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驥不致(육기불치)
六;여섯 육, 驥:천리마 기, 不;아닐 불, 致:이를 치.
진퇴를 결정하지 않으면 준마 여섯필이 끄는 수레라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
-순자-
◎ 肉袒負荊(육단부형)
肉:고기 육, 袒:웃통 벗을 단, 負:짐질 부, 荊:광대싸리 형.
사죄하는 것, 복종, 항복하는 것, 육단은 웃통을 벗는 것,
형은 가시나무 채찍,
웃통을 벗고 가시나무 채찍을 메고 한껒 매를 쳐서 벌해 주십사 하고
사죄의 뜻을
표하는 예법, 태도를 말한다. -사기-
◎ 肉談(육담)
肉:고기 육, 談:말씀 담.
음담(淫談) 등과 같은 야비하고 품격이 낮은 말이나 이야기.
◎ 肉帒飯囊(육대반낭)
살 주머니와 밥통이라는 뜻으로,
아무 재주도 없이 먹기만 잘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六韜三略(육도삼략)
韜:감출 도, 略:대략 략.
태공망(太公望0의 찬(撰)이라 하는 육도와 황석공(黃石公)의 찬이라 하는 삼략,
중국 병법(兵法)의 고전(古典).
◎ 肉跳風月(육도풍월)
肉:고기 육, 跳:뛸 도, 風:바람 풍, 月:달 월.
글자를 잘못 써서 알아보기 어렵고 가치가 없는 한시(漢詩).
◎ 肉頭文字(육두문자)
肉;고기 육, 頭:머리 두,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육담(肉談)으로 된 말.
◎ 六馬不和造父不能以致遠(육마불화조부불능이치원)
六:여섯 육, 馬:말 마, 不:아닐 불, 和:화할 화, 造:지을 조, 父:아비 부, 能:능할 능, 以:써 이,
致:이를 치, 遠:멀 원.
일치(一致)되지 않으면 일을 할 수 없다는 뜻. -한시외전-
◎ 肉腐出蟲(육부출충)
살이 썩어 벌레가 꾄다는 뜻으로, 모든 일은 근본(根本)이 잘못되면
그 폐해(弊害)가 계속(繼續)하여 발생(發生)함을 이르는 말. -순자-
◎ 六事自責(육사자책)
責:꾸짖을 책.
여섯 가지로 자책하다.
탕임금이 하늘에 여섯 가지 잘못이 있으면 용서해 달라고 비는 것. -사략 권1-
◎ 肉山脯林(육산포림)
肉:고기 육, 山:뫼 산, 脯:포 포, 林;수풀 림.
회(膾)가 산처럼 많고 건포(乾脯)가 숲처럼 많음, 곧 호사를 극한 연회를 비유한 말.
◎ 六言六蔽(육언육폐)
사람에게는 여섯 가지 덕이 있으며 학문을 좋아하지 않으면
여섯 가지 폐가 있다는 것.
폐는 물욕에 가려서 미덕을 발휘하지 못함을 이름. -논어-
◎ 陸績懷橘(육적회귤)
陸:뭍 육, 績:길쌈할 적, 懷:품을 회, 橘:귤나무 귤.
육적이 글을 품에 넣다. 효자의 아름다운 행실을 비유하는 말.
-삼국지 오지육적 전-
◎ 陸地行船(육지행선)
뭍으로 배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을 일을 억지로 고집을 부려 하고자 한다는 말.
◎ 六尺之孤(육척지고)
尺:자 척, 孤:외로울 고.
어려서 부모를 여윈 고아, 척은 두 살 반, 즉 6척은 15살 이하의 어린아이 -논어-
◎ 六親(육친)
부모, 형제, 처자. -명심보감,중보편-
◎ 六親不和有孝慈(육친불화유효자)
六:여섯 육, 親:친할 친, 不:아닐 불, 和:화할 화, 有:있을 유, 孝;효도 효, 慈:사랑 자.
한 가족 육친이 모두 불화하여 정답지 않을 때에는 효자가 생기게 된다는 말.
육친은 부자, 형제, 부부를 말함. -노자-
◎ 肉脫骨立(육탈골립)
肉:고기 육, 脫:벗을 탈, 骨:뼈 골, 立:설사 립.
몸에 살이 빠져 뼈만 남도록 마름.
肉虛飢(육허기)
육욕(肉慾)에 걸신이 들렸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남녀(男女) 간(間)에 사랑함을 이름.
◎ 允文允武(윤문윤무)
允진실로 윤, 文:글월 문, 武:굳셀 무.
문무(文武)가 함께 매우 뛰어나다. 천자가 문무의 덕을 갖추고 있음을 칭송하는 말.
윤(允)은 참으로의 뜻. -시경-
◎ 潤色(윤색)
潤:윤택할 윤, 色:빛 색.
아름답게 꾸밈, 색을 칠하고 윤이 나게 함. 수식(修飾).
◎ 綸言(윤언)
綸;벼리 윤, 言;말씀 언.
군주(君主)가 아랫사람에게 내리는 말, 군주의 말은 그 본래는 실과 같이 가늘지만,
이것을 하달(下達)할 때는 벼리처럼 굵어진다는 뜻.
◎ 綸言如汗(윤언여한)
군주의 말이 한 번 떨어지면 취소하기 어려움이
마치 땀이 다시 몸 속으로 들어갈 수 없음과 같다는 뜻.
◎ 輪外無轍(윤외무철)
길 이외에는 길이 없다는 말. -열자-
◎ 尹邢避面(윤형피면)
尹:다스릴 윤, 邢:나라이름 형. 避:피할 피, 面:낯 면.
윤씨와 형씨가 얼굴을 피하다, 서로 질투하여 만나지 않다. 사이가 벌어진 후 만나지
않다. -사기 외척세가-
◎ 輪廻(윤회)
輪:바퀴 윤, 廻:돌 회.
[불교] 중생(衆生)이 성도수업(聖道修業)의 결과 해탈(解脫)을 얻을 때가지
그의 영혼이 육체와 함께 업(業)에 의하여 다른 생을 받아
무시무종(無始無終)으로 생사를 반복함.
◎ 律己制行(율기제행)
자기의 마음을 단속하고 행동을 삼감.
律呂調陽(율여조양)
천지간(天地間)의 양기(陽氣)를 고르게 하니,
즉 율(律)은 양(陽)이요,(呂)는 음(陰)임.
◎ 隆冬雪寒(융동설한)
隆;높을 융, 冬;겨울 동, 雪:눈 설, 寒:찰 한.
눈이 오는 추운 겨울.
◎ 戎馬關山北(융마관산북)
戎:되 융, 馬:말 마, 關:빗장 관, 山:뫼 산, 北:북녘 북.
당(唐)나라의 두보(杜甫)의 시(詩)에 나오는 구(句)로서,
토번(吐蕃)이 관중(關中)땅을 끊임없이 침범하여
관산(關山)의 북쪽에서는 전쟁이 멎을 때가 없음을 이르는 말.
◎ 戎馬生郊(융마생교)
군마(軍馬)가 국경에서 태어난다는 뜻으로,
이웃나라와의 사이에 전쟁이 끊이지 않음을 이르는 말. -노자-
◎ 融融泄泄(융융설설)
融:화할 융, 泄:셀 설.
여러 사람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로,
모자지정에 얽힌 고사에서 유래한 성어다. -좌전 은공원년 조-
◎ 隆準龍顔(융준용안)
隆:높을 융, 準:평준할 준, 龍:용 용, 顔:얼굴 안.
콧마루가 우뚝 솟고 얼굴의 생김새가 용과 같다는 뜻으로,
임금이나 임금이 될 사람의 상(相)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말은 원래 한 고조 유방의 얼굴상을 표현한 데에서 나왔다. -사기 고조본기-
◎ 融通無碍(융통무애)
融:화할 융, 通:통할 통, 無:없을 무, 碍:거리낄 애.
융통은 막힘없이 통용하다, 변통하다, 임기웅변으로 처리하는 것,
무애는 장애가 없고 방해가 없는 것, 변통이 자유자재로
어떤 방해도 없이 매끄럽게 일이 진행됨의 비유,
◎ 殷鑑不遠(은감불원)
은(殷)나라 왕이 거울삼을 만한 것은 먼 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본받을 만한 좋은 전례(前例)는 가까운 곳에 있다는 말. -시경,대아탕편-
◎ 隱居放言(은거방언)
隱:숨을 은, 居:살 거, 放:놓을 방, 言:말씀 언,
세상을 피해 숨어 살면서 자신의 몸을 깨끗이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담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논어 미자편-
◎ 隱公左傳(은공좌전)
좌전을 읽을 결심(決心)을 하고서, 처음의 은공의 조목에서 싫증이 남.
◎ 慇懃無禮(은근무례)
慇:괴로워할 은, 懃:우수할 근, 無:없을 무, 禮;예절 례.
지나치게 은근하게 대접하여 오히려 무례함, 표면은 지극히 친절하지만
실은 대단히 교만하고 잘난 체함의 비유,
◎ 銀鱗玉尺(은린옥척)
銀:은 은, 鱗:비늘 린, 玉:구슬 옥, 尺:자 척.
모양이 좋은 큰 물고기, 물고기의 미칭(美稱).
◎ 恩反爲仇(은반위구) = 은반위수
恩:은혜 은, 反:되돌릴 반, 爲:할 위, 仇:원수 구.
은혜가 도리어 원수가 됨.
◎ 隱不違親貞不絶俗(은불위친정부절속)
隱:숨을 은, 不:아닐 불, 違:어길 위, 親:친할 친,
貞:곧을 정, 不:아닐 부, 絶:끊을 절, 俗:풍속 속.
속세를 떠나 깊은 산중에서 살 망정 부모의 듯을 어기지 아니함이
진(晉)나라 개자추(介子推)와 같고, 바른 덕을 지키지만 세속의
눈에 거슬리는 언행을 하지 아니함이 노(魯)나라 柳下惠(유하혜)와 같음,
세상을 떠나 살지만 인격이 원만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
◎ 恩山德海(은산덕해)
恩:은혜 은, 山:뫼 산, 德:큰 덕, 海:바다 해.
산처럼 높고 바다와 같이 크고 넓은 은혜.
◎ 恩讎分明(은수분명)
讎:원수 수,
은혜를 받은 자에게는 반드시 받은 만큼의 은혜를 갚으며,
원한이 있는 자에게는 원한을 당한 만큼 갚는다는 뜻으로,
범수(范睢)가 한 끼 밥을 신세 진 정도의 작은 은혜도 반드시 갚고
눈을 흘긴 정도의 사소한 원한도 반드시 보복하였다는 데서 소인의 태도를 이름.
-사기-
◎ 恩甚怨生(은심원생)
恩:은혜 은. 甚:심할 심, 怨;원망할 원, 生;날 생.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이 도를 넘치면 오히려 원망을 받는다는 뜻.
◎ 隱若一敵國(은약일적국)
隱:숨을 은, 若:같을 약, 一:한 일, 敵:원수 적, 國:나라 국.
사람의 위엄(威嚴)의 대단함이 한 적국을 함부로 움직일 수 없음과 같다는 뜻. -후한서-
◎ 恩威竝行(은위병행)
恩;은혜 은, 威:위엄 위, 竝:아우를 병, 行:다닐 행.
은혜와 위엄을 아울러 베풂. -용재속필-
◎ 隱忍自重(은인자중)
隱:숨을 은, 忍:참을 인, 自:스스로 자, 重:무거울 중.
마음 속으로 참으며 몸가짐을 자중하는 것. 좋게 말하면 신중, 나쁘게 말하면 소극적임.
◎ 乙覽(을람) = 을야람
乙:새 을, 覽:볼 람.
임금이 글을 봄.
◎ 乙夜之覽(을야지람)
천자(天子)의 독서(讀書). 천자(天子)가 정무(政務)를 끝내고 취침하기 전
열 시경에 독서(讀書)를 하므로 이르는 말임.
◎ 陰德陽報(음덕양보)
남몰래 덕을 닦은 사람은 비록 사람들이 몰라준다 하더라도 하늘이 알아주어
겉으로 나타날 만한 복을 받는다는 것. -준남자-
◎ 陰德猶耳鳴(음덕유이명) = 음덕양보
陰:그늘 음, 德:큰 덕, 猶:오히려 유, 耳:귀 이, 鳴:울 명.
음덕은 귀에 울리는 소리 같아서 자기만이 알고 남은 모른다는 뜻.
◎ 飮馬投錢(음마투전)
말에게 물을 마시게 할 때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값을 갚는다는 뜻으로,
결백한 행실을 이름. -삼보결록-
◎ 吟味到達(음미도달)
吟:읊을 음, 味:맛 미, 到:이를 도, 達:통할 달.
빈틈없이 사고하면서 목적하는 바에 따라 이름.
◎ 飮水思源(음수사원)
물을 마실 때 수원(水源)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음을 일컫는 말.
◎ 飮食男女人之大慾存焉(음식남여인지대욕존언)
음식과 남여의 정은 인간의 가장 큰 욕정인만큼 삼가야 함을 이름. -예기-
◎ 飮食之人(음식지인)
飮:마실 음, 食:밥 식, 之:갈 지, 人:사람 인.
먹고 마시고 할 뿐인 사람, 음식만을 즐기는 사람. 본능에 따라서만 생활하는 사람.
◎ 喑啞叱咤(음아질타)
喑:벙어리 음, 啞:벙어리 아, 叱;꾸짖을 질, 咤:꾸짖을 타.
분기가 한꺼번에 터져나와서 큰 소리로 꾸짖음.
◎ 陰陽不調(음양부조)
음양이 서로 조화되지 아니함. -한서-
◎ 陰陽和而後雨澤降(음양화이후우택강)
陰:그늘 음, 陽:볕 양, 和:화할 화, 而;말이을 이, 後:뒤 후, 雨:비 우, 澤:가릴 택, 降:내릴 강.
하늘과 땅 사이에는 음양(陰陽)의 두 기(氣)가 조화하여 비를 내린다는 뜻으로
부부가 화합하여 비로소 집안이 번영함을 비유한 말.
-대대예천원편(大戴禮天員篇)-
◎ 陰雨之備(음우지비)
장맛비를 대비한다는 뜻으로, 위험한 일이나 곤란한 일이
생기기 전에 미리 대비함을 이름.
◎ 陰雨晦冥(음우회명)
陰:그늘 음, 雨:비 우, 晦:그믐 해, 冥:어두울 명.
비가 몹시 내려 캄캄함, 곧 난세(亂世)의 비유.
◎ 陰柔害物(음유해물)
겉으로는 유순(柔順)하나 속은 검어서 남을 해(害)치려는 간사(奸邪)한 사람.
◎ 飮人狂藥責人正禮(음인광약책인정례)
飮:마실 음, 人:사람 인, 狂:미칠 광, 藥:약 약, 責:꾸짖을 책, 人:사람 인, 正:바를 정, 禮:예절 례.
남에게 술을 강권(强勸)하고 그 취함을 책망한다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는 것.
◎ 陰地轉陽地變(음지전양지변)
陰;그늘 음, 地:땅 지, 轉:구를 전, 陽;볕 양, 變:변할 변.
음지가 양지 된다는 듯으로, 세상 일이란 돌고 돌아 불운과 행운이 뒤바귐을 이름.
◎ 淫者好酸(음자호산)
淫:음란할 음, 者:사람 자, 好:좋을 호, 酸:실 산.
색(色)을 좋아하는 사람은 신것을 좋아함.
◎ 陰柔害物(음유해물)
겉으로는 유순하나 속은 검어서 남을 해치려는 간사한 사람. -당서-
◎ 陰賊(음적)
마음속에 은근히 남을 해치려고 하는 생각을 품고 있는 것. -사기-
◎ 吟風弄月(음풍농월)
吟;읊을 음, 風;바람 풍, 弄:희롱할 농, 月:달 월.
바람을 쏘이면서 시가(詩歌)를 읊으며 달을 감상한다든지 한다는 데서,
풍아스러운 시를 짓는 것, 또 즐겨 시가를 흥얼대는 것을 말한다. -송사-
◎ 吟風咏月(음풍영월)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는 놀음.
◎ 飮河滿腹(음하만복)
많은 물이 있어도 마시는 분량은 배를 채울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를 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함의 비유. -장자-
◎ 飮河之願(음화지원) = 언서음화
飮:마실 음, 河:물 하, 之:갈 지, 願:원할 원,
원망(願望)하는 것이 사소(些少)한 것을 이름.
◎ 飮灰洗胃(음회세위)
재를 마시고 창자 속의 오탁물(汚濁物)을 씻어버린다는 뜻으로,
악한 마음을 고쳐 선(善)으로 돌아온다는 말. -남사-
◎ 邑各不同(읍각부동)
邑;고을 읍, 各:각각 각, 不:아닐 부, 同:한가지 동.
규칙이나 풍속이 각 고을마다 같지 않다는 뜻으로,
사람마다 의견이 서로 다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邑犬群吠(읍견군폐)
고을 개가 많이 모여 짖는다는 뜻으로, 많은 소인(小人)이 남을 비방함을 이름.
-종원의 시-
◎ 泣兒授乳(읍아수유)
우는 아이에게 젖을 준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자지가 요구해야 얻을 수 있음.
◎ 悒悒不樂(읍읍불락)
悒:근심할 읍, 不:아닐 불, 樂:풍류 락.
마음이 몹시 불쾌하고 답답하여 즐겁지 않음.
◎ 泣斬馬謖(읍참마속)
눈물을 머금고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신하(臣下)를
법(法)대로 처단(處斷)하여 질서(秩序)를 바로잡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촉지-
◎ 挹彼注玆(읍피주자)
挹: 뜰 읍.
멀리서 물을 길어다 필요한 곳에 부어준다는 데서 부족한 점을 메워주다,
배려가 깊음을 이르는 말. -시경-
◎ 泣血(읍혈)
泣:소리없이 울 읍, 血:피 혈.
소리를 내지 않고 욺, 눈물이 나오는 것이 피가 나오는 것과 같음을 이름. -예기-
◎ 應口輒對(응구첩대)
묻는 대로 거침없이 곧 대답함.
◎ 應機立斷(응기입단)
일을 경우(境遇)에 따라 임기응변(任期應變)으로 신속(迅速)히 처리(處理)함.
◎ 應對如流(응대여류)
應:응할 응, 對:대답할 대, 如;같을 여, 流:흐를 류.
남의 질문에 물 흐르듯이 대답하다. -남사 서면전-
◎ 應聲蟲(응성충)
應:응할 응, 聲:소리 성, 蟲:벌레 충.
아무런 소견도 없이 남의 말에 맞장구만 치는 추종자나 줏대없는 사람을 말한다.
-범정민의 둔재한람, 방원영의 문창잡록-
◎ 凝粧盛飾(응장성식)
凝:엉길 응, 粧:단장할 장, 盛:성할 성, 飾:꾸밀 식.
얼굴과 옷을 아름답게 단장하고 치장(治粧)함.
◎ 應接不暇(응접불가)
應:응할 응, 接:이을 접, 不:아닐 불, 暇:겨를 가.
일일이 응대하고 맞이할 겨를이 없다. 원래는 아름다운 경치가
연이어 나타나서
찬찬히 감상할 시간이 없는 것을 뜻했지만 오늘날에는
사건이 연이어 터져 깊이
생각하고 정리할 시간이 없는 것을 일컫게 되었다.
-세설신어 언어편-
◎ 應天順人(응천순인)
천명(天命)에 응하고 민의를 순응해서 일하는 것. -역경-
◎ 應化爲鳩(응화위구)
應:응할 응, 化:될 화, 爲:할 위, 鳩:비둘기 구.
중춘(仲春)의 계절(季節)을 이름. -예기-
◎ 耳加聰(이가총)
나날이 지식이 늘어 가는 것. -설원-
◎ 離間骨肉(이간골육)
離:떠날 이, 間:사이 간, 骨:뼈 골, 肉:고기 육.
부자, 형제의 사이를 이간질함. -진서-
◎ 以桀攻桀(이걸공걸)
바르지 못한 자가 바르지 못한 자를 공박함.
◎ 以鎌遮眼(이겸차안)
以:써 이, 鎌:낫 겸, 遮:막을 차, 眼:눈 안.
낫으로 눈을 가린다는 뜻.
◎ 以古爲鑑(이고위감)
옛것을 오늘의 거울로 삼는다는 뜻으로,
옛 성현(聖賢)의 말씀을 거울로 삼아 행동(行動)함.
-정관정요-
◎ 異曲同工(이곡동공)
異:다를 이, 曲:굽을 곡, 同:한가지 동, 工:장인 공.
연주(演奏)하는 곡은 다르지만 그 절묘함은 거의 같다는 뜻으로,
방법(方法)은 다르나 결과(結果)는 같음을 이르는 말.
◎ 以空補空(이공보공)
以:써 이, 空;빌 공, 補;두울 보.
제 자리에 있는 것으로 제 자리를 때운다는 뜻으로, 이 세상(世上)에는 공것이나
또는 거저 생기는 이득(利得)이 아무것도 없다는 뜻. 제살로 제 때우기
◎ 李公射石(이공사석)
李;오얏나무 이, 公;공변될 공, 射:쏠 사, 石:돌 석.
한 가지 일에 전념하면 불가능한 일도 가능해짐의 비유, 정신을 집중하면
돌조차도 꿰뚫을 수 있다. 사석음우(射石飮羽)와 같은 뜻.
◎ 李公身拓(이공신척) = 이공사석, 사석음우
한 가지 일에 전념하면 불가능한 일도 가능해짐을 비유.
정신을 집중하면 돌조차도 꿰뚫을 수 있다 -사기,이장군열전-
◎ 伊霍之事(이곽지사)
伊:저 이, 霍:빠를 곽, 之:갈 지, 事:일 사.
나라를 위하여 나쁜 임금을 몰아냄을 이르는 말.
[고사]은(殷)나라의 어진 재상 이윤(伊尹)이 태갑(太甲)을 동궁에 가두었다가
회개한 뒤에 도로 부른 일과, 한(漢)나라의 곽광(霍光)이
창읍왕(昌邑王) 하(賀)를 내치고 선제(宣帝)를 세운 일.
◎ 以管窺天(이관규천) = 이여측해
以:써 이, 管:대롱 관, 窺:엿볼 규, 天;하늘 천.
대의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소견이 좁음을 이름.
◎ 異口同音(이구동음) = 異口同聲(이구동성) = 여출일구
모든 사람의 말이나 의견이 일치됨. -송서-
◎ 異國情緖(이국정서)
異:다를 이, 國:나라 국, 情:뜻 정, 緖:실마리 서.
자기 나라에서는 볼 수가 없는 다른 나라의 풍물(風物)과 정서(情緖).
◎ 利國便民(이국편민)
利:이로울 이, 國:나라 국, 便:편할 편, 民:백성 민.
나라를 이롭게 하고 백성의 생활을 편안하게 함.
◎ 離群索居(이군삭거)
붕우(朋友)의 무리를 떠나 독거함을 이르는 말,
군(群)은 동문(同門)의 벗, 삭(索)은 흩어짐. -예기-
◎ 離群絶俗(이군절속)
離:떠날 이, 群:무리 군, 絶:끊을 절, 俗:풍속 속.
속세와는 인연을 끊고 홀로 거처함.
◎ 貽厥嘉猷(이궐가유)
도리(道理)를 지키고 착함으로 자손(子孫)에 좋은 것을 끼쳐야 함.
◎ 履屐俱當(이극구당)
履:신 이, 屐:나막신 극. 俱:함께 구, 當:마땅할 당.
맑은 날에는 신으로 쓰이고, 궃은 날에는 나막신으로 쓰인다는 뜻으로,
곧 온갖 재주를 구비하여 못할 일이 없음을 비유한 말.
◎ 履屐之才(이극지재)
履:신 이, 屐:나막신 극, 之:갈 지, 才:재주 재.
아주 섬세한 일에까지 미치는 재주, 이극은 아주 섬세한 것을 뜻함.
◎ 利根鈍根(이근둔근)
利:이로울 이, 根:뿌리 근, 鈍:둔할 둔.
[불교]이근(利根)은 천성이 예민한 것, 둔근(鈍根)은 천성이 미련한 것을 이름.
-법화경-
◎ 以琴心挑(이금심도)
以:써 이, 琴:거문고 금, 心:마음 심, 挑:끌어낼 도.
그리워하는 마음을 거문고 소리에 나타내어 여자의 마음을 움직임. -사기-
◎ 以杞包瓜(이기포과)
以;써 이, 杞:구기자 나무 기, 包;쌀 포, 瓜:오이 과.
사악(邪惡)을 제지함의 비유. 또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 겸양하여
현자를 찾는 것,
큰 나무에 휘감긴 오이씨가 익어서 저절로 떨어지듯이,
올바르게 사는 사람은 시기가
익는 것을 기다려 적절히 처신하면 사악한 자는 저절로 물러간다는 것. -역경-
◎ 理氣合一(이기합일)
理:다스릴 이, 氣:기운 기, 合:합할 합, 一:한 일.
명(明)나라 왕양명(王陽明)의 설(說)로서, 주자학(朱子學)에서는
이(理)와 기(氣)를 구별하여 논했는데 양명은 천지는 원래가
한 원기(元氣)로서, 이(理)는 기(氣)속의 조리(條理)라고
주장했으니 이를 이기합일이라고 함. -전습록-
◎ 異端(이단)
정통이 아닌 가르침, 단은 끝, 가장자리,
정통의 입장에서 보아 다른 한 끝에 있다는 뜻. -논어-
◎ 以短攻短(이단공단)
자기의 결점을 생각하지 않고 남의 잘못을 비난함. -채근담-
◎ 耳談續纂(이담속찬)
범을 말하니 범이 오고, 사람을 말하니 사람이 오더라.
◎ 以德報怨(이덕보원)
원수에게 덕으로써 보답함. -논어-
◎ 以德服人(이덕복인)
以:써 이, 德:큰 덕, 服:옷 복, 人:사람 인.
덕행으로써 다른 사람을 심복시킴.
◎ 二桃殺三士(이도살삼사)
桃:복숭아나무 도, 殺:죽일 살,
두 개의 복숭아로 세 무사를 죽이다.
교묘한 계략으로 상대를 자멸하게 하는 것에 비유. -안자춘추1권 하편-
◎ 以道制欲卽樂而不亂(이도제욕즉낙이불란)
以:써 이, 道:길 도, 制:억제할 제, 欲:바랄 욕,
卽:곧 즉, 樂:즐거울 락,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亂:어지러울 란.
도리(道理)로써 욕정(欲情)을 절제하게 되면 안락하여 어지러운바가 없다는 것.
-예기-
◎ 以毒攻毒(이독공독)
독으로써 독을 친다. 악을 누르느데 다른 악을 이용함을 말함. -전등록-
◎ 以毒制毒(이독제독)
이열치열과 같은 뜻. 다른 독물을 제거하기 위해 독을 사용한다. 보등록-
◎ 移動就西(이동취서)
移:옮길 이, 東:동녘 동, 就:나아갈 취, 西:서녘 서.
이곳에 있는 것을 저곳으로 바꾸어 놓는 것. -구당서-
◎ 以頭搶地(이두창지)
머리를 땅에 부딪치며 엎드려 애걸하는 것. -전국책,위책-
◎ 以樂治心(이락치심)
以:써 이, 樂:즐거울 락, 治:다스릴 치, 心:마음 심.
아름다운 음악으로 괴로운 마음을 달랜다는 뜻.
◎ 以卵投石(이란투석)=以卵擊石(이란격석)
①계란으로 돌을 친다 함이니 아무리 하여도 소용없는 일을 비유한 말.
-묵자-
②강약의 대비가 현저해서 지극히 약한 것으로 지극히 강한 것을
공격하면 반드시
실패한다는 뜻이다. -순자 의병편-
◎ 以蠟代薪(이랍대신)
以:써 이, 蠟:밀 랍, 代:대신할 대, 薪:섶나무 신.
땔나무 대신 초를 땐다는 뜻으로,지나치게 사치스러운 것을 비유한 말. -진서-
◎ 以蠡測海(이려측해)
以:써 이, 蠡:좀먹을 려(표주박 리), 測:젤 측, 海;바다 해.
표주박으로 바다를 잰다는 뜻으로, 얕은 식견(識見)으로 심대한 사리(事理)를
헤아린다는 말.또 소견이 천박함을 이름.
◎ 以力假仁(이력가인)
병력으로써 세력을 확장하면서 겉으로는 어진 마음에서 우러나와 하는 것처럼
본성을 가장함을 이르는 말로 패자(覇者)를 이름. -맹자-
◎ 利令智昏(이령지혼)
利:이로울 이, 令:하여금 령, 智:지혜 지, 昏:어두울 혼.
이익은 지혜를 어둡게 만든다. -사기 평원군열전찬-
◎ 異路同歸(이로동귀)
가는 길은 다르되 도달하는 곳은 같다는 뜻으로,
방법은 다르되 귀착점은 같다는 말. -준남자-
◎ 理路整然(이로정연)
理:다스릴 이, 路:길 로, 整:가지런할 정, 然:그러할 연.
의론, 언설(言說) 등 사리가 잘 통하고 정연한 모양.
◎ 以鹿爲馬(이록위마)
사슴을 말이라고 우겨댄다는 뜻으로, 윗사람을 기만(欺瞞)하고
권세(權勢)를 휘두름을 이르는 말.
◎驪龍之珠(이룡지주)
驪;검은 말 이, 龍:용 룡, 之:갈 지, 珠:구슬 주,
귀중한 구슬, 이것을 얻으려면 극히 위험하므로 위험을 무릎쓰고
큰 이득을 얻는 것에 비유해서 쓰는 말. 이(驪)는 흑색의 뜻. -장자-
◎ 離婁之明(이루지명)
안력(眼力), 시력이 지극히 밝은 것을 말한다.
이루는 옛날 중국의 황제(黃帝) 때의 눈 밝은 사람의 이름. -맹자 이루 상-
◎ 彛倫攸斁(이륜유두)
彛:떳떳할 이, 倫:인륜 륜, 攸:바 유, 斁:섞을 두.
항상 지켜야 할 인륜(人倫)의 도(道)가 패(敗)하여 문란함. -서경-
◎ 以隣爲壑(이린위학)
以:써 이, 隣:이웃 린, 爲:할 위, 壑:골 학.
재앙을 남에게 전가하다. 다른 사람의 사정은 전혀 돌보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
챙기는 태도를 말한다. -맹자 고금장구 하편-
◎ 而立(이립)
而:말이을 이, 立:설 립.
30세를 이르는 말. 30세에 시서예악(시서예악)의 학(학)을 궁구했다는 것,
또는 30세에 자립하는 것, -논어-
◎ 夷蠻戎狄(이만융적)
夷:오랑캐 이, 蠻:오랑캐 만, 戎:되 융, 狄:오랑캐 적.
동쪽의 이(夷), 남족의 만(蠻), 소족의 융(戎), 북쪽의 적(狄),
곧 모든 오랑캐를 가리키는 말.
◎ 魑魅(이매)
魑:도깨비 리(이), 魅:도깨비 매,
산이나 내에 있다고 하는 네 발 도깨비, 인면수심(人面獸身)으로 사람을 잘 홀린다고 함.
◎ 魑魅魍魎(이매망량)
魑:도깨비 리(이), 魅:도깨비 매, 魍:도개비 망, 魎:도개비 량.
괴상망측한 요괴에 대한 총칭으로, 암암리에 사람들을 해치는 악한이나
암적 존재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 裏面不知(이면부지)
①체면(體面)을 차리고 경위를 알 만한 지각(知覺)이 없음
②또는, 그러한 사람.
◎ 裏面的事(이면적사)
裏:속 이, 面:낯 면, 的:과녁 적, 事:일 사.
비밀스러운 일을 이름. -수허지-
◎ 以毛相馬(이모상마)
다만 털을 보아 말의 좋고 나쁨을 분간하듯이
①외모만 보고 그 실력을 보지 않음을 이름.
②사람을 보되 그 실력을 보지 않고 다만 그 하는 말이 그럴 듯함을 취한다는 뜻.
-염철론,이의-
◎ 二毛之年(이모지연)
센 털이 나기 시작하는 나이란 말로서 서른 두살의 뜻.
◎ 以貌取人(이모취인)
생김새로 사람을 취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어질고 어질지 않음을 보는 데
그 사람의 덕의 여하(如何)는 고려(考慮)하지 않고,
다만 용모(容貌)의 미추만을 보고 정(定)하는 행위(行爲).
-사기,중니제자열전-
◎ 怡目(이목)
怡:기쁠 이, 目:눈 목.
아름다운 것을 보고 즐기는 것. -사령운(謝靈運)-
◎ 耳目煩多(이목번다)
耳:귀 이, 目:눈 목, 煩:괴로워할 번, 多:많을 다.
사람이 많다는 뜻.
◎ 耳目收拾(이목수습)
耳:귀 이, 目:눈 목, 收:거둘 수, 拾:주울 습.
남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는 여론이나 상태 따위를 좋게 처리함.
◎ 耳目之官(이목지관) = 耳目之司(이목지사)
耳:귀 이, 目:눈 목, 官:벼슬 관.
◎ 耳目之官(이목지관)
①임금의 이목(耳目)이 되어서 국가(國家)의 치안(治安)을 보호(保護)하던
관리(官吏). 곧 어사대부(御史臺夫)의 일컬음 ②귀와 눈의 하는 일
-맹자-
◎ 移木之信(이목지신)
임금의 신의를 일컬음.
나무를 옮기기로 한 믿음이라는 뜻으로, 신용을 지킴을 이르는 말. -사기-
[고사]진(秦)나라 효공(孝公) 때 상군(商君) 위앙(衛鞅)이 나무를 세워놓고
나무를 옮기는 자에게 50금(五十金)을 주겠다고 해놓고 누군가가 그
일을 하자 약속을 이행했다는 옛일에서 온 말.
◎ 耳目之欲(이목지욕)
耳:귀 이, 目:눈 목, 之:갈 지, 欲:바랄 욕.
①귀로 듣고 눈으로 봄으로써 생기는 물질에 대한 욕망. ②여러 가지 종류의 욕망.
◎ 移夢假夢(이몽가몽)
移:옮길 이, 夢:꿈 몽, 假:거짓 가.
꿈인지 생시인지 의식이 똑똑하지 않은 모양.
◎ 以無訟爲貴(이무송위귀)
以:써 이, 無:없을 무, 訟:송사할 송, 爲:할 위, 貴:귀할 귀.
천하(天下)가 무사(無事)하게 다스려져 쟁송(爭訟) 등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는 뜻. -논어-
◎ 利門名路(이문명로)
利:이로울 이, 門:문 문, 名:이름 명, 路:길 로.
이익과 명예를 얻는 길. -두순학의 시-
◎ 耳聞目見(이문목견)
耳:귀 이, 聞:들을 문, 目:눈 목, 見:볼 견.
귀로 듣고 눈으로 봄, 곧 실지로 경험함.
◎ 耳聞不如目見(이문불여목견)
耳:귀 이, 聞:들을 문, 不:아닐 불, 如:같을 여, 目:눈 목, 見:볼 견.
귀로 남의 말을 듣는 것보다 자기 눈으로 직접 보는 것이 더욱 명백하고 알기 쉬움.
-설원-
◎ 以文章取士(이문장취사)
以:써 이, 文:글월 문, 章:글 장, 取:취할 취, 士:선비 사.
문자 시험으로 선비를 채용하는 것. -문헌통고-
◎ 以文會友(이문회우)
학문에 뜻을 두는 사람들을 벗으로 모으는 것, 문(文)은 구체적으로는 유교의
기본적인 경전인 시경, 서경, 예기 등을 가리킨다. -논어,안연편-
◎ 以民爲天(이민위천)
백성을 생각하기를 하늘같이 여긴다는 뜻,
백성을 소중히 여겨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으로 삼음. -사기-
◎ 已發之矢(이발지시)
已:이미 이, 發:쏠 발, 矢:화살 시.
이미 쏘아진 화살, 곧 이왕에 시작한 일을 중지하거나 어려움을 이르는 말.
◎ 以放麑爲人(이방예위인)
以;써 이, 放:놓을 방, 麑:사슴새끼 예, 爲:할 위, 人:사람 인.
진서파(秦西巴)의 고사(故事)로서 임금이 맡긴 사슴새끼를 놓아 주어
임금의 명을 어겼으나 그 마음은 어질다는 뜻. -한비자-
◎ 二百年來無此詩(미백년래무차시)
二:두 이, 百:일백 백, 年:해 년, 來:올 래, 無:없을 무, 此:이를 차, 詩:시 시.
시가 묘한 것을 찬상(讚賞)하는 말. -제서-
◎ 利不可獨食(이불가독식)
利:이로울 리, 不:아닐 불, 可:옳을 가, 獨;홀로 독, 食:밥 식.
이익을 혼자 차지하지 못한다는 말
◎ 以不敎民戰是謂棄之(이불교민전시위기지)
以:써 이, 不;아닐 불, 敎:가르칠 교, 民:백성 민,
戰:싸울 전, 是:바를 시, 謂:이를 위, 棄:버릴 기,
之:갈 지.
평상시(平常時)부터 훈련(訓練)하여 놓지 않은 백성(百姓)을
싸우게 하는 것은 그 백성을
버려 죽이는 것과 같다는 뜻. -논어-
◎ 二不能二短(이불능이단)
명인(名人)이라 할지라도 부족한 데가 있음을 이름. -후산총서-
◎ 泥佛渡川(이불도천)
泥:진흙 이, 佛:부처 불, 渡:건널 도, 川:내 천.
흙으로 만든 부처님이 내를 건넌다 함이니 무용유해(無用有害)하다는 뜻.
-패관잡기(稗官雜記)-
◎ 利不百不變法(이불백불변법)
利:이로울 이, 不:아닐 불, 百:일백 백, 變:변할 변, 法:법 법.
현행의 이익이 100배 늘기 전에는 현행의 법을 고치지 않음을 이름. -상자갱법편-
◎ 利不十不易業(이불십불역업)
利:이로울 이, 不:아닐 불, 十:열 십, 易:바꿀 역, 業:업 업.
이익이 10배 늘기 전에는 지금의 직업을 바꾸지 않음을 이름.
◎ 二不中間(이불중간)
二:두 이, 不;아닐 불, 中:가운데 중, 間:사이 간.
석가여래가 입멸(入滅)한 후 56억 7000만년을 지나
미륵보살이 출현하기 까지의 시간,
곧 지금 세상.
◎ 以不貪爲寶(이불탐위보)
以:써 이, 不:아닐 불, 貪:탐낼 탐, 爲:할 위, 寶:보배 보.
탐욕을 하지 않는 것을 보배로 여김. -좌전-
◎ 以不解解之(이불해해지)
글씨 뜻을 해석함에 있어서 어려운 데를 억지로 해석하면 곡해(曲解)하기
쉬우므로 일부러 해석하지 말고 마음속으로 생각하여 두면 곡해를 면할 수 있고
또 자연히 바르게 해석할 수 있다는 말. -여람-
◎ 嫠不恤緯(이불휼위)
嫠:과부 이(리), 不:아닐 불, 恤:구휼할 휼, 緯:씨줄 위.
이(嫠)는 과부, 위(緯)는 횡사(橫絲)임, 과부는 항상 베틀에서 베를 짜므로
씨(緯))가 모자라는 것을 걱정하는 법인데 지금 이것을 걱정안한다는 뜻으로,
초야의 이름없는 과부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대장부로서 나라를 염려하는
마음이 없어서 되겠느냐는 뜻.
◎ 吏非吏(이비리)
吏:아전 이, 非:아닐 비,
관리로서 관리다운 행위를 하지 않는 것. -진서-
◎ 以死爲限(이사위한)
以:써 이, 死:죽을 사, 爲:할 위, 限:한정할 한.
죽음으로써 한정(限定)을 삼는다는 뜻으로, 죽음을 각오하고서 일을 하여 나간다는 말,
곧 죽기 전에 그만 두지 않음.
◎ 二三其德(이삼기덕)
덕이 여러가지로 변한다는 뜻으로 이랬다 저랬다 함.
곧 지켜야 할 덕을 한결같이 하지 않고 바꿈을 이름. -시경-
◎ 履霜堅氷至(이상견빙지)
서리가 내리면 얼마 가지 않아 이윽고는 단단한 얼음이 얼게 된다는 데서,
사물도 작은 일들이 쌓이고 쌓여 큰 일에 이른다는 것,
악(惡)의 움직임은 처음에는 하찮은 것일지라도 그대로 두면 큰 악이 된다는 뜻. -역경-
◎ 利上生利(이상생리)
利:이로울 이, 上:위 상, 生:날 생.
①이익을 본 위에 더 이익을 봄. ②장사하여 이익을 남김.
◎ 履霜之戒(이상지계)
서리를 밟는 경계(警戒)라는 뜻으로, (서리가 내리는 계절(季節)이 되면
머지않아 얼음이 얼므로) 조짐(兆朕)을 보아 미리 재앙(災殃)에 대비(對備)하는 경계(警戒).
◎ 利生方便(이생방편)
利:이로울 이, 生:날 생, 方:모 방, 便:편할 편.
중생에게 이익을 주는 부처의 묘한 방법.
◎ 以書御者不盡馬情(이서어자부진마정)
以:써 이, 書:글 서, 御:어거할 어, 者:사람 자,
不:아닐 부, 盡:다할 진, 馬:말 마, 情:뜻 정.
무슨 일이든지 경험을 쌓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뜻. -전국조책-
◎ 以鼠爲璞(이서위박)
아무것도 아닌 것을 보물로 여기는 것을 이름. -전국책-
◎ 利析秋毫(이석추호)
利:이로울 이, 析:쪼갤 석, 秋:가을 추, 毫:가는 털 호.
사소한 이해라도 따져 밝힌다는 뜻으로, 인색함을 일컫는 말.
◎ 以石投水(이석투수)
以:써 이, 石:돌 석, 投:던질 투, 水:물 수,
물에 돌을 던지면 물속으로 돌이 잠기듯, 간(諫)한 말이 잘 받아 들여짐,
또 흔적이 반드시 남음.
◎ 二姓之好(이성지호)
姓;성 성, 好:좋을 호.
시가와 친가가 서로 화목함, 곧 사돈간의 화목함을 이름.
◎ 二姓之合(이성지합)
다른 성을 가진 남녀의 결합, 곧 결혼을 이르는 말.
◎ 以聖賢爲杖(이성현위장)
以:써 이, 聖:성스러울 성, 賢:어질 현, 爲:할 위, 杖:지팡이 장.
성현으로써 지팡이를 삼는다는 뜻으로, 성현의 도로써 몸을 보존함을 이르는 말.
-세설신어-
◎ 異世同調(이세동조)
때는 다르되 가락은 같다는 뜻으로 사람의 세상은 고금(古今)이 다름이 없다는 뜻.
-사령운의 시-
◎ 離騷(이소)
離:떠날 이, 騷:근심스러울 소.
이(離)는 만남, 걸림, 소(騷)는 시름의 뜻으로.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지은 사부(辭賦).
참소에 의하여 초(楚)나라의 조정에서 쫓겨나 실의(失意)에 찬 나머지
멱라수(汨羅水)에 빠져죽을 결심을 하기까지의 무한한 시름을 적은 장시(長詩).
한(漢)나라의 유향(劉向)이 엮은 초사(楚辭)중에서 제1로 뽐힘.
(멱:汨골몰할 골, 물이름 멱)
◎ 鯉素(이소)
鯉:잉어 리(이). 素:흴 소.
잉어의 뱃속에서 흰 비단에 쓴 편지가 나왔다는 고사에서 편지를 이름.
◎ 理所固然(이소고연) = 이소당연
理:다스릴 이, 所:바 소, 固:굳을 고, 然:그러할 연.
이치가 마땅히 그러함.
◎ 以少凌長(이소능장)
以:써 이, 少:적을 소, 凌:능가할 능, 長:긴 장.
젊은 사람이 나이 많은 사람에게 무례한 언행(言行)을 함.
◎ 以小事大(이소사대)
以:써 이, 小:작을 소, 事:일 사, 大:큰 대.
작은 것으로 큰 것을 섬김, 곧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섬기는 일.
◎ 二疎散金(이소산금)
疎:트일 소, 散:흩을 산, 金:쇠 금.
두 소씨가 재산을 다 흩부리다. 나라로부터 받은 하사품을 자신이나
집안을 위해 쓰지
않고 나라 사람들과 함께 썼다는 뜻이다. 두 소씨란 소광과
그의 조카 소수를 말한다.
-한서 열전 권41-
◎ 離疏釋蹻(이소석교)
離:떠날 이, 疏:트일 소, 釋:해석할 석, 蹻:발돋음할 교.
거친 식사를 중지하고 낡아 빠진 짚신을 벗어버린다는 뜻으로,
천한 생활을 버리고 고상한 생활을 함을 이름. -한서-
◎ 以小成大(이소성대)
以:써 이, 小:작을 소, 成:이룰 성, 大:큰 대.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하여 큰 일을 이름.
◎ 以小易大(이소역대)
易:바꿀 역.
작은 것으로 큰 것과 바꿈.
◎ 耳屬于垣(이속우원)
耳:귀 이, 屬:이을 속, 于:어조사 우, 垣:담 원.
귀를 담에 대고 엿듣는다는 뜻으로, 남이 듣지 않는 곳에서도 말을 삼가라는 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말과 같다.
◎ 利鎖名韁(이쇄명강)
利:이로울 이, 鎖:쇠사슬 쇄, 名:이름 명, 韁:고삐 강.
명리(名利)에 얽매여 신체의 자유가 없음을 이름. -왕서(王曙)의 시(詩)-
◎ 以手加額(이수가액)
以:써 이, 手:손 수, 加:더할 가, 額:이마 액.
손을 이마에 대고 멀리 바라보는 것. -송사(宋史)-
◎ 以水求水(이수구수)
以:써 이, 水:물 수, 求:구할 구,
물에 물을 대한다는 뜻으로, 위세에 세력을 더함을 이르는 말. -장자-
◎ 以隋珠彈雀(이수주탄작)
以:써 이, 隋:제사 고기 나머지 수, 珠;구슬 주, 彈:탄알 탄, 雀:참새 작.
매우 귀중한 보석을 써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얻는 것이 잃는 것보다
적음을 비유한 말, 손실이 이익보다 많은 것,
수주는 수후(隋侯)가 큰 뱀을 구해 주어 그 사례로 뱀에게서
받았다고 전해지는 보석.
◎ 泥首含玉(이수함옥)
머리를 진흙에 묻고 입에 구슬을 문다는 뜻으로,
사조, 항복할 때의 모습을 형용한 말. -후한서-
◎ 耳順(이순)
耳:귀 이, 順:순할 순.
귀가 순해진다는 뜻으로, 60세를 이르는 말.
60세가 되면 어떤 사람의 의견이라도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 -논어-
◎ 以升量石(이승양석)
되로 섬곡식을 된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현명한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회남자-
◎ 耳視目聽(이시목청)
耳:귀 이 視:볼 시, 目:눈 목, 聽:들을 청.
귀로 보고 눈으로 듣다. 눈치가 빠르고 총명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열자 중니편-
◎ 耳食(이식)
耳:귀 이, 食:밥 식.
음식을 직접 맛보지 않고 단지 그 맛을 남에게 듣는 것같이
남의 이야기를 건성으로 듣는 것. -사기-
◎ 以食爲天(이식위천)
먹는 것은 백성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한서,역이기전-
◎ 耳食之徒(이식지도)
耳:귀 이, 食:밥 식, 徒:무리 도.
듣기만 하고 그 맛을 판단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얄팍한 지혜를 가진 자의 비유,
이식(耳食)은 귀로 먹다, 곧 번지수가 다르다는 뜻. -사기-
◎ 履新(이신)
①새로운 것을 밟는다는 뜻으로, 신년(新年)을 달리 이르는 말
②관리(官吏)가 처음 부임(赴任)하는 것을 이르는 말.
◎ 以臣伐君(이신벌군)
以:써 이, 臣:신하 신, 伐:칠 벌, 君:임금 군.
신하로서 군사를 일으켜 임금을 침.
◎ 以身殉利(이신순리)
목숨을 내던지면서까지 이익을 추구하는 것.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몸을 망치는 것. -장자,변무-
◎ 頤神養性(이신양성)
頤:턱 이, 神:귀신 신, 養:기를 양, 性:성품 성.
마음을 가다듬어 고요하게 정신(精神)을 수양함.
◎ 以身役物(이신역물)
물욕에 의해 내 한 몸이 도리어 물건의 사역(使役)을 당하는 것. -준남자-
◎ 以信爲本(이신위본)
以:써 이, 信:믿을 신, 爲할 위, 本;근본 본.
신의를 근본으로 삼다. 아무리 어려운 처지에 놓여도 신의(信義)를 저버려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삼국지-
◎ 以身作則(이신작칙)
以:써 이, 身:몸 신, 作:지을 작, 則:법칙 칙.
자기가 남보다 먼저 실천하여 모범을 보임으로써, 일반 공중이
지켜야 할 법칙이나 준례를 만듦.
◎ 以實直告(이실직고)
以:써 이, 實:열매 실, 直:곧을 직, 告:고할 고.
있는 사실을 바른대로 고한다는 말. 이실고지(以實告之)라고도 함.
◎ 以心傳心(이심전심)
석가(釋迦)와 가섭이 마음으로 마음에 전한다는 뜻으로,
①말로써 설명(說明)할 수 없는 심오(深奧)한 뜻은 마음으로
깨닫는 수밖에 없다는 말 ②마음과 마음이 통(通)하고,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意思)가 전달(傳達)됨. -전등록, 오등회원-
◎ 二十四孝(이십사효)
孝:효도 효.
역사상 효성으로 이름을 떨쳤던 스물 네명의 효자를 말한다.
◎ 以羊易牛(이양역우)
작은 것으로 큰 것의 대용으로 삼는 것. 양은 작은 것, 우는 큰 것에 비유한다. -맹자-
◎ 易於反掌(이어반장)
사람의 태도가 싹 일변하는 것. -한서,매승전-
◎ 鯉魚風(이어풍)
음력9월의 바람, 가을 바람.
◎ 以言取人(이언취인)
사람의 언론만을 듣고 그 사람이 어질다고 판단함을 이름. -사기-
◎ 易如反掌(이여반장)
易:쉬울 이, 如:같을 여, 反:되돌릴 반, 掌;손바닥 장.
여반장, 손바닥 뒤집듯이 일이 쉽다.
'누워서 떡먹기'나 '식은 죽먹기'등의 속담과 비슷하다. -맹자 공손추장구 상편-
◎ 以蠡測海(이여측해)
以:써 이, 蠡:좀먹을 여, 測:잴 측, 海:바다 해.
소견(所見)이 지극히 천박한 것에 비유한 말,
여(蠡)는 작은 표주박이라는 말이니 그렇게 작은 물건으로
바다를 헤아리고자하나 신통한 보람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 -한서-
◎ 移易不得(이역부득)
以:써 이, 易:바꿀 역, 不:아닐 부, 得:얻을 득.
달리 변통할 수 없음.
◎ 怡然(이연)
怡:기쁠 이, 然:그러할 연,
①기뻐하는 형용(形容).
②거침없이 사물(事物)의 도리(道理)가 풀리는 모양. -사기-
◎ 怡悅(이열)
怡:기쁠 이, 悅:기쁠 열.
진심으로 기뻐하고 만족(滿足)함. -도홍경(陶弘景)-
◎ 以熱治熱(이열치열)
以:써 이, 熱:더울 열, 治:다스릴 치,
열(熱)은 열로써 다스린다는 뜻으로, 힘에는 힘으로
또는 강(强)한 것에는 강(强)한 것으로 상대함을 이르는 말.
◎ 以誤傳誤(이오전오)
以:써 이, 誤:그릇할 오, 傳:전할 전.
헛소문이 꼬리를 물고 번져 간다는 뜻.
◎ 以訛傳訛(이와전와)
以:써 이, 訛:그릇될 와, 傳:전할 전.
거짓말에 또 거짓말이 섞여서 자꾸 거짓 전하여 감.
◎ 易往無人(이왕무인)
易:쉬울 이, 往:갈 왕, 無:없을 무, 人:사람 인.
본원염불(本願念佛)에 의하여 쉽게 극락왕생(極樂往生)할 수 있으나
본원은 믿기 어려운 고로 실제로는 극락왕생을 이루는 사람이 없음.
◎ 以往察來(이왕찰래)
과거(過去)의 사례(事例)를 살펴봄으로써 미래(未來)를 미루어 짐작(斟酌)한다는 말.
◎ 以欲傷生(이욕상생)
욕심 때문에 삶을 해침. -회남자-
◎ 利用厚生(이용후생)
利;이로울 이, 用:쓸 용, 厚;두터울 후, 生:날 생.
기물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재물을 풍부하게 하여 백성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서경 대우모편-
◎ 犁牛之喩(이우지유)
犁:얼룩 이, 牛:소 우, 喩:깨우칠 유.
얼룩소의 새끼라도 적갈색 털이고 뿔이 제대로 되어 있으면
결코 버려두지 않는다는
데서 나온 말로, 아버지가 부덕해도 아들이 훌륭하면
그 아들은 반드시 인정받아
등용되는 것을 말한다. -논어-
◎ 以爲口實(이위구실)
남에게 구실이나 변명, 핑계거리를 주는 것. -서경,중훼지고-
◎ 以有涯隋無涯(이유애수무애)
유한(有限)한 인생이 무한(無限)한 진리를 탐구하기가 지극히 힘들고 어렵다는 말.
-장자-
◎ 易輶攸畏(이유유외)
매사(每事)를 소홀(疏忽)히 하고 경솔(輕率)함은 군자(君子)가
진실(眞實)로 두려워하는 바임.
◎ 以肉去蟻(이육거의)
고기를 가지고 개미를 쫓는다는 뜻으로, 수단과 방법을 그르치면 도리어 역효과를
초래함을 이르는 말. -한비자-
◎ 以肉委餓虎(이육위아호)
以:써 이, 肉:고기 육, 委:맡길 위, 餓:주릴 아, 虎:범 호.
아무 가치 없음. 개죽음을 비유하는 말. -사기-
◎ 伊尹太公之謀(이윤태공지모)
伊:저 이, 尹:다스릴 윤, 太:클 태, 公:공변될 공, 之:갈 지, 謀:꾀할 모.
이윤(伊尹)은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정승,
태공(太公)은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스승으로 상부(尙父)한 존경을 받은
태공망여상(太公望呂尙)으로 모두 옛날의 대신(大臣)임,
따라서 천하(天下)를 잘 다스리는 계책(計策)을 이름. -소식의 유우론-
◎ 二律背反(이율배반)
두 가지 규율(規律)이 서로 반대(反對)된다는 뜻으로,
①동일(同一) 법전(法典)에 포함(包含)되는 개개 법문(法文) 간(間)의 모순(矛盾)
②꼭 같은 근거(根據)를 가지고 정당(正當)하다고 주장(主張)되는
서로 모순(矛盾)되는 두 명제(命題), 서로 모순(矛盾)되는 명제(命題).
즉 정립(定立)과 반립(反立)이 동등(同等)의 권리(權利)를 가지고
주장(主張)되는 것을 일컫는 말.
◎ 已矣勿論(이의물론)
已:이미 이, 矣:어조사 의, 勿:말 물, 論:논의할 논.
이미 지나간 일은 다시 논의하지 아니함.
◎ 以義制事(이의제사)
以:써 이, 義:옳을 의, 制:억제할 제, 事:일 사.
일을 행함에 있어 의(義)를 근본으로 함. -서경-
◎ 以二卵棄干城之將(이이란기간성지장)
以:써 이, 二:두 이, 卵:알 란, 棄:버릴 기, 干:방패 간, 城:재 성, 之:갈 지, 將:장수 장.
사소한 일로 명장(名將)을 잃은 것을 비유한 말. -공총자(孔叢子)-
◎ 耳而目之(이이목지)
귀로 듣고, 눈으로 봄. 즉 틀림이 없다는 것. -여씨춘추-
◎ 以夷制夷(이이제이)
오랑캐로 오랑캐를 제압한다는 뜻으로, 외국끼리 서로 싸우게 함으로써
그 세력을
억제하여 자국의 이익과 안전을 꾀하는 외교정책을 말한다.
◎ 以人爲鑑(이인위감)
남의 성공과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을 경계함을 이르는 말. -당서-
◎ 以人爲鏡(이인위경)
주위 사람들의 행동을 잘 지켜보고, 스스로의 행동을 올바르게 하는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목자,비공 중-
◎ 以蚓投魚(이인투어)
以:써 이, 蚓:지렁이 인, 投;던질 투, 魚:물고기 어.
미물인 지렁이로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것이라도
다 쓸모가 있음을 이르는 말. -수서-
◎ 以一警百(이일경백)
以:써 이, 一:한 일, 警:경계할 경, 百:일백 백.
(본보기로)한 사람을 징계하여 여러 사람의 경계(警戒)가 되게 함.
◎ 以一簣障江河(이일궤장강하)
以:써 이, 簣:삼태기 궤, 障:막힐 장, 江:큰 내 강, 河:물 하.
한 삼태기의 흙으로 양자강과 황하의 물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력으로 큰 난리를 막으려고 함, 곧 불가능한 일의 비유.
강하(江河)는 장강(長江), 곧 양자강과 황하를 가리킴. -한서-
◎ 以佚待勞(이일대로)
以:써 이, 佚:편안할 일, 待:기다릴 대, 勞:일할 로.
적과 싸울 때 이쪽을 편안히 쉬게 하여 상대가 지치기를 기다린다는 뜻. -손자-
◎ 以佚道使民(이일도사민)
以:써 이, 佚:편안할 일, 道:길 도, 使:부릴 사, 民:백성 민.
될 수 있으면 백성을 편히 지내게 하려는 마음으로 백성을 부림.
즉 부득이하여 백성을 부린다는 말. -맹자-
◎ 以長擊短(이장격단)
내 장점으로써 남의 단점을 치는 것. -사기-
◎ 以財發身(이재발신)
以:써 이, 財:재물 재, 發:쏠 발, 身:몸 신.
재물의 힘으로 출세함.
◎ 泥田鬪狗(이전투구)
泥:진흙 이, 田:밭 전, 鬪:싸울 투, 狗:개 구.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원래는 함경도 사람의 강인한 성격을 평하여
이르는 말이고, 다른 하나는 볼썽사납게 서로 헐뜯거나
다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以荻書地(이적서지)
以:써 이, 荻:갈대 적, 書:글 서, 地:땅 지.
송(宋)나라 구양수(歐陽修)가 어렸을 때 집이 가난해서
글씨 공부를 하는 필묵(筆墨)을
사지 못하고 갈대로 붓을 대신해서 쓴 일을 이름. -송사-
◎ 耳提面明(이제면명)
깊이 남의 가르침을 받는 것. -시경-
◎ 吏從氷上立(이종빙상립)
법을 맡은 관리는 얼음 위에 서 있는 청렴한 사람임을 이름. -고사성어 고-
◎ 以珠彈雀(이주탄작)
귀중한 구슬로 새를 쏜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
◎ 泥中蓮(이중련)
泥:진흙 이, 中:가운데 중, 蓮:연할 련.
아무리 더렵혀진 환경에도 물들지 않으며, 결백한 마음을 줄곧 가지고
살아감의 비유.
세속에 있으면서 때 묻지 않은 마음을 계속 유지하는 것.
◎ 泥中之蓮(이중지련)
진흙 속의 연꽃이라는 뜻으로, 나쁜 환경(環境)에 있어도 그것에
물들지 않는 훌륭한 삶을 이르는 말.
◎ 頤指氣使(이지기사)
턱으로 가리켜 시키고, 기색(氣色)으로 부린다는 뜻으로,
사람을 자유로이 부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利之所在皆爲賁諸(이지소재개위분제)
利:이로울 이, 之:갈 지, 所:바 소, 在:있을 재,
皆:다 개, 爲:할 위, 賁:밀 분, 諸:모두 제.
사람이 이익을 구할 때에는 모두 옛날의 용사(勇士) 맹분(孟賁)과
전제(專諸)와 같이 용감하여 진다는 뜻. -한비자-
◎ 以指測海(이지측해)
以:써 이, 指:손가락 지, 測:젤 측, 海:바다 해.
손가락을 가지고 바다의 깊이를 잰다는 뜻으로, 양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以直報怨(이직보원)
원한을 가진 사람에게 도덕적으로 대함, 원수를 정의로 대함. -논어-
◎ 以此以彼(이차이피)
以:써 이, 此:이를 차, 彼:저 피.
이렇게 하든지 저렇게 하든지. 이차어피(以此於彼),
어차어피(於此於彼), 어차피(於此彼)
◎ 以次傳令(이차전령)
以:써 이, 次:버금 차, 傳:전할 전, 令:하여금 령.
처음부터 차례차례로 전함.
◎ 以責人之心責己 恕己之心恕人(이책인지심책기 서기지심서인)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기를 꾸짖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 貍處場而衆鼠散(이처장이중서산)
貍:삵 이, 處:곳 처, 場:마당 장, 而:말이을 이, 衆:무리 중, 鼠:쥐 서, 散:흩을 산.
삵이 있는 곳에는 쥐가 없음을 이름. -여씨춘추-
◎ 以天食天(이천식천)
以:써 이, 天:하늘 천, 食:밥 식.
한울로써 한울을 먹음 우주전체를 한울로 보아 사람이 동식물을
음식물로 보아 섭취하는 것, 곧 한울이 한울 자체를 키우기 위한 자율적인 운동임.
◎ 移天易日(이천역일)
移:옮길 이, 天:하늘 천, 易:바꿀 역, 日:날 일.
하늘을 옮기고 해를 바꾼다는 뜻으로, 정권을 빼앗아 농간질함을 이르는 말. -진서-
◎ 以天爲父(이천위부)
하늘을 아버지로 삼음. -회남자-
◎ 以天捉虎(이천착호)
以:써 이, 天:하늘 천, 捉:잡을 착, 虎:범 호.
하늘로 호랑이 잡기란 뜻으로, 아주 쉬운 일의 비유. -순오지-
◎ 異體同心(이체동심)
異:다를 이, 體:몸 체, 同:한가지 동, 心:마음 심.
몸은 각각이나 마음은 한 가지 임, 서로 의기상투(義氣相投)함.
◎ 以錐刀墮泰山(이추도타태산)
송곳으로 태산을 허문다는 뜻으로, 보잘것 없는 힘으로
큰 적과 싸워도 털끝 하나
상하게 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 -순자-
◎ 以充其代(이충기대)
以:써 이, 充:가득할 충, 其:그 기, 代:대신할 대,
실물이 아닌 딴 물건으로 대신 채움.
◎ 以針刺地(이침자지)
보는 바가 협소(狹小)한 것을 비유(譬喩)한 것. -설원-
◎ 以湯沃沸(이탕옥비)
화란(禍亂)을 더 크게 한다는 말. -준남자-
◎ 理判事判(이판사판)
理:다스릴 이, 判:판단할 판, 事;일 사.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 불교 교단을 크게
나누어 부르던 명칭.
이판승:교리연구, 수행하는 학승. 사판승:수행, 사찰의 행정업무,
살림살이를 돌보는 사람.
◎ 以暴易暴(이포역폭)
以:써 이, 暴:사나울 포, 易:바꿀 역, 暴:햇볕쪼일 폭.
횡포(橫暴)로써 횡포(橫暴)함을 바꾼다는 뜻으로,
①惡(악)한 것을 또 다른 악(惡)한 것으로 갈아 바꿈
②폭군을 내몰았으나 다시 폭군을 맞게 됨. -사기 백이숙제열전-
◎ 移風易俗(이풍역속)
풍속을 고쳐 세상을 정화하는 것. -효경-
◎ 李下不正冠(이하부정관)
李:오얏나무 이, 正:바를 정, 冠:갓 관.
오얏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쓰지 않는다.
남에게 의심받을 일을 미리 않는다는 것. 열녀전 문선-
◎ 以蝦釣鯉(이하조리)
以:써 이, 蝦:새우 하, 釣:낚시 조, 鯉:잉어 리.
새우를 가지고 잉어를 낚는다는 뜻으로, 적은 밑천을 들여
많은 이익을 얻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순오지-
◎ 離合集散(이합집산)
離:떠날 이, 合:합할 합, 集:모을 집, 散:흩을 산.
헤어졌다가 모였다 하는 일, 정계(政界)의 파벌이나 개인의 이익에
따라서 이리 갔다 저리 갔다 하는 정치인들을 보고 있으면 잘 알 수 있다.
◎ 異鄕異客(이향이객)
이향은 타향과 같은 뜻으로 여행중인 몸이라는 뜻. -왕유의 시-
◎ 耳懸鈴鼻懸鈴(이현령비현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①정해 놓은 것이 아니고 둘러대기에 따라 다르다는 말
②하나의 사물(事物)이 양쪽에 관련(關聯)되어 어느 한쪽으로
결정(決定)짓기가 어렵다는 말.
◎ 以血洗血(이혈세혈)
以:써 이, 血:피 혈, 洗:씻을 세.
피로써 피를 씻으면 더욱 더러워진다는 뜻으로 악사(惡事)를 다스리려다
더욱 악(惡)을 범함을 이름. -당서-
◎ 履虎尾(이호미)
履:신 이, 虎:범 호, 尾:꼬리 미.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뜻으로, 지극히 위태로움의 비유.
역경의 이(履) 괘에는 호랑이의 꼬리를 밟지만 호랑이에게
먹히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낸다. -역경-
◎ 以狐父戈钃牛矢(이호부과촉우시)
以:써 이, 狐:여우 호, 父:아비 부, 戈:창 과, 钃:호미 촉, 牛:소 우, 矢:화살 시.
호부(狐父)란 곳에서 나온 좋은 칼로 쇠똥 같은 더러운 물건을
치운다는 말로, 귀중한 몸으로 천한 일을 함을 비유한 말. -순자-
◎ 以火救火(이화구화)
以:써 이, 火:불 화, 救:구원할 구.
불로써 불을 끈다는 뜻으로, 방법이 틀려 역효과를 빚어내는
경우를 일컫는 말인데,
섶을 지고 불속으로 들어간다는 속담과 비슷하다. -장자 인간세편-
◎ 梨花雪(이화설)
梨:배나무 이, 花꽃 화, 雪:눈 설.
배꽃의 하얗고 깨끗함을 이름. -史肅(사숙)의 詩(시)-
◎ 以和爲貴(이화위귀)
무슨 일에나 조화가 가장 중요하다.
또 사람들이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 -예기,유행-
◎ 梨花雲(이화운)
梨:배나무 이, 花:꽃 화, 雲:구름 운.
배꽃의 하앟고 아름다움을 이름. -王夢建(왕몽건)의 詩(시)-
◎ 以孝傷孝(이효상효)
以:써 이, 孝:효도 효, 傷:상처 상,
효성이 지극한 나머지 어버이의 죽음을 너무 슬퍼하여 병이 나거나 죽음.
◎ 耳後風生鼻頭出火(이후풍생비두출화)
굶주렸다가 먹는 음식의 더할나위 없는 맛을 이름. -양서-
자료출처-[다음카페:손정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