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신용카드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텐데요.
카드를 소지하고 사용하고 계신다면 높은 확률로 16자리의(15자리 혹은 14자리 포함) 숫자가
카드에 쓰여져 있을겁니다. 이 번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혹시 아시고 계십니까?
이번 시간에 제가 낱낱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신용카드번호 첫번째 숫자에 숨겨진 비밀부터 알아볼까요?
첫번째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바로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카드 브랜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Bin번호라고도 하지요. 4로 시작한다면 : VISA카드, 5로 시작한다면 : Master카드,
3으로 시작한다면 : JCB, 아멕스, 다이너스 (아멕스카드는 카드 숫자가 15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이너스는 14자리다.) 6으로 시작한다면 : 중국은련카드, 9로 시작한다면 : Local카드(국내전용카드).
여러분들께서도 과연 맞는지 한번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 1과 2로 시작되는 신용카드도 있지만 요즘은 발급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이제 두번째 숨겨진 비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용카드번호 첫번째 숫자부터 여섯번째 숫자까지는 Bin번호(Bank Identifier Number)입니다.
바로 이것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발행기관(은행 또는 카드사들)을 인식하여 알아낼 수 있죠.
한마디로 카드번호만 알면 카드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번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 발급기관별로 수~수십개의 Bin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발급기관이 각 카드브랜드(VISA,Master등)에
신청하면 그 번호를 부여받고 카드를 발급하게 됩니다.
세번째 비밀은 Bin번호(첫번째 숫자부터 여섯번째 숫자까지)를 제외한 그 이후의 아홉자리 숫자에 대한 것인데
이것은 발행기관의 일련번호를 의미합니다. 또한, 맨 마지막 자리의 번호는 Check Digit(검증번호)라고 합니다.
국제카드는 모두 검증번호 체계를 따르게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실 것 같아서
예를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
예를들어, 카드번호가 4518 4340 0207 6600 이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이 아래 스텝을 밟아가는 것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Step 1. 검증번호를 제외한 번호에 2,1을 반복적으로 곱해서 그 합을 구한다.
4518 4340 0207 6600
2121 2121 2121 212
---------------------
8528 8380 0207 1260
Step 2. 구해진 값을 전부 합산해본다.
(단, 10을 초과하는 경우는 두 숫자를 더한다. 위에서 12는 1+2로 계산)
8+5+2+8+8+3+8+0+0+2+0+7+1+2+6+0=60
Step 3. 위에서 구한 값을 1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구한다.
60/10 = 몫6, 나머지0
Step 4. 위에서 구한 나머지 값을 10에서 빼면 그것이 바로 Check Digit이 된다.
(예:나머지가 4면 Check Digit은 6임.) 단, 나머지가 0인 경우에는 그대로 0이 Check Digit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나머지가 0이 나왔으므로 위에 가정한 카드번호의 Check Digit은 0이다.
자 계산해보니 0이 딱 나왔죠?
※ 참고로 국내전용카드는 9로 시작되고 Check Digit 산출 방식이나 Check Digit의 위치가
각 카드사별로 상이하게 발급되고 있으므로 국내전용카드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무심코 사용하고 있던 우리들의 신용카드가 이런 비밀을 가지고있고 어떠한 방식에 의해서 발급되는지
이제 아시겠죠? 물론 전혀 쓸 일이 없는 정보일 가능성이 높으나 그냥 재미로 한번씩 보고
아~ 내 카드의 숫자가 이런 의미였구나~ 하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이 시간에 안 주무시고 뭐하시나??
자료들이 덜 들어왔다는 얘기를 들었기에
아무래도 불가능할 것 같아서... 지켜본다구요....ㅎㅎㅎㅎ
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