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 속으로 사라진 적벽의 전장터가 완벽히 부활된다!
치열했던 전쟁 ‘적벽대전’에서 조조의 100만 대군이 주둔한 곳은 ‘까마귀 숲’이라는 높은 언덕이었다. 그곳은 연합군이 주둔한 적벽에서부터 대각선으로 가로질러진 양쯔강 기슭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나, 오랜 역사와 함께 이미 사라져 버린 곳이었다. 그러나 제작진은 포기하지 않고 중국 대륙 전체를 훑는 대대적인 로케이션 헌팅을 시작했다. 마침내 2004년 여름, 서안(西安)이 촬영의 주무대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그 곳 역시 적벽과 까마귀 숲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의 구도가 나오지 않았고, 까마귀 숲을 재현할 만큼 높은 언덕도 없었다. 이 때, 오우삼 감독은 자신의 머리 속에 그려진 전장의 모습을 보다 완벽히 완성하기 위해 그 곳에 축구 경기장 두 개에 해당하는 넓이에 40피트 높이에 이르는 언덕을 만들어 내기로 결단을 내린다. 이 때문에 제작팀은 언덕을 짓기 위한 까다로운 중국 당국의 허가절차를 밟아야 했고, 수십미터 떨어진 언덕에서 흙을 가져와 저수지를 메우는 작업을 수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오우삼 감독과 스탭들의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에 대한 그칠 줄 모르는 열정과 노력으로 4년여간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며, 1800여년 전 역사 속 그대로를 2008년 스크린을 통해 완벽히 부활시킬 것이다.
#2. 동서양 최고의 스탭진들이 <적벽대전>을 위해 뭉쳤다!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을 일컫는 ‘최대의 전쟁액션 블록버스터’라는 수식어답게 스탭진마저도 블록버스터급이다.
동양의 대서사 액션을 할리우드 감각으로 재창조한 오우삼 감독을 필두로 각 분야의 최고 실력을 갖춘 유명한 스탭들이 영화에 대거 참여했다. <엑스맨>의 무술감독인 코리유엔이 액션을, <캐리비안의 해적> <슈퍼맨 리턴즈> <매트릭스> 시리즈의 신화창조를 일으킨 크레이그 헤이스가 영화의 CG를 책임졌다. 또한 선정에 있어 많은 고민이 있었던 프로덕션 디자이너와 의상 디자이너로는 <와호장룡>으로 오스카 미술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프로덕션 디자이너 티미 입이 맡았다. 베스트셀러인 ‘삼국지’의 텍스트를 시각화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티미 입과 그의 팀을 통해 건축과 의상뿐만 아니라 무기류와 작은 소품 하나까지도 철저한 조사와 고증을 거친 완성도 높은 영화 속 미술로 재탄생했다.
이렇듯 동서양 최고의 스탭진이 선보이는 환상적인 기술력과 정교한 디자인은 지금까지 선보인 전쟁 블록버스터와 다른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만의 색다른 볼거리와 재미를 제공할 것이다.
#3. 국내 자본 투자된 글로벌 프로젝트 <적벽대전>
현재 한국영화계에서의 최대 화두는 ‘합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은 800억원 이라는 아시아 최고의 제작비를 자랑하는 세계적인 프로젝트답게 새로운 투자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바로 한국의 쇼박스㈜미디어플렉스, 일본의 AVEX ENTERTAINMENT, INC, 대만의CMC CONTENT CORPORATION, 중국의 CHINA FILM GROUP CORPORATION, 이렇게 아시아 각국의 투자를 유치한 것. 비단 한 작품만이 아니라, 근래 한국영화계에는 많은 편수의 합작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자본만의 결합이 아닌, 배우, 감독, 스탭 등의 제작 인력들까지 망라한 양상을 띠며 활발한 합작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은 영화 포화 상태에 직면한 국내영화시장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대규모 프로젝트로 추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영화 속 ‘삼국지’라는 소재가 한자 문화권 나라의 공통된 관심 소재이기에 가능했으며, 그 결과 아시아 각국의 뜨거운 관심 속에 8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제작비의 투자 유치가 가능했던 것이다. 특히, 작품은 제작비 대비 90% 가까이 선판매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미국 등 30개국에 추가 판매가 예상되는 등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판권 체결을 진행하고 있기에,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은 다양한 투자 형태의 모델을 제시하며 한국영화산업의 돌파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물정보 |
 |
|
|
|
|
오우삼 |
|
|
John Woo |
|
|
중국 광조우 |
|
|
1946.05.01 |
|
|
철한유정 (1974) | | |
|
 |
|
 |
|
 |
오우삼 감독은 할리우드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홍콩 감독이다. 1946년 중국 광저우에서 태어났으나 4세 때 홍콩으로 이주, 홍콩에서 성장했다. 69년에 케세이 필름에 조수로 입사했다가 곧 쇼브라더스로 옮긴다. 쇼브라더스에서 홍콩무협영화의 장인 장철의 조감독으로 일하면서 영화기법을 전수받았다.
1975년에 데뷔작 <철한유정>을 찍었으나 과도한 폭력 묘사로 상영금지 처분을 받았으며 이후 오우삼은 10년 동안 싸구려 코미디 영화만을 찍는다. 서극의 소개로 1986년 주윤발, 장국영을 주연으로 한 <영웅본색>을 만들어 홍콩 누아르 장르를 열었다. <외팔이 왕우>에서 흔히 보여졌던 의리와 배신의 협객영화 정서와 갱영화를 세련된 누아르로 발전시킨 이 영화를 시작으로 이후 오우삼은 <첩혈쌍웅>, <영웅본색2>,<첩혈가두>, <첩혈속집> 등을 만든다.
92년 할리우드로 건너간 오우삼은 장 클로드 반담을 주연으로 <하드 타켓>을 찍었으나 범작에 그쳤다. 하지만 <브로큰 에로우>의 성공은 할리우드에서 홍콩 감독 오우삼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페이스 오프>로 인해 할리우드에서 대작 감독으로 인정받았다. 이 여세는 톰 크루즈가 <미션 임파서블2>의 대본을 들고 오우삼을 찾아간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오우삼의 영화들을 보면 남성주의 액션 미학의 절정과 무협영화의 비장미를 맛볼 수 있다. 이것은 오우삼이 폭력 미학의 거장 셈 페킨파에게서 영향받은 바가 크다. 그의 주무기인 쌍권총과 결정적인 액션동작에서 순간 느린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고속촬영기법, 숨막힐 듯한 춤추는 액션연기, 정교한 편집은 오우삼의 액션 스타일리스트로서의 면면을 확인시켜 준다. |
 |
2009 1949 2009 적벽대전 2부 2008 적벽대전 : 거대한 전쟁의 시작 2005 보이지 않는 아이들 2003 페이첵 2002 하이어 - 호스티지 2001 윈드토커 2000 미션 임파서블 2 1998 블랙잭 1997 페이스 오프 1996 브로큰 애로우 1996 종횡사해 2 1993 하드 타겟 1992 첩혈속집 1990 종횡사해 1990 첩혈가두 1989 첩혈쌍웅 1989 흑전사 1987 영웅본색 2 1986 영웅본색
인물정보 |
 |
|
|
|
|
양조위 |
|
|
Tony Leung |
|
|
중국 광동성 태산 |
|
|
1962.06.27 |
|
|
청춘차관 (1985) | | |
|
 |
|
 |
|
 |
1962년 광동 태산에서 출생했다. 다양한 역을 맡으며 무한한 연기의 폭을 보여주고 있는 배우이다.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홍콩으로 이주해 18살 때 TVB 배우스쿨 11기로 입학했다. 양조위의 학교 동기로는 주성치, 유덕화 등이 유명하다. 졸업 후에는 주성치와 함께 어린이 프로그램 <430 천사기>에 출연했으며, 드라마에서 영화로 연기 영역을 넓혔다. 그가 출연한 히트 드라마는 <신찰사형><협객행><대운하> 유덕화와 공연한 <녹정기> 등이다. 영화 데뷔작은 매염방과 공연한 <청춘차관>. 이후 관금붕 감독의 <지하정>을 통해 가능성 있는 배우로 주목받았다.
홍콩 스타들 중 특이하게 예술영화 취향을 갖고 있는 배우로 왕가위, 관금붕, 트란 안 홍, 후 샤오시엔 등과 즐겨 작업한다. <중경삼림>과 <해피투게더>로 홍콩 금상장 남우 주연상을 수상했으며, <해피 투게더>와 <상하이의 꽃들>로는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후보에도 올랐다. 대표작은 벙어리 사진사를 연기한 후 샤오시엔 감독의 <비정성시>를 꼽을 수 있다. 드라마 <신찰사형>을 촬영하며 만난 배우 유가령과는 약 10년간 교제중이다. 출연작마다 독특한 이미지로 그만의 연기 영역을 지켜가고 있는 성격파 배우 양조위는 코믹한 역할이라도 눈빛과 표정만으로 관객들을 압도해 우리 나라에서도 <중경삼림>을 기점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 <화양연화>로 인해 깐느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특유의 우수에 젖은 눈빛과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완벽한 연기력은 관객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거장들을 사로잡았다. 장이모우 감독의 <영웅>, 홍콩 느와르를 부활시킨 유위강 &맥조휘 감독과 <무간도> 시리즈를 함께 했다.
수상내역 <색, 계> - 아시아 영화상 남우주연상 (2008) <2046> - 홍콩금상장영화제 남우주연상(2005) <무간도> - 홍콩금자형장 남우주연상(2003)/대만금마장 남우주연상(2003) <화양연화> - 홍콩금상장영화제 남우주연상(2001)/칸영화제 남우주연상(2000) <해피투게더> - 홍콩금상장영화제 남우주연상(1998) 외 |
인물정보 |
 |
|
|
|
|
금성무 |
|
|
Takeshi Kaneshiro |
|
|
대만 |
|
|
1973.10.11 |
|
|
동방삼협 2 (1993) | | |
|
 |
|
 |
|
 |
금성무는 부친이 일본인이라 국적이 일본인 배우다. 15살때 대만 TV 광고에 출연한 것이 연예인이 된 계기가 되었다. 1993년 1월 <이별한 밤에>를 발표하고 가수로 데뷔한 그는, 첫 음반이 좋은 반응을 얻어 대만의 `십대 우상 시상식`에서 수상을 하는 영광까지 얻었다. 자신이 직접 작사, 작곡을 하는 등 뮤지션으로서의 자질을 완벽하게 갖춘 금성무는 1993년 <동방삼협 2>로 본격적인 연기 생활에 뛰어들었다.
1996년 금성무는 우리 나라에 알려지기 시작한지 일년도 채 되기 전에 주윤발, 유덕화, 장국영, 왕조현 등에 이어 중국권 스타로는 일곱번째로 국내에 방영되는 TV광고의 주인공이 된바 있다. |
인물정보 |
 |
|
|
|
|
장첸 |
|
|
Zhang Zhen |
|
|
대만 타이페이 |
|
|
1976.10.14 |
|
|
고령가 소년살인사건 (1991) | | |
|
 |
|
 |
|
 |
1976년 대만 출생. 영화 배우인 아버지와 초등학교 선생님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991년 양덕창의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으로 처음으로 영화에 출연하였다.공업고등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졸업 후 양덕창의 <마장>에 출연, 타이페이 뒷골목의 청년으로 분하였다. 이후 왕가위의 <해피 투게더>에 출연하여 주목을 모았으며, 이어 이안의 <와호장룡>에서 ‘호’ 역할로 분했다. 현재 왕가위가 이끄는 엔터테인먼트사 ‘House 1’의 배우로 소속되어 있으며 그의 차기작 <2046>에도 출연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