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1) 신우요관암의 치료 방법
신우 요관암의 치료는 암이 전이했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신우 요관암에 대한 치료방침은 외과적 치료가 주를 이룹니다.
(1) 외과적치료
ㄱ. 근치적 수술법 (신요관전적출과 방광부분절제술)
암이 발생한 쪽의 신장 요관 방광벽의 일부를 모두 절제하는 방법으로 신우 요관암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신장과 신우 가 밀접해 있고 요관의 일부를 남겨두면 남겨진 부분에서 암이 발생하기 쉽고 반대쪽 요관에서는 암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해서 신장과 요관 전체를 적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술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그리고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 수술 등이 있습니다.
ㄴ. 보존적 수술법 (요관부분절제술 부분신적출술 부분신우 절제술 전기소작술 등)
신장이 하나밖에 없거나 양측성으로 발생한 경우 그리고 신부전 등을 동반한 환자에서는 각각의 상황을 고려하여 수술을 결정합니다.
보존적 수술법에는 개복수술 혹은 요관경을 통해 종양만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종양이 요관의 상부에 발생한 경우에 종양을 포함하여 요관의 일부를 절제한 뒤 나머지를 다시 이어주는 방법 하부에 발생한 경우에 요관을 절제한 후에 요관을 방광과 문합하는 수술 방법이 있습니다.
(2) 항암화학요법
종양이 다른 장기로 전이한 경우에는 외과적 치료의 적용 대상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 경우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합니다.
(3) 방사선치료
요상피암에 대해서는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국소 진행된 신우 요관암에서 수술 후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신우 요관암 치료의 부작용
(1) 외과적 치료
한쪽 신장을 떼어내어도 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기 때문에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쪽 신장을 적출했다고 해서 인공 투석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2)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 치료 중의 주된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신장 기능 장애 항암제에 의한 오심 구토 식욕 부진 탈모 등입니다. 필요한 경우 오심을 억제하는 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치료 경과 도중 백혈구 수가 감소하기도 하며 이로 인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없어집니다. 백혈구가 감소하는 시기에는 아무런 감염이 없는데도 발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은 항암제가 암세포를 공격하여 증식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제거하게 하는 것이지만 정상 세포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신적인 합병증이 나타납니다. 이런 합병증을 잘 견디어 내고 항암화학요법을 잘 버텨 원하는 치료 목적을 얻는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크게 나타나 치료를 중단하거나 연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되어 우려되는 부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ㄱ. 골수 억제 및 백혈구 감소증
가장 우려되는 합병증은 항암제에 의해 골수의 기능이 억제되어 백혈구가 잘 만들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여러 가지 감염의 원인이 되며 항암 화학 요법을 중단하고 경우에 따라 골수에서의 백혈구 생산을 촉진하게 하는 약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혈구 감소증과 관련되어 폐렴이 가장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염으로 이때는 격리 및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감염이 진행되어 패혈증으로 진전되면 혈액 속에 세균이 돌아다니는 상황이 되므로 사망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골수가 억제되어 혈소판 감소증이 나타나면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ㄴ. 전신적인 부작용
식욕 부진, 오심, 구토, 설사, 전신 쇠약감, 탈모 등이 나타납니다. 탈모는 항암화학요법 기간 중에 대부분 나타나지만 치료가 완전히 끝난 후 모발은 어느 정도까지 다시 자랍니다.
ㄷ. 주사 부위 피부 괴사
때로 항암제가 혈관에서 주위 조직으로 새어나가 피부 괴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신우 요관암의 재발 및 전이
신우 나 요관 모두에서 표재암의 경우는 치료 성과는 양호하지만 방광 내에서 재발을 잘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침윤성암은 요관 벽이 매우 얇아 쉽게 벽 밖으로 진행하므로 방광암보다 예후가 불량합니다. 또 침윤성 신우 암에서는 암이 혈관이 풍부한 신장 실질 내로 진행하기 때문에 외과적 치료를 해도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수술을 한 결과 침윤성 암이라고 판명되면 필요한 경우 항암제를 사용하여 조금이라도 재발을 줄일 수 있는 치료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신우 요관암 환자의 40~50%에서 결국 방광암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로 방광암 환자에서 신우 요관암이 발생할 확률은 2~3% 정도입니다.
(1) 추적검사
신우 요관암은 재발과 암의 진행을 최소화하고 재발한 경우 적기에 발견해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수술 후 2~3년간은 3개월마다 요검사
요세포검사 등을 실시하고 6개월마다 경정맥신우 조영술 또는 전산화단층촬영을 실시합니다. 2~3년간의 세밀한 추적 관찰 후에도 암의 재발이나 진행이 없다면 이후 추적기간의 간격을 늘릴 수 있습니다.
4) 신우 요관암의 치료 현황
신우요관암은 암세포의 분화도와 병기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를 보입니다. 분화도에 따른 5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좋은 분화도에선 생존율이 40 - 87 %를 보이고 좋지 않은 분화도에선 0-33%의 낮은 생존율을 보입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을 보면 각각 생존율이 표재암 (T1병기) 국소암(T2병기이하) 국소진행암 (T3-4병기) 전이병변을 동반한 전이암의 경우 각각 95.1%, 88.9%, 62.6%, 16.5%으로 보고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