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동자들이 1일 부산으로 향하는 천리길 행진에 나섰다. 이름하여 ‘희망의 폭풍질주! 소금꽃 찾아 천리길’.
|
 |
|
▲ 7월1일부터 9일동안 평택에서 부산까지 정리해고 투쟁 승리를 위한 천리길 행진에 나서는 쌍용차지부 조합원들과 연대단체 회원들이 행진 시작을 앞두고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강정주 | 쌍용차지부의 이번 도보 행진은 7월 9일 부산 한진중공업으로 향하는 2차 희망버스에 대한 대대적인 참가를 호소하고, 전국적인 정리해고 투쟁을 만들기 위해서 준비됐다. 이창근 지부 기획실장은 “김진숙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정리해고의 문제”라며 “전국의 투쟁하는 노동자들과 시민들이 동참해 지긋지긋한 정리해고 투쟁을 반드시 이기는 싸움으로 만들어 보자”고 이번 행진의 취지를 설명했다.
|
 |
|
▲ 4백 킬로미터, 천리길 행진의 첫 발을 뗐다. 이들은 7월 1일 평택에서 출발해 매일 40 킬로미터 이상을 걸어 9일 저녁 부산역에 도착한다. 강정주 | 9일 동안 이어지는 행진에 참여하는 지부의 원상연 조합원은 “김진숙 동지가 한진중공업 김주익, 곽재규 열사의 정신을 안고 크레인 위에 올라있는 것처럼 같은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투쟁하는 동지들에 대한 마음의 짐을 덜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심경을 밝혔다. 또 다른 조합원도 “정말 한진중공업을 보면 2009년이 떠오르고 남의 일 같지 않다”며 “정말 이번만큼은 조직된 노동자들이 희망보서를 꽉꽉 채워서 부산으로 왔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
 |
|
▲ '희망의 폭풍질주, 소금꽃 찾아 천리길' 행진단이 걷게 될 코스. 지도에 빨간 펜으로 표시된 경로가 이들이 걷는 길이다. 목적지는 부산. 강정주 | 행진단은 1일 아침 8시30분 평택 쌍용차 공장을 출발해 매일 40여 킬로미터를 걸어 9일 저녁 6시 부산역에 도착한다는 계획이다. 총 거리는 4백 킬로미터가 넘는다. 매일 새벽 5시 출발해 하루 10시간을 걷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매일 진행되는 행진과 참여하는 조합원들의 기고문을 작성해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알릴 예정이다. 지부 조합원 6명이 전체 일정에 결합하고 매일 4~5명씩 돌아가면서 행진을 진행한다. 지부 조합원 외에도 안건모 <월간 작은책> 대표를 비롯해 지역 조합원, 시민사회 단체 회원들이 행진에 동참한다.
지역, 날짜별 부분 참가도 가능하다. 참가를 원하는 이들은 남정수 지원팀장(010-6878-3064)에게 연락하면 행진단에 결합할 수 있다.
희망의 폭풍질주! 소금꽃 찾아 천리길 행진 일정 및 코스
◎ 1일차(7월 1일, 약 40km) 쌍용자동차정문(08시 30분 출발)-평택시청(1번국도)-한미래 아파트-성환시외버스터미널-직산역-공주대 천안캠퍼스-두정역-오룡경기장-선문대 천안캠퍼스-소정리역 도착
◎ 2일차(7월 2일, 약 43km) 소정리역 출발-전의역-전동역-홍익대 조치원캠퍼스-조치원역-삼부청솔아파트-(591번지방도)-청원군 강외면 서평리-연기군 동면 예양리-내판역-부강역-부용면-매포역-현도면사무소 도착
◎ 3일차(7월 3일, 약 43km) 현도면사무소 출발-현도초등학교-신탄진역-한일병원-회덕역-대전동부경찰서-대전고속터미널-가양동우체국-자양동주민센터-용운동주민센터-판암지구대-(4번국도)-동신고교-세천역-대청동주민센터-군북면사무소-옥천시외버스터미널-옥천역-군남초등학교-옥천군 이원면 늘봄만남광장 휴게소 도착
◎ 4일차(7월 4일, 약 45km) 옥천군 이원면 늘봄만남광장 휴게소-이화휴게소-난계국악박물관-약목사거리-각계교-산이교-부용사거리-영동군민운동장-화곡초교(폐교)-노근리역사공원(공사중)-황간우체국-황간시외버스터미널-은편교차로-추풍령역 도착
◎ 5일차 (7월 5일, 약 39km) 추풍령역 출발-추풍령휴게소-김천시봉산면-덕천우체국-김천고교-김천역-김천소방서-김천시 남면주민센터-김천시 남면주민센터 출발-김천시 남면 운곡리-부상고개 휴게소-칠곡군 북삼읍 보건소 도착
◎ 6일차 (7월 6일, 약 39km) 칠곡군 북삼읍 보건소 출발-약목역-약목면-관호ic-칠곡경찰서-왜관철교(현재 왜관철교 붕괴)-(4번국도에서 대구시내도로)-왜관읍-왜관ic-연화역-쉼터휴게소-신동역-칠곡군지천면-지천초교-지천역-금호분기점밑도로-방주교회-팔달교-대구 북구청 도착
◎ 7일차 (7월 7일, 약 43km) 대구 북구청 출발-칠성시장역-대구 상동교-파동-스파밸리-대림생수-가창초교-우록분교(폐교)-팔조령 터널-팔조령 휴게소-청도군 이서면-연지못-원풍휴게소-청도군화양읍-청도군청-청도역--월곡휴게소-신거역 도착 (대구에서 청도는 30번지방도-20번국)-(청도에서 밀양은25번국도-24번국도)
◎ 8일차(7월 8일, 약 45km) 신거역 출발-상동면-송하골프클럽-긴늪사거리-밀산교-밀양ymca-밀양시청-내일동주민센터-밀양세무서-밀양역-밀양시삼남면 예림리-하수종말처리장-밀양강변도로-대구부산간고속도로밑-1022지방도 삼랑진방면-삼랑진읍사무소-낙동강역-58번국도따라 김해시 생림면사무소 도착
◎ 9일차(7월 9일, 약 40km) 김해시 생림면사무소 출발-경남애니메이션고교-가야cc-인제대학교-삼안동우체국-불암동-(김해-구포-부산역은 14번국도와 부산시내도로)-14번국도-대저역-구포역-낙동강뚝방길-낙동대교-낙동강뚝방길-동아대-사하구청-사하역-괴정역-대티역-동산아파트-아미시영아파트-아미동주민센터-자갈치시장-남포동역-중앙역-중부경찰서-부산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