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플 통(痛)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가로수나 담이 있는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옛날에는 임금만 다니는 길을 만들었습니다. 백성이 넘겨다보지 못하도록 담을 쌓았다고 합니다. 당나라 현종은 성도에서 화청지까지 담을 쌓아 길을 만들고 양귀비와 늘 왕래했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고통(苦痛) 복통(腹痛) 통각(痛覺) 격통(激痛) 진통(陣痛) 진통(鎭痛) 애통(哀痛) 통쾌(痛快)
큰 줄기 통(統)자는 가는 실 사(糸,糹)자에 찰 충(充)자를 했습니다. 실이 이어가는 실 본연의 역할을 한다는 말입니다. 찰 충(充)자는 실의 본연의 역할인 이어가는 뜻을 담고 있다는 표기를 한 글자입니다. 큰 줄기 통(統)자는 찰 충(充)자를 해서 실의 뜻을 가득 채운 글자입니다. 찰 충(充)자는 한 일(一)자에 맏 윤(允)자를 한 글자입니다. 그릇을 가득 채워서 뚜껑을 덮은 모양입니다. 돼지 해(亠) 밑에 맏 윤(允)자를 한 글자가 아닙니다. 획 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돼지 해(亠) 밑에 한 맏 윤(允)자를 하면 모두 6획이 되고, 한 일(一)자 밑에 맏 윤(允)자를 하면 모두 5획이 됩니다. 가득할 충(充)자는 5획의 글자입니다. 통일(統一) 대통령(大統領) 계통(系統) 통치(統治) 정통(正統) 전통(傳統)
통할 통(通)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길 양쪽에 담을 쌓은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아플 통(痛), 통 통(桶), 나아갈 통(捅), 화통 통(㷁), 바다 메기 통(鯒), 대통 통(筩)자들은 길 용(甬)자가 들어 있어서 ‘통’으로 읽습니다. 통행(通行) 교통(交通) 통과(通過) 통역(通譯) 통금(通禁) 통신(通信)
언덕 퇴(堆)자는 언덕은 흙이 쌓여 만들어진 언덕이기에 의부(義符)로 흙 토(土)자 변에 발음을 표시하는 성부(聲符)로 새 추(隹)자를 했습니다. 병 많을 퇴(痽)자도 추(隹)자가 들어 있어서 ‘퇴’로 읽습니다. 퇴고(推敲)라고 쓸 때에 퇴(推)자도 같은 이치입니다. 퇴환(堆丸) 퇴내회로(堆內回路) 퇴제비료(堆制肥料) 퇴첩(堆疊) 퇴곤(堆困) 퇴토(堆土) 퇴적(堆積)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