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1회 용품 제로 첼린저 동참 기업 늘어나고 있지만 핵심 포인트 잡지 못해
--장례식장 1회 용품 금지 해법이 있는데도 실행하지 못하는 것은 결국은 돈 문제
--1회 용품 생산업자들과 장례식장 업주들의 환노위 국회의원 로비가 통했다는 소문
환경오염의 주범이라 불리는 1회 용품은 사용의 편리, 소비 형태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자원의 낭비는 물론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소중한 삶의 터전을 훼손시키고 있다. 특히 장례업계는 1회용 컵·수저·용기 등 1회 용품 사용을 줄이고 향후 정부의 장례식장 1회 용품 사용 금지 정책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사)친환경 장례문화 ESG지원 사업단(회장 이상재)은 친환경 장례는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장례 방식은 시체를 불태우거나 묻는 등의 과정에서 대량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고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친환경 장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시체를 처리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1년부터 공공기관 1회 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을 국무총리 훈령으로 발표하고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이바지하기 위한 방침으로 “공공기관”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의 청사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회의, 행사 등에는 컵. 비닐봉지. 플라스틱 응원용품 등의 1회 용품과 공공기관이 설립 운영하는 장례식장과 공공기관의 소속 직원의 상례를 지원할 때 1회 용품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사)친환경 장례문화 ESG지원 사업단(회장 이상재)는 사원수 5,000명 이상 국내 기업들에게 장례식장 1회 용품 배포를 중단해 줄 것을 권장하는 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기업들과의 상담을 통하여 “장례식장 1회 용품” 을 현저하게 줄여 나갈 것이라며 기업들의 자발적인 동참을 요청했다.
하지만 답변은 공허한 메아리일 뿐 기업들의 참여는 1%에 머물러 있다. 서울의 경우 대형병원 장례식장 몇 곳만 1회 용품 반입을 금지한다면 1회 용품 사용 규모는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며 쓰레기 반출에 대한 소각장 건립 등 여러 가지 정치적인 이슈에도 도움이 될 것이만 누구 하나 관심을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정부 지자체 시스템 자체가 현장의 1회 용품 줄이는 방법 자체를 모르고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사)친환경 장례문화 ESG지원 사업단은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친환경 장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홍보 계몽 활동에 전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이 현재의 문화와 관행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장례에 대한 교육과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업의 참여도는 아직도 더 높아질 여지가 있다. 일부 기업들은 환경 문제에 대한 책임감이 낮거나, 경영적 이유로 환경 문제를 무시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사회의 관심과 기업의 책임의식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의 지원과 규제 등도 기업의 환경 보호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례식장 1회 용품 제공을 제한하는 법을 두고 장례업계의 반발은 오히려 장례업계의 집단 이기주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각 지장 자치 단체들이 앞다투어 1회 용품 줄이기에 앞장서고 있는 가운데 장례식장 업주들의 반발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친환경 장례문화 ESG지원 사업단(회장 이상재)는 제주도의 경우 13곳의 장례식장이 처음부터 일회용품 사용을 하지 않았고 “다회용기”를 사용하여 문상객을 접대하고 있다고 했다. 장례식장 업주들의 1회 용품 사용 금지에 대한 업주들의 집단적인 반발은 구시대적 발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제주도 장례식장 관계자는 협회와의 통화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남 인식의 문제라며 어차피 제도적으로 바뀌고 정착시켜야 할 장례문화라면 하루빨리 받아들이고 정부의 지침에 동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