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2024. 8. 6.- 8. 7.
2. 포레스트 리솜
*위치; 충북 제천시 백운면.
* 승용차 이용.
ㅇ1 일차; 덕동계곡과 덕동 생태숲 탐방.
ㅇ2 일차;
*포레스트 리솜 에코 트레킹 3코스(마루길; 1.81km) 답사.
*옛 박달재.
*수푸리모 골드빈(카페) 제천시 봉양읍 명암로 898.(피재 부근)
* 용두산 산림욕장.
* 의림지 한방치유 숲길.
*비룡담 저수지 일원.(데크길 걷기)
*솔밭 공원.
*의림지 일원.
ㅇ3일차;
*탄금대 탐방.
*충주시 중앙탑 사적공원 순례.
*신륵사(여주시) 순방.
3. 진행경과
ㅇCodvid-19 위세가 잦아 들어 4년여만에 전 가족의 휴가 여행길에 나섰습니다.
ㅇ매년 여름 가족들이 때를 맞추어 함께 했던 시간을 코로나의 훼방으로 미루어진 시간이
너무도 길었습니다.
ㅇ그 시간 동안 변화가 너무 많았고, 더군다나 신체적으로는 외부 활동에 부담을 느끼게
된 세대로서는 자연스럽게 근 거리의 정적인 장소를 찾게 됩니다.
4. Forest Resom
1)위치;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금봉로 365.
대 자연에 둘러 싸인 프라이빗 산장형과 콘도미니엄 시설을 함께 갗춘 리조트로
울창한 원시림의 아름다운 사계를 즐길수 있는 포레스트 리솜은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개발된 친환경 리조트라고 합니다.
2)자연 지형과 식생을 그대로 보존하고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 자연과 인간이 함께 휴식을 누릴수
있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단지내에서는 전깃줄과 자동차를 볼수 없으며 친환경 에너지 이용및 재활용품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포레스트 리솜에서는 사계절 아름다운 야생화 다람쥐 청솔모를 만날수 있습니다.
3)구학산(982.9m), 주론산(903m)에 아늑하게 안겨 있는 분지형 구조의 포레스트 리솜은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명당입니다.
숲에서 뿜어져 나오는 음이온과 피돈치드는 지친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합니다.
4)에코 리조트; 자연과 살아 있는 교감을 통해 건강한 삶의 방식을 배우고 누릴수 있는곳.
스파 리조트; 해발 500m 숲속의 노천 스파를 즐길수 있는곳.
멤버십 리조트; 차별화와 쉼의 가치를 경험하고 프리미엄을 느낄수 있는곳.
*덕동생태숲
1)위치;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덕동리 435.
2)백운산 일대에 다양하게 분포된 산림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여 산림 생태계의 안정과
다양성을 증진하기위해 2003년 부터2008년까지 6년에 걸쳐 조성하였습니다.
생태숲이란 산림생태계가 안정되어 있거나 산림 생물다양성이 높아 특별히 현지 내 보전 관리가
필요한 숲을 말합니다.
3)주요시설
ㅇ덕동전시관
1층 숲속도서실
2층 트릭아트 포토죤
목공예 전시실
영상체험관
야외 포토죤(쌈지정원)
산촌집
숲속 쉼터
숲속 놀이터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중앙탑, 통일신리 시대, 국보 6호)
1)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2)칠층석탑은 지리적으로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 한다고 하여 중앙탑이라고도 불립니다.
처음부터 이 자리에 세워져 옛 기와와 8각 연꽃무늬 밭침돌이 님아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대가람터로 보이나 관련 기록은 없습니다.
3)탑 높이; 12.9m. 당시 석탑으로 가장 높고 큰 탑입니다.
구조 2층 기단위에 7층 탑신 그 위에 상륜부를 구성한 일반적인 모양입니다.
4)전체 짜임과 각부분의 조성양식으로 보아 석탑의 건조 연대는 8세기 후반- 9세기 초로 추정됩니다.
5)전해 오는 이야기;
하나. 나라의 중앙을 표시 하기위해 탑을 세웠다는 것.
이곳에 임시 탑을 세우고 건장한 사람을 영토의 남과 북 끝에서 여러차례 동시에 출발 시켰는데
그때마다 이곳 탑평리에서 만나게 되어 이곳이 중앙임을 확인하여 탑을 세웠다는것으로, 그래서
칠층석탑 보다 중앙탑으로 많이 불리고 있다고 합니다.
둘. 통일신라시대 옛 중원경이었던 이 충주지역에 왕기가 발흥하고 있어 이를 누르기 위한 건립이라
는 설.
셋. 신라시대 명필 김생이 절을 짓고 서적을 보관하기 위해 건립 하였다는 설.
이는 금가면 반송에 김생 사지가 밝혀져 중앙탑과 김생 전설은 무관한 함이 밝혀 졌습니다.
*탄금대
5. 풍광사진
<1일차>
1)포레스트 리솜 리조트
▲포레스트 리솜 리조트 입구분수
▲콘도 프론트의 조각품
▲이상, 야외 스파; 2층 프론트 휴게실에서 줌인
▲소형 옥상 화단
2)덕동 생태숲 풍광
▲덕동생태숲 전시관및 관리 사무소
▲이상, 덕동생태 숲길과 데크 쉼터
▲생태숲 지계곡의 출렁다리
▲숲속 다목적 쉼터
▲건너편 산록의 초록빛 수해
▲원덕동 원서천 상류계곡
<2일차>
1)느루길 5동 3호-마루길 32호구간의 풍광
▲리조트의 우리 가족 아지트 느루길 5동 3호.
▲일제 강점기 송진 채취 흔적;주론산 박달재 부근 피해목 지역이 전국 40여곳 중 피해목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라고 함.
▲산책로 옆의 달팽이 조각품
▲ 만개한 수국
▲ 별장형 리조트 제일 위쪽 까지 이런 터널길이 두곳 있었다; 전동 카트가 수시로 운행된다
▲넓은 광장도........
▲오늘 걸어서 올라온 길
2)리조트 에코 트레킹 3코스 산책로; 박달이 길
▲둘레길 3코스중 박달이 코스 난이도가 가장 높다; 오늘 걸어보니 경사길에 로프가 설치된 구간이 오르 내리는 길 모두 조금 있었다. 코스 시점 해발 650m.
▲감자바위
▲로프 지대
▲명상원
▲숲길의 사슴 조각 상들
▲이상, 둘레길 출구 부근 숲길 모습
3)옛 박달재-용두산 산림 욕장 구간의 풍광
▲옛 구도로의 박달재; "울고 넘던 우리님"은 어디로 가고...............
▲카페; 시원하고 분위가 밝은 카페 "수프리모 골드빈"(피재 부근 고갯마루에 위치)
▲비룡담 저수지 데크 둘레길
▲용두산 산림욕장; 앞의 수국이 ........
4)비룡담 저수지-솔밭 공원 구간의 풍광
▲포토죤; 호수 건너 마법의 성을 배경으로 한 컷,
호수 수위가 너무 낮아 져 경치가 반감 ..........
▲호수 건너 편의 까치산
▲이상, 한방치유 솔밭공원(맨발로 걷는 분들이 많이 보였다)
5)의림지 풍경
▲의림지 표석
▲분수가 시원하게 맞아주고............
▲홍류정
▲홍류정에서 의림지 조망
▲용추폭포와 홍류정
▲의림지의 오리보트
▲이상, 의림지 뒤로 멀리 용두산과 그 연릉
▲소나무 가지 아래 잔잔하고 평화로운 의림지.
▲3색 동굴 폭포와 3단 분수
▲의림지 순주섬
<셌째날>
1)충주시 탄금대-중앙탑 사적공원 풍광
▲탄금대 내림 데크길
▲ 탄금대
▲탄금정
▲탄금대에서 본 좌측 탄금대교와 우측 우륵대교
▲탑평리 7층석탑(중앙탑); 국보 6호
▲중앙탑공원에서 남한강 건너편 줌인
▲중앙탑사적공원의 가족 상 조각품.
▲제명; 소리-大地, 1999, 작가 전준.
▲제명; 자연의 눈. 1999. 작가 최진수
▲조정 경기장 부근에서 남한강과 달천 합류부의 우륵대교와 탄금대교 조망
▲국제 조정 경기장
2)여주시 신륵사 풍광
▲여주 신륵사 일주문
▲신륵사 전경
▲다층 전탑; 보물 226호
▲신륵사 여강변의 3층 석탑과 강월헌
▲은행나무 보호수(소원목); 수령 600년, 높이 22m. 둘레 3-3.5m. 1982.10.15.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