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弋不射宿(익불사숙)
주살로 자는 새를 잡지 않는다는 뜻으로 인자(仁者)의 자비심을 이름. -논어-
◎ 溺於人不可救也(익어인불가구야)
溺:빠질 익, 於:어조사 어, 人:사람 인, 不:아닐 불, 可:옳을 가, 購:구할 구, 也:오조사 야.
소인(小人)과 여자에 빠져 혹하면 구하기 힘든다는 것. - 武王(무왕)의 盤名(반명)-
◎ 益人神智莫若書籍(익인신지막약서적)
사람의 지식을 높이는 데는 서적보다 나은 것이 없음을 이름. -삼국위지-
◎ 益者三友(익자삼우)
益:더할 익, 者:사람 자, 三:석 삼, 友:벗 우.
사귀어 이익이되는 친구가 세 가지 있음을 이름.
곧 정직한 사람, 신의있는 사람, 지식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 益者三友損者三友(익자삼우손자삼우)
덕이되는 벗이 셋이 있고, 손해가 되는 벗이 셋이 있다. -동몽선습. 오륜-
◎ 益者三友 友直, 友諒,友善矣(익자삼우 우직, 우량,우선의)
덕이 있는 벗이 셋이 있으니,
이는 정직하고 양해성이 있으며 선한 벗이라. -공자, 논어-
◎ 益者三樂(익자삼요)
益:더할 익, 者:사람 자, 三:석 삼, 樂:즐거울 요.
사람이 즐기는 것이 세 가지의 이익되는 일이 있음을 이름.
유익한 즐거운 세 가지, 곧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함과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과
착힌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 -예기-
◎ 人各有能有不能(인각유능유불능)
사람은 누구에게나 능한 것과 능하지 못한 것이 있다는 것. -좌전- ◎ 人各有一能(인각유일능) 人:사람 인, 各:각각 각, 有:있을 유, 一:한 일, 能:능할 능. 사람마다 제각기 하나씩의 재능은 가지고 있다는 말. ◎ 人間到處有靑山(인간도처유청산) 人:사람 인, 間:사이 간, 到:이를 도, 處:곳 처, 有:있을 유, 靑:푸를 청, 山:뫼 산.
인간 세상에는 어디에나 푸른 산이 있다 함은, 사람은 어디를 가나 살아나갈 곳이 있다는 말.
◎ 人間萬事塞翁之馬(인간만사새옹지마)
인생의 화복(禍福)은 뜻대로 할 수 없고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라는 뜻, 새옹이 타고 있던 말로 인하여 화가 복이 되고 복이 화가 되었다는 옛일에서 나온 말. -회남자-
◎ 引車避道(인거피도)
引:끌 인, 車:수레 거, 避:피할 피, 道:길 도.
길가는 도중에서 귀인(貴人)을 만났을 때 공경하여 길을 피해 줌. -후한서-
◎ 人傑地靈(인걸지령)
人:사람 인, 傑:호걸 걸, 地:땅 지, 靈:영묘할 령.
호걸이 태어나거나 이르는 곳은 그 땅 또한 명승지가 됨,
또 인걸은 영검있는 땅에서 난다는 말.
◎ 人苦不知足(인고부지족)
사람은 물질에 만족치 못하는 것을 괴롭게 여긴다는 뜻. -후한서-
◎ 因果(인과)
因:인할 인, 果:열매 과.
①원인과 결과,
②선악의 업(業)에 의하여 그것에 해당하는 과보(果報)를 초래하는 일, 또는 그 법칙.
◎ 因果應報(인과응보)
원인(原因)과 결과(結果)는 서로 물고 물린다는 뜻으로, ①과거(過去) 또는 전생(前生)의 선악(善惡)의 인연(因緣)에 따라서 뒷날 길흉(吉凶) 화복(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②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結果)가,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結果)가 따름.
◎ 인과자책(인과자책)
引:끌 인, 過:지날 과, 自:스스로 자, 責:꾸짖을 책.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스스로 꾸짖음.
◎ 因口傳播(인구전파)
因:인할 인, 口:입 구, 傳:전할 전, 播:씨뿌릴 파.
말이 이 사람의 입에서 저 사람의 입으로 전해 퍼짐.
◎ 人口膾炙(인구회자)
人:사람 인, 口;입 구, 膾;회 회, 炙:고기 구울 자.
인구에 회자 되다 라고 한다. 회자는 회와 구운고기,
전하여 널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 -주박시집-
◎ 人君猶盂(인군유우)
人:사람 인, 君:임금 군, 猶:오히려 유, 盂:바리 우.
인민의 습속(習俗)은 모두 임금의 소위(所爲)에 따른다는 것을 비유한 말. -한비자-
◎ 人窮反本(인궁반본)
人:사람 인, 窮:다할 궁, 反:되돌릴 반, 本:근본 본.
사람이 궁하면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곧 사람은 궁해지면 부모를 생각캐 된다는 말.
◎ 人鬼相半(인귀상반)
죽을 지경(地境)에 이르러서 형상(形像)이 반 귀신(鬼神)같이 됨.
◎ 人琴俱亡(인금구망)
人:사림 인, 琴:거문고 금, 俱:함께 구, 亡:망할 망.
진(晋)나라의 왕휘지(王徽之)가 죽었을 때 평소 그가 애용(愛用)하던 거문고도 가락이 맞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사람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이르는 말.
◎ 人琴之嘆(인금지탄)
남의 죽음을 애도하는 심정이 지극한 것. -진서,왕휘지전-
◎ 人急計生(인급계생)
人:사람 인, 急:급할 급, 計:셈할 계, 生:날 생.
다급하면 무슨 계책이 생긴다는 말.
◎ 人飢己飢(인기기기)
남이 굶주리면 자기가 굶주리게 한 것과 같이 생각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함.
◎ 人棄我取(인기아취)
다른 사람이 버리는 것을 나는 거두어 씀.
◎ 人能弘道(인능홍도)
人:사람 인, 能:능할 능, 弘:넓을 홍, 道;길 도.
사상(思想), 도덕은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고, 널리 퍼지게 하는 것으로서, 독자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 인간중심 주의를 말한다. -논어-
◎ 人道惡盈而好謙(인도오영이호겸)
人:사람 인, 道:길 도, 惡;욕설할 오, 盈:찰 영, 而:말이을 이, 好:좋을 호, 謙:겸손할 겸.
사람은 으레 영만(盈滿)한 자를 미워하고 겸손한 사람을 좋아한다는 뜻. -역경-
◎ 引狼入室(인랑입실)
引:끌 인, 狼:이리 랑, 入:들 입, 室:집 실.
스스로 이리를 방으로 불러들인다는 뜻으로, 스스로 재앙을 부름의 비유,
스스로 악인(惡人)과 관계를 가져 재난을 불러 일으키는 것.
◎ 引領望之(인령망지)
목을 길게 빼고 기다리는 것. -맹자,양혜왕 상-
◎ 人馬絡繹(인마낙역)
人:사람 인, 馬:말 마, 絡:이을 낙, 繹:끌어낼 역.
인마가 낙역부절(絡繹不絶)하다는 뜻으로 번화한 도시를 형용하는 말.
◎ 人馬亦同(인마역동)
사람과 말이 한 가지로 같다는 뜻으로, 같은 경우에 부닥쳤을 때
미물(微物)이라도 처우(處遇)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뜻으로 쓰임.
◎ 人萬物之靈(인만물지령)
사람은 온갖 것의 우두머리라는 것. -서경,태서 상-
◎ 人莫知其子惡(인막지기자악)
人:사람 인, 莫:없을 막, 知:알 지, 其:그 기, 子:아들 자, 惡:악할 악.
애정에 빠진 사람은 보는 바가 확실하지 못하다는 것. -대학-
◎ 人亡家廢(인망가폐)
人:사람 인, 亡:망할 망, 家:집 가, 廢:폐할 폐.
사람은 망하고 집은 황폐함. 패가망신(敗家亡身)
◎ 認妄爲眞(인망위진)
거짓을 참으로 앎. -원각경-
◎ 人面桃花(인면도화)
人;사람 인, 面;낯 면, 桃:복숭아 나무 도, 花:꽃 화.
사랑하는 사람을 다시는 만나지 못하다. -여정집-
◎ 人面獸心(인면수심)
얼굴은 사람의 모습을 하였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①남의 은혜(恩惠)를 모름, 또는 마음이 몹시 흉악(凶惡)함을 이르는 말 ②사람의 도리(道理)를 지키지 못하고 배은망덕하거나 행동(行動)이 흉악(凶惡)하고 음탕(淫蕩)한 사람. -한서-
◎ 人命在天(인명재천)
人:사람 인, 命:목숨 명, 在:있을 재. 天:하늘 천,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이나 오래 살고 못살고 하는 것은 다 하늘에 달려 있으니 사람으로서는 어쩔 수 없다는 말,
◎ 人謀難測(인모난측)
人:사람 인, 謀:꾀할 모, 難:어려울 난, 測:잴 측.
간사한 사람의 못된 계책은 추측하기 어려움.
◎ 人無百歲人(인무백세인)이나 枉作千年計(왕작천년계)니라.
백년을 사는 사람이 없는데도 사람은 부질없이 천년의 계획을 세운다. -명심보감-
◎ 隣巫不靈(인무불령)
이웃 집 무당 영험하지 않다는 뜻으로, 가까이서 그 실체를 보면 보통과
다름이 없으나 눈에 보이지 않으면 신비하게 여길 수 있음을 이름.
◎ 人無遠慮必有近憂(인무원려필유근우)
사람이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데 근심이 있다. -논어 위공-
◎ 因文得錢(인문득전)
因:인할 인, 文:글월 문, 得:얻을 득, 錢:돈 전,
문학으로 재화를 얻어 부귀하게 되는 것. -古事成考(고사성고)-
◎ 人物推尋(인물추심)
人:사람 인, 物:만물 물, 推:밀 추, 尋:찾을 심.
자취를 모르는 사람을 더듬어 찾음, 또 도망하여 먼 곳에 가서 사는 노비(奴婢)나 그 자손을 그의 상전이나 그의 자손이 찾음.
◎ 人微言輕(인미언경)
人:사람 인, 微;작을 미, 言:말씀 언, 輕:가벼울 경.
사람이 미천한 지위에 있으면 말(言)의 힘이 없어진다는 뜻.
◎ 麟鳳龜龍(인봉구룡)
麟:기린 인, 鳳:봉황새 봉, 龜:거북 구, 龍;용 룡.
기린, 봉황, 거북, 용, 품성이 고상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 因不失其親(인불실기친)
因;인할 인, 不;아닐 불, 失;앓을 실, 其:그 기, 親;친할 친.
인(因)은 친(親)임, 자기와 친하여야 할 사람을 잃지 않는다는 뜻. -논어-
◎ 人不言鬼不知(인불언귀부지)
人:사람 인, 不:아닐 불, 言:말씀 언, 鬼:귀신 귀, 不;아닐 부, 知:알 지.
사람이 말을 안하면 귀신도 그 마음을 알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말하지 않는 속마음은 아무도 알아줄 사람이 없다는 말.
◎ 人不學不知道(인불학불지도)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사람이 걸어 나가야할 도(道)를 알지 못한다. -예기학기-
◎ 人不通古今馬友而襟裾(인불통고금마우이금거)
사람으로서 고금(古今)의 도리에 통하지 않은 자는 의복을 입은 소나 말과
같다는 뜻. -한유의 글-
◎ 人非木石(인비목석)
사람은 모두 희로애락(희로애락)의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목석과 같이
무정(無情)하지 않다는 것. -사마천의서-
◎ 人非人(인비인)
人;사람 인, 非:아닐 비.
사람이면서 사람이 아니라는 뜻으로, 인도를 벗어난 사람을 일컬음.
◎ 人師難遇經師易遇(인사난우경사이우)
人:사람 인, 師;스승 사, 難:어려울 난, 遇:만날 우, 經:지날 경, 易:쉬울 이,
경서(經書)의 뜻을 푸는 스승은 만나기 쉬워도 인도(人道)의 스승이 될만한 사람을 만나기는 어렵다는 뜻. -痛鑑後漢桓帝紀(통감후한원제기)-
◎ 人事不祥(인사불상)
人:사람 인, 事:일 사, 不:아닐 불, 祥:상서로울 상.
사람으로서 부실한 일 세 가지, 곧 어리면서 장자(長子)를 섬기지 않고, 천하면서 지체높은 이를 무시하며, 불초한 자가 현자(賢者)를 우러러보지 않는 일.
◎ 人事不省(인사불성)
人:사람 인, 事:일 사, 不:아닐 불, 省:살필 성.
정신(精神)을 잃고 의식(意識)을 모름이란 뜻으로, ①사람으로서의 예절(禮節)을 차릴 줄 모름 ②의식(意識)을 잃어서 사람의 일을 알아차리지 못함.
◎ 人死留名(인사유명) = 표사유피
人:사람 인, 死:죽을 사, 留:머무를 유, 名:이름 명.
사람은 죽어도 이름은 남겨진다는 말로, 그 삶이 헛되지 않으면 방명(芳名)은 길이 남는다는 말.
◎ 印象(인상)
印:도장 인, 象:코끼리 상.
도장을 찍은 것과 같이 현상이 똑똑히 나타남을 이름.
◎ 人事蓋棺定(인사개관정)
사람의 평이란 그가 죽어보아야 안다는 말. -서언고사-
◎ 人山人海(인산인해)
人:사람 인, 山:뫼 산, 海:바다 해.
많은 사람이 한 군데로 모임, 인파(人波)
◎ 人生感意氣(인생감의기)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의 은혜에 감동하여 분발하고, 자기를 희생함을 이르는 말. 사람은 의기(意氣)가 상투함을 중히 여긴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당시선-
◎ 人生無常(인생무상)
人:사람 인, 生:날 생, 無:없을 무, 常:항상 상.
사람의 삶이 덧없음을 이름.
◎ 人生不學(인생불학)이면 如冥冥夜行(여명명야행)이니라.
사람이 배우지 않으면 마치 캄캄한 밤길을 가는 것과 같다. -태공-
◎ 人生三樂(인생삼락)
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첫째는 부모(父母)가 다 살아 계시고 형제(兄弟)가 무고한 것, 둘째는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셋째는 천하(天下)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敎育)하는 것.
◎ 人生識字憂患始(인생식자우환시)
人:사람 인, 生:날 생, 識:알 식, 字:글 자 자, 憂근심할 우, 患:근심, 환始:비로소 시.
인생은 학식이 있게 되면 도리어 근심거리가 느나니 차라리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 편하다는 뜻. -소식의 시-
◎ 人生如朝露(인생여조로)
인생은 마치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음. -한시 소무전-
◎ 人生如風燈(인생여풍등)
人:사람 인, 生:날 생, 如:같을 여, 風:바람 풍, 燈:등잔 등.
사람의 목숨은 풍전등화(風前燈火)같아서 내일을 기약(期約)할 수 없다는 말.
-요사(遼史)-
◎ 人生而靜天之性也(인생이정천지성야)
人:사람 인, 生:날 생, 而:말 이을 이, 靜:고요할 정, 天:하늘 천, 之:갈 지, 性:성품 성, 也:어조사 야.
조용한 것은 사람의 천성(天性)이라는 뜻. -예기-
◎ 人生一死都無事(인생일사도무사)
人:사람 인, 生:날 생, 一:한 일, 死:죽을 사, 都:도읍 도, 無:없을 무, 事:일 사.
사람은 한번 죽으면 그만이라는 뜻.
◎ 人生自古誰無死(인생자고수무사)
人:사람 인, 生:날 생, 自:스스로 자, 古:옛 고, 誰:누구 수, 無:없을 무, 死:죽을 사.
사람은 누구나 다 죽게 마련이므로 충성을 다하여 후세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뜻.
-문천상(文天祥)의 시(詩)-
◎ 人生七十古來稀(인생칠십고래희)
사람이 일흔 살까지 산다는 것이 예로부터 드문 일이라는 말. -두보 곡강-
◎ 人生何處來(인생하처래) 死後何處去(사후하처거)
生也一片浮雲起(생야일편부운기)死也一片浮雲滅(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부운자체본무실) 生死去來亦如是(생사거래역여시)
인생은 무엇이며 어디서 오는 것일까. 죽음은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 것일까,
삶이란 하늘에 피어 오르는 한 조각 구름이로다.
죽음이란 하늘에서 사라지는 한 조각 구름이로다.
하늘에 떠도는 구름 그 자체는 본래 그 실체가 아니다.
오는 생명도 가는 죽음도 구름과 같은 것이다. -원효대사-
◎ 人生行樂耳(인생행락이)
人:사람 인, 生:날 생, 行:다닐 행, 樂:풍류 락, 耳:귀 이.
인생은 짧은 것이므로 그저 즐겁게 살아야 한다는 뜻으로, 세상을 버리고 스스로 방일(放佚)한 사람이 하는 말. -한서-
◎ 人所歸者天所與(인소귀자천소여)
人:사람 인, 所:바 소, 歸:돌아올 귀 者:사람 자, 天:하늘 천, 與:줄 여.
하늘은 항상 사람에 따른다는 뜻. -후한서-
◎ 人所不堪(인소불감)
人:사람 인, 所:바 소, 不:아닐 불, 堪:견딜 감.
사람의 힘으로는 견디어 내기 힘든 정도의 형편.
◎ 人所不能忍 容所不能容(인소불능인 용소불능용)
참을 수 없는 것을 참고,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라.
◎ 因循姑息(인순고식)
因:인할 인, 循:돌 순, 姑:시어미 고, 息:숨쉴 식.
구습(舊習)을 지키며 진취의 기상이 없이 구안(苟安)만 취함, 인순은 내키지 않아 머뭇거림, 구습을 지키고 버리지 않음, 고식은 우선 당장에 탈 없이 편안함.
◎ 引繩批根(인승비근)
새끼줄을 걸어 잡아당겨 뿌리째 뽑아버린다는 뜻으로, 둘이 한패가 되어 다른
사람을 배척하여 제거함. -사기-
◎ 人心難測(인심난측)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 어려움. -사기-
◎ 人心不可測(인심불가측)
人:사람 인, 心;마음 심, 不:이닐 불, 可:옳을 가. 測:젤 측.
사람의 마음은 그 깊이를 잴 수가 없다. 사람의 마음은 헤아릴 수 없다는 뜻이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은 뜻이다.
-대동기문-
◎ 人心所關(인심소관)
人:사람 인, 心;마음 심, 所:바 소, 關:빗장 관.
사람의 마음에 따라 각각 그 취의(趣意)를 달리함.
◎ 人心如面(인심여면)
사람마다 마음이 다 다른 것은 얼굴모양이 다 다른 것과 같음. -춘추좌씨전-
◎ 人心險於山川(인심험어산천)
사람의 마음은 산천보다도 험하고 매섭다는 뜻. -장자-
◎ 人我無相(인아무상)
人:사람 인, 我:나 아, 無:없을 무, 相:서로 상.
인신(인신0에는 항상 정하여져 있는 주재자(主宰者), 즉 아(我)가 없다는 말.
◎ 人我之相(인아지상)
人:사람 인, 我:나 아, 之:갈 지, 相:서로 상.
인(人)을 가볍게 알고, 아(我) 곧 그 본체를 중시하는 마음.
◎ 人言可畏(인언가외)
人;사람 인 言:말씀 언, 可;옳을 가, 畏;두려워할 외.
사람의 말이 두렵다. 사람들의 쑥덕공론이 두렵다는 뜻이다. -시경 정풍 장중자 노래-
◎ 人焉廋哉(인언수재)
人:사람 인, 焉;어지 언, 廋:숨길 수, 哉:어조사 재.
사람은 무엇이든 숨길 수 없다는 것. -논어-
◎ 人言利愽(인언이박)
인덕(人德)이 있는 사람의 말과 행동은 널리 대중(大衆)에게까지 이익이 미침.
◎ 夤緣(인연)
夤:조심할 인, 緣:인연 연.
①덩굴이 뻗어 올라 감. ②나무 뿌리나 바위 등을 의지하고 산등성이를 이리저리 올라감.
③권세 있는 연줄을 타서 지위에 오름의 비유.
◎ 人噎廢食(인열폐식)
人:사람 인, 噎:목멜 열, 廢:폐할 폐, 食:밥 식.
목이 멘다고 식사를 하지 않음, 곧 사소한 장애 때문에 큰 일을 그만둠의 비유.
◎ 人爲刀俎我爲魚肉(인위도조아위어육)
人:사람 인, 爲:할 위, 刀:칼 도, 俎:도마 조, 我:나 아, 魚;물고기 어, 肉:고기 육.
나의 몸이 남에게 제재(制裁)를 당하는 것. -사기-
◎ 人惟求舊(인유구구)
옷은 새옷이 좋고 사람은 옛사람이 좋다는 것. -서경-
◎ 人有不及可以情恕(인유불급가이정서)
人:사람 인, 有:있을 유, 不:아닐 불, 及:미칠 급, 可:옳을 가, 以:써 이, 情:뜻 정, 恕:용서할 서.
정의(情誼)로써 사람의 미치치지 못하는 점을 용서하여야 한다는 것. -세설-
◎ 人有三怨(인유삼원)
人:사람 인, 有:있을 유, 三:석 삼, 怨:원망할 원,
남으로부터 원망을 사는 세 가지, 곧 고작(高爵), 대관(大官), 후록(厚祿). -열자-
◎ 인유실의(인유실의)
引:끌 인, 喩:깨우칠 유, 失:잃을 실, 義:옳을 의.
그릇된 전례(前例)를 이용하여 올바른 이치를 잃어버리는 것,
가당치 않은 비유를 끌어들여 진리를 잃어버리는 것. -전출사표-
◎ 人有不爲而後可以有爲(인유불위이후가이유위)
할 일, 못할 일의 취사(取捨)선택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야
비로소 일을 할 수 있다는 뜻. -맹자-
◎ 仁義禮智(인의예지)
仁:어질 인, 義:옳을 의, 禮:예절 예, 智:지혜 지.
사람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덕(德), 곧 어질고, 의롭고, 예의를 지키고 지혜로움.
◎ 仁義人之性(인의인지성)
仁:어질 인, 義:옳을 의, 人:사람 인, 之:갈 지, 性:성품 성.
인의를 행하려는것은 사람의 본성이라는 뜻.
◎ 仁義忠孝(인의충효)
仁:어질 인, 義:옳을 의, 忠:충성 충, 孝:효도 효.
인(仁), 의(義), 충(忠), 효(孝)의 사덕(四德), 이 네 가지를 도덕(道德)의 뜻으로도 씀.
◎ 人而無禮胡不遄死(인이무례호불천사)
人:사람 인, 而:말이을 이, 無:없을 무, 禮:예절 례, 胡:턱 밑살 호, 不:아닐 불, 遄:빠를 천, 死:죽을 사.
무례(無禮)한 사람이 왜 빨리 죽지 않느냐고, 무례한 것을 심히 미워하여 이른 말. -시경-
◎ 人而無恒不可以作巫醫(인이무항불가이작무의)
人:사람 인, 而:말이을 이, 無:없을 무, 恒:항상 항,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以:써 이, 作:지을 작,
巫:무당 무, 醫:의원 의.
일정(一定)한 마음이 없는 사람은 의사(醫師)나 무당(巫堂)노릇도 할 수 없다는 뜻. -논어-
◎ 引而不發(인이불발)
引:끌 인,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發:쏠 발.
활 시위를 잡아 당길 뿐 화살을 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람에게 학문을 가르침에 있어
단지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그 묘처(妙處)를 말하지 않아 학습자로 하여금
궁리하여 자득(自得)케 하는 것을 이름. 또는 세력을 축적하여 때를 기다림을 이름.
-맹자-
◎ 人而不仁疾之已甚亂也(인이불인질지이심난야)
人:사람 인,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仁:어질 인, 疾:병 질, 之:갈 지, 已:이미 이, 甚:심할 심,
亂:어지러울 난, 也:어조사 야.
어질지 않은 사람을 미워하면 더욱더 어질지 않은 사람이 되므로 마땅히 잘 타일러서 가르치는 것이 좋다는 뜻. -논어-
◎ 人溺己溺(인익기익)
남이 물에 빠지면 자기로 인해 물에 빠진 것처럼 생각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함.
◎ 因人成事(인인성사)
무슨 일을 함에 제 힘으로만 하지 않고 남의 도움을 받아 일을 이룬다는 뜻. -사기-
◎ 仁人之安宅也(인인지안택야)
仁:어질 인, 人:사람 인, 之:갈 지, 安:편안 안, 宅:집 택, 也:어조사 야.
사람이 인덕(仁德)을 지키면 마음이 편안함을 이름. -맹자-
◎ 仁人之言其利博(인인지언기리박)
仁:어질 인, 人:사람 인, 之:갈 지, 言:말씀 언, 其:그 기, 利;이로울 이, 博:넓을 박.
인자의 말에는 이익을 주는 바가 큼. -좌전-
◎ 忍一時之忿(인일시지분)이면, 면백일지우(면백일지우)이니라.
한 때의 분함을참으면, 백 날의 근심을 면하느니라. -명심보감-
◎ 人(인)은 仁心也(인심야)요 義(의)는 人道也(인도야)니라.
인(仁)은 사람의 마음이며, 의(義)는 사람의 길이다. -맹자. 고자상 편-
◎ 人而無信(인이무신) 不知其可也(부지기가야)
사람이 신용이 없으면 아무데도 쓸데가 없다. -공자-
◎ 人一能之己百之(인일능지기백지)
철저한 노력을 거듭하여 비로소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 -중용-
◎ 仁者德之光(인자덕지광)
仁:어질 인, 者:사람 자, 德:큰 덕, 之:갈 지, 光:빛 광.
인(仁)은 덕(德)의 훌륭한 것이라는 뜻.
◎ 仁者無敵(인자무적)
인덕을 몸에 지닌 사람은 널리 남을 사랑하고 인정을 베풀기 때문에 적대하는
사람이 없다. -맹자,양혜왕 상편-
◎ 仁者不窮約(인자불궁약)
仁:어질 인, 者:사람 자, 不:아닐 불, 窮:다할 궁, 約:맺을 약.
인자는 막다른 곳에 다달아 고생하는 일이 없음. -공자궁어-
◎ 人者不憂(인자불우)
인자는 도리(道理)에 따라 꺼림직한 일이 없으므로 근심하지 않음.
◎ 仁者安仁(인자안인)
仁:어질 인, 者:사람 자, 安:편안 안.
인자는 천명(天命)을 잘 알아 인(仁)에 만족하여 마음을 동요하지 않음. -논어-
◎ 仁者樂山(인자요산)
仁:어질 인, 者;사람 자, 樂:즐거울 요, 山:뫼 산.
인덕(仁德)이 있는 자는 마음이 자연 중후(重厚)하기 때문에 듬직한 경관을 가진 산의 경치를 즐긴다, 변화가 심한 세상에 살면서도 명성이나 이익에 마음이 흔들림이 없이 느긋하게 처신함을 비유하는 말. -논어-
◎ 仁者樂山智者樂水(인자요산지자요수)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①산수(山水) 경치(景致)를 좋아함을 이르는 말 ②어진 자는 의리(義理)에 밝고 산과 같이 중후(重厚)하여 변(變)하지 않으므로 산을 좋아하고, 지혜(智慧)로운 자는 사리(事理)에 통달(通達)하여 물과 같이 막힘이 없으므로 물을 좋아한다는 말.
◎ 仁者義之本也(인자의지본야)
仁:어질 인, 者:사람 자, 義:옳을 의, 之:갈 지, 本;근본 본, 也:어조사 야.
인(仁)은 의(義)를 행하는 근본이라는 뜻.
◎ 仁者之勇(인자지용)
仁:어질 인, 者:사람 자, 之:갈 지, 勇:날랠 용.
의(義)를 위하여 나서는 어진 사람의 용기. -신서(新序)-
◎ 鱗潛羽翔(인잠우상)
비늘 있는 고기는 물속에 잠기고, 날개 있는 새는 공중(空中)에 낢.
◎ 人在名虎在皮(인재명호재피) = 표사유피
人:사람 인, 在:있을 재, 名:이름 명, 虎:범 호, 皮:가죽 피.
사람은 죽은 뒤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죽은 뒤 가죽을 남긴다. 곧 사람은 마땅히 좋은
일을 하여 그 훌륭한 이름을 후세에 까지 전해야 한다는 말.
◎ 人跡不到(인적부도)
人:사람 인, 跡:발자취 적, 不:아닐 부, 到:이를 도.
산이 험하고 깊거나 또는 인가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해서, 사람의 발자취가 이르지 아니한 곳.
◎ 人跡不到處(인적부도처)
人:사람 인, 跡:발자취 적, 不:아닐 부, 到:이를 도. 處:곳 처.
사람의 발자취가 이르지 아니한 곳.
◎ 認賊爲子(인적위자)
認:인정할 인, 賊:도둑 적, 爲:할 위. 子:아들 자.
도적을 아들로 생각한다는 뜻으로, 망상(妄想)을 진실이라고 믿음을 비유하는 말.
◎ 人情佳話(인정가화)
따뜻한 인정(人情)으로 고독(孤獨)하고 불쌍한 사람을 돌봐 준 아름다운 이야기.
◎ 人情(인정)은 皆爲窘中疎(개위군중소)니라.
인정은 모두 어려운 가운데서 멀어진다. -명심보감-
◎ 人情冷暖(인정냉난)
인정의 냉담함과 온후함. -전등록-
◎ 人定勝天(인정승천)
노력하면 어려운 일이라도 극복할 수 있다는 말.
◎ 人種之末(인종지말)
아주 못된 사람의 씨알머리라는 뜻으로, 태도(態度)나 행실(行實)이 사람답지 아니하고 막된 사람을 욕하는 말.
◎ 人中騏驥기(인중기기)
人:사람 인, 中:가운데 중, 騏:준마 기, 驥:천리마 기.
뛰어나게 잘난 사람을 이름. -남사(南士)-
◎ 人衆勝天(인중승천)
人:사람 인, 中:가운데 중, 勝:이길 승 天:하늘 천.
사람이 많으면 하늘을 이긴다 함이니 사람의 수가 많으면 무슨 일이라도 할 수 있다는 뜻.
◎ 人中龍(인중용)
人:사,람 인, 中:가운데 중, 龍:용 용.
비범(非凡)하여 장래를 예측(豫測)할 수 없는 사람을 용에 비유하여 이름. -진서(晉書)-
◎ 人衆者勝天天定亦能勝人(인중자승천천정역능승인)
人:사람 인, 衆:무리 중, 者;사람 자, 勝:이길 승, 天:하늘 천, 定:정할 정, 亦:또 역, 能:능할 능.
사람의 세력이 강하게 될 때는 일시적으로 천리(天理)를 이기게 되나, 하늘은 재앙을 내림으로써 강포(强暴)한 자를 이기고 만다는 뜻. -사기-
◎ 人中之末(인중지말)
행실이나 사람됨이 사람 가운데서 가장 못된 사람.
◎ 人中之龍(인중지용)
남다르게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 매우 뛰어난 인물,
◎ 仁卽榮(인즉영)不仁卽辱(불인즉욕)
仁(인)은 번영하고, 不仁(불인)이면 욕을 보리라. -맹자 공손축상편-
◎ 人之過也各於其黨(인지과야각어기당)
人:사람 인, 之:갈 지, 過:지날 과, 也:어조사 야, 各:각각 각, 於:어조사 어, 其:그 기, 黨:무리 당.
과실(過失)을 보고서 사람의 선악(善惡)을 알 수 있다는 뜻. -논어-
◎ 人之不學(인지불학)
사람으로 배우지 않음. -명심보감.근학편-
◎ 人之常情(인지상정)
人:사람 인, 之;갈 지, 常:항상 상, 情:뜻 정.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 인정.
◎ 人之生也與憂俱生(인지생야여우구생)
人;사람 인, 之:갈 지,生:날 생, 也:어조사 야, 與:줄 여, 憂:근심할 우, 俱:함께 구,
사람은 나면서 부터 이미 근심과 고통을 갖고 있었다는 뜻, 사람은 처음 땅에 떨어지자 고고(呱呱)의 소리를 냈는데 이것이 곧 근심임.
◎ 人之水鏡(인지수경)
人:사람 인, 之:갈 지, 水:물 수, 鏡:거울 경.
정신이 맑고 깨끗한 것을 이름. -진서-
◎ 仁之安宅(인지안택)
仁:어질 인, 之:갈 지, 安:편안 안, 宅:집 택.
인덕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위해를 가할 사람이 없으므로,
인덕은 사람이 편히 살 수 있는 집이라는 뜻. -진서-
◎ 人之爲德(인지위덕)
모든 일에 있어서 참는 것이 덕이 됨.
◎ 忍之一事衆妙之門(인지일사중묘지문)
忍:참을 인, 之:갈 지, 一:한 일, 事:일 사, 衆;무리 중, 妙;묘할 묘, 門:문 문.
인내는 만사(萬事)의 근원이란 뜻. -여본중(여본중)-
◎ 忍之一字衆妙之門(인지일자중묘지문)
忍:참을 인, 之:갈 지, 一:한 일, 字:글자 자, 衆;무리 중, 妙;묘할 묘, 門:문 문.
참을 인(忍)자 하나가 세상의 어려운 일을 해결하는 좋은 방도이니, 무엇이나 참으라는 말.
-宋元通鑑(송원통감)-
◎ 人之將死其言也善(인지장사기언야선)
人:사람 인, 之:갈 지, 將:장수 장, 死:죽을 사, 其:그 기, 言:말씀 언, 也:어조사 야, 善:착할 선.
사람이 죽을 때는 그 하는 말이 착하다. -논어 태백편-
◎ 人之在世不可無友(인지재세불가무우)
사람이 세상(世上)을 살아감에는 벗이 없을 수 없음.
◎ 麟趾之化(인지지화)
麟:기린 인, 趾:발 지, 之:갈 지, 化:될 화.
문왕(文王)의 후비(后妃)가 덕을 쌓아서 자손과 종족이 모두 선량해졌으므로 시인이 인지지(麟趾之)의 시를 지어 이를 찬미하였음, 전(轉)하여 왕후, 황태후의 덕을 칭송하는 말.
-시경-
◎ 人只察卽無徒(인지찰즉무도)
사람이 지나치게 청렴하고 현명하면 도리어 벗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 -공자. 가어 입관-
◎ 因天材就地利(인천재취지리)
因:인할 인, 天:하늘 천, 材:재목 재, 就:나아갈 취, 地:땅 지, 利:이로울 리.
하늘이 주는 재료를 가지고 땅에서 생산하는 이득을 이룬다는 뜻.
◎ 引錐刺股(인추자고)
引:끌 인, 錐:송곳 추, 刺:찌를 자, 股:넓적다리 고.
공부하다가 졸리면 송곳으로 넓적다리를 찔러 잠을 깨게한다는 뜻으로, 오로지 학문에만 정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국책-
◎ 引錐自刺(인추자자)
공부하다가 잠이 오면 송곳으로 자기 몸을 찔러 잠을 깨게하는 것. -전국진책-
◎ 仁親爲寶(인친위보)
仁:어질 인, 親:친할 친, 爲:할 위, 寶:보배 보.
부모를 위함을 재보(財寶)로 여김. -대학-
◎ 因敗爲成(인패위성)
실패(失敗)한 것이 바뀌어 성공(成功)이 됨.
◎ 麟脯(인포)
麟:기린 인, 脯:포 포.
기린의 고기를 햇볕에 말린 것, 진미(珍味)로 유명함. -열선전(列仙傳)-
◎ 人必自侮然後人侮之(인필자모연후인모지)
사람은 자신의 몸을 닦지 않아 스스로 자신을 업신여김으로써 남으로 부터
모멸(侮蔑)을 받게 된다는 말. -맹자-
◎ 人咸躓於垤莫躓於山(인함지어질막지어산)
人:사람 인, 咸:다 함, 躓:넘어질 지, 於;어조사 어, 垤:개밋둑 질, 莫:없을 막, 山:뫼 산.
사람은 대게 개밋둑에 넘어지지 산부리에 걸려 넘어지지는 않는다.
사람이 일을 실패하거나 낭패를 보는 경우 그 까닭은 큰 난관 때문이 아니라
작은 어려움을 방심하거나 그것이 장애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말이다. -한비자 육반편-
◎ 因忽不見(인홀불견)
언뜻 보이다가 바로 없어져 보이지 않음.
◎ 咽喉之地(인후지지) = 인후지(咽喉地)
목구멍과 같은 땅이라는 뜻으로 매우 중요한 목을 이루는 지대를 비유해서 이르는 말.
자료출처-[다음카페:손정섭]
|
첫댓글 읽어 본듯한 문장이내요
불후의 문장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