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s [45]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현대미술 뉴스 스케치 & 추상화: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19] Contemporary Cartoon Review, News History Cartoon Review, Contemporary Art News History Painting Criticism; 현대미술 만화가 비평 [19] 추상 만화 미술 & 추상 만화가 루이 최철주 현대 미술 만화 작품 (https://opensea.io/Louisland) : 루이 최철주 현대미술평론가, 현대미술사 만화가 최철주 추상 작품 현대미술 비평 = 현대미술 개념 만화가 최철주가 말하는 사실적인 팝 아트를 말하는 만화가 최철주가 나팔꽃의 "대나무 숲" 시리즈를 통한 개념 미술로서의 만화. 그리고 "사라진 연못" / "현대미술의 욕망 개념적 추상디자인":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타인의 욕망이라는 개념에 기초한 만화 예술의 사실적 추상화와 동시대 욕망의 개념적 추상화: 카툰, 코리아 뉴스 카툰 리뷰, 현대미술 평론가 최철수의 카툰 리뷰 한국 뉴스 만화 문화 칼럼 [190] 조국은 대표로 재선된 후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4-7-22) / 최철수 기자 만화평론
루이 최철주(Louis Choi Chul-joo)의 미술비평의 개념적 단계(The Conceptual Stage of Art Criticism) :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미술 디자인 과정은 정신분석 이론으로서의 라캉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의 디자인 과정의 단계는 욕망 개념을 설계하는 것이다.
1. 추상적 욕망 개념에 대한 현실 상징의 표현 : 추상적 욕망의 대상을 실제 이미지로서의 추상적 욕망의 대상에서 개념적 기호로서의 욕망의 주체를 개념화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욕망은 추상적 욕망이라는 개념을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을 표현하는 시각적 형태로 상상함으로써 설계된다.
2. Realizing Desire Correlation in Reversible Shades of Light: To create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reality and abstract desire concepts in reversible shading of light,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is applied to design the correlation between desire concept and correlation.
3.Presenting Desire Background as Abstract Space: Using the Desire Background as a series of "Morning Glory," "Bamboo Forest," and "Pond," design that represents the structure of unconscious desire and the reality reflected in reality between the visible desire correlation and the hidden desire background.
4.Composing the linguistic desire structure into a real image: To express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as a linguistic desire structure as a real image, the abstract linguistic concept of desire structure is repeatedly designed as a real image to reflect the symbolic reality of the linguistic desire structure.
5. Visualization of Desire Structures in Cultural Context: To create works of art that acquire aesthetic value from desire structures so that they can empathize with cultural backgrounds, colors, forms, and compositions are put into practice by design.
The figurative meaning of the conceptual abstract 'morning glory' is that the color of meaning decorates the reality of customary universality facing the object with the color of light. The dark blank space is a shadow created in the area of the subject, which contrasts with the light of a decorated shape. Here, as a real object, color is a single-phase image of the desire custom seen through the gaze. This is a symbolic linguistic image of the background of desire, which symbolizes the concept of desire with imitated flowers. Here, the morning glory image is a piece as a meaning of desire symbolized in real space as a result of the desire image.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14-6-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Therefore, conceptual abstract painter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nlory" is a desire image of a real structure that is reconstructed into a reversible structure of light as an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created from a transformed image meaning the reality of morning glory.
--------------------------------------------------------------------------------------------------------------------------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window 2024-8-Installing an image of a firm desire, 150X112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The installation of the desire image is to reveal a significant painting image in the mind through an error in the subjective abstract image of an object that does not exist by realizing the representation of a linguistic object.
It simulates (模寫) the concept of linguistic desire as a painting and displays the representation perceived as desire as a real image. In other words, displaying linguistic desire as a painting image embodies desire as an actual painting image with an objective correlation, like T. S Eliot. In other words, it abstracts the linguistic image as a concept of desire, but metaphorically as a real image of the concept.
The real image manages and abstractly defines the object as the meaning of existence.
Therefore, in linguistic abstraction, the meaning of existence is taken as a real image. By showing existence as an image rather than an object as reality, it becomes a reality in abstraction that transcends the subject of the object. In this way, existence generalizes the object as a firm subject with a phenomenal gaze.
The installation of an image of firm desire is the installation of an image as a subject of firm existence, which is viewed through the gaze of the desire for existence.
Even if the actual object's light is bright, it does not reach the light in the sky, and the cloud divides the spa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image of existence. Therefore, by rejecting metaphysics that do not affect the object of desire with reversible light,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recognized as an image through the shadow of light.
Here, imaginary desire is a linguistic impression concept, and the image of meaning is repeatedly designed to reconstruct the abstract formative color into a real image, and the outer surface of reality is developed as an objective correlation.
The design process of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abstract art is to install such a firm gaze image as the outer surface of reality and abstract the outer surface of reality as a correlation of reality as a concept of desire.
Since this is reversely abstracted as a correlation of a phenomenal real image, the image design of the concept of desire is repeated to show the correlated real image of the concept of interpreting desire as a cartoon cartoon only as an event or performance image, and the real image as an event and performance image is drawn as a phenomenal perception and installed as a correlated image in the thought intended by the action of the image.
It acts as a coincidence to reduce the non-visual image derived from this to a linguistic abstraction cartoon review. Image correlation, which replaces the symbolic phenomenon of an image with a reality that symbolizes the meaning of the image, does not presuppose a causal relationship with a single meaning, but results in an imag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desire as a correlation between an abstract concept that deviates from the structure of non-realism and reality.
Image is a concept of desire without abstract meaning and spatial constraints and grasps the desires of others as subjects related to reality.
In the aesthetic structure concealed by the subject, the sky divided by clouds is the shaded light of the object and stops the abstract concept in real life. And the size of the image of a correlated reality as a shade is omitted and it is positioned as a range that appears to be light. This is a place where reality has an aesthetic value adapted to the place as an image, and decorates the place with the colors of universal reality that fit the custom. This is Choi Chul-joo's concept of installing an image of desire.
The object of reality is a shape that has remained as a color in the linguistic sense that existed conventionally, and is composed of a single image of the desire of the other in contrast to the light of the past. The image shows the image of reality that existed in the original place of the image with a shape stopped by desire.
When an image is a desire image, it is not affected by the subject of the shape and is visually abstracted as a subject according to the desires of others. Therefore, the abstract effect reproduced by the desire gaze is reduced to abstraction from the actual image in which the desire image is superimposed as the gaze image of a firm desire is installed. / Writing. Art critic Choi Chul-joo (conceptual abstract painter & Ph.D. in cultural design)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14-6,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Famous contemporary artist, modern painter, abstract painter & contemporary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ion 'Morning Glory', 'Bamboo forest' ' & 'pond' pop art abstraction design / Webtoon News Cartoonist &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 Cartoon Design News
Webtoon News Cartoonist Choi Chuljoo's One-Sentence Cartoon Review &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Pop Art Abstract Painting design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 contemporary conceptual art pop art work & Webtoon design historical painter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 that exists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eview images, abstract painting is drawn through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that interprets others abstract desires into images. In other words,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desire is a momentary encounter with the concept of desire in a straight form of non-realistic image generated by reversible light.
The image of non-realism, which emerged as the concept of desire, is a distorted form of similar factu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place and shape of the real form are not the same.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Louis Choi Chul-joo, 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
News Cartoon: Cartoonist & freelance reporter Choi Chul-joo's current affairs cartoon review one sentence - Cartoon review: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s Korean News Cartoon Culture Column in Cartoon Review [190] 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2024-7-22) / Reporter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 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 Cho Kuk essaie de devenir un pays où il veut renaître après avoir été réélu comme représentant.
Contemporary Art Work: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ul-joo Choi, Bamboo Forest 186-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Contemporary Art Work: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oi Chul-joo, Bamboo Forest Forest d186-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In front of the bamboo forest Bamboo Forest Forest d186-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pond: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oi chuljoo, In front of the bamboo forest Bamboo Forest Forest d186-Cho Kuk is trying to become a country where he wants to be reborn after being re-elected as a representative-pond-mirror: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covered by the actual changed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shape, results in linguistic abstraction. In other words, the realistic shap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a momentary event is a linguistic abstraction of the same meaning. Conceptual art with morning glory and bamboo as cultural background is linguistic abstraction. The abstract creates a conceptual structure based on the shape of subsequent reality fostered by language and hides the desire of others in a momentary event.
최철주, 나팔꽃 p114-6, 컴퓨터에 손으로 그린 그림
구상적 개념 사실주의 추상화 작업: 루이 최철주, 나팔꽃 p114-6-초국은 대표로 재선된 후 다시 태어나고자 하는 나라가 되고자 한다.-연못: 상상의 세계와 욕망의 개념과 최철주의 욕망 공식 <D(I... I')d=나(D... D'i)i> 작품의 이미지에 대해 가역적 빛의 그림자 속에서 조형성을 실현함으로써 미적 가치를 획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낸다. / 실제로 변화된 형태의 순간적인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형상의 의미는 언어적 추상화를 낳는다. 즉, 순간적인 사건 속에서 타인의 욕망이 빚어내는 사실적 형상은 같은 의미의 언어적 추상화이다. 나팔꽃과 대나무를 문화적 배경으로 하는 개념미술은 언어적 추상화다. 추상은 언어가 조성하는 후속 현실의 형태에 기반하여 개념적 구조를 만들고, 순간적인 사건 속에 타인의 욕망을 숨긴다.
욕망 개념의 시각화 : 욕망 개념을 시각화하는 것은 사건과 공연을 수작업으로 묘사한 만화로, 만화의 배경을 "나팔꽃"과 "대나무 숲"으로 욕망의 풍경으로 표현하고, 만화 이미지는 욕망을 추상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으로 재구성합니다.
추상미술의 욕망 디자인 방법론 회화 디자인에 대한 현대작가 최철수의 욕망 개념 추상 디자인 방법론: <나팔꽃 p116-6> 한국현대미술의 추상화로서 욕망 공식 <D(I... I')d=나(D... D'i)i>는 가역적 빛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트럼프가 캠페인 중 공격을 받다>를 겹치기 위해 적용된다. 또한 언어적 은유 이미지를 연결함으로써 욕망의 공식을 재적용함으로써 현상적 개념적 장소를 가역적 빛의 그늘로서 한 공간의 다른 장소에 설정하고 추상화한다.
이는 루이 최철주 작가의 2022년 뉴욕전에서 욕망의 오브제를 현실화한 첫 번째 비현실적 추상화 포스터로 해석된다. <나팔꽃 p114-6-조국이 대표로 재선된 후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현실의 비현실적 추상화가 된다.
상상의 세계와 욕망의 개념과 최철주의 욕망 공식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D(I... I')d=나(D... D'i)i> 작품의 이미지에 대해 가역적 빛의 그림자 속에서 조형성을 실현함으로써 미적 가치를 획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낸다. / 실제로 변화된 형태의 순간적인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형상의 의미는 언어적 추상화를 낳는다. 즉, 순간적인 사건 속에서 타인의 욕망이 빚어내는 사실적 형상은 같은 의미의 언어적 추상화이다. 나팔꽃과 대나무를 문화적 배경으로 하는 개념미술은 언어적 추상화다. 추상은 언어가 조성하는 후속 현실의 형태에 기반하여 개념적 구조를 만들고, 순간적인 사건 속에 타인의 욕망을 숨긴다.
작가의 작품에 겹쳐진 최종 이미지: 최철주, 나팔꽃 p133-1, 컴퓨터에 손으로 그린 그림
디자인을 스케치하고 최철주의 욕망 공식을 적용함으로써 'D(I... I')d=나(D... D'i)i"를 욕망의 개념적 이미지에 부여하면 그 순간 가역적 빛의 그림자 속에서 사실적인 조형성을 실현함으로써 즉각적으로 미적 가치를 획득하고 추상적 욕망의 의미를 드러낸다. / 실제로 변화된 순간적인 욕망의 형태가 빛의 가역적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의 추상적 의미는 언어적 추상화를 낳는다. 즉, 순간적인 사건이나 공연 장면에서 상대방의 욕망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 언어적 추상화이다. 나팔꽃과 대나무를 문화적 추상화의 배경으로 삼는 최철주의 개념미술은 이미지의 언어적 추상화다. 추상화는 언어가 만들어내는 의미를 좇아 현실의 형상에 기초한 개념적 구조를 만들어내고, 순간적인 사건과 공연 장면 속에 타인의 추상적 욕망을 숨긴다.
따라서 개념추상화가 최철주의 "나팔꽃 p133-1-5-초국은 대표로 재선되어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나팔꽃의 실체를 의미하는 변형된 이미지로부터 창조된 욕망의 개념에 대한 이미지로서, 실재하는 구조를 가역적인 빛의 구조로 재구성하는 욕망의 이미지이다.
그래서 개념추상화가 최철주의 "대나무 숲 d186-초국은 대표로 재선되어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고자 한다"는 나팔꽃의 실체를 의미하는 변형된 이미지로부터 만들어진 욕망의 개념에 대한 이미지로서, 실재하는 구조를 가역적 빛의 구조로 재구성하는 욕망의 이미지이다
루이 최철주, 트럼프, 선거운동 중 공격당하다 3 [만화 뉴스의 단어 해석 ː l'interprétation du mot dans une nouvelle caricature] ■ 한국 뉴스 카툰 리뷰 만화 문화 칼럼 [190] 조국, 대표, 재선 후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 (2024-7-22) / 최철주 기자의 만화평론 / 시사평론가 최철수는 부산 인터넷신문 문화부 기자였다. 그는 문화 디자인 비평가이자 추상 예술가로 시사, 만화, 뉴스, 현대 미술 작품 및 웹툰의 추상 회화를 그립니다. ▶대표 _ 대표 자 ■ 최철주의 욕망 개념 : 최철주의 욕망 개념에서 욕망 개념에서 논리의 공리로서의 수학적 욕망은 추상적 설계를 통한 언어적 의미의 외적 구조에 기초하기보다는 실재를 구체적인 현상으로 귀결시킨다. 따라서 창밖 욕망의 교차점에서 현실과의 추상적 조우가 드러내는 욕망 구조를 표현하는 것은 수학적 욕망 개념 추상 디자인, 즉 욕망 개념의 이미지를 최철주 욕망 공식에 적용한 것으로, 2022년 3월 1일, 뉴욕 플러싱 시청에서 나팔꽃이 가역적인 빛의 그늘로서 욕망의 주체로서 평면적인 실제 이미지로 등장한다./ 최철주의 욕망 공식은 I/I(이미지)와 D/d(디자인)를 기호로 사용하여 디자인 이미지의 수를 이벤트 및 공연 이미지와 연결하여 다항식 욕망 이미지를 생성하는 곱셈 공식입니다. 상징으로서의 이미지의 언어적 의미는 추상적 욕망 개념을 규명하고자 하는 욕망 개념의 이미지(I/i)이다./ 최철주의 욕망 공식 D(I... I')d=나(D... D')i to 'Morning Glory'는 욕망의 개념과 '나팔꽃'의 배경을 이미지로 연결하여 나팔꽃을 하늘에 떠 있는 풍경을 만듭니다. 또한 <나팔꽃>에서는 욕망 공식 "D(I... I')d=나(D... D')i"를 대체하면, 욕망의 개념과 욕망 이미지로서의 '나팔꽃'의 연결 효과는 '나팔꽃'에 의해 여성의 욕망 이미지로서의 대상을 설정함으로써 가역적 그림자 구조 속의 욕망의 개념을 음영 처리한다. 즉, 욕망(I)의 이미지는 욕망(D)의 구조인데, 그 이유는 욕망(D)이 반복되기 때문이다(I... I') 여러 이미지(D... D'), 예술 행위의 이미지 또는 욕망 이미지(I)는 욕망(i)의 개념으로 나타난다. ■ 최철주의 욕망 추상적 개념의 디자인 과정 : 1. 욕망의 개념은 이미지의 관점에서 현실의 외부로 추상화되고, 추상화의 대상으로서의 현실의 이미지는 현실과 현실의 상관관계로 설계된다. 이것이 최철주의 욕망의 추상화 개념 중 디자인 과정 1이다. 이것은 현실 세계와의 인과 관계를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욕망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correlatio로 귀결시킨다추상적 개념에서 실제 구조로 이전되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현실과 함께. 2. 욕망의 개념을 보여주는 범위는 추상적 개념의 실제 크기를 생략함으로써 만들어지고 위치하며, 이는 실제 이미지에서 비롯된 욕망 개념의 그늘이다. 또한 최철수의 개념적 과정2은 하나의 이미지로서의 위치에 적합한 미학적 가치를 갖기 위해 사물을 관습에 적합한 보편적 실재의 색으로 장식하는 과정을 따른다. 이는 과거와 욕망과 대비되는 추상화를 만들어내며, 사실적인 색채에 가려진 미적 구조를 구름으로 나누고 그늘진 빛에 가려 실제 이미지 속의 추상적 개념을 모호하게 만든다. 3. 추상을 그린 주체는 욕망의 개념을 상징하는 실재를 깨닫고, 무의식은 추상적 욕망을 이미지의 의식적 현상으로 실현한다. 욕망은 이미지의 의식적 현상으로 구현되는 추상적 이미지이며, 무의식적 구조는 선과 색을 생각 속에 결합하는 욕망을 반복적으로 설계하지만 무의식적 행위를 의식하지 않는 욕망의 추상적 미술 개념을 설계하는 과정 3이다. 4. 무의식적으로 추상화된 욕망의 개념은 현실의 대상이 가역적인 빛의 그늘로 보이지 않고, 그림자로 현실을 은폐하고 또 다른 실재 이미지를 비디오로 보여주는 현실의 한 조각이다. 이는 현실에 새겨진 평면 단색화의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해 욕망의 공간을 가역적인 빛의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욕망의 추상적 개념을 설계하는 과정4이다. ■ 최철주의 욕망 추상적 개념의 디자인 결과 : 최철주 욕망 추상적 개념 디자인의 언어적 의미 결과 : 타인에 대한 욕망에 집착하는 대상은 수동적이지만, 욕망의 주체인 동조자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으며, 주체로서 타인의 욕망에 공감하는 공감자도 같은 욕망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다. 주체로서 타인의 욕망에 공감하거나 수용하는 사람은 동일한 욕망이 되고 또 다른 실행의 주체가 된다. 여기서 타자의 욕망의 주체에 공감하는 동조자는 그것을 전쟁의 승리자처럼 행동하는 또 다른 욕망의 대상으로 일반화하려 한다. 그러나 가역적 빛에 가려진 행위로서의 욕망이 공적 행위로 일반화되지 않을 때, 부적절한 욕망의 주체와 동조자는 그것을 실천한 주체를 타자의 일반적 욕망에 따라 적대시하게 된다. ■ 최철주의 '욕망'을 언어적 의미로 본 추상디자인의 효과 : 상대방에 대한 욕망으로 현실을 경험한 수혜자는 수동적이지만, 가해자의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권력자는 동조자와 동일한 욕망을 가지고 실천한다. 동조자는 권력자가 권력의 이익을 제공하거나 동조자가 그것을 받을 때 동일한 욕망이 되고 실제 행동의 주체가 된다. 여기에 숨겨진 타자의 욕망은 부적절한 권력자나 동조자의 실제 행위를 또 다른 욕망의 대상으로 일반화하고 전쟁의 승리자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실제 effec가역적 빛에 가려진 행위가 공적 행위로 일반화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한 욕망의 주체는 부적절한 권력과 동조자에 대한 타자의 일반적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타자의 욕망에 의해 적대시된다. ■ 욕망 개념의 오브제 렌더링은 1. 사건 이미지로서의 욕망 개념을 무의식적 이미지와 오브제로서의 실재적 이미지로 나누어 무의식적 욕망을 실존적 현실로 표현하는 팝아트 이미지. 따라서 언어적 의미를 말하는 주체는 실제로 욕망 개념의 진리 가치인 추상화를 표상하는 것이며, 이는 구어체와 이벤트 비디오 방송의 시청 효과를 뉴스에 의존하는 발화 발화 행위로 규정하는 표현적 미학적 구조이다. 2. 진리로서 시각 이미지에서 욕망 개념의 가치는 열린 체계이며, 수많은 시각 이미지는 다원적 시각 체계를 통해 타인에게 전달된다. 욕망 개념의 참된 가치인 추상적 이미지는 타인의 욕망에 의해 표현되는 실재적 이미지로서의 보편성을 지니기 때문에 주목받는다. 즉, 타인의 추상적 욕망에 노출된 대상은 미술작품으로 적용되는 팝아트의 통시적 기능을 통해 타인의 욕망 개념과 동일한 미적 이미지를 교환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기능한다.3. 욕망의 개념의 추상적 이미지와 실재가 동일한 언어적 의미에서 욕망 개념의 진리 가치는 욕망의 구조를 나타내고, 욕망의 추상적 개념의 실재는 욕망의 인과적 구조인 실재적 이미지이며, 모순적인 욕망과 의미론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욕망의 구조를 생성한다. 이는 칸트와 마찬가지로 현대미술에 이르는 이중적 구조이며, 신화적 대상을 인간과 동일한 구조로 포함하고, 반항적 욕망 구조를 하나의 구조로 포괄한다. 4. 추상화로 표현된 욕망 개념의 대상 : 욕망 개념의 대상화는 대상을 사건 이미지로 표현하는데, 이는 욕망 구조의 언어적 의미와 동일한 합리적 대상이며, 이성적 주체의 시선을 통해 주체가 볼 수 없는 실재적 이미지로 인식된다. 또한 다른 욕망의 대상은 욕망의 결핍을 채우려는 실제 이미지로 지속적으로 표상된다. 추상적 욕망에 대한 대상으로서의 현재의 욕망을 반영하는 연못은 추상적 욕망에 대한 대상인 실재로서의 욕망 구조를 제시하지만, 실재적 이미지를 통해 결핍으로부터 은폐되고 일탈된 사회적 가시성에 예속된 욕망의 결핍인 불완전한 추상화로부터 벗어나 실재적 이미지로서의 욕망의 원인을 이벤트 이미지로서의 대상으로 되돌려 놓는다. 즉, 결핍과 분열된 욕망의 구조는 추상적 욕망의 현실적 이미지를 통해 은폐되고, 일탈된 사회적 가시성에 종속된 모순적 욕망은 욕망의 원인이 되고 현실적 이미지의 대상이 된다. 또한 다른 욕망에 대한 대상화는 욕망의 결핍을 채우려는 실재적 이미지로 지속적으로 표현된다. 현재의 욕망을 추상적 욕망의 대상으로 반영하는 대상을 표현하는 것은 추상적 욕망의 대상인 실재로서의 욕망의 구조를 제시하지만, 불완전한 것으로부터 벗어나 현실적 이미지로서의 욕망의 원인을 사건적 이미지로서의 대상에게 되돌려 놓는다 욕망이 결핍된 추상. 즉, 추상적 욕망의 실재적 이미지를 통해 결핍과 분열된 욕망의 구조가 은폐되고, 일탈된 사회적 가시성에 종속된 모순적 욕망이 욕망의 원인이 되어 실재적 이미지로서의 추상화가 발생한다.
작가의 작품에 겹쳐진 최종 이미지::최철주, 사라진 연못 스케치 5, 천에 아크릴과 복합재료, 2024
욕망 개념의 추상 디자인 과정 : 잃어버린 연못
물이 지구 표면에 모이는 연못의 경계, 지구 표면의 접선 내부에서 물 표면까지의 경계는 물 표면 모양의 기하학적 접선과 같습니다.
사라진 연못은 가역적 빛의 그늘로서의 순간적 욕망의 개념에서 벗어난 빛의 구조이며, 원근법의 객관성은 수면에 겹쳐진 대상에 가역적 빛으로 하늘의 범위와 원근법의 크기를 왜곡한다.
연못에서 눈을 뜨고 욕망의 방향으로 떠다니는 물고기와 물에 나뭇잎과 꽃을 던지는 욕망의 미학적 구조가 등장한다.
이렇게 등장한 욕망의 개념은 가역적인 빛의 음영과 함께 사실적인 색조로 연못에 맞게 추상화됩니다.
최철수의 '사라진 연못 속의 욕망' 개념은 실재 이미지와의 인과성을 전제하지 않고, 무의식에 의해 소외된 욕망을 하나의 설계로 분할하는 추상적 개념에서 개념적 주체로서의 욕망의 대상을 상징화하고, 그 결과 실재 이미지들 간의 상관관계로서 추상적 실재적 이미지를 생성한다.
언어 추상화에서 실제 이미지로서의 추상화의 의미는 상징적 존재의 의미를 취하기 위해 귀납적으로 추론됩니다.
그리고 그 존재에 대한 이미지적 관점은 욕망의 개념을 현실의 외부로 추상화하고, 현실적 이미지는 현실과 욕망의 개념의 상관관계로서 추상화의 대상이 된다. 이것이 최철주의 욕망 디자인 프로세스 개념이다 1.
추상적 욕망의 대상을 개념적 주체로 삼아 디자인이 상징하는 실제 이미지는 생략되고, 빛의 가시 범위 내에서 이미지를 평면화한다. 그리고 그 이미지는 언어적 의미에서 발화되는 욕망 개념의 상징적 구조로 표현된다.
최철수의 욕망 디자인 프로세스 2 개념은 관습에 부합하는 보편적 실재의 색으로 대상을 장식하고, 이와 같이 표현되는 상징적 구조의 실재가 하나의 이미지로서 장소에 상응하는 미적 가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욕망의 개념이 설계한 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미적 구조는 구름과 흐릿한 음영으로 나뉘어지고, 욕망의 개념은 욕망의 개념과 이미지의 반대 방향으로 다양한 방향의 이미지로 시각화되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생성된 욕망의 구조의 주체는 과거의 대상으로 표상되고 추상적 이미지로 인식된다. 그리고 행위자로서 존재를 묘사하는 주체는 욕망의 개념을 상징하는 실재를 구현하고, 추상적 욕망을 이미지의 정신적 현상으로 변형시킨다.
그리고 최철수의 추상적 욕망 개념은 욕망의 주체가 무의식 속에서 추상회화 대상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욕망하는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다.
욕망 과정 (Desire Process )추상적 인 그림 이미지로서 욕망 개념 디자인 과정 3은 사려 깊지만 무의식적인 무의식적 행위로, 선과 색을 결합한 욕망을 반복적으로 디자인하고 실제 이미지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무의식적으로 욕망을 추상화한다는 개념은 현실의 대상이 되돌릴 수 있는 빛의 그림자로 보이지 않고, 현실을 그림자로 은폐함으로써 또 다른 현실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현실의 조각상이다.
이미지는 실재하는 이미지와 욕망의 주체가 원하는 상상에 의해 유지되는 무의식이며, 그 이미지에 의해 인식될 수 없는 관념이다.
욕망 컨셉 디자인 프로세스 4. 욕망의 공간 구성을 디자인하는 것인데, 그 구상의 이미지는 현실에서 조각된 평면적인 단색의 회화이며, 이를 의식적인 움직임을 통해 빛의 가역적 구조로 결합한다.
따라서 가역적 빛에 따른 언어적 이미지의 시간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대와 같이 실존적-이론적 해석을 통해 실재의 이미지를 존재로 제시한다.
여기서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화 디자인 프로세스 5는 욕망의 개념을 제시하는 언어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경과 시간의 상관 구조로, 이미지의 특정 표면을 단순화하면서 실제 이미지로 변환하여 추상화됩니다.
따라서 추상적 구조를 구현하는 실제 이미지를 단순화함으로써 가역적인 빛의 음영으로 단면의 대비를 제거하고 추상화의 본질을 단면에 평면화합니다. 이는 현재 존재하는 동일한 대상을 은폐하는 언어적, 시간적 의미에서 추상화의 본질을 되살리는 이미지이다.
이렇듯 최철수의 욕망 디자인 개념은 욕망 디자인 과정을 통해 원근법의 시각 체계 속에서 또 하나의 추상적 실재로서 욕망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욕망의 대상의 구조로서의 물의 표현은 물고기의 움직임에 의해 물의 흐름에 운동감을 부여한 연꽃의 현실감과 평면적이고 추상적인 시선과 대비를 이루며,
원근법은 가역적 원근법의 대상을 언어적 의미에서 인식하는 실제 이미지를 추상적 사고에서 현상적 구조로 단순화합니다. 즉, 추상적 인식의 오류를 가역적 관점으로 가져와 무의식적인 초현실적 조형 구조를 피하는 실재적 이미지로 설계한다.
현실은 사실적 구조의 경계를 만들고, 욕망의 개념에 의해 추상화된 빈 공간으로서의 시간의 관점에서 이미지의 의미를 규정한다.
나팔꽃을 언어적 추상화로 표현한 유겐트스틸(Jugendstil)이 비자발적 욕망의 개념을 규정하는 것처럼, 이는 대상의 리듬을 추상화하고 평면적인 디자인 형태로 변형시키지만, 이를 가역적 빛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사라지는 연못'의 순간을 인상으로 포착하는 인상주의적 이미지가 아니라, '사라지는 연못'의 추상적 의미를 가역적 빛의 그늘로서 명시적인 시간성 속에서 언어적으로 해석하는 존재의 상징적 이미지이다.
따라서 추상적 욕망의 대상을 현실에서의 상관관계로 규정하는 것은 존재로서의 비자발적 욕망 개념을 추상화하는 출발점이다. 이는 최철수의 욕망 개념에 대한 과정1, 즉 현재의 이미지, 즉 시간성의 이미지를 현재의 장소에서 욕망의 개념을 구현하는 가역적 빛의 그늘 속에 언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구조를 추상화하는 것과 일치한다.
욕망의 추상적 구조를 구현하고 있는 실재의 이미지를 단순화하고 단면의 빛과 그늘을 제거함으로써 가역적인 빛과 그늘로 추상화의 본질을 단면으로 평면화한다. 추상화의 본질을 언어적 의미에서 시간성으로 되돌려 놓는 이미지이다.
욕망 개념의 추상화는 현존하는 빛의 그림자가 시간성으로 되돌아가는 언어적 논리에 맞춰진 가역적 빛의 그늘로서 언어적 의미에서 존재했던 연못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연못은 파도 위에 시간성이 겹쳐진 연꽃과 물고기를 욕망의 주체로 포착한다. 이것은 추상화로 구분되는 언어적 요구이며, 연못 속의 미적 가치는 추상적 의미에서 욕망의 구조이자 욕망 개념의 상징적 구조로 인식된다.
따라서 욕망과 추상화의 개념을 조화시키기 위해 욕망 개념 설계 프로세스 2를 따르고, 상징적 의미를 심미적 가치와 욕망의 개념에 부합하도록 환상화하고, 여기서 언어적 의미의 추상화로 표상되는 실재를 구별한다.
최철주, 〈사라진 연못〉, 112X249cm, 천에 아크릴과 복합재료, 2024
언어적 추상화에서는 철학적 논리가 다가옴에 따라 문자의 구조에서 형성된 이미지는 예술에 맞춰져 조형 구조를 형성합니다.
최철수의 욕망 개념에 대한 추상화는 철학적 논리를 종교에 귀속시킨 르네상스 교회의 신학적 형성 구조와 같이, 성경 속의 신적 성격을 의인화함으로써 성서적 욕망의 개념을 실재적 이미지로 추상화하는 것과 같다.
초기 다다이즘 개념미술의 예술적 영감을 무시할 수 없지만, 개념적 추상화가 성경에서 벗어난 최철수의 현대미술에서의 욕망 개념은 연못에 비친 이미지를 통해 문자적 개념과 언어적 의미를 스케치로 평면적 이미지를 개념미술에 설치하는 개념이다.
추상적인 단어가 언어적 의미로 그려지는 무의식적 추상화는 마음의 내용으로서의 관념의 이미지로 해석하기 어렵고, 추상적 욕망의 개념은 환형의 구조이다.
따라서 욕망 개념 설계 과정 3에 따르면, 욕망을 상징하는 현실로서 추상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설계하고, 욕망이 원하는 무의식적 행위를 자의적으로 무의식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욕망의 실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이다.
한편, 추상적 개념을 실제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은 언어적 의미의 개념 미술입니다. 그래서 최철수의 욕망에 대한 개념미술은 관념의 구조를 현실의 구조로 옮겨간다. 그리고 추상 작품은 실제 이미지를 대상의 사건과 퍼포먼스의 이미지로 보여줍니다.
이 이미지는 인상파 회화의 실제 이미지의 한계를 넘어서는 개념적 추상화입니다. 그것은 사건 및 공연의 이미지에 대한 즉각적인 인상과 함께 사진 속의 욕망 개념의 인상적인 추상화를 조명합니다. 그리고 무의식적 욕망이라는 개념을 언어적 의미에서 이미지로 명확하게 실현한다.
이렇듯 욕망 개념의 실현은 무의식적 행위로 규정되는 효과, 즉 욕망의 주체가 욕망하는 상상이 만들어내는 보편적인 가역적 존재가 빛의 가역적 그림자 속에 비춰진다.
따라서 욕망 개념 설계 과정 4에 따르면 보편적 현실에서 무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생각들을 파편화된 평면 구조로 선별하여 욕망의 프레임으로서 '나팔꽃, 대나무 숲, 연못'이라는 의미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사라진 연못'에 존재했던 욕망은 무의식의 과거 경험과의 상관 조건에 맞춘 실재적 이미지로 추상화되어 언어적 의미의 본질적 이미지로 구현된다.
여기서 시간성 속에 감춰진 의미있는 욕망의 중첩된 이미지가 현실의 이미지로 연못에 나타나지만, 그 이미지 전체는 원근법의 시각 체계에서 벗어난 추상적 구성이다. 그 평면적 형태는 과거의 욕망 개념의 이미지를 단순화하고, 무의식적 욕망의 존재를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이미지로 추상화한다.
최철수는 욕망을 배경과 배우로 나누어 추상화의 주체로 삼는다. 그는 욕망의 배경에 나팔꽃, 대나무 숲, 연못 등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욕망의 행위자를 욕망 개념의 객관적 상관관계로 표현한다. 욕망은 가역적인 빛의 음영이 욕망을 구조적으로 지시하는 상관관계로서 언어적 의미에서 풍경을 사실적으로 추상화한다.
그것은 욕망의 진정한 의미로 인식되는 욕망의 인상을 사실적인 구조로 추상화한 것을 보여준다. 즉, 최철주의 욕망 개념의 배경은 욕망의 구조인 나팔꽃이다. 그림자는 사건과 퍼포먼스 이미지를 통해 삶의 현상이 되는 언어적 의미이고, 거울 이미지는 대나무 숲 속에 숨겨져 있다. 그리고 연못의 그늘진 구조를 비추는 이미지는 욕망의 배경으로 가역적 빛에 따라 적시성의 실존적 의미로서 현실 속의 욕망의 원인을 나타낸다.
따라서 무의식적 욕망의 숨겨진 실재적 구조에 현존하는 언어적 의미를 시간성으로 표현하기 위해 욕망 개념 추상 디자인 과정(abstract design process)5을 따른다.
이는 욕망의 주체인 행위자가 욕망을 표상한다는 인상에서 벗어난 추상적 시각, 그리고 욕망의 주체가 욕망을 대변한다는 인상에서 벗어난 가역적 빛으로 욕망 개념의 인상을 드러낸다.
욕망을 표상하는 현상이 직면하는 인상의 흐트러진 추상화는 상상 속에 보이지 않는 욕망의 실재이다. 이는 연못에 비친 추상적 욕망 이미지의 형태와 함께 언어적 의미를 지닌다.
그림에서 언어적 의미를 은유로 표현하는 욕망의 개념은 모조화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상상 속에서 보이지 않는 현실을 표상하는 욕망의 개념과 이미지가 같을 때는 개념적 추상화로 바뀐다.
이것은 사회적 규범을 가진 구조를 구성하는 상징 체계이며, 추상적 실재의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상징적 의미를 동일시하는 욕망 구조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욕망의 이미지의 주체는 욕망의 주체로서의 대상이다. 대상은 현실에 보이지 않는 상징적 의미를 주체로 받아들임으로써 추상적 욕망의 상징적 세계에서 현실로 들어간다.
회화에서 모방의 범주에서 욕망의 대상을 개념적 주체로 하는 상징으로 보이는 실재적 이미지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관습에서 받아들여져 왔다. 또한 사회적 제약으로서의 욕망의 개념을 모호하게 함으로써 회화 속 누드의 구상적 현실을 숨기고 신화적 이야기에 기반한 환영으로 상징화된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회화의 상상 속에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상징적 의미는 형태적 실재의 이미지와 별반 다르지 않다.
최철수의 욕망 개념에 대한 추상화는 실체적 형상의 이미지이며, 사회적 욕망이 체현되는 조형적 의미는 상징적 형상으로 변형된다. 즉, 근대까지의 회화는 대비의 무대를 드러내고 보이지 않는 실재로서의 타자의 욕망의 상징성을 파괴한 사실적 조식성과 관습적 추상성의 범주에서 벗어나 추상적 욕망 개념으로 만드는 근대적 회화이다.
이는 '사라진 연못>에서 타자의 욕망에 의해 드러나는 추상적 구조로, 욕망의 이미지로서의 물고기의 윤곽을 모노톤으로 표현함으로써 물고기의 실체를 추상화한다<.
연못은 동시대의 사회적 현실을 보여주고, 관습적 이성 속에 감춰진 현실의 이미지를 드러내며, 욕망의 현실과의 소통을 통해 욕망의 회화적 의미를 반영한다.
실제 이미지는 연못에 퇴적된 욕망 구조의 현실을 상징하는 투시적 톤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동시대 언어적 의미를 특징짓는 구상적 이미지로서 타자의 욕망을 위한 연못의 경계에 프레임을 생성하고, 추상적 욕망 구조를 실재적 대상의 이미지로 추상화하며, 개념적 추상화의 현상적 상징 체계를 선과 색채로 파괴한다. 그리고 실체로서 피험자가 원하는 목적에 적합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듯 욕망의 이미지는 주체가 욕망하는 필연적 대상으로서의 욕망의 위치를 구성하고, 언어적 개념의 실재적 이미지로서 회화적 가치를 획득하며, 욕망의 내적 개념을 외적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해 언어적 추상적 의미를 사용한다.
언어적 추상화는 욕망의 구조이며, 라캉의 상상력과 거울에 비친 현실을 시각적 구조로 설정하는 욕망의 배경은 최철주의 '나팔꽃'이다. 그의 욕망 개념의 디자인 과정에서 가역적인 빛의 그림자 속에 현실을 숨기는 그림자가 바로 '대나무 숲'이다. 그리고 무의식적 욕망이라는 개념이 언어적 구조로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추상적 언어적 이미지가 바로 〈잃어버린 연못〉이다.
따라서 최철수의 욕망 개념은 욕망의 개념을 상징적 실재의 '사라진 연못' 구조에 대한 언어적 표현으로 시각화하고, 추상적 욕망의 개념을 현대미술의 이상적 로고스 표현 범주에 속하는 실재적 이미지로 환원시킨다.
또한 욕망 개념의 디자인 과정으로서 욕망의 대상은 억압된 무의식 속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현된 실재를 디자인을 통해 형성하고 존재로서의 추상화를 드러내는 개념적 주체로 상징화된다. /쓰기. 미술평론가 최철수 (개념추상화가 & 문화디자인 박사)
작가 작품 배경이미지: 루이 최철주, 나팔꽃 p133-1-5-초국은 대표로 재선된 후 다시 태어나고 싶은 나라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방탄소년단 뉴욕 타임스퀘어 퍼포먼스, 컴퓨터에 손으로 그린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