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재 123페이지에 보면 ICAM과 NCAM이 세포부착을 억제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ICAM 과 NCAM은 세포부착에 관여하는 glycoprotein들이 아닌지요? 세포부착을 억제한다는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 NCAM에는 sialic acid가 존재하여 (-) 전하를 가지므로 세포들을 서로 밀어내는 요인이 됩니다.
2. 68페이지에 단백질의 기능중에 세포부착과 세포연접이 있는데, 세포부착이란 말과 세포연접이란 말에 어떤 개념적인 차이가 있나요?
=> 세포부착은 단순히 세포막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에 의한 부착을 의미하고, 연접은 밀착연접 등을 통한 세포연결을 말합니다.
3. 교재 54page에 이중나선 핵산의 안정도 비교에서 "dsRNA > RNA-DNA > dsDNA"로 되어있는데, 부등호 방향이 저렇게 되어있는 것이 맞나요? 그러니까 dsRNA가 가장 안정한 것인가요?
=> in vitro 조건에서는 dsRNA가 가장 안정합니다.
4. 52pgae에 알칼리 용액에서의 RNA의 불안정성이 "세균에서 플라스미드를 추출할 때 알칼리 분해법에 응용된다"라고 되어있는데, 이 말의 뜻이 "플라스미드 DNA만을 추출해내는 과정에서 알칼리용액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RNA를 degrade한다"는 것인가요?
=> 네...
5. SDS-page에서 glycerol을 넣어주면 단백질을 down시킬 수 있다고 배웠는데, 간단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글리세롤이 비중이 커서 전체 용액을 down 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