 것.
-둘째 : 토지가 아주 큰 것.
-셋째 : 토지가 미묘한 것.
⑵서우화주
-첫째 : 소가 많은 것.
-둘째 : 양이 많은 것.
-셋째 : 주옥이 많은 것.
⑶남섬부주
-첫째 :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업행(業行)을 짓는 것.
-둘째 :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능히 범행(梵行)을 닦는 것.
-셋째 : 용맹스럽고 기억력이 강해 부처님께서 그곳에 출현하시는 것.
⑷북구로주
-첫째 : 얽메이는 곳이 없는 것.
-둘째 : 나의 소유라는 것이 없는 것.
-셋째 : 천세(千歲) 까지 살도록 정해져 있는 것. 『구사론』,『장아함경』,『구사론기』권8(대41, p148b24).
(6).사천왕(四天王) -4대천왕(四大天王) ·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함.
⑴사천왕(四天王)은 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다.
수미산(須彌山) 중복(中腹)에 있는 사천왕의 주(主). 제석천왕(帝釋天王)을 섬기며, 불법수호(佛法守護)를 염원(念願)으로 하고,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 지국천(持國天)은 동방(東方), 증장천(增長天)은 서방(西方), 광목천(廣目天)은 남방(南方), 다문천(多聞天-毘沙門天)은 북방(北方)을 수호한다. 육욕천(六欲天)의 제 2에 위치함. 『무량수경(無量壽經)·유부율파승사(有部律破僧事)』
•수미산 중턱에 위치한 유건다라(由健陀羅)라는 산의 사방에 머무는 제석천의 외신(外臣). 유건다라산 정상 네(四)부분에 각각 머물며, 하나의 세계를 맡아서 수호하기 때문에 호세사천왕이라 부른다. 그들이 머무는 장소를 사왕천(四王天)이라 하는데, 육욕천의 첫 번째 천계이다. 동방의 지국천, 서방의 증장천, 남방의 광목천, 북방의 다문천 등 네(四)천계에 머물며, 세간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하는 선신(善神)이다.
『잡아함경』권25(대정장2. p177b26)에 〔그때 부처님께서 천제석과 사대천왕에게 이르셨다. ‘여래는 오래되지 않아 무여열반에 들어갈 것이다. 내가 열반에 들어간 다음 너희들은 정법을 지켜야 한다.’ 그때 부처님께서 또한 동방의 지국천왕에게 ‘너는 동방에서 정법을 지켜야 한다.’라고 하시고, 다음으로 남방, 서방, 북방의 천왕에게 각각 이르셨다〕『일자불정륜왕경』권4(대정장19,p.249a22)등에 따르면, 밀교에서는 만다라 사문(四門) 또는 사우(四隅)에 늘어서 있고, 태장현도만다라(胎藏現圖曼茶羅)에는 외원(外院) 사방의 문 곁에 머문다. 사천왕을 본존으로 삼아 식재(息災)를 위하여 닦는 법을 사천왕법(四天王法)이라 한다.
『금광명최승왕경』권6《四天王護國品》(대정장16.p.427b17)에〔그때 부처님께서 사천왕이 『금광명경』을 공경하고 공양하며, 경을 지니고 있는 모든 사람을 감싸서 보호한다는 소리를 듣고서 칭찬하며 말씀하셨다. ‘착하다 착해! 너히들 사천왕은 이미 과거세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백천만억 부처님의 처소에서 공경하고 공양하며 존중하고 찬탄하며 온갖 선근을 심고 정법을 수행하며 항상 정법을 설하여 법으로써 세상을 교화했다. 너희들은 장구한 무명의 밤에 항상 모든 중생에게 이익이 될 일을 생각하며, 대비심을 일으켜 그들을 안락하게 해주기를 소원했다. 이러한 인연 때문에 너희들이 현생에 수승한 과보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법화현찬』권6(대정장34.p.768b28) 등에는 사천왕의 신량(身量)이 1구로사(拘盧舍) 4분의 1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雜阿含經』,『一字佛頂輪王經』,『金光明最勝王經』,『法華玄贊』,『阿育王傳』권6(대정장50,p.112b10),『阿育王傳』(대정장50,p.150a19).
⑵사천왕은 불법을 지키는 수호천왕(守護天王)이다.
•방위별 수호천왕
동쪽 - 지국천왕(비파)
서쪽 - 광목천왕(여의주)
남쪽 - 증장천왕(칼)
북쪽 - 다문천왕(탑)
방위 |
사천왕 |
물 건 |
보좌신 |
계 절 |
감 정 |
부처님이 앉아계신 자리를 기준으로 |
동쪽 |
지국천왕 |
비파 |
건달바, 부단나 |
봄(春) |
기쁨 |
우右, 상上 |
서쪽 |
광목천왕 |
용․여의주 |
용, 비사사 |
가을(秋) |
노여움 |
좌左, 하下 |
남쪽 |
증장천왕 |
칼 |
구반다, 폐려다 |
여름(夏) |
사랑 |
우右, 하下 |
북쪽 |
다문천왕 |
탑․깃대 |
야챠, 나찰 |
겨울(冬) |
즐거움 |
좌左, 상上 |
⑶사천왕궁(四天王宮)은 제석천을 외호하는 장군인 사천왕의 궁전.
『장아함경』권20「世記經」(대정장1,p.130b28)에 〔사천왕의 모든 궁전은 가로세로로 40유순의 규모로서 궁전의 담장은 일곱겹이니, 일곱겹의 울타리와 일곱겹의 그물과 일곱겹으로 늘어선 나무가 전체를 빙 둘러 서로 번갈아가며 꾸민 장식이 칠보로써 이루어져 있고, 무수히 많은 갖가지 새들이 서로 어울려 지저귄다〕※참고문헌 『長阿含經』,『妙法蓮華經』, 『佛所行讚』권4(대정장4,p.36b29).
(7).33천(三十三千)과 제석천왕(帝釋天王)
⑴33천(三十三千)
욕계육천(欲界六天)의 제2인 도리천(忉利天)을 말함. 이 도리천은 수미산 꼭대기에 있는데, 중앙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동서남북)에 각각 8대천왕이 있기 때문에 합하면 33천이 된다. 『불지경륜五』에〔33천은 이 산정사면(山頂四面)에 각각 8대천왕이 있고, 제석이 그 중앙에 거(居)하기 때문에 이 수자(數字)가 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음. 『지도론九』에〔수미산의 높이는 8만 4천 유순인데, 맨 위에 33천의 성이 있다〕라고 하였음. 『승만경寶窟下末』에 〔여기서 33천이라고 말한 것은 인도 음(音)의 실달리여(悉怛梨余) 실위륙(悉衛陸)을 말함인데, 이 가운데 오직 실달리여 2자를 취하여, 도리천(忉利天)이라고 한 것이다. 달리(怛梨)·도리(忉梨)는 그 나라와는 음(音)이 같지 않다〕라고 하였음.
또다른 자료를 살펴보면, 육욕천 중 두 번째 하늘. 도리천이라고도 한다. 수미산 꼭대기에 자리 잡고 있는데 사면이 각각 8만 유순이고 산꼭대기의 네 모퉁이에 각각 5백 유순 높이의 봉우리가 하나씩 있고, 금강수야차신에게 보호를 받는다. 중앙의 궁전인 선견성에는 제석천왕이 살며 그 성 밖 주위에 여러 하늘의 대중이 노니는 네 개의 동산이 있다. 성 사방에 각각 배치된 여덟 개의 성과 중앙의 성 하나를 합하여 모두 33천성이 된다. 인도에서는 33천과 염마천(焰摩天)에 대한 신앙이 베다시대에 이미 성행하고 있었다. ※참고문헌『장아함경』권5「도니사경」(대정장1,p.36a18),『중아함경』권59「일절지경」(대정장1,p.795a10),『법화경』권4(대정장9,p.32b23),『불지경론』권5(대정장26,p.316b23), 『대비바사론』권4(대정장27,p19a19).
⑵제석천왕(帝釋天王)
도리천(忉利天)의 주인, 수미산 정상 중앙의 선경선(善見城)에 거주하며, 다른 32천을 통령(統領)한다. (忉利天은 번역하면 三十三千)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 간략하여 석제환인(釋提桓因)이라 하며, 신역(新譯)한 범명(梵名)은 석가제바인달라(釋迦提婆因達羅)라 한다. 석가(釋迦)는 번역하여 능(能)이라 하며, 천제(天帝)의 성(姓)이고, 제환(提桓)이란 천(天)이며, 인달라(因達羅)란 제(帝)다. 곧 능천제(能天帝)라 하며, 지금은 범어를 반대로 전(轉)하며, 제석(帝釋)이라 함. 태장계만다라석가원(胎藏界曼茶羅 釋迦院)의 일중(一衆)이다.
『대일경一』에〔초방(初方) 석천왕(釋天王)이 묘고산(妙高山-수미산의 다른 이름)에 안주(安住)하여 보관(寶冠)을 쓰고 영락(瓔珞)을 달며, 발절라인(拔折羅印)을 지녔다며, 다른 모든 권속으로 지혜로운 자를 分布하였다〕하였고, 同疏五에〔동방 五頂의 南에 因達羅釋天의 주인을 그렸는데 수미산에 앉아 천중(天衆)이 에워쌌으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몸에는 갖가지 영락을 달았으며, 발절라(拔折羅)와 모든 다른 권속이 있다. 사지부인(舍脂夫人)과 육욕천 등은 도중(圖中)에 보인 곳과 같다〕하였으며,
『법화의소二』〔석제환인이란 외국어로 구족(具足)하게는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라 해야 한다. 석가(釋迦)는 (能)능이 되며, 제환(提桓)은 천(天)이 되고, 인달라(因達羅)는 주(主)가 되는데, 그가 선법당(善法堂)에서 치화(治化)하여 회천심(會天心)이라하므로 능천주(能天主)가 된다〕하였고,
『법화현찬二』에 〔범어로는 석가제바인달라(釋迦提婆因達羅)라 한다. 釋迦는 姓이며, 번역하면 能이 되며, 提婆는 天이며, 因達羅는 帝로 곧 天帝다. 釋提桓因을 天帝釋이라 함은 모두 잘 못 전도된 것이다. 묘고산정에 거주하여 삼십삼천의 주인이 된다. 과거에는 글자를 교시가(憍尸迦)라 했는데, 번역하여 새아(璽兒)며, 이름은 아마갈타(阿摩揭陀)로 번역하여 이해 곧 마갈타국(摩揭陀國)은 과거에 제석이 因을 닦던 곳을 사용하여 국명을 삼았다〕하였다.
⑶제석궁(帝釋宮)-제석천의 궁전은 선견성 안에 있는데, 수승전(殊勝殿)이라 함.
『구사론十二』에 〔산정 가운데 궁이 있는데 선견이라 하며, 면은 이천유순나 반이고 둘레는 만유선나(萬踰繕那)다. 금성의 높이는 만유선나 반쯤이며, 그 땅은 평탄하고 또한 진금으로 되었으며, 함께 백일의 잡보(雜寶)를 사용하여 장엄하게 수식하였으며, 땅의 감촉은 유연함이 투라면(妬羅綿)과 같아 밟을 때에는 발을 따라 높아졌다가 낮아졌다가 한다. 이 천제석의 都色한 大城의 중간에 수승전이 있는데, 갖가지 묘한 보배로 장엄이 구족하여 다른 천궁을 덮어버리므로 수승이라 한다. 면적은 250유선나이며, 주위는 1000유선나다〕하였음. 인도의 속가에서는 무지개를 석제궁이라 한다. 『대일경소十三』에〔사방에서 무지개를 석제궁이라 하는데, 그 광채(光彩) 또한 그러하다〕하였음.
(8).전륜성왕(轉輪聖王) -전륜왕(轉輪王) · 륜왕(輪王)이라 함.
작가라벌갈나도(斫迦羅伐曷羅闍) 또는 작가월나(斫迦越羅)라 하며, 번역하여 전륜성제(轉輪聖帝) · 전륜왕 · 륜왕이라고도 함. 이왕은 몸에 32상 80종호를 갖추었고 칠(七)보의 보물을 가지고 있다. 세계를 지배하는 제왕. 윤왕이라고도 한다. 또 날라다니므로 비행황제라 한다. 무력을 사용하지 단 정의만에 의해 전세계를 통치하는 이상적인 제왕.
증겁(增劫)에는 사람의 수명이 한량없는 나이로부터 팔만세 이상이 되면 세상에 출현하고, 감겁(減劫)에는 사람의 수명이 한량없는 나이로부터 팔만세에 이를 때에 세상에 출현함. 그 윤보는 금(金) · 은(銀) · 동(銅) · 철(鐵)의 4종이 있으면, 그 차제로 四 · 三 · 二 · 一의 대주를 거느리는데, 즉, 金輪王은 4주를 다스리고, 銀輪王은 東·西·南의3주를 다스리고, 銅輪王은 東·南의 2주를 다스리고, 鐵輪王은 南(南贍部洲)의 1주를 다스림.
•사(四)전륜성왕
①금전륜성왕 :수명 8만4천세 때, 동·서·남·북 4주를 관장(통치)하심.
②은전륜성왕 :수명 6만세 때, 동·서·남의 3주를 관장(통치)하심.
③동전륜성왕 :수명 4만세 때, 동·남의 2주를 관장하심.
④철전륜성왕 :수명 2만세 때, 남섬부주의 1주를 관장하심.
『구사론十二』에〔이洲에 사람의 수명이 무량세로부터 팔만세에 이르면 전륜성왕이 태어나며, 팔만으로 감할 때에는 유정(有情)이 부락(富樂)하고, 수량(壽量)이 손감(損減)하면, 많은 악이 점점 성하여, 대인(大人)의 그릇이 아니기 때문에 륜왕이 없음. 이 왕은 輪을 돌리면서 인도하면 위엄이 일체를 조복시키므로 전륜왕이라 함.〕『智度論四』에〔전륜왕이 32상이 있듯이 보살도 또한 32상이 있다는데, 어떻게 차별합니까? 대답하기를 보살의 상은 칠사(七事)가 있어서 전륜성왕보다 승(勝)하다.〕
5).동방 보정세계(東方寶淨世界)에는 다보여래(多寶如來)가 계신다.
동방의 보정세계에는 다보여래가 계신다. 묘법연화경을 설하면 오셔서 묘법연화경 설하신 곳에 계심.
(1). 동방 보정세계(東方寶淨世界)의 다보세계(多寶世界)
동방에 있는 헤아릴 수 없는 많은 부처님 세계 중, 가장 끝에 있는 세계로, 보적불(寶積佛)이 이곳에 머물면서 여러 보살들을 위하여 반야바라밀다를 설하고 있다.『대지도론』권9(대정장25.p.124a11)에〔이 때 동방으로 갠지스강의 모래만큼 많은 여러 부처님의 세계를 지나면 그 세계의 가장 끝에 있는 세계를 다보라고 하며, 부처님의 명호는 보적이다. 지금 현재 모든 보살들을 위하여 반야바라밀다를 설하고 계신다〕,〔묻는다. 세계의 이름을 다보라 하였는데, 보배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재보(財寶)와 법보(法寶)이다. 어떤 보배가 많아서 다보라 하였는가? 대답한다. 두 가지 보배가 모두 있다. 또 많은 보살들이 법성(法性) 등의 여러 보배를 비춤이 많기 때문에 다보라고 한다〕
(2).다보증명(多寶證明)의 다보여래(多寶如來)·다보불(多寶佛)·다보세존(多寶世尊).
동방 보정세계(東方寶淨世界)의 교주(敎主)이다. 본원력(본원력)으로 말미암아 입멸 후에 전신사리가 되어 여러 부처님께서 『묘법연화경』을 설하실 때마다 반드시 땅에서 솟아나와 여러 부처님 앞에서 다보탑(多寶塔)을 드러내어 이 경전이 진실된 것임을 중명한다.『묘법연화경』권4《견보탑품》(대정장9, p.32b16)에 〔이 때 부처님 앞에 칠보탑이 나타났는데, 높이가 5백 유순이요 넓이는 2백5십 유순이나 되었다. 땅 밑에서부터 솟아올라 허공중에 장엄하게 머물러 있었다〕
***地涌千界 :地涌天界菩薩의 약자. 땅에서 용출한 천세계의 미진수 만큼의 보살이란 뜻. 『묘법연화경』《신력품》에 나오는 말. 『묘법연화경』《용출품》에서 구원한 진실의 불제자로서 말세에 나오는 말. 『묘법연화경』을 홍포하기 위하여 불러 낸 보살을 총칭하여 말함. 『묘법연화경』《용출품》에서 본문의 법화를 설하려고 할 때, 대지하에서 용출한 보살들을 말함. 본화의 보살이라 함.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으로 이 보배탑이 땅에서 솟아 올랐으며, 또 그 속에서 이런 음성이 나오는 것입니까? 이 때 부처님이 대요설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배탑 속에는 여래의 전신이 계신다. 지나간 옛적에 동방으로 한량없는 천만억 아승지 세계 밖에 나라가 있었으니 이름이 보정이요, 그 나라에 부처님이 계셨으니 이름이 다보여래였다. 그 부처님이 보살의 도를 행하실 적에 큰 서원 세우기를 내가 열반에 든 뒤에 시방의 세계 중에 『묘법연화경』을 설하는 데가 있으면 나의 탑이 그 경전을 듣기 위하여 그 앞에 솟아올라서 중명하면서 거룩하여라 하고 찬탄하리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부처님이 성불하셨다가 열반하시려는 때에 천상 인간의 대중 가운데서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시었다. ‘내가 열반한 뒤에 나의 전신에 공양하려거든 큰 탑 하나를 세우라’. 그 부처님의 신통과 원력으로 시방세계의 간 곳마다『묘법연화경』을 설하는 이가 있으면 그 부처님의 보배탑이 그 앞에 솟아올라 그 탑속에 전신이 계시어서 거룩하여라 하고 찬탄한다. 대요설이여 지금 다보여래의 탑이『묘법연화경』을 설하는 것을 들으시려고 땅에서 솟아 올라와서 거룩하시어라하고 찬탄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에 근거하여 성립된 불교의 대표적인 건축물이 다보탑이다.
(3).다보탑(多寶塔) -다보여래탑(多寶如來塔)·다보불탑(多寶佛塔) 등이라고도 한다.
다보여래가 성불하여 열반에 든 후 그 전신사리를 모신 탑. 『묘법연화경』권4《견보탑품》(대정장9, p.33a8)에〔선남자여 나는 지금 마땅히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갈 것이며, 아울러 다보여래의 탑에도 공양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4).이불병좌(二佛竝坐) -다보탑을 열려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계셔야 탑이 열림.
『묘법연화경』《견보탑품》에 다보여래가 앉은 보탑이 지중(地中)에서 출현하여 공중(空中)에 서고, 석존은 지상에서 공중의 보탑으로 자리를 옮겨 다보여래와 나란히 앉는 것.
⑴다보여래 부처님 -동방 보정세계의 교주이시다.
-법계정인(참선모습)
-부처님의 사리가 증장하여 8석 4말이 나왔다.
⑵아미타불 부처님 -타방(서방)세계에 계심
-좌우보처보살(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⑶석가모니 부처님 -현재 사바세계의 교주이시다.
-좌우보처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⑷미륵불 -미래의 56억 7천만년 후에 오시는 부처님
-현재는 미륵보살이다.
(5).마음은 불생불멸하다
이 세상은 변해도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 마음 밖에 있는 것은 다 허상이다.
불교의_세계관에_관한_논문-3.수미세계와_수미산_일세계.hwp
|
첫댓글 파일로 자료를 보시면,
덜~ 불편할 것입니다.
한글 파일입니다.
보현보살의 자비는 어떤것이고,,,
문수보살의 지혜는어떤건데요??
말로만 자비 ..지혜 이러면서 돌아 댕기면 되나요??
읔..... 탐사선님... 이시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좋은 자료....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탐사선님 이사하시고... 머하셨데요???
머...궁금한건 아이고......
혹시나... 한소식??????ㅋㅋㅋㅋ _()_
편케 포장이사해서 짐을 다 풀었는데,,,
아이들이 집에 안 들어오고 자꾸~
만화박물관 도서관으로만 다녀,,,
그래서여~
다시 방을 바꿔 큰방주고 집안 살림을 배치하느라,,,
일주일을 소모하고여,,,
팔이 삐긋,,, 어깨가 결려,,, 손목이 아려,,,,
마니 아파여~~~ㅋ
2주 만에 모든게 다 정리가 되니,,,
홀가분한 마음으로
수미라인 처럼 허리라인 살리는
이쁜 치마입고 ceo강의 듣고 왔는데,,,
담날 부터 허리가 아려와,,,
엉거주춤 잠바입고,,,
허리안대차고 허리잡고 구부정 다닙니다여~~~~ㅋㅋㅋㅋㅋ
에~~~구야 ,,,,
ㅋㅋㅋㅋㅋ 짝짝짝..ㅋㅋㅋㅋ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
∼ (
〉…
ceo강의? ㅎ 이삿집도 제대로 배치 못하는 아이디어로..ceo가 짜지겠능교?
그런데~!! 이 내용만 자꾸 올리면 뒷내용은 없능교??
윗글이 뭐 그리 대단히 중요한 것인가요?? 자꾸 저것만 따져서 뭐할라꼬요??
수미산만 뺑뺑돌면서 ..마실 구경이나 시키싸코~~
수미산 꼭대기 밟은 소식은 언제 전할랑교??
탐사님도 그 소식 기다린다잖아요~!!쩌~~업!!
삼천대천세계의 구성 세포가 하나의 수미세계잉기라여~
그래~~~ 수미세계는 중요한 기라여~
자꾸 수미세계 마실구경을 시키여~
수미세계를 완전히 이해시키야~
담 공부가 편합니더~!!!@@@
어차피 수행력이 딸려 주인공이 수미세계 댕겨오지 못하믄~
문자라도 파악해서 성립세계를 이해하고,,,,
불교의 체계적 세계관을 통달해야됩니더~~ㅎ
그리해야 맨 앞의 부처님의 출현하여 통치하신 연호인 겁과
중겁, 감겁의 이해와 에너지가 충만해지는 중겁시 수명의 길어짐과 복된 삶,,,,
에너지가 빠지는 감겁시 수명이 짦아짐과 박복하고 재난이 많아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쩌~~업!!
그럼 편한대로 사소~~!!_()_
수미허리를 감던지~~ 수미 산 아래 마실만 돌아 다니던지~~
눈뜨면 늘 마실 다니면서..또 수미 허리 약도 그리고 있으면..진짜 마실은 언제 다일랑교??
알아서 허소~~!!
이런 불교의 통찰된 세계관이 바로 수미허리에 있답니다.
사람의 기운도 우주와 같겠지여~
틀렸구마~~!!
아님,,,,,
뭔대여~???
ㅎ 안 갈쳐 줄랑구마~~ 내가 글 갈칠라꼬~~?
토정님은 '승'의 수행인 선수행을 이론으로 갈친다잖아여~~~ㅋㅋㅋ
이런 분도 있답니다.
미혹된 맘이 커서 아직 교육비 안냈답니다.~~~ㅋㅋㅋ
교육비 납부하라꼬 자꾸~ 문자와도여~
쫌 더 생각해볼려구여~~~ㅋㅋㅋ
국맛을 보는 사람이 국맛을 알지,,,,
도구인 국자나, 숟가락이 국맛을 알까???~~~ㅎ
국자는국맛을 알라꼬 신경도 안쓰능기라요~!!
국자에게 자꾸 강요하지 마소~~~국맛보라고 국자에게 자꾸 강요허면요~~
국자가 국그릇에 안들어갈라능구마~~문자가 국자 잉기라요~~!!
]=~~~ㅎㅎㅎ~~
국자도 들어가기 싫것지여~~~ㅋㅋㅋ
)
= @ )
)
(
· ∼ )
(
@
>= @ ㅑ
@
~!~
ㅋㅋㅋㅋㅋ 두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