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학습 자료 나눔 1탄)
https://cafe.daum.net/shin99/2lgA/113
안녕하세요,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공학전공 21학번 권민수 선생님입니다.
1탄에 이어서 학습자료 2탄을 나눔합니다.
이번 학습자료는 2024년 하계 방학 프로그램에서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자료입니다.
중학교 1학년 2학기 수학 도형부분 앞단원의 내용을 학습지로 제작하였습니다.
저작권 라이선스
마음대로 쓰시되, 다른 홈페이지나 사이트에 배포만 안 하시면 됩니다. 배포하시면 쫓아가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 중학교 1-2 기하 학습자료
여름방학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한 이 교재로 진행해보니, 아이들이 흥미를 잘 가져야되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본격적으로 처음 도형과 기하를 접하는 시기이다 보니 선생님들께서 이 교재를 이용하시게 된다면 이 부분을 고려해야겠습니다.
2. ICE BREAKING (아이스 브레이킹)
하계 특별 프로그램은 일대일 매칭이 아닌, 일대다 형식으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따라서 반처럼 구성되었을 때 아이들에게 자기소개를 할 시간이 필요했어요.
저만의 꿀팁인데, 아이들을 처음 만나게 될 때에는 이렇게 선생님에 대한 정보를 퀴즈 형식으로 맞추기를 진행하면
선생님의 정보를 자연스럽게 소개할 수 있게 되고, 아이들의 참여도가 높아져서 나도 모르게 친해질 수 있게 됩니다.
혹시나 이번 학기에 새로운 아이들을 만나는 경우에는 ppt를 참고하셔서 첫 시간 때 아이들과 친해져보세요 :)
(작성일 기준 지금도 다른 ice breaking 자료를 만들고 있는데, 혹시나 완성된 이후 퀄리티가 괜찮다면 또 배포하겠습니다)
3. 텔레파시 게임
일대다 수업을 할 때 아이들의 협동심을 기르겠다는 목적(?)으로 텔레파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밸런스게임과 텔레파시게임을 접목하여, 아이들의 집중력이 떨어졌을 때 분위기를 환기시키기 좋았습니다.
특히나 밸런스게임에 카레맛 똥과 같은 이야기를 넣어주니, 아이들이 좋아서 환장하더라고요... 역시 이런 거 좋아할 줄 알았습니다
물론 선생님들께서 조금만 변형시킨다면, 일대일 수업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겠습니다.
4. 더 많이, 더 적게
이 게임은 구글에서 특정 키워드가 검색된 정도가 어느 것이 더 많은지 결정하는 게임입니다(예를 들어, 손흥민과 페이커 중 어느 것이 더 구글에서 많이 검색되었을지). 일대다 수업에서 아이들이 함께 어느 것이 많은지 토론하는 과정에서 의견이 다를 때 서로 타협하고 양보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유도한 활동인데, 예상대로 아이들이 의견이 달랐으며 서로 양보하고 누군가가 리더십을 가지고 투표하는 모습이 보여서 뿌듯하더라구요.
물론 이 게임 자체는 2024년 7-8월 기준이라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선생님들이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습니다만, 게임의 아이디어 정도는 차용해가셔도 괜찮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