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
논어
중국 춘추시대의 철인인 공자의 언행이나, 공자와 제자, 제후들과의 문답, 제자끼리의 문답 등을 기술한 것으로 공자의 이상적 도덕인 인의 뜻, 정치, 교육에 대한 의견 등이 쓰여 있는 유교의 경전.공자가 살아 있을 때부터 기록되어, 그가 죽은 뒤 제자들에 의하여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맹자
유교의 경전인 사서중의 하나로 맹의 제자가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책.맹자가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왕도정치( 인덕을 근본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정치 이념)를 펴려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와 제자와 학문을 강론하면서 이전에 각 국을 돌아다닐 때의 제후 및 제자와의 문답을 기록한 것이다. 양혜왕, 공손추, 등공문, 이루, 만장, 고자 및 진심의 7편으로 나뉘어 있다.
대학
사서의 하나. 본래 예기의 42편이었는데, 주자가 원문의 순서를 고쳐서 전문을 경과 전으로 정리하였다 한다.
중용
유교의 경전. 사서의 하나. 공의 손자인 자사가 지었다고 한다. 본래 예의 한 편이었으나, 송대에 주가 독립시켰다. 모두 1권
삼경
삼경
시경
시경은 오경(五經)의 하나로서 춘추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한 중국 최고의 시집(詩集)입니다.
서경
서경은 삼경 또는 오경의 하나로서 중국의 요순때부터 주나라 때까지의 정사(正使)에 대한 문서를 수집하여 공자가 편찬한 책입니다.
주역
주역은 유교의 경전으로 육경(六經)의 한 가지입니다. 점을 보는 점서(인데, 경과 전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경은 양효와 음효를 여섯 개의 선으로 된 그림에 설명을 붙이고 있습니다. 그 각각의 그림을 괘라고 하는데. 모두 64개입니다. 서죽 과 산목을 써서 그림을 구하여 길흉을 판단합니다. 주역은 음양,사상,팔괘, 등 우주관은 후세 철학,윤리,정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공자는 주역을 대성이라 하고, 주자는 역경이라고 불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