刮 : 비빌 괄 目 : 눈 목, 相 : 서로 상, 對 : 대할 대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대한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재주가 짧은 시간에 현저하게
진보한 경우를 가리키는 아주 좋은 말이다.
오나라의 여몽이라는 유명한 장수가 있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글을 배울 형편이 못되었다.
그렇지만 그는 무예를 열심히 닦아 장수가 되었다.
어느 날 오왕 손권이 여몽과 장흠을 불러 이렇게 말하였다.
"그대들은 이 나라를 위해 할 일이 많으니
앞으로는 글을 많이 읽어 학문을 익히는 것이 좋겠소."
그러자 여몽이 대답했다.
"저는 글을 모르고 또 군에서 해야 할 일이 많아
글 읽는 겨를이 없을 겁니다."
"나는 그대더러 경학박사가 되는 것이 아니고
그저 옛사람들이 남긴 글을 많이 읽어 두라는 것이오.
또 그대가 일이 많다고 하지만 나만큼이야 바쁘겠소.?"
공자는 '하루종일 생각해도 유익됨이 없으니
이는 책을 읽는 것만 못하다.' 했소.
한나라 광무제는 전쟁 중에도 책을 놓지 않았으며,
위나라 조조도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했는데,
그대들은 어찌해서 자기를 계발하는 좋은 일에
힘쓰지 않겠단 말이요.?
여몽이 깨달은 바가 있어 그날부터 열심히 글을 읽었다.
한편, 노숙은 평소에 여몽을 별 볼 일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하루는 여몽을 찾아가 국정을 논의하다가
그가 매우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음을 알고 깜짝 놀라 말했다.
"나는 당신이 무예밖에 는 할 줄 모른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보니 학식이 넓고 깊구려. 당신은 예전의 여몽이 아니군요."
그러자 여몽이 대답했다.
"선비란 사흘간 헤어졌다 만나면 마땅히 눈을 비비고
상대를 보아야 (괄목상대刮目相對)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위의 퍼온 글에서처럼 단 3일 만에 일취월장
할 수도 있는 것이 수행의 진보라고 나는 생각한다.
밤에 결코 잠들지 못하고 가면상태로 지나면서
마음을 내려놓고 정말로 간절하게 염불한다면
어찌 3일을 그렇게 짧은 시간이라고만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