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란지교(金蘭之交)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간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 나갈 만큼 우정이 깊은 사귐을 이르는 말이다.
金 : 쇠 금(金/0)
蘭 : 난초 란(艹/17)
之 : 어조사 지(丿/3)
交 : 사귈 교(亠/4)
(유의어)
고산유수(高山流水)
관포지교(管鮑之交)
금란(金蘭)
금란계(金蘭契)
금란교(金蘭交)
금란지계(金蘭之契)
금란지의(金蘭之誼)
금석지계(金石之契)
금석지교(金石之交)
단금지계(斷金之契)
단금지교(斷金之交)
담교(淡交)
담수지교(淡水之交)
막역지우(莫逆之友)
문경지교(刎頸之交)
백아절현(伯牙絶絃)
수어(水魚)
지란지교(芝蘭之交)
출전 : 역경(易經) 계사상전(繫辭上傳)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간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 날갈 만큼 우정이 깊은 사귐을 이르는 말이다.
두사람이 마을을 합하면 그 날카로움은 쇠도 끊을 것이요, 마음을 같이 한 말은 그 냄새가 난초의 향기와 같다. 역경(易經) 계사전(繫辭傳) 상(上)에, “사람들과 한가지로 하여 먼저는 울부짖고 뒤에는 웃는다(同人先號, 而後笑).”
공자(孔子)는 말씀하셨다. “군자의 도는 혹은 나가 벼슬하고 혹은 물러나 집에 있으며 혹은 침묵을 지키지만 혹은 크게 말한다. 두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고 마음을 하나로 하여 말하면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君子之道, 惑出惑處, 惑默惑語.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어원으로서, 두 사람이 힘을 합하면 쇠(金)를 자르고, 서로 사랑하는 마음은 난(蘭) 꽃의 향과 같이 아름다움을 풍기는 우정을 나타내고 있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는 “산도(山禱)와 혜강(혜康),완적(阮籍)이 얼굴을 한 번 보고는 금란과 같은 사귐을 가졌다.”는 말이 나오고, 범질(范質)의 시에 보면 “세상 사람들이 모두 교유를 중시하는데, 마치 금란지교를 맺은 듯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백낙천(白樂天)의 시(詩)구 가운데도 “두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고, 한마음으로 신의를 맺으면 그 즐거움이 난과 같다.”는 것이 있고, 대홍정(戴洪正)이라는 사람이 친구를 얻을 때마다 그것을 정부에 기록하고 향을 피워 조상에 고했는데, 그 장부 이름을 금란부(金蘭簿)라 하였다는 고사가 나온다.
동양 사회에서는 친구간의 우정을 중요시 하여 우정과 관련한 여러개의 단어가 생겼는데, 대개 쇠나 돌을 들어 단단한 우정을 비유했고, 난초등을 들어 고상한 사귐을 비유했다. 즉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 잡스럽지 않고 변치 않는 사귐을 가장 이상적인 사귐으로 여겼던 것이다.
친구란 무엇인가? 친구란 어떤 관계를 말하는 것일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친구란 두 사람의 신체에 사는 하나의 영혼이다”라고 말했다. 그만큼 친구 사이란 하나된 마음과 정신 그리고 삶을 가진다는 말이다. 친구가 나를 진정으로 필요로 할 때, 나는 친구를 위해 나의 모든 것을 줄 수 있는가?
삶이 가져다 준 위대한 선물인 친구는 삭막하고 절박한 현실 속에서 청량제 같은 관계를 말한다. 각박한 사회 속에서 앞만 보고 달려가는 우리들은 어디론가 회귀하고 싶은 소망을 간직하고 살아간다. 그러한 우리에게 친구라는 존재는 오늘을 살아가게 하는 마지막 안식처가 되어준다. 그래서 우리는 친구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다.
부처님의 말씀에 의하면, 좋은 친구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능히 지킬 줄 아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첫째, 상대방의 잘못을 보면 일깨워주고, 둘째, 좋은 일을 보면 마음 속 깊이 기뻐하며, 셋째, 괴로움에 처했을 때 서로 버리지 않는 사람, 그렇습니다. 그러한 친구가 우리 가까이에 있다면 우리의 마음은 정말 여간 든든한 게 아니겠지요.
금란지교(金蘭之交)
금란지교(金蘭之交)는 매우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말로서, 한국인들에게 오래도록 전해져 온 우정의 상징입니다. 이 말은 친구 사이의 진실하고 변함없는 관계를 나타내며, 금속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아름다운 우정을 뜻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와 함께 그 의미와 현대 사회에서의 중요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배경과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더 깊고 진실된 우정을 어떻게 쌓아갈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의미와 정의
금란지교(金蘭之交)는 한자어로 금(金)과 란(蘭), 그리고 교(交)가 결합된 말입니다. '금(金)'은 금속 중에서도 단단하고 귀중한 재료인 금을 의미하며, 이는 견고하고 변하지 않는 우정을 나타냅니다. '란(蘭)'은 난초를 뜻하며, 난초는 향기가 좋고 고귀한 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듯 난초는 우정의 아름다움과 맑은 본질을 상징합니다. 마지막으로 '교(交)'는 교류나 사귐을 뜻하는데, 금란지교는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아름다운 우정을 말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변치 않는 믿음과 아름다운 마음을 나누는 친구 관계를 일컫는 뜻깊은 단어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와 배경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유래는 중국 고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말은 사기(史記)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서 언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당시 공자는 자신의 제자들과 맺은 우정을 금란지교(金蘭之交)라고 표현했는데, 이때부터 금란지교(金蘭之交)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는 그만큼 고귀하고 진실된 우정의 본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단순한 친분이 아닌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진심으로 서로를 위해주는 관계를 상징합니다. 이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깊은 신뢰와 서로를 향한 고귀한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한자 풀이와 의미
금란지교(金蘭之交)는 각 한자에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금(金)'은 단단하고 가치 있는 금속을 뜻하며, 우정의 견고함과 변치 않는 가치를 상징합니다. '란(蘭)'은 난초를 가리키며, 그 향기롭고 고귀한 특성을 통해 우정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두 요소를 합쳐 금란지교(金蘭之交)는 단순한 친구 관계가 아닌, 영원히 변치 않는 깊고도 고귀한 우정을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금란지교 유래를 통해 우정의 깊은 의미를 이해하면, 진정한 친구와의 관계가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을 수 있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사용 예시와 역사 속 이야기
금란지교(金蘭之交)는 일상생활에서 매우 특별한 우정을 가진 사람들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들은 어려서부터 서로를 의지하고 돕는 금란지교를 나누었다"라는 말에서와 같이 오랜 시간 서로의 곁을 지키며 변함없이 함께해 온 친구 관계를 나타낼 때 쓰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를 생각해 보면, 역사 속에서도 충신이나 의인들의 우정을 설명하는 데 이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의 여러 충신들의 이야기나 사대부들 간의 의리와 우정에 이 표현을 자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가치관과 우정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의 금란지교(金蘭之交)와 그 중요성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와 그 뜻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도 여전히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개인주의가 강해진 만큼, 진정한 친구를 만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의미는 더욱 빛을 발하며, 진실되고 변치 않는 우정의 가치를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특히 힘들고 어려운 시기에 함께 이겨낼 수 있는 친구가 있다는 것은 큰 위로와 용기가 됩니다. 현대 사회에서 금란지교(金蘭之交)와 같은 우정을 맺는 것은 삶의 큰 축복이자 행복으로 다가옵니다. 이처럼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는 우리에게 진정한 우정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일깨워 줍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는 그 의미와 유래에서 알 수 있듯이,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아름다운 우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 유래는 중국 고전에서 시작되어 한국의 문화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대 사회에서도 진실한 우정을 나타내는 최고의 표현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유래를 통해 우리는 우정이란 단순한 친분이 아닌 서로에 대한 깊은 믿음과 존중, 그리고 변치 않는 사랑을 바탕으로 한 소중한 관계임을 배울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런 금란지교를 맺고 지속하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며, 우리 모두가 진실한 친구와 함께 더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길 바랍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유래와 뜻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 삶의 지침이 되는 중요한 가치로 남을 것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금처럼 견고하고 난초처럼 아름다운 우정을 말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변치 않는 믿음과 아름다운 마음을 나누는 친구 관계를 일컫는 뜻깊은 단어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는 '금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친구 사이의 교제'를 뜻하는 고사성어로, 매우 돈독하고 아름다운 우정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는 진실된 친구와의 관계가 얼마나 귀하고 소중한지를 강조하며, 깊은 신뢰와 존중으로 맺어진 친구 사이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란지교의 뜻과 유래, 한자 풀이, 현대적 활용, 그리고 우정의 가치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의미와 유래
정의
금란지교(金蘭之交)는 우정의 견고함과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 '금(金)'은 단단하고 부서지지 않는 강한 관계, '난(蘭)'은 난초처럼 우아하고 향기로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표현은 친구 간의 신뢰와 애정이 깊고 변치 않음을 강조합니다.
유래
금란지교(金蘭之交)는 중국 고전 예기(禮記)에 등장합니다. 원문에서 "우정은 금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롭다"고 묘사되며, 진실되고 이상적인 우정을 나타내는 비유로 쓰였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단순히 친밀한 관계를 넘어, 서로를 진심으로 아끼고 이해하는 친구 관계를 강조합니다.
한국어에서의 쓰임
금란지교(金蘭之交)는 현대 한국어에서 오랜 친구나 특별한 인연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그들의 관계는 정말 금란지교(金蘭之交)와 같아. 어떤 어려움도 함께 극복하지."
금란지교(金蘭之交)의 한자 풀이
금란지교(金蘭之交)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로, 각 글자가 가진 의미를 통해 표현의 본질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금(金)'은 금속처럼 단단함과 견고함을 상징, '란(蘭)'은 난초, 향기로움과 우아함을 상징, '지(之)'는 ~의, 관계를 나타냄, '교(交)'는 교제, 사귐을 뜻하며, 인간관계와 소통을 의미합니다. 이를 종합하면, '금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친구 관계'라는 뜻으로, 우정의 깊은 신뢰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고사성어입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현대적 활용
일상생활에서의 금란지교
오랜 친구와의 관계 : 금란지교는 학창 시절부터 이어진 오랜 우정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 "우리는 금란지교 같은 친구야. 20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았어.")
성인 이후의 특별한 인연 : 직장 동료, 비즈니스 파트너 등 성인 이후 맺어진 깊은 관계를 표현할 때도 적합합니다. (예: "그와의 금란지교 덕분에 인생이 더욱 풍요로워졌어.")
문학과 예술에서의 활용
문학적 비유 : 금란지교는 우정을 주제로 한 문학 작품에서 아름다운 비유로 자주 사용됩니다. (예: 고전 소설이나 현대 드라마에서도 깊은 인간관계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등장합니다.)
예술적 활용 : 영화, 연극, 서적의 제목에서도 친구와의 관계나 소중한 인연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가 주는 교훈
진실된 관계의 중요성
금란지교(金蘭之交)는 진정성 있는 관계의 가치를 일깨워줍니다. 교훈은 표면적인 친분이 아니라, 진심으로 아끼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상호 존중과 이해
친구 사이에서도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중요함을 가르칩니다. 교훈은 친구 관계는 단순한 즐거움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깊은 신뢰와 이해로 발전합니다.
도리와 신의의 가치
약속을 지키고 서로를 지탱해주는 도리와 신의가 우정의 핵심임을 강조합니다. 교훈은 어떤 상황에서도 친구와의 약속과 신뢰를 저버리지 말아야 합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를 실천하는 방법
친구를 진심으로 대하기
가식 없이 진심으로 대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실천법으로 친구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며 공감하려고 노력하세요.
어려움 속에서 지지하기
진정한 친구는 어려운 시기에 더욱 빛납니다. 실천법으로 친구가 힘든 상황에 놓였을 때 먼저 손을 내미세요.
상호 신뢰를 쌓아가기
우정은 상호 신뢰를 통해 깊어집니다. 실천법으로 작고 큰 약속을 반드시 지키며, 친구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세요.
금란지교(金蘭之交)와 유사한 표현들
죽마고우(竹馬故友): 어릴 적부터 함께 자란 오래된 친구.
지기지우(知己之友): 나를 깊이 이해해 주는 친구.
수어지교(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처럼 떨어질 수 없는 관계.
결론: 금란지교의 현대적 의미
금란지교(金蘭之交)는 우정의 견고함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고사성어로, 현대에서도 깊은 인간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가르쳐줍니다. 진정한 우정은 단순한 친밀감을 넘어, 서로의 존재를 통해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듭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의 의미를 되새기며, 진실된 우정을 통해 더욱 따뜻한 인간관계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진정한 친구는 어떤 사람일까?
진정한 친구는 그 누구도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진정한 친구들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까?
진정한 친구는 한 손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최선의 모습을 꺼내 주며 늘 내 편에 있어주는 사람이다. 이는 당연히 몇 안 되는 소중한 우정이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친구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진정한 친구가 누구인지, 그냥 어떤 이유, 목적으로 잠시 나를 사용하려는 사람들은 누구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진정한 친구들은 다른 사람들이 하지 못하는 것을 해줄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을 곁에 두고 있는 사람들은 정말 행운이다!
친한 친구 7가지 특징
1. 자존감을 키워준다
진정한 친구는 어떤 사람일까? 진정한 친구는 우리가 기분이 안 좋을때 몇 시간 동안이나 이야기를 들어주거나 기분 전환을 시켜준다. 그리고 결국엔 우리의 긍정적인 부분과 능력을 강조해 기분이 좋아지게 만들어준다. 좋은 친구는 힘든 순간에도 자존감을 키워주고 기분을 좋게 해주려고 한다.
2. 우리를 지지한다
그들은 어떤 결정과 상관없이 우리의 선택을 존중해준다. 그 선택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존중해줄 것이다. 메세지를 보내거나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혹은 안아 주거나 선물이나 카드를 보내 우리를 지지해준다.
3. 우리의 말에 귀 기울여 준다
우리가 하는 말에 귀 기울여 주는 것도 진정한 친구의 주요한 특징이다. 우리의 말에 귀 기울여준다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모든 이야기를 들어준다는 뜻이다.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거나 비관적으로 이야기하거나 행복이나 분노로 가득차 이야기 하는 것과 상관없이 우리의 말에 귀 기울여 줄 것이다. 진정한 친구는 우리가 하는 불평, 험담, 농담 등의 이야기를 몇 시간이고 들어줄 것이다.
4. 우리를 편안하게 해준다
좋은 친구와 함께 있으면 굳이 가면을 쓰고 행동할 필요가 없다. 진정한 친구와 함께 있으면 거짓말을 하거나 애써 그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려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 그들과 함께 있으면 그들이 판단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 없이 무슨 이야기든 할 수 있고 그냥 집에 있는 것처럼 편안하게,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5. 우리를 도와준다
중요한 결정을 해야하는데 확신할 수 없을 때 친구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을 것이다. 아니면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는데 무엇인가를 해야할 때에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려고 한다. 진정한 친구는 어떤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진솔하게 이야기해줄 것이다. 우리가 필요할 때에는 그들의 귀와 품, 손과 발을 내어줄 것이다. 또 뭔가 혼란스러울 때 우리 스스로를 찾도록 도와줄 것이다. 어떤 이유로든 뭔가 잘 되어가지 않을때 우리의 '바위'가 되어줄 것이다.
6. 시간을 내 줄 것이다
진정한 친구는 우리와 만나 시간을 보내거나 통화를 해야할 때, 다른 변명을 하지 않을 것이다. 언제든 우리와 함께 어울리기 원하기 때문이다. 누구나 해야할 일이 있고, 저마다 책임을 갖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친구라면 언제든 시간을 내 줄 것이다.
진정한 친구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줄곧 할 것이다. "퇴근하고 수업 가기 전까지 15분 정도의 시간이 있어." "병원 가야 돼. 가는 길에 잠깐 들를게." "목요일 저녁에 약속 잡지마, 우리 맛있는 거 먹으러 가자."
반대로 늘 바쁘고, 약속을 취소하고 만날 시간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관계를 위해 노력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이다. 나쁜 게 아니라 그냥 그들이 좀 힘든 시간을 보내는 중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런 사람들을 진정한 친구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7. 솔직하게 이야기해줄 것이다
정직하고, 진실된 사람들 곁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원하는 이야기만 해 주는 사람들은 사실 별로 우리에게 도움되지 않는다.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이 우리에게 잘 어울리지 않는 경우, 진정한 친구라면 솔직하게 이야기해줄 것이다. 애인이 우리에게 잘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라면, 그들은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말해줄 것이다. 또 우리가 나쁜 결정을 한다고 생각되면 그들은 가장 먼저 이야기해줄 것이다.
솔직한 것은 친구 관계, 애인 관계, 직장 동료 등 모든 관계에서 중요하다. 우리가 좀 상처 입더라도 우리에게 솔직하게 말해주는 친구를 곁에 두는게 좋다.
8. 우리를 존중한다
진정한 친구는 늘 그들의 곁에 묶어두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가 다른 할 일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주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도 존중해준다. 그리고 혼자 있고 싶다고 하면, 그 이유가 뭐든 간에 존중해줄 것이다. 친구 사이에서 존중은 정말 중요하다. 개인의 공간도 당연히 존중해주어야 한다.
9. 우리를 용서한다
진정한 친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뭔가 우리가 잘못 말하거나 행동했을때, 그들은 기꺼이 용서해줄 것이다. 진정한 친구는 실수를 용서할 줄 알고 함께 보낸 시간과 관계를 우선시할 것이다.
10. 우리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준다
진정한 친구를 만들려면 줄줄 알아야 한다. 내가 줄 수 없는 것은 결코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사람만 노력한다고 해서 우정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친밀함을 유지하고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둘 다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애인, 가족, 동료 등 모든 관계의 관계에 다 적용된다.
진정한 친구를 곁에 두려면 노력해야 한다. 한 사람은 계속 말하고 다른 한 사람은 계속 들을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서로를 존중하며 그들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내 편에서 성장할 수 있는 관점을 열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것들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신뢰받을 것이고, 누구나 우리와 함께 시간을 보내려고 할 것이다.
진정한 친구
전라북도 순창 지역에서 친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정한 친구'는 밥이나 술을 사면서 친구를 사귀는 아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친 아버지의 교훈담이다. '술친구는 개친구'라는 속담과 관련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2003년 12월 양상화가 엮어 순창 문화원에서 간행한 '순창의 구전 설화' 하의 290~291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박형수가 채록한 것이다.
옛날에 천석지기 조씨가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아들이 하나 있었다. 그런데 이 아들은 많은 청년들과 어울려 다니며 술이나 마시고 놀기만 하였고 공부에는 도통 관심을 두지 않았다. 아들은 여러 청년들과 '형이야 아우야!' 하면서 '우리는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사는 진정한 친구'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아들은 진정한 친구가 정말 많다고 자랑을 하고 다녔다.
이런 아들을 보는 아버지는 걱정이 되었다. 그래서 하루는 아들을 불러 앉혔다. "얘야! 네가 친구가 많다고 그리 자랑을 하는데, 술이나 밥으로 사귄 친구는 진정한 친구가 되지 못한단다. 그러니 한 친구를 사귀어도 의리 있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와주는 그런 친구를 사귀어라." 그러자 아들은, "제 친구는 모두 의리가 있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앞장서서 도와줄 친구들입니다"라고 말하며 아버지의 말을 새겨듣지 않았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말로 훈계해서는 듣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한 가지 방도를 생각해 내었다. 아버지는 하인을 시켜 돼지를 한 마리 잡아서 털을 깨끗이 벗기게 하였다. 그러고는 멍석에다 둘둘 말아서 밤늦게 들어온 아들을 앞세워 아들이 가장 친하다고 하는 친구에게 가자고 하였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네 친구에게 가서 네가 사람을 죽였는데 좀 도와 달라고 부탁해 보아라" 하였다.
아들은 자신이 가장 친하다고 믿고 있는 친구를 찾아갔다. 그리고 자신이 실수를 하여 살인을 하였는데 이 시체를 맡아서 처리해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친구는, "아니! 자네가 사람을 죽였으면 자네 혼자 해결해야지. 왜 나까지 끌어들이려고 하는가?"라고 하고는 대문간에 들어서지도 못하게 하고 문을 닫고 들어가 버렸다.
아버지는 두 번째 친한 친구에게 가자고 하였다. 아들은 친구를 불러내어 "내가 술을 먹다가 잘못하여 사람을 쳤는데 그만 죽고 말았네. 그래 그 사람의 시체를 가져 왔는데 자네가 좀 처리해 주겠나?" 하였다. 그러자 그 친구는 말도 붙이지 못하게 하고는 빨리 가라며 호통을 쳤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네 친구는 모두 의리 있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도와주는 친구라고 하더니 어째 이러느냐? 나는 친구가 많지도 않고 딱 한 사람이 있는데 한 번 가 보자꾸나" 하였다.
아버지는 그 친구를 찾아가서 "여보게, 내가 술을 마시다가 실수를 해서 사람을 죽였네. 그래서 이렇게 시체를 짊어지고 왔는데 자네가 이것을 좀 처리해 줄 수 있겠나?" 하였다. 그러자 그 친구는 "어쩌다 이런 일을 저질렀는가? 우선 아무도 모르게 묻어 놓고 다시 생각해 보세" 하면서 연장을 챙겼다. 이를 본 아들은 친구가 많다고 자랑을 하며 다녔던 자신의 모습이 부끄러워졌다. 아버지 말대로 술친구는 개친구였던 것이다.
이튿날 아버지는 돼지를 삶아 놓고 아들 친구와 자신의 친구를 불러 잔치를 벌였다. 모든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고는 진정한 친구가 어떤 친구인지를 알게 되었다. 아들은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마음을 올곧게 하여 공부에 매진하였고, 천석지기 재산도 온전히 지키며 살았다.
'진정한 친구'의 주요 모티프는 '진정한 친구 찾기'이다. '진정한 친구'는 돈이 많아 먹을 것을 잘 사 줄 때 사귄 친구는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없고,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도와주는 친구가 진정한 친구가 된다는 것을 가르쳐 주는 교훈담이다. 아들은 아버지를 통해 진정한 친구, 의리 있는 친구가 어떤 친구인가를 깨닫게 된다.
▶️ 金(쇠 금, 성씨 김)은 ❶형성문자로 钅(금)은 간자(簡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今(금)의 생략형(세월이 흐르고 쌓여 지금에 이르름)과 흙(土) 속에 광물(두 개의 점)을 담고 있다는 뜻을 합(合)하여 쇠, 금을 뜻한다. 金(금)은 처음에 주로 銅(동)을 가리켰으나 나중에 금속의 총칭이 되고 또 특히 황금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한자의 부수가 되어 광물, 금속, 날붙이 따위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❷상형문자로 金자는 ‘금속’이나 ‘화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예전에는 金자가 금(金)이나 은(銀)·동(銅)·석(錫)·철(鐵)과 같은 다섯 가지 금속을 통칭했었다. 그러나 후에 다양한 금속이 발견되면서 지금은 모든 금속을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금문에 나온 金자를 보면 상단에는 뜨거운 열기가 빠져나가는 연통과 아래로는 불을 피우던 가마가 묘사되어 있었다. 그래서 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금속’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물건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金(금, 김)은 성(姓)의 하나로 ①성(姓)의 하나 그리고 ⓐ쇠(금) ⓑ금(금) ⓒ돈, 화폐(금) ⓓ금나라(금) ⓔ누른빛(금) ⓕ귀하다(금)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돈의 융통을 금융(金融), 금전의 액수를 금액(金額), 금붙이나 쇠붙이를 금속(金屬), 빌려 준 돈의 이자를 금리(金利), 쇠붙이로 만든 돈을 금전(金錢), 돈과 물품을 금품(金品), 금으로 꾸민 누각을 금각(金閣), 임금이 타는 수레를 금여(金與), 궁궐의 문을 금문(金門), 돈이나 재물을 넣어 두는 창고를 금고(金庫), 생활의 본보기로 할 만한 귀중한 내용을 지닌 짧은 어구를 금언(金言), 황금을 파내는 광산을 금광(金鑛), 매우 단단하여 결코 파괴되지 않음 또는 그러한 물건을 금강(金剛),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두 사람간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 나갈 만큼 우정이 깊은 사귐을 이르는 말을 금란지교(金蘭之交),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 향기처럼 그윽한 사귐의 의리를 맺는다는 뜻으로 사이 좋은 벗끼리 마음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의 향기와 같이 아주 친밀한 친구 사이를 일컫는 말을 금란지계(金蘭之契), 쇠로 만든 성과 끓는 물을 채운 못이란 뜻으로 매우 견고한 성과 해자 또는 전하여 침해받기 어려운 장소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금성탕지(金城湯池), 사이 좋은 벗끼리 마음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의 향기와 같다는 뜻으로 아주 친밀한 친구 사이를 일컫는 말을 금란지의(金蘭之誼), 금 가지에 옥 잎사귀란 뜻으로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또는 아름다운 구름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을 금지옥엽(金枝玉葉), 금이나 돌과 같이 굳은 사귐을 이르는 말을 금석지계(金石之契), 금석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쇠와 돌처럼 변함없는 굳은 사귐을 일컫는 말을 금석지교(金石之交), 금과 돌같은 굳은 언약이라는 뜻으로 서로 언약함이 매우 굳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금석뇌약(金石牢約), 금옥과 같은 법률이라는 뜻으로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할 규칙이나 교훈을 일컫는 말을 금과옥조(金科玉條), 귀중한 말을 할 수 있는 입을 다물고 혀를 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침묵함을 이르는 말을 금설폐구(金舌蔽口), 금종이에 정신이 미혹되고 취한다는 뜻으로 사치스런 생활을 비유하는 말을 금미지취(金迷紙醉), 쇠와 돌을 열리게 한다는 뜻으로 강한 의지로 전력을 다하면 어떤 일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을 금석위개(金石爲開), 흠집이 전혀 없는 황금 단지라는 뜻으로 외침을 받은 적이 없는 당당한 국가를 비유해 이르는 말을 금구무결(金甌無缺), 쇠줄로 단단히 봉하여 비서를 넣어두는 상자라는 뜻으로 억울하거나 비밀스런 일을 글로 남겨 후세에 그 진실을 전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말을 금등지사(金縢之詞), 매미가 허물을 벗다라는 뜻으로 껍질은 그대로 있고 몸만 빠져나가는 것처럼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에서 허세를 꾸며 벗어남을 이르는 말을 금선탈각(金蟬脫殼) 등에 쓰인다.
▶️ 蘭(난초 란/난)은 ❶형성문자로 兰(란)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 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闌(란)이 합(合)하여 '난초'를 나타낸다. ❷형성문자로 蘭자는 ‘난초’나 ‘목련’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蘭자는 艹(풀 초)자와 闌(가로막을 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闌자는 출입문을 봉쇄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여러해살이 식물인 난은 전 세계에 자생할 정도로 흔한 식물이다. 그래서 어찌 보면 蘭자는 문 앞에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난을 표현하려 했던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蘭(란/난)은 ①난초(蘭草) ②목련(木蓮: 목련과의 낙엽 활엽 교목) ③풀의 이름 ④난간(欄干) ⑤화란(네덜란드)의 약칭(略稱)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난초의 향기로운 냄새를 난기(蘭氣), 난초 밭을 난전(蘭田), 난초의 잎을 난엽(蘭葉), 난초의 향기를 난향(蘭香), 난초의 그윽한 향기를 난방(蘭芳), 난초의 꽃을 난화(蘭花), 난초와 국화를 이르는 말을 난국(蘭菊), 난초와 매화를 이르는 말을 난매(蘭梅), 난초와 대나무를 이르는 말을 난죽(蘭竹), 난초 밭 안에 있는 오솔길을 난경(蘭徑), 난초 향기가 그윽한 방 또는 여인들이 쓰는 아름다운 방을 난방(蘭房), 난초의 향기가 그윽한 방 또는 난초를 가꾸는 온실을 난실(蘭室), 음력 7월을 달리 이르는 말을 난월(蘭月), 음력 7월의 딴 이름을 난추(蘭秋), 냄새가 향기로운 기름을 난고(蘭膏), 좋은 친구를 일컫는 말을 난객(蘭客), 난초와 쑥 또는 군자와 소인을 일컫는 말을 난애(蘭艾), 난초에서 짜 낸 액체라는 뜻으로 좋은 술을 이르는 말을 난액(蘭液), 밝고 아름다운 등을 난등(蘭燈), 네덜란드 영유 또는 영토를 난령(蘭領), 서로 뜻이 맞고 마음이 통하는 말을 난언(蘭言), 훌륭한 문장 또는 남을 높이어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을 난장(蘭章), 아름다운 촛불을 난촉(蘭燭), 난의 향기와 같이 아름다운 사귐이라는 뜻으로 뜻이 맞아 서로 친하게 된 사람들의 사귐을 이르는 말을 난교(蘭交), 봄에 꽃이 피는 난초를 춘란(春蘭), 매화와 난초를 일컫는 말을 매란(梅蘭), 열대나 아열대 원산인 온실에서 가꾸는 난초를 양란(洋蘭), 향기좋은 난초를 방란(芳蘭), 붉은 꽃이 피는 난을 홍란(紅蘭), 난초와 혜초처럼 고매한 자질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아름답고 뛰어난 자질을 이르는 말을 난자혜질(蘭資蕙質), 난정첩을 순장한다는 뜻으로 서화나 도자기 등의 물건을 사랑하는 마음이 두터움을 이르는 말을 난정순장(蘭亭殉葬), 난초가 꺾이고 옥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현인이나 가인의 죽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난최옥절(蘭摧玉折), 난초와 쑥을 함께 불태운다는 뜻으로 군자와 소인을 구별하지 않고 처벌함을 이르는 말을 난애동분(蘭艾同焚), 난초와 구릿대 즉 향초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난지점수(蘭芷漸滫),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을 일컫는 말을 금란지교(金蘭之交),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 향기처럼 그윽한 사귐의 의리를 맺는다는 말을 금란지계(金蘭之契), 사이 좋은 벗끼리 마음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의 향기와 같다는 뜻으로 아주 친밀한 친구 사이를 이르는 말을 금란지의(金蘭之誼), 지초와 난초 같은 향기로운 사귐이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고상한 교제를 이르는 말을 지란지교(芝蘭之交), 좋은 친구와 사귀면 자연히 그 아름다운 덕에 감화됨을 이르는 말을 지란지화(芝蘭之化), 혜란이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벗의 불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을 혜분난비(蕙焚蘭悲)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交(사귈 교)는 ❶상형문자로 䢒(교)는 동자(同字)이다. 사람의 종아리가 교차해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이 글자에서 咬(교; 씹다), 絞(교; 묶다), 校(교; 학교) 등의 글자가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交자는 ‘사귀다’나 ‘교제하다’, ‘엇갈리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交자는 亠(돼지해머리 두)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돼지머리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交자는 다리를 꼬고 있는 사람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交자의 갑골문을 보면 양다리를 꼬고 앉은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交자는 이렇게 다리를 꼬고 앉아있는 사람을 그려 ‘엇갈리다’나 ‘교차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래서 交(교)는 ①사귀다, 교제하다 ②오고 가다 ③주고 받다, 바꾸다 ④인접(隣接)하다, 서로 맞대다 ⑤엇걸리다 ⑥맡기다 7넘기다, 건네다 ⑧내다, 제출하다 ⑨섞이다, 교차하다 ⑩성교하다, 교배하다 ⑪되다, 도래하다 ⑫임무를 마치고 보고하다 ⑬교제(交際), 우정(友情) ⑭벗, 친구(親舊), 동무 ⑮무역(貿易), 거래(去來), 흥정 ⑯서로, 상호(相互) ⑰곤두박질, 공중제비 ⑱옷깃 ⑲일제히, 동시에, 함께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서로 번갈아 드는 사람 또는 그 일을 교대(交代), 통신을 주고 받음을 교신(交信), 2개 이상의 선상의 것이 한 곳에서 마주치는 것을 교차(交叉), 암수 양성의 교접을 교미(交尾), 다른 종류의 암수의 배합을 교배(交配), 벗을 사귐 또는 친구와 교제함을 교우(交友), 섞어 합함을 교합(交合), 서로 맞붙어 싸움을 교전(交戰), 서로 바꿈을 교환(交換), 서로 물건을 사고 팔아 바꿈을 교역(交易), 자리나 역할 따위를 다른 사람 또는 다른 것과 바꿈을 교체(交替), 서로 주고 받음을 교류(交流), 일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의논함을 교섭(交涉), 막힘이 없이 서로 오가는 일을 교통(交通), 서로 사귀어 왕래함을 교유(交遊), 서로서로 어우러져서 뒤섞임을 교잡(交雜), 사귀어 담박하기가 물과 같다는 교담여수(交淡如水), 벗을 사귐에 신의로써 사귐을 교우이신(交友以信), 벗을 사귀는 도리를 교우지도(交友之道), 벗을 사귈 때에는 서로가 분에 맞는 사람끼리 사귀어야 함을 교우투분(交友投分), 사귄 지는 오래지 않으나 서로 심중을 털어놓고 이야기 한다는 교천언심(交淺言深)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