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연보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1929년 8월 11일 생~2016년 3월 14일 몰; 향년 88세)
예일학파(the Yale School)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 문학부 교수 출신 문학 비평가 일단으로서, 해체주의의 창시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예일학파 창시자 폴 드 만(Paul de Man), 예일 출신 비평가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예일 출신 비평가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가 대표적 인물들이다.
―미국 신비평과 같은 노선으로 꼼꼼한 읽기(close reading)를 기초로 하고, 의미의 유기성보다는 의미의 불확정성의 해체를 강조하는 해체주의적 비평 방법을 취했다.
해체주의자
독일 출신 아슈케나지(독일•폴란드•러시아계) 유대계 미국인 예일학파 문학 비평가
예일대학교 비교문학과 교수•예일학파 문학 비평가
―Sterling Professor of English and Comparative Literature at Yale University
―연구 분야: 영국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예일대학교 스털링 기념 도서관 홀로코스트 증언을 위한 포춘오프 비디오 기록보관소(the Fortunoff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at Yale’s Sterling Memorial Library) 설립자•제1대 소장
세계의 대표적인 문학 연구가
구겐하임재단(the Guggenheim Foundation) 회원•미 예술과학원(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문학 연구원(the Academy of Literary Studies) 회원
『직접적 비전』(The Unmediated Vision, 1954년)의 저자
―박사 학위 논문을 기초한 하트만의 최초의 저서
―세계 최고 윌리엄 워즈워스 연구서
“트라우마 연구 분야”의 창시자
외조부 유대인 랍비 학자
―하트만 2세 때 사망
―어린 시절에 외조부 서재에 많은 책을 소장했던 유대인 학자로 기억
처 르네 그로스 하트만(Renée Gross Hartman)
자녀 1남 1녀
1남 데이비드 하트만(David Hartman, 뉴헤이븐 출신)
2녀 리즈 하트만(Liz Hartman, 뉴헤이븐 출신)
손주 1남 셸 미즈라히 하트만(Shel Mizrahi Hartman)
1929년 1세 8월 1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Frankfurt)에서 외아들로 출생. 본명 제프리 H. 하트만(Geoffrey H. Hartmann)
―중간 이름 H.는 뜻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무런 뜻도 없다고 한다.
―어린 시절 부친이 가족을 떠났다고 한다.
1930년 2세 외조부 유대인 랍비 사망. 부모 이혼 후에 부친이 아르헨티나로 이민
1939년 11세 나치 지배를 피해 가족들이 독일에서 영국으로 탈출시킨 킨더 트랜스포트 유대인 아동의 한 사람. 영국에서 6년간 체류
―전쟁 중에 은행 가문의 후예 제임스 드 로스차일드(James de Rothschild)의 버킹엄셔(Buckinghamshire) 영지에 소재한 왓스던 저택(Waddesdon Manor)에서 다른 피란 아동들과 함께 체류
―이 고립 기간에 광범한 독서를 했고, 워즈워스를 알게 되었다.
―모친은 외아들을 영국을 피란시키고, 자신은 미국 뉴욕으로 탈출했다. 전쟁이 끝나고, 외아들 하트만이 미국 뉴욕에 도착한 후에 모자 상봉
1946년 18세 미국에 도착해서 모친과 상봉하고 미국 시민 귀화. 성을 하트만(Hartman)으로 영문식으로 개명
1949년 21세 미국 뉴욕시 소재 퀸스칼리지(Queens College) 비교문학과 학사 최우등(summa cum laude) 졸업. 뉴욕시립대학교(CUNY,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수학
1950년경 22세 프랑스 디용대학교(Univ. of Dijon)에서 풀브라이트 연구 학자
1953년 25세 미국 뉴헤이븐 소재 예일대학교(Yale Univ.) 비교문학과 박사 학위. 에리히 아우에르바흐(Erich Auerbach)와 체코 출신 비평가 르네 웰렉(Rene Wellek)의 제자
1954년 26세 최초의 저서 『직접적 비전』(The Unmediated Vision: An Interpretation of Wordsworth, Hopkins, Rilke, and Valéry) 간
1955년~1962년 27세~34세 아이오와대학교(Univ. of Iowa)와 코넬대학교(Cornell Univ.)에서 강의. 예일대학교 영문과 및 비교문학과 교수
1955년 27세 예일대학교 교수 첫 임용
1960년 32세 『앙드레 말로』(André Malraux) 간
1960년대 초중반기 32세 이후 아이오와대학교 및 코넬대학교 교수
1964년 36세 『워즈워스의 시』(Wordsworth’s Poetry, 1787-1814) 간
1967년~2009년 39세~80세 예일대학교 영문과 및 비교문학과 스털링 교수(Sterling Professor of English and Comparative Literature at Yale University)
1967년 39세 예일대학교 교수직 복귀
1970년 42세 『형식주의를 넘어서』(Beyond Formalism: Literary Essays, 1958-1970) 간. 워즈워스 선집 『시와 산문 선집』(Selected Poetry and Prose) 간
1970년대 42세 이후 폴 드 만,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 해럴드 블룸(Harold Bloom)과 같이 예일학파 비평 활동
1972년 44세 미국학술과학원(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
1975년 47세 『독서의 운명』(The Fate of Reading and Other Essays) 간
1978년 50세 『아키바의 아이들』(Akiba’s Children) 간. 『정신 분석과 텍스트 문제』(Psychoanalysis and the Question of the Text: Selected Papers from the English Institute, 1976-77) 편
1979년 51세 예일학파 해체주의 선언문 『해체주의와 비평』(Deconstruction and Criticism)에 글 수록(자크 데리다, 폴 드 만, 해럴드 블룸, 제프리 하트만, 힐리스 밀러 등 해체주의 비평가 5인 참가). 예일대학교 스털링 기념 도서관 홀로코스트 증언을 위한 포춘오프 비디오 기록보관소(the Fortunoff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at Yale’s Sterling Memorial Library) 제1대 소장
1980년 52세 『황야의 비평』(Criticism in the Wilderness: The Study of Literature Today) 간
1981년 53세 『텍스트 구하기』(Saving the Text: Literature/Derrida/ Philosophy) 간
1982년 54세 예일대학교 스털링 기념 도서관 홀로코스트 증언을 위한 포춘오프 비디오 기록보관소(the Fortunoff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at Yale’s Sterling Memorial Library) 일반 공개
1983년 55세 동료 비평가 폴 드 만(Paul de Man) 별세
1985년 57세 『쉬운 작품』(Easy Pieces) 간. 예일대학교 영문학과 칼 영 교수(Karl Young Professor of English at Yale)
1986년 58세 『주석과 문학』(Midrash and Literature) 편. 『도덕적, 정치적 관점의 비트버그』(Bitburg in Moral and Political Perspective) 편
1987년 59세 『범부 워즈워스』(The Unremarkable Wordsworth) 간. 고 앨런 M. 포춘오프(Alan M. Fortunoff)의 기부로 포춘오프 기록보관소 자료가 비디오에서 디지털로 전환
1988년 60세 동료 비평가 폴 드 만에 대한 긴 논문을 『뉴리퍼블릭』(The New Republic)지에 게재하고 비평가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
1991년 63세 『마이너급 예언들』(Minor Prophecies: The Literary Essay in the Culture Wars) 간
1996년 68세 『가장 긴 그림자』(The Longest Shadow: In the Aftermath of the Holocaust) 간
1997년 69세 프랑스 정부 수여 문화예술공로훈장(Ordre des Arts et Lettres) 서훈.
『문화의 운명적 문제』(The Fateful Question of Culture) 간
―UC 어바인(UC Irvine) 웰렉도서관(Wellek Library)에서의 세 가지 강의 「문화와 추상적 삶」(Culture and the Abstract Life), 「문화적 담론의 진보」(The Progress of Cultural Discourse), 「홀로코스트 이후의 문화관」(The Idea of Culture after the Holocaust) 수록
1999년 71세 비평집 『비평가의 여행』(A Critic’s Journey: Literary Reflections, 1958-1998) 간
2002년 74세 『정신의 상처』(Scars of the Spirits: The Struggle against Inauthenticity) 저술
2004년 76세 『정신의 상처』(Scars of the Spirit: The Struggle against Inauthenticity) 간. 『제프리 하트만 리더』(The Geoffrey Hartman Reader) 간
2006년 78세 『제프리 하트만 리더』(The Geoffrey Hartman Reader)의 문학 비평으로 아이오와대학교(Univ. of Iowa) 트루만카포트상(Truman Capote Award) 수상
2007년 79세 마지막 저서 『학자의 이야기: 유럽의 난민 아동의 지적 여행』(A Scholar’s Tale: Intellectual Journey of a Displaced Child of Europe) 간
2009년 81세 예일대학교 교수직 은퇴
2013년 85세 마지막 시집 『제8일』(The Eighth Day) 간
―모리스 딕슈타인(Morris Dickstein)은 하트만의 시를 읽으며, 미국적인 스타일의 단순하고 평범한 문체이며, 유대교를 비롯한 종교적 내면을 표현했다고 평가
2014년 86세 모 인터뷰에서 하트만은 자신들이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인터뷰했다고 주장
2016년 88세 3월 14일 미국 코네티컷주(Connecticut) 햄든(Hamden) 소재 자신의 집에서 별세. 최종 직위. 예일대학교 영문과 및 비교문학과 스털링 명예 교수. 3월 16일 예일대 하트만 교수 추도식. 향년 88세
2001년 페터 지마(Peter Zima) 저•김혜진 역 『데리다와 예일학파』, 모더니티 총서 7, 문학동네 간
저서
대표 저서
『직접적 비전』(The Unmediated Vision: An Interpretation of Wordsworth, Hopkins, Rilke, and Valéry, 1954년)
『형식주의를 넘어서』(Beyond Formalism: Literary Essays, 1958-1970, 1970년)
개인 저서
『직접적 비전』(The Unmediated Vision: An Interpretation of Wordsworth, Hopkins, Rilke, and Valéry, 최초의 저서, 1954년)
『앙드레 말로』(André Malraux, 1960년)
『워즈워스의 시』(Wordsworth’s Poetry, 1787-1814, 1964년)
『형식주의를 넘어서』(Beyond Formalism: Literary Essays, 1958-1970, 대표 저서, 1970년)
『독서의 운명』(The Fate of Reading and Other Essays, 1975년)
『아키바의 아이들』(Akiba’s Children, 1978년)
『황야의 비평』(Criticism in the Wilderness: The Study of Literature Today, 1980년)
『텍스트 구하기』(Saving the Text: Literature/Derrida/ Philosophy, 1981년)
『쉬운 작품』(Easy Pieces, 1985년)
『범부 워즈워스』(The Unremarkable Wordsworth, 1987년)
『마이너급 예언들』(Minor Prophecies: The Literary Essay in the Culture Wars, 1991년)
『가장 긴 그림자』(The Longest Shadow: In the Aftermath of the Holocaust, 1996년)
『문화의 운명적 문제』(The Fateful Question of Culture, 1997년)
―UC 어바인(UC Irvine) 웰렉도서관(Wellek Library) 강의록
『비평가의 여행』(A Critic’s Journey: Literary Reflections, 1958-1998, 1999년)
『정신의 상처』(Scars of the Spirit: The Struggle against Inauthenticity, 2004년)
『학자의 이야기: 유럽의 난민 아동의 지적 여행』(A Scholar’s Tale: Intellectual Journey of a Displaced Child of Europe, 마지막 저서, 2007년)
편저
『홉킨스 비평집』(Hopkins: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1966년)
『워즈워스: 시와 산문 선집』(Wordsworth: Selected Poetry and Prose, 1970년)
『코울리지와 워즈워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New Perspectives on Coleridge and Wordsworth, 1972년)
「서문」(Preface), 『낭만주의』(Romanticism: Vistas, Instances, Continuities, 1973년. 7~9)
『정신 분석과 텍스트 문제』(Psychoanalysis and the Question of the Text: Selected Papers from the English Institute, 1976-77, 1978년)
『셰익스피어와 이론의 문제』(Shakespeare and the Question of Theory, 1985년)
『주석과 문학』(Midrash and Literature, 1986년)
『도덕적, 정치적 관점의 비트버그』(Bitburg in Moral and Political Perspective, 1986년)
「서론: 가시적 어두움」(Introduction: Darkness Visible), 『홀로코스트의 상기』(Holocaust Remembrance: The Shapes of Memory, 1994년. 1~22)
논문
「문학의 충만성과 허무성」(The Fullness and Nothingness of Literature),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겨울호 제16호, 1955년~1956년. 63-78.
「역사 길들이기」(The Taming of History: A Comparison of Poetry with Painting Based on Malraux's The Voices of Silence),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겨울호 제18권, 1957년. 114~128.
「밀턴의 카운터플롯」(Milton’s Counterplot), ELH 봄호 제25권. 1~12.
「카뮈와 말로」(Camus and Malraux: The Common Ground),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봄호 제25권, 1960년. 104~110.
「여류 시인 6인」(Six Women Poets), 『쉬운 작품들』(Easy Pieces), 108~110.
「버지니아의 웹」(Virginia’s Web),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봄호 제14권, 1961년. 20~32.
「방법과 인간」(Methods and the Man), 『시』(Poetry) 8월호 제98권, 1961년. 332~336. (시 작품)
「낭만주의와 반자의식」(Romanticism and ‘Anti-Self-Consciousness’), 『센테니얼 리뷰』(Centennial Review) 가을호 제6권, 1962년. 553~565.
「모리쇼 블랑쇼」(Maurice Blanchot: Philosopher-Novelist),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가을호 제15권, 1961년. 1~18.
「워즈워스의 묘사적 스케치와 시인의 마음의 성장」(Wordsworth’s Descriptive Sketches and the Growth of the Poet’s Mind), 『PMLA』(PMLA) 12월호 제76권, 1961년. 519~527.
「짧은 역사」(A Short History Of),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여름-가을호 제15권, 1962년. 122~123. (시 작품)
「탕게스 타멘 애스라, 그래도 하늘 위에 닿으리라」(Tanges Tamen Aethra You Will Touch the Upper Air Nevertheless),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여름호-가을호 제15권, 1962년. 124. (시 작품)
「모든 육신에게 누가 양식을 주는가」(Who Gives Food to All Flesh...),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여름호-가을호 제15권, 1962년. 125. (시 작품)
「여행」(The Journey),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여름호-가을호 제15권, 126. (시 작품)
「아침의 노래」(Aubade), 『시카고 리뷰』(Chicago Review) 여름호-가을호 제15권, 1962년. 126. (시 작품)
「사실주의의 영웅시」(The Heroics of Realism), 『예일 리뷰』(Yale Review) 가을호 제53권, 1963년. 26~35.
「워즈워스, 변방인, 그리고 지적 살해」(Wordsworth, The Borderers, and ‘Intellectual Murder’), 『JEGP』(JEGP) 10월호 제62권, 1963년. 761~768.
「마블, 성 바오로, 그리고 희망의 몸」(Marvell, St. Paul, and the Body of Hope), 『ELH』(ELH) 6월호 제31권, 1964년. 175~194.
「형식주의를 넘어서」(Beyond Formalism), 『MLN』(MLN) 12월호 제81권, 1966년. 542~556.
「19세기 근래의 연구」(Recent Stu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영문학 연구』(Studies in English Literature, 1500-1900) 가을호 제6권, 1966년. 753~782.
「구조주의」(Structuralism: The Anglo-American Adventure),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제36~37권, 1966년. 148~168. 「구조주의」 특집호
「허위 주제와 젊잖은 마음」(False Themes and Gentle Minds), 『계간 문헌학』(Philological Quarterly) 1월호 제47권, 1968년. 55~68.
「새끼 사슴의 죽음을 한탄하는 요정」(‘The Nymph Complaining for the Death of Her Fawn’: A Brief Allegory), 『비평 에세이』(Essays in Criticism) 4월호 제18권, 1968년. 113~135.
「영화 제작자에게 하는 조언」(Instructions To A Movie-Maker (After Seeing Ulysses and Hearing Lady Dartmouth)), 『뉴리퍼블릭』(New Republic) 12월호 제159권, 1968년. 25~26. (시 작품)
「잔디 위의 아담」(Adam on the Grass with Balsamum), 『ELH』(ELH) 3월호 제36권, 1969년. 168~192.
「왕복선의 목소리」(The Voice of the Shuttle: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ture), 『형이상학 리뷰』(Review of Metaphysics) 제23권, 1969년. 240~258. (1969년 5월 하버포드대학(Haverford College) 강연 내용)
「워즈워스」(Wordsworth), 『예일 리뷰』(Yale Review) 여름호 제58권, 1969년. 507~525.
「시칠리아의 스케치」(Sicilian Sketch), 『뉴리퍼블릭』(New Republic) 제161권, 1969년. 33. (시 작품)
「프랑스의 낭만주의에 대한 고찰」(Reflections on Romanticism in France), 『낭만주의 연구』(Studies in Romanticism) 가을호 제9권, 1970년. 233~248.
「문학사를 향해」(Toward Literary History), 『다이달로스』(Daedalus) 봄호 제99권, 1970년. 355~383.
「역사-글쓰기」(History-Writing as Answerable Style),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가을호 제2권, 1970년. 73~83.
「낭만주의 이론에 대한 이론들」(Theories on the Theory of Romanticism), 『워즈워스 서클』(Wordsworth Circle) 봄호 제2권, 1971년. 51~56.
「공격의 봄」(Spring Offensive), 『시』(Poetry) 9월호 제120권, 1972년. 330~331. (시 작품)
「선원의 노래」(Mariner’s Song), 『예일 리뷰』(Yale Review) 겨울호 제61권, 1972년. 253. (시 작품)
「시칠리아의 스케치들」(Sicilian Sketches), 『시』(Poetry) 2월호 제121권, 1973년. 251~253. (시 작품)
「뉴 헤이븐의 겨울 오후」(A Winter Afternoon in New Haven), 『시』(Poetry) 2월호 제121권, 1973년. 253~254. (시 작품)
「이타카 가는 길」(Passage to Ithaca (1965)), 『신기원』(Epoch) 겨울호 제22권, 1973년. 202. (시 작품)
「해설자」(The Interpreter: A Self-Analysis),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겨울호 제4권, 1973년. 213~227.
「유령의 상징주의와 작가적 자아」(Spectral Symbolism and the Authorial Self: An Approach to Keats’s Hyperion), 『비평 에세이』(Essays in Criticism) 1월호 제24권, 1974년. 1~19. (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 해리 캠프(Harry Camp) 강연 내용)
「공모성의 미학」(The Aesthetics of Complicity),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가을호 제28권, 1974년. 384~388.
「크리스토퍼 스마트의 성모의 노래」(Christopher Smart’s Magnificat: Toward a Theory of Representation), 『ELH』(ELH) 가을호 제41권, 1974년. 429~454.
「마이아에게」(To Maia),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겨울호 제28권, 1974년. 640. (시 작품)
「정원의 중앙」(The Middle of the Garden),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겨울호 제28권, 1974년. 640~641. (시 작품)
「구조 분석의 용도와 오용」(The Use and Abuse of Structural Analysis: Riffaterre’s Interpretation of Wordsworth ‘Yew-Trees’),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가을호 제7권, 1975년. 165~189.
「마이클 리파테르에 대한 답」(Response to Michael Riffaterre’s “Interpretation and Descriptive Poetry: A Reading of Wordsworth’s ‘Yew-Trees’”),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겨울호 제4권, 1973년. 229~256.
「정원」(The Garden), 『시』(Poetry) 10월호 제127권, 1975년. 33~34. (시 작품)
「텍스트 씨」(Monsieur Texte: On Jacques Derrida, His Glas),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겨울호 제29권, 1975년. 759~797.
「문학사에서 워즈워스와 괴테」(Wordsworth and Goethe in Literary History),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겨울호 제6권, 1975년. 393~413.
「텍스트 씨 II」(Monsieur Texte II: Epiphony in Echoland),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봄호 제30권, 1976년. 168~204.
「교차」(Crossing Over: Literary Commentary as Literature), 『비교 문학』(Comparative Literature) 여름호 제28권, 1976년. 257~276.
「모리스 블랑쇼 「서론」」(“Introduction” to Maurice Blanchot, “Arret de mort: Death Sentence”), 리디아 데이비스(Lydia Davis) 역,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제30권, 1976년. 379~403.
「인문학 연구와 사회 과학」(Humanistic Study and the Social Sciences), 『대학 영어』(College English) 11월호 제38권, 1976년. 219~223. (1975년 1월 31일 뉴욕 록펠러재단 후원 인문학과 사회 과학 컨퍼런스(Conference on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강연 내용)
「문학 비평과 그 불만」(Literary Criticism and Its Discontents), 『비평 탐구』(Critical Inquiry) 겨울호 제3권, 1976년. 203~220.
「네르발의 주랑」(Nerval’s Peristyle), 『19세기 불문학 연구』(Nineteenth-Century French Studies) 가을호-겨울호 제5권, 1976년~1977년. 71~78.
「말로 미스테리」(The Malraux Mystery), 『뉴리퍼블릭』(New Republic) 1월호 제176권, 1977년. 27~30.
「D. H. 로렌스의 첫 희곡에서 등장인물의 개념」(The Concept of Character in D. H. Lawrence’s First Play), 『중서부 MLA 학회보』(Bulletin of the Midwest Modern Language Association) 봄호 제10권, 1977년. 38~43.
「막간」(Between the Acts: Jeanne Moreau’s Lumière),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봄호 제31권, 1977년. 237~242.
「비평 읽기」(Reading Criticism), 『PMLA』(PMLA) 3월호 제92권, 307~308. (서신)
「감동적 충동」(A Touching Compulsion: Wordsworth and the Problem of Literary Representation), 『조지아 리뷰』(Georgia Review) 여름호 제31호, 1977년. 345~361.
「비평의 인식 장면」(The Recognition Scene of Criticism), 『비평 탐구』(Critical Inquiry) 겨울호 제4권, 1977년. 407~416.
「천재 로사이」(Genius Loci), 『시』(Poetry) 12월호 제131권, 1977년. 138~140. (시 작품)
「급류 유감」(Blessing the Torrent: On Wordsworth’s Later Style), 『PMLA』(PMLA) 3월호 제93권, 1978년. 196~204.
「워즈워스의 후기 스타일」(Wordsworth’s Later Style), 『PMLA』(PMLA) 1월호 제94권, 1979년. 140~141. (서신)
「켄타우로스」(Centaur: Remarks on the Psychology of the Critic), 『살마건디』(Salmagundi) 겨울호 제43권, 1979년. 130~139.
「해석학적 주저」(Hermeneutic Hesitation), 『소설』(Novel) 겨울호 제12권 1979년. 102~107.
「실제 비평 소사」(A Short History of Practical Criticism),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봄호 제10권, 1979년. 495~509.
「커뮤니케이션, 언어, 그리고 인문학」(Communication, Language, and the Humanities), 『ADE 학회보』(ADE Bulletin) 겨울호 제70권, 1981년. 10~16.
「문학 비평은 얼마나 창조적일까?」(How Creative Should Literary Criticism Be?), 『뉴욕타임스 서평』(New York Times Book Review) 1981년 4월 5일, 11, 24~25.
「지금의 재현」(Representation Now), 『장학 연표』(Annals of Scholarship) 제2권, 1981년. 4~15.
「직업으로서 문학 II」(Literature as a Profession II: The Creative Function of Criticism), 『인문학』(Humanities,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publication) 12월호 제2권, 1981년. 8~9.
「홀로코스트의 의미와 탈의미」(The Meaning and Demeaning of the Holocaust. Symposium), 『순간』(Moment) 3월~4월호 제6권, 1981년. 32ff.
「풍부한 아무것」(Plenty of Nothing: Hitchcock’s North by Northwest), 『예일 리뷰』(Yale Review) 가을호 제71권, 1981년. 13~27.
「단어」, 「목소리」, 「달 쇼트」(“Words,” “A Voice,” “Moon Shot.” 『리버 스틱스』(River Styx) 제11권, 1982년. 13~15. (시 작품)
「테러 반응」(The Response to Terror: Introductory Notes), 『계간 인권』(Human Rights Quarterly) 제5권, 1983년. 113~115.
「해설자의 프로이드」(The Interpreter’s Freud), 『라리탄』(Raritan) 제4권, 1984년. 12~28.
「폴 드 만의 지옥의 격언」(“Paul de Man’s Proverbs of Hell), 『런던서평』(London Review of Books) 3월 15일~4월 4일, 제6권, 1984년. 8~10.
「비평의 문화」(The Culture of Criticism), 『PMLA』(PMLA) 5월호 제99권, 1984년. 371~397.
「시의적절한 발언」(‘Timely Utterance’ Once More), 『장르』(Genre) 봄~여름호 제17권, 1984년. 37~49.
「M. 트루펏의 의심스런 매력」(The Dubious Charm of M. Truffaut), 『파르티잔 리뷰』(Partisan Review 1984-85) 제51권과 제52권, 823~825.
「추도문: 폴 드 만」(In Memoriam: Paul de Man),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제69권, 1985년. 6~8. (1984년 1월 18일 예일대학교 아트갤러리에서 열린 폴 드 만 추도 예배 추도문)
「의미, 실수, 텍스트」(Meaning, Error, Text), 『예일 불문학 연구』(Yale French Studies) 제69권, 1985년. 145~149.
「개인 이야기의 보존」(Preserving the Personal Story: The Role of Video Documentation), 『차원』(Dimensions: A Journal of Holocaust Studies) 제1권, 1985년. 11~14.
「문학의 선진 연구」(The Advanced Study of Literature: Elementary Considerations), 『ADE 학회보』(ADE Bulletin) 봄호 제80권, 1985년. 11~14.
「유령 작가의 시대」(The Age of the Ghostwriter), 『하퍼스 매거진』(Harper’s Magazine) 9월호 제271권, 1985년. 33~34.
「유대인의 상상력에 대해」(On the Jewish Imagination), 『프뤂텍스트』(Prooftexts) 9월호 제5권, 1985년. 201~220.
「8일」(The Eight Day), 『오림』(Orim: A Jewish Journal at Yale) 가을호 제1권, 1985년. 34. (시 작품)
「홀로코스트 검증을 위한 비디오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Reflections on a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하트퍼드대학교 문학 연구』(Univ. of Hartford Studies in Literature) 제18권, 1986년. 36~40.
「독서」(Reading: In Memory of Paul Celan), 『하트퍼드대학교 문학 연구』(University of Hartford Studies in Literature) 제18권, 1986년. 63. (시 작품).
「판단의 비전」(A Vision of Judgement), 『하트퍼드대학교 문학 연구』(University of Hartford Studies in Literature) 제18권, 1986년. 63~64. (시 작품)
「신년」(New Year), 하트퍼드대학교 문학 연구(University of Hartford Studies in Literature) 제18권, 1986년. 64~65. (시 작품)
「기억과의 전쟁」(The War Against Memory), 『오림』(Orim) 봄호 제1권, 1986년. 27~33.
「이론과 비평 스타일」(Theory and Critical Style: From Common to Uncommon Reader), 『철학 국제 리뷰』(Revue Internationale de Philosophie) 제41권, 1987년. 398~413.
「두 편의 시」(Two Poems: Martin Buber.), 『오림』(Orim) 봄호 제7권, 1987년. 2.
「제3의 원칙으로서의 유대 연구」(Judaic Studies as the Third Pillar), 『월간 의회』(Congress Monthly) 5월호~6월호, 1987년. 7~9.
「역사와 심판」(History and Judgment: The Case of Paul de Man), 『역사와 기억』(History and Memory) 제1권, 1988년. 55~84.
「무지와 통찰」(Blindness and Insight: Paul de Man, Fascism, and Deconstruction), 『뉴리퍼블릭』(New Republic) 5월호 제198권, 1988년. 26~31.
「종교적 문해력」(Religious Literacy), 『보수 유대교』(Conservative Judaism) 여름호 제40권, 1988년. 26~34.
「불안의 영향」(The Influence of Anxiety), 마을의 목소리(Village Voice) 9월호 제33권, 1988년. [마을의 목소리 부록] 제68권. S14~S15.
「비평과 보상」(Criticism and Restitution), 『틱컨』(Tikkun) 1월호~2월호, 제4권, 1989년. 29~32.
「가장 긴 그림자」(The Longest Shadow), 『예일 리뷰』(Yale Review) 도로시 드 로스차일드(Dorothy de Rothschild) 추모집, 봄호 제78권, 1989년. 485~496.
「교육받은 유대인은 누구인가」(Who is an Educated Jew?), 텔 아비브 리뷰(Tel Aviv Review) 가을~겨울호 제2권, 1989년~1990년. 17~188.
「홀로코스트 검증을 위한 포춘오프 비디오 아카이브」(The Fortunoff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Yale University), 『사회 교육』(Social Education) 2월호 제55권, 1991년. 120.
「반응」(Response), 『예일 비평 저널』(Yale Journal of Criticism) 봄호 제5권, 1992년. 220~225.
「1990년대 고등 교육」(Higher Education in the 1990s),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가을호 제24권, 1993년. 721~743.
「공적 기억과 현대의 경험」(Public Memory and Modern Experience), 『예일 비평 저널』(Yale Journal of Criticism) 가을호 제6권, 1993년. 239~247.
「신성화」(Sanctification), 『서구 인문학 리뷰』(Western Humanities Review) 겨울호 제47권, 1993년. 353~355. (시 작품)
「미학적 에토스는 가능한가?」(Is an Aesthetic Ethos Possible? Night Thoughts after Auschwitz), 『카르도조 법률 문학 연구』(Cardozo Studies in Law and Literature) 가을호~겨울호 제6권, 1994년. 135~155.
「통행 금지」(Curfew), 『파리 리뷰』(Paris Review) 여름호 제131권, 1994년. 153~154. (시 작품)
「홈커밍」(Homecoming), 『파리 리뷰』(Paris Review) 여름호 제131권, 1994년. 155~157. (시 작품)
「법률 문학으로서 미드라시」(Midrash As Law and Literature), 『종교 저널』(Journal of Religion) 7월호 제74권, 1994년. 338~355.
「밤 생각」(Night Thoughts East), 『파리 리뷰』(Paris Review) 여름호 제131권, 1994년. 152~153. (시 작품)
「공적 기억과 그 불만」(Public Memory and Its Discontents), 『라리탄』(Raritan) 봄호 제13권, 1994년. 24~40.
「독서와 재현」(Reading and Representation: Wordsworth’s ‘Boy of Winander’), 『유럽 낭만주의 리뷰』(European Romantic Review) 여름호 제5권, 1994년. 90~100.
「단어」(Words) 『파리 리뷰』(Paris Review) 여름호 제131권, 1994년. 154~155. (시 작품)
「영화의 동물」(The Cinema Animal: On Spielberg’s ‘Schindler’s List’), 『살마건디』(Salmagundi) 봄호~여름호 제106권, 1995년. 127~145.
「생존자로부터의 학습」(Learning from Survivors: The Yale Testimony Project), 『홀로코스트와 제노사이드』(Holocaust & Genocide) 가을호 제9권, 1995년. 192~207.
「트라우마적 지식과 문학 연구론」(On Traumatic Knowledge and Literary Studies), 『신문학사』(New Literary History) 9월호 제26권, 1995년. 537~563.
「아케다의 무지한 면」(The Blind Side of the Akedah), 『라리탄』(Raritan) 여름호 제16권, 1996년. 28~39.
「모든 별과 헤어지기」(‘Breaking with Every Star’: On Literary Knowledge), 『비교 비평』(Comparative Criticism) 제18권, 1996년. 3~20.
「독서의 운명 다시 한번」(The Fate of Reading Once More), 『PMLA』(PMLA) 5월호 제111권, 1996년. 383~389.
「증오의 재발명」(The Reinvention of Hate), 『예일 리뷰』(Yale Review) 7월호 제84권, 1996년. 1~11.
「셰익스피어와 윤리 문제」(Shakespeare and the Ethical Question: Leo Lowenthal ‘In Memoriam’), 『ELH』(ELH) 봄호 제63권, 1996년. 1~23.
「세 편의 시」(Three Poems), 『예루살렘 리뷰』(Jerusalem Review) 8월호, 1997년. 2.
「」("Zeitalter der Zeugenschaft." Frankfurter Allgemeine (September 1998).
「쇼아와 지적 증인」(Shoa and Intellectual Witness), 『파르티잔 리뷰』(Partisan Review) 겨울호 제65권, 1998년. 37~48.
「희망 속의 벤자민」(Benjamin in Hope), 『비평 탐구』(Critical Inquiry) 겨울호 제25권, 1999년. 344~352.
「생존자 검증」(Survivor Testimony: Challenge and Limits), 『국제 저널』(International Journal: Studies on the Audio-Visual Testimony of Victims of the Nazi Crimes and Genocides) 제3권, 1999년. 169~173.
「미학적 감수성」(Aesthetic Sensibilities), 『틱컨』(Tikkun) 1월호 제15권, 2000년. 55+.
「Memory.com」(Memory.com: Tele-Suffering and Testimony in the Dot Com Era), 『라리탄』(Raritan) 겨울호 제19권, 2000년. 1~18.
「홀로코스트 비디오그라피」(Holocaust Videography, Oral History, and Education), 『틱컨』(Tikkun) 5월호 제16권, 2001년. 51~53.
「선택적 기억을 어떻게 재포착할 것인가」(How to Recapture Selective Memories), 『파르티잔 리뷰』(Partisan Review) 겨울호 제68권, 2001년. 91~93. (에디 예기아얀브(Eddie Yeghiayanb) 편, “Hartman bibliography” 참조)
* 예일학파(The Yale School): 예일대학교는 원래 미국 신비평(New Criticism)의 본산지였다. 미국 신비평은 형식주의, 특히 러시아 형식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문학 작품을 꼼꼼히 읽기(close reading)로 읽어서 작품의 유기적 의미를 찾는 비평 방법론이다.
예일학파는 신비평의 문학 비평 방법론을 터득한 1970년대 예일대학교 문학부 교수 출신 비평가들의 일단을 의미한다. 특정한 비평 방법론이나 주제는 없으며, 예일대 주변에서 활동하던 비평가들을 예일학파라고 하였다. 이러한 비평가들에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폴 드 만(Paul de Man),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해럴드 블룸(Harold Bloom),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 등이 있다.
한편으로, 예일학파는 해체주의 창시자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의 영향을 받은 예일대 교수 출신 비평가들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해체주의 창시자인 동시에 예일대에서 교수로 강의했던 자크 데리다를 비롯해서, 해체주의를 비평 방법론으로 적극적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수용했던 예일학파 창시자 폴 드 만, 해체주의 비평가 제프리 하트만, 해체주의 비평가 힐리스 밀러가 있다. 그리고 덧붙여, 예일 출신의 대표적인 비평가 해럴드 블룸이 포함된다. 데리다는 해체주의를 창시했고, 폴 드 만은 예일대에서 예일학파를 창시했다. 해럴드 블룸의 비평은 영향 이론을 특징으로 하며, 제프리 하트만의 비평은 비평의 비평으로 특징지어진다.
1979년은 예일학파의 해체주의 비평 선언의 해였다. 동년에 『해체주의와 비평』(Deconstruction and Criticism)이라는 해체주의 선언문적 저술이 간행되었으며, 예일 비평가 5인이 동시에 글을 발표했다. 이들의 움직임은 신비평 이래 최초의 비평 운동이었으며, 신비평과 함께 미국 비평의 두 번째 비평 운동이었다. 두 비평은 꼼꼼한 읽기에 방법론적으로 일치하지만, 의미의 해석에서는 유기적 의미론과 불확정적 탈의미론으로 분기되었다.
* 비평가 하트만: 미국의 대표적인 문학 비평가 제프리 하트만의 연구는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를 중심으로 했다. 또한 하트만은 해체주의와 유대교 및 종교 비평을 자신의 문학 연구에 도입했다. 그 외에 하트만은 독일 나치 지배 하의 유대인의 학살과 관련돤 홀로코스트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제프리 하트만은 신비평의 형식주의를 거부하고 유럽 대륙의 해체주의를 수용해서 유기적 의미론으로부터 해체주의적 탈의미론으로 이행했으며, 종국적으로 창작과 비평을 서로 분리되지 않고 교류되는 것으로 이해했다. 『황야의 비평』(Criticism in the Wilderness)에서 하트만은 비평을 문학과 같은 위치로 놓고 문학과 같은 선상에서 연구했다.
1979년에는 하트만의 나이 51세에 예일학파 해체주의 선언문 『해체주의와 비평』(Deconstruction and Criticism)이 발표되었고, 해체주의 창시자 자크 데리다, 예일학파 창시자 폴 드 만, 예일 비평가 해럴드 블룸, 해체주의 비평가 제프리 하트만, 해체주의 비평가 힐리스 밀러 등 하트만을 포함한 예일 비평가 5인이 선언문에 참가했다.
* 독일 출신 유대계 미국인 하트만: 제프리 하트만은 독일 출신의 유대계 부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외조부가 유대인 랍비였으며, 책을 많이 소유한 학자였다고 하트만을 어린 시절을 기억했다. 하트만이 1~2세 때 외조부가 사망했으며, 부친이 전쟁과 나치를 피해 모친과 이혼하고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떠났다. 어머니는 어린 하트만을 전쟁 난민 아동으로 영국으로 피란시켰으며, 하트만은 영국은 아동 보호소에서 어린 시절을 외롭게 고립된 채로 자랐다. 모친이 미국 뉴욕으로 탈출한 후에 하트만도 미국으로 도미해서 뉴욕에서 모친과 상봉했다.
어린 시절 전쟁과 나치 공포 정치 그리고 홀로코스트가 하트만의 기억에 남았으며, 그는 평생을 홀로코스트에 대한 생존자 연구와 조사에 바쳤다. 그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과 인터뷰한 기록들은 비디오와 디지털 자료로 예일대학교 기록보관소에 남아 있다.
세계의 대표적인 미국인 문학 비평가 겸 예일대 교수 제프리 하트만은 예일학파 문학 비평가이자 예일대 홀로코스트 생존자 기록보관소 설립자이다. 또한 그는 홀로코스트와 관련한 트라우마 연구의 창시자라고도 한다.
비평가 하트만은 워즈워스에 대한 박사 논문으로 워즈워스의 최고의 연구가가 되었으며, 문학 작품과 비평의 경계를 허물고 비평의 문학적 가치를 주장한 최초의 비평가이기도 하다. 이로써, 하트만은 최고의 비평가의 반열에 들었다.
* 홀로코스트 기록자 하트만: 정통 유대계 출신으로 홀로코스트를 어린 시절에 경험했으며, 예일대학교 문학부 교수가 된 이후에 1979년부터 예일대학교 스털링 기념 도서관 홀로코스트 증언을 위한 포춘오프 비디오 기록보관소(the Fortunoff Video Archive for Holocaust Testimonies at Yale’s Sterling Memorial Library) 제1대 소장이 되었다. 이때부터 하트만은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을 기록하기 시작했고, 그의 평생 연구 사업이 되었다. <끝> <2024년 3월 15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Geoffrey Hartman,” wikipedia; 에디 예기아얀브(Eddie Yeghiayanb) 편, “Hartman bibliography,” 1992. <web.archive.org>; “Geoffrey H. Hartman,” Britannica: Margalit Fox, “Geoffrey H. Hartman, Scholar Who Saw Literary Criticism as Art, Dies at 86,” The New York Times, 2016-03-20; “In memoriam: Geoffrey Hartman, renowned scholar helped found Yale’s Holocaust testimonies archive,” YaleNews, 2016-03-18; Morris Dickstein, “The Scholar as Poet: Remembering Geoffrey Hartman(1929- 2016),” Tikkun, 2017-12-20; Monica Osborne, “Border Crossings,” The New Republic, 2012-06-20; Morris Dickstein, “The Scholar as Poet: Remembering Geoffrey Hartman(1929-2016),” Tikkun 32 (2017): 65~67; Holly Brown, “LITRA Lecture: Geoffrey Hartman,” Cultural Memory Studies Initiative, 2011-05-30; “Yale school,” wikipedia;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