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ndy-power.blogspot.com/2019/01/formex.html?m=1
포맥스(fomex)란 폴리스티렌(polystyrene ; 요구르트 용기와 같은 재질이고, 이것을 발포(發泡, 기포 발생)하면 스티로포움(styrofoam)이 됩니다)을 발포(發泡)한 것 곧 스티로포움(styrofoam)을 고밀도로 압축해 놓은 재료를 말합니다.
즉 겉 표면은 딱딱한 재질로 되어 있고, 그 속에는 고밀도로 압축된 스티로폼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포맥스는 플라스틱이나 아크릴처럼 강도도 있고 웬만해서는 잘 부러지지 않습니다.
두께에 따라 1T (1mm를 말합니다), 2T, 3T, 5T, 10T 등으로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크릴이나 알루미늄처럼 절단 절곡을 하기 위해 전문 공장에 맡기지 않고 혼자서 쉽게 절단, 접착, 결합, 진공성형 등 가공이 용이 하기 때문에 제작에 적합한 재료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높은 열이나 불에 약하다는점만 감안한다면.. 좋은재료일듯 합니다.
판매하는 곳은
조금 큰 도매급 화방(미술 자재를 파는곳. ex. 알파문고 등) 이나 간판 자재 전문점(간판 제작하는곳) 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하실수 있습니다. 다만 인터넷 구매보다는 직접 가셔서 구매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가격은
가로 300 세로 300 , 2t 짜리 1판을 대략 1000원에 구입하실수 있습니다. (큰 오차는 없음. 단위는 mm)
■ 발포제(blowing agent)
제품 원료에 혼합하여 스스로 열분해 등의 반응을 일으켜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켜 제품 속에 거품을 일으키는 물질. 팽창제(膨脹劑)·기포제라고도 한다.
발포수지·스폰지고무 등의 제조에는 탄산수소나트륨·탄산함모늄·아세트산아밀 등이 쓰이며 이들은 열분해 등을 일으켜서 탄산가스·암모니아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같은 작용이 있다.
디아조아미노벤젠은 특히 기포가 작은 제품의 제조에 적당하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든 제품으로 발포스티롤 같은 것이 있다.
발포 유리의 제조에는 탄소·탄산칼슘 등이 쓰인다.
또 빵 제조에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포제가 쓰이며 이들은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었던 시대가 있었다.
발포제가 주원료인 포말(泡沫)소 화기에는 황산알루미늄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이 많이 쓰인다.
단, 발포제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기포제가 있으며 이것은 특정한 약제가 가진 계면활성능(界面活性能)을 이용한 것으로 발포제와는 원리적으로 다른 것이며 발포제도 포함하여 기포제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발포제(發泡劑)
플라스틱/고무 제품의 무게를 줄이고 단열성 및 충격흡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포제를 처방하여 압출/사출공정으로 플라스틱 제품 생산 시 Gas를 발생시켜 수지 내에 Cell(독립기공)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발포된 제품은 냉각시 열변형에 의한 수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종의 탄성체로서 본래의 플라스틱 물성을 변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 개 요
발포제는 천연/합성고무 혹은 합성수지와 같은 고분자재료를 압출/사출 공정으로 제품생산 시 Gas를 발생시켜 Cell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발포제품이 생산되게 하는 첨가제로서, 처방되는 발포제의 양과 종류에 따라 최종 생성물의 밀도와 가공구조가 변한다.
2. 발포제 선정기준
사용하는 폴리머의 종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발포제를 선택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다.
- 설정 시간과 온도에서의 Gas 방출량
- 입도의 균일성 및 배합물과의 분산성
- 발열도 및 분해온도의 조절가능 여부
- 분해된 Gas의 부식성
- 발포제와 분해잔사의 저독성 및 비오염성
- 분해잔사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에 대한 영향여부
- 폴리머 가교에 대한 영향여부
- Gas 발생량 및 가격
- 운송성 및 저장성
3. 발포제의 종류
1) 물리발포제 (Physical Blowing Agents)
상(Phase)변화 - 액체(Loquids)가 휘발되거나 고압 하에서 폴리머에 용융된 Gas가 분해에 의해 방출되어지는 현상 - 로 Cell이 형성됨
<물리발포제의 특성>
- 무취, 무독성, 무부식성, 난연성
- 열적안정성, 기체상태에서 화학적 불활성
- 폴리머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영향없음
- 대체적으로 저가
- 고형잔사(Solid Residue)를 남기지 않음
- 고가의 장치설비
2) 화학발포제 (Chemical Blowing Agents - CBAs)
화학반응 - 열분해 혹은 2개의 조성물간의 반응 - 에 의해 Gas가 생성되어 Cell이 형성됨
3) 무기화학발포제(Inorganic CBAs)
가열분해 시 흡열반응을 나타내며, CO2를 방생시키는 경우가 많음. CO2 가스는 수지에 대해 투과성이 크기 때문에 Open Cell 구조를 주로 나타낸다.
4. 사용수지 및 용도별 Grade
Item
Grade
Applicable Resin
Dosage(%)
Uses
Remark
FOA
916
LD/HDPE, PP
3
Film, Sheet, Injection Molding
Fine Cell
FOA
947
LD/HDPE, PP
3
Film, Sheet, Injection Molding
Normal Cell
FOA
915
LD/HDPE, PP
3
Film
Large volume of Gas
FOA
906
PS
3
Sheet, Injection Molding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요구르트 용기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롤(polystyrol)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가볍고, 맛과 냄새가 없다. 생활 용품, 장난감, 전기절연체, 라디오, 텔레비전 케이스, 포장재 등에 사용한다.
폴리스타이렌은 취성이 있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다른 중합체와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를 섞어서 SBR, SBS, HIPS 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스타이로폼(영어: styrofoam) 또는 스티로폴(독일어: Styropor 슈튀로포어)은 발포 스타이렌 수지라는 플라스틱의 상표명이다.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인 자원 절약형 소재이다.다량의 작은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세균이나 곰팡이에 손상되지 않아 포장에 많이 사용되며, 아이스박스, 장난감, 부표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xps나 우레탄 단열재의 재활용은 불가능한데 비해 열과 압력을 가해 잉고트를 만든 후 액자 틀,타일이나 문틀제작의 원료가 되어 자원재활용성이 매우 높고 환경문제도 거의 없다. 차단성이 우수하여 단열재 용도의 단열제품에 많이 사용 되는데 스티로폼 보다 더 가공,제작이 쉬운 발포우레탄도 많이 쓰인다. 또한 이제는 거품폴리스티렌·스타이로폼(styrofoam)·발포스티렌·스티로폴 등의 새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