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歌達永夜(일가달영야)
一:한 일, 歌:노래 가, 達:통할 달, 永:길 영, 夜:밤 야.
한 노래로 긴 밤 세우랴 라는 뜻으로 밤의 외로움을 이름.
▶ 一家同木(일가동목)
一:한 일, 家:집 가, 同:한가지 동, 木:나무 목.
집안에 오동나무를 심었더니 후일 그 집 형제들이 모두 재상(宰相)이 되었다는 데서 나온 말. -합벽사류(合壁事類)-
▶ 日加月增(일가월증)
日:날 일, 加:더할 가, 月:달 월, 增:더할 증.
날로 달로 더해서 늘고 불어감.
▶ 一家之言(일가지언)
학문에 힘써서 누가 보아도 인정할 수 있는 독자적인 학문체계를 이룬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니까 말이나 논리에 권위를 가진 사람이나 그 사람의 소리를
가르킨다. -사기 태사공자서-
▶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一:한 일, 刻:새길 각, 如:같을 여, 三:석 삼, 秋:가을 추.
일각이 삼 년 같다 함은 시간이 빨리 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것을 이름.
▶ 一刻千金(일각천금)
극히 짧은 시간(時間)도 천금에 해당(該當)할 만큼 큰 가치(價値)가 있다는 뜻으로, 즐거운 때나 중요(重要)한 때가 금방 지나감을 아쉬워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짧은 시간이라도 천금의 값어치만큼 귀중하다는 뜻. -소동파,춘야행-
▶ 一間斗屋(일간두옥)
一:한 일, 間:사이 간, 斗:말 두, 屋:집 옥.
한 말들이 말 만한 작은 집이란 뜻으로, 한 칸밖에 안 되는 작은 집을 이르는 말.
▶ 一間草屋(일간초옥)
一:한 일, 間:사이 간, 草:풀 초, 屋:집 옥.
한 간(間) 안팎의 아주 작은 초가집.
▶ 一竿風月(일간풍월)
一:한 일, 竿:장대 간, 風:바람 풍, 月:달 월.
유유자적(悠悠自適)의 경지를 말한다. 한 자루의 낚싯대를 벗삼아 속세를 떠나서 자연 속에서 느긋하게 지내는 것. -육유 시 감구-
▶ 一介書生(일개서생)
아무 쓸모도 없는 독서인. 개(介)는 초개(草介)의 개와 같으며, 먼지나 쓰레기,
보잘것 없는 서생. -왕발, 등왕각서-
▶ 一箇魚渾全川(일개어혼전천)
고기 한 마리가 온 개천을 흐려 놓는다는 뜻으로, ①한 부분(部分)의 결점(缺點)이 전체(全體)에 해를 끼침 ②한 사람의 좋지 못한 행동(行動)이 전체(全體)에 대(對)한 인식(認識)을 나쁘게 만듦. -순오지-
▶ 一擧手一投足(일거수일투족)
손 한 번 들고, 발 한 번 옮겨 놓을 정도로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일. -한유. 문장궤범-
▶ 一擧兩得(일거양득)
擧:들 거, 兩:두 양, 得:얻을 득.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
일석이조(一石二鳥), 일전쌍조(一箭雙鳥)와도 뜻이 비슷함. -진서 속석전, 초책, 북사-
▶ 日居月諸(일거월제)
日:날 일, 居:살 거, 月:달 월, 諸:모두 제.
군주와 신하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 아버지와 어머니 군주와 그 비(妃), 태양처럼 밝아야 할 군주가 암우(暗愚)하고 태양에 대하여 달처럼 군주를 보좌해야 할 신하가 함부로 나서서 방자한 짓을 일삼고 있기 때문에 덕이 있는 인물이 불우함을 한탄한 "백주(柏舟)"라는 시의 한 구절이다. -시경-
▶ 一擧二得(일거이득)
①한 번 들어 둘을 얻음 ②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의 이익(利益)을 보는 것.
▶ 一去一來(일거일래)
一:한 일, 去:갈 거, 來:올 래.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일, 갔다 왔다 함.
▶ 一劍之任(일검지임)
一:한 일, 劍:칼 검, 之:갈 지, 任:맡길 임.
칼을 한번 내둘러서 일을 완수하는 임무, 곧 자객(刺客)의 임무.
▶ 一見如舊(일견여구)
一:한 일, 見:볼 견, 如:같을 여, 舊:예 구.
한 번 만났을 뿐인데 의기 투합하여 오랜 친구처럼 친밀해 지는 것.
▶ 一見鍾情(일견종정)
一:한 일, 見:볼 견, 鍾:술병 종, 情:뜻 정.
첫눈에 반한다는 뜻.
▶ 一犬吠形百犬吠聲(일견폐형백견폐성)
한 마리의 개가 짖는 시늉을 하매 백 마리의 개가 소리내어 짖는다 함이니,
한 사람이 거짓으로 한 말이 퍼지고 퍼지면 그것이 절말 사실인 것처럼
전해진다는 말. -잠부론-
▶ 一莖九穗(일경구수)
一:한 일, 莖:줄기 경, 九:아홉 구, 穗:이삭 수.
한 포기의 줄기에서 아홉 개의 이삭이 맺는다는 뜻으로, 상서(祥瑞)로운 곡물.
▶ 一兼四益(일겸사익)
한 번의 겸손(謙遜)은 천(天), 지(地), 인(人)의 사자로부터의 유익(有益)함을 가져오게 한다는 뜻으로, 겸손(謙遜)해야 함을 강조(强調)한 말.
▶ 一經爲立身之本(일경위입신지본)
一:한 일, 經:지날 경, 爲;할 위, 立:설 입, 身:몸 신, 之:갈 지, 本:근본 본.
경서(經書) 한 권을 읽어 출세의 바탕으로 삼음을 이름. -북제서(北齊書)-
▶ 一驚一喜(일경일희)
一:한 일, 驚:놀랄 경, 喜:기쁠 희.
한편으로 놀라면서도 한편으로 기뻐함.
▶ 一經之儒(일경지유)
一:한 일, 經:지날 경, 之:갈 지, 儒:선비 유.
한 권의 경서에만 통효(通曉)하여 있는 유생(儒生), 전(轉)하여 융통성이 없는 학자를 이름.
▶ 一經之訓(일경지훈)
一:한 일, 經:지날 경, 之:갈 지, 訓:가르칠 훈.
중국 한(漢)나라의 위현(韋賢)이 자식들에게 학문을 가르쳐 자식들이 모두 높은 벼슬에 올랐으므로 사람들이 자식을 위하여 황금을 남기느니보다 한 권의 경서를 가르치는 편이 낫다고 한 고사에서 유래.
▶ 日計不足歲計有餘(일계부족세계유여)
목전의 이익은 없지만 오랜 후에는 이득을 보게 됨을 이름. -문자정설 편-
▶ 一鼓可破(일고가파)
한 번 북을 쳐서 사기(士氣)를 고무(鼓舞)시킴으로써 적을 쳐부술 수 있다는 말.
▶ 一顧傾城(일고경성)
一:한 일, 顧:돌아볼 고, 傾:기울어질 경, 城:재 성.
일고는 한 번 돌아봄, 경성은 절세의 미녀의 비유, 또한 유녀(遊女)의 뜻도 있다.
절세의 미인이 한 번 돌아보면 군주의 마음을 미혹시키고 성(城)이 기운다고 하는 의미, 일국의 군주가 미녀를 사랑한 때문에 나라가 멸망한 예는 양의 동서를 불문하고 많다.
-장한가-
▶ 一高三丈(일고삼장)
一:한 일, 高:높을 고, 三:석 삼, 丈:어른 장.
날이 밝아 아침해가 벌써 높이 떴음.
▶ 一鼓作氣(일고작기)
一:한 일, 鼓:북 고, 作:지을 작, 氣:기운 기.
단숨에 일을 처리하다, 기세가 오른 김에 해치우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우리
속담과 비슷하다. -좌전 장공10년 조-
▶ 一顧之榮(일고지영)
顧:돌아볼 고, 榮:꽃 영.
한 번 돌아보아 줄 영광이라는 뜻으로, 어떤 명인이 알아주거나 귀한 손님이
방문해서 자신의 지위가 올라가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중국 고대의 유명한 말 전문가 백락의 일화에서 나온 성구이다. -전국책 초책-
▶ 一顧千金(일고천금)
一:한 일, 顧:돌아볼 고, 千:일천 천, 金:쇠 금.
현자(賢者)로 부터 일고를 받는 것은 천 냥의 값어치가 있다.
▶ 一口難說(일구난설)
一:한 일, 口:입 구, 難:어려울 난, 說:말씀 설.
내용이 복잡하거나 길어서 한 말로 다 설명하기 어려움.
▶ 日久月深(일구월심)
日:날 일, 久:오랠 구, 月:달 월, 深:깊을 심.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짐, 곧 골똘히 바람을 이르는 말.
▶ 一口二言(일구이언) = 일구양설(一口兩說)
一:한 일, 口:입 구, 二:두 이, 言:말씀 언.
한 입으로 두 가지 말을 한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한 가지 일에 대해 이랬다 저랬다 상반되게 하는 말을 이름.
▶ 一口二言二父之子(일구이언이부지자)
一:한 일, 口:입 구, 二:두 이, 言:말씀 언. 父:아비 부, 之:갈 지, 子:아들 자.
한 입으로 두 말을 함은 두 아비의 자식이라 함이니 거짓말하는 사람을 욕하는 말.
▶ 一裘一葛(일구일갈)
一:한 일, 裘:갖옷 구, 葛:찱 갈.
한 벌의 갖옷과 한 벌의 베옷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함의 비유.
▶ 一丘一壑(일구일학)
一:한 일, 丘:언덕 구, 壑;골 학.
언덕에 살고 골짜기에서 낚시질한다는 뜻으로, 은자(隱者)가 사는 곳을 이르는 말.
▶ 一丘之貂(일구지초)
一:한 일, 丘;언덕 구, 之:갈 지, 貂:담비 초.
한 언덕에서 사는 담비라는 뜻으로, 차별(差別)하기 어려운 같은 종류를 이르는 말.
▶ 一丘之狢(일구지학)
狢:오소리 학,
같은 언덕에 사는 오소리라는 뜻으로, 동류(同類),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 닮은 꼴의 동아리. -한서-
▶ 一國三公(일국삼공)
國:나라 국, 公:공변될 공.
한 나라에 삼공이 있다,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 너무 많아 누구의 말을 좇아야
할지 모르겠다는 뜻이다. -좌전 화공5년 초-
▶ 一饋十起(일궤십기) =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一:한 일, 饋:먹일 궤, 十:열 십, 起:일어날 기.
중국 하(夏)나라의 우왕(禹王)이 한 끼의 식사(食事)를 하는 도중에 열 번이나 일어나 찾아온 객(客)을 맞이했다는 옛일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데 열심(熱心)함.
▶ 一竅不通(일규불통)
一:한 일, 竅:구멍 규, 不:아닐 불, 通:통할 통,
한 구멍도 뚫리지 않다.
①사람의 행동이 꽉 막혀 요령이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여람귀직-
②염통의 구멍이 막혔다는 뜻으로 사리(事理)에 어두움을 이르는 말.
▶ 一勤天下無難事(일근천하무난사) 百忍堂中有泰和(백인당중유태화)
부지런 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이 없고, 백 번 참으면 집안에 항상 평화가 있다.
▶ 一琴一鶴(일금일학)
一:한 일, 琴:거문고 금, 鶴:학 학.
하나의 가야금(伽倻琴)과 한 마리의 학(鶴)이 전 재산이라는 뜻으로, 청렴결백한 관리의 생활을 이르 는 말.
▶ 一氣呵成(일기가성)
一:한 일, 氣:기운 기, 呵:꾸짖을 가, 成:이룰 성.
문장을 단숨에 지어낸다든지 또는 단숨에 일을 몰아쳐서 하는 일,
가(呵)는 숨을 세차게 내뿜다는 뜻.
▶ 一騎當千(일기당천)
騎:말탈 기, 當:마땅할 당, 千:일천 천.
한 기병(騎兵)이 천 명의 적을 당해 냄이란 뜻으로, ①남달리 뛰어난 기술(技術)이나 경험(經驗)이 있음의 비유(比喩) ②혼자 일시에 능히 많은 일을 잘 처리(處理)해 나간다는 뜻.
-북사-
▶ 一夔已足(일기이족)
夔:조심할 기, 已:이미 이, 足:발 족.
능력만 갖추고 있다면 한 사람만으로도 족하다는 뜻이다. -한비자 외저편-
▶ 一期一會(일기일회)
평생(平生)에 단 한 번 만남. 또는, 그 일이 생애(生涯)에 단 한 번뿐인 일임. 사람과의 만남 등(等)의 기회(機會)를 소중(所重)히 함의 비유(比喩).
▶ 一己之慾(일기지욕)
一:한 일, 己:자기 기, 之:갈 지, 慾:욕심 욕.
자기 한 몸만을 위한 욕심.
▶ 日吉辰良(일길신량)
日:날 일, 吉:길할 길, 辰:날 신, 良:어질 량.
경사스러운 식을 올리려고 미리 받아놓은 날짜가 길하고 때가 좋음,
곧 일수가 매우 좋다는 뜻.
▶ 一諾千金(일낙천금)
한 번 승낙함은 천금같이 중한 일이니, 약속을 하면 꼭 지키라는 말.
▶ 日暖風和(일난풍화)
日:날 일, 暖:따뜻할 난, 風:바람 풍, 和:화할 화.
봄에 일기가 따듯하고 바,람이 화창함.
▶ 一年之計莫如樹穀(일년지계막여수곡)
1년간의 계획을 하는데는 곡식을 심는 것이 제일임. -관자-
▶ 一年之計在于春(일년지계재우춘)
一:한 일, 年:해 년, 之:갈 지, 計:셈할 계, 在:있을 재, 于:어조사 우, 春:봄 춘.
모든 일은 만일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리 계획(計劃)하여야 함으로 한 해의 방침은 첫 봄에 세워야 함을 이름. -양원제(梁元帝)-
▶ 一年虛渡秋(일년허도추)
一:한 일, 年:해 년, 虛:빌 허, 渡:건널 도, 秋:가을 추.
8월 추석에 달이 없음을 한탄함이니 1년을 수고하여 가을을 헛되이 보낸다는 뜻.
-고시(古詩)-
▶ 一念發起(일념발기)
念:생각할 념, 發:쏠 발, 起:일어날 기.
마음을 돌이켜 득도(得道)하려고 발심(發心)함, 전(轉)해서 어떤 일에 대해서도
그때까지의 생각을 바꾸어 열심하게 되는 것. -탄이초-
▶ 一念不生(일념불생)
一:한 일, 念:생각할 념, 不:아닐 불, 生:날 생.
[불교]화엄경(華嚴經)의 소설(所說)로, 일념의 망심(忘心)도 일어나지 않는 경계(境界), 곧 부처의 경계.
▶ 一念三千(알념삼천)
一:한 일, 念:생각할 념, 三:석 삼, 千:일천 천.
[불교]천태종(天台宗)의 근본교의 한 생각 가운데 3000의 법계가 갖추어 있다는 말,
사람의 마음이 곧 전우주라는 말
▶ 一念五百生(일념오백생)
一:한 일, 念:생각할 념, 五:다섯 오, 百;일백 백, 生:날 생.
[불교]짤막한 한 가닥의 망상(忘想)일지라도 오백생(五百生)의 긴 생사(生死)에 뻗치어 그 과보(果報)를 받음.
▶ 一念往生(일념왕생)
一:한 일, 念:생각할 념, 往:갈 왕, 生:날 생.
[불교]①한번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생각하고 부르면 극락(極樂)에 간다는 뜻.
②한 생각으로 극락가는 업을 이룬 까닭으로 그 뒤에는 염불이 쓸데없다는 뜻.
▶ 一念通巖(일념통암)
정신을 집중하면 화살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一念通天(일념통천)
한 마음으로 열심히 하면 하늘이 감동하여 일이 이루어진다는 말.
▶ 一簞食一斗羹(일단사일두갱)
一:한 일, 簞:대광주리 단, 食:먹일 사, 豆:콩 두, 羹:국 경.
단(簞)은 대그릇(竹器), 사(食)는 밥, 두(斗)는 나무그릇(木器), 즉 소량의 음식을 이름. -맹자-
▶ 一簞食一瓢飮(일단사일표음)
簞:대광주리 단, 食:먹일 사, 瓢:박 표, 飮:마실 음.
단은 대나무로 엮어 만든 도시락, 표는 바가지, 한 도시락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굶지 않을 정도의 가난한 식생활을 말하는 것이다. -논어 옹야편-
▶ 一旦緩急(일단완급)
旦:아침 단, 緩:느슨할 완, 急:급할 급.
일단 나라에 큰 일이 일어났을 경우 라고 하는 의미, 완급은 문자상으로는 느린 것과 급한 것이란 의미이지만 숙어거 되면 "급한 사건"을 가리킨다. -사기-
▶ 一簞一瓢(일단일표)
簞:대광주리 단, 瓢;박 표.
가난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이다.
▶ 一當百(일당백) = 일인당천(一人當千)
一:한 일, 當:마땅할 당, 百:일백 백.
한 사람이 100사람을 당해낸다는 뜻이니 용맹한 이를 뜻함.
▶ 一刀三禮(일도삼례)
불상(佛像)을 조각(彫刻)할 때 한 번 깎고 새 번 절을 하는 일.
▶ 一刀割斷(일도할단) = 一刀兩斷(일도양단)
한칼로 쳐서 두 동강이를 낸다는 뜻으로, 머뭇거리지 않고 일이나 행동(行動)을 선뜻 결정(決定)함의 비유(比喩). -주자어록-
▶ 一動一靜(일동일정)
一:한 일, 動:움직일 동, 靜;고요할 정.
행위로서 하나하나의 모든 행동이나 동정, 곧 모든 동작. -예기-
▶ 一得一失(일득일실)
유리한 속에 불리한 점이 있다.
▶ 一諾千金(일락천금)
정의의 마음이 두터운 사람은 야속을 굳게 지킨다. -사기,계포전-
▶ 一落千丈(일락천장)
一:한 일, 落:떨어질 락, 千:일천 천, 丈:어른 장.
신망이나 위신 따위가 동시에 여지없이 떨어져 버림.
▶ 一落咸池(일락함지)
저녁에는 해가 함지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해가 서산에 짐을 이르는 말.
▶ 一覽不忘(일람불망)
한 번 보고 잊지 않음. -석씨통람-
▶ 一蓮托生(일련탁생)
蓮:연할 련, 托:맡길 탁, 生:날 생.
사후 극락정토(極樂淨土)에서 같은 연꽃 위에 다른 것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것.
좋든지 나쁘든지 행동, 운명을 같이 함. -오회법사찬-
▶ 一路福星(일로복성)
一:한 일, 路:길 로, 福:복 복, 星:별 성.
복성(福星)은 행복을 주는 별이란 뜻으로, 덕으로써 다스리는 사람에 비유함.
-山堂肆考(산당사고)-
▶ 一勞永逸(일로영일)
①한때 고생(苦生)하고 오랫동안 안락(安樂)을 누림 ②적은 노고(勞苦)의 보람으로 오랜 이익(利益)을 봄. -제민요술-
▶ 一路平安(일로평안)
一:한 일, 路:길 로, 平:평평할 평, 安:편안 안.
여행길에 나서는 사람에게 하는 인사, 먼 길이니 여행중의 평안함. -흥루몽-
▶ 一龍分二虎(일룡분이호)
龍;용 룡, 分;나눌 분, 虎;범 호.
한 마리의 용이 두 마리의 호랑이를 갈라 놓는다.
-삼국지 유비와 장비의 고향 박주에서 그 지방 주민들 사이에 전해오는 이야기-
▶ 一龍一蛇(일룡일사)
龍:용 룡, 蛇:뱀 사.
①어떤 때는 용이 되어 승천하고, 어떤 때는 뱀이 되어 못 속에 숨음.
태평시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숨어 살면서 그 재능을
나타내지 않고, 그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일컫는 말.
②재능이 있다느니 없다느니 하고 비평할 것이 아님. -장자-
▶ 一龍一猪(일룡일저)
一:한 일, 龍:용 룡, 猪:돼지 저.
배우는 방식 여하에 따라 현우(賢愚)의 차가 극심해지는 것, 용은 뛰어난 사람, 출세하는 사람의 비유, 저(猪)는 돼지, 멧돼지로 둔한 사람, 출세가 느린 사람의 비유,
▶ 一利一害(일리일해) = 일득일실(一得一失)
一:한 일, 利:이로울 리, 害;해칠 해.
이로움이 잇음과 동시에 해로움이 있음. 이익과 손해가 상반(相半)함.
▶ 一粒萬倍(일립만배)
一:한 일, 粒:알 립, 萬:일만 만. 倍:곱 배.
한 알의 곡식도 심으면 만 알이 된다는 뜻. 작은 것도 쌓이면 많게 된다는 말.
▶ 一粒粟中藏世界(일립속중장세계)
한 알의 조 속에 세계를 감쌌다는 뜻으로서 불법의 보편성을 이름. -오등회원-
▶ 一馬不被兩鞍(일마불피양안)
한 마리의 말등에 두 개의 안장을 얹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 여자가 두 남자를 섬길 수 없는 것을 비유한 말. -원사-
▶ 一馬之奔無一毛而不動(일마지분무일모이부동)
一;한 일, 馬:말 마, 之;갈 지, 奔:달릴 분, 無:없을 무, 毛:털 모, 而:말 이을 이, 不:아닐 부,
動:움직일 동.
한 마리의 말이 뛸때는 전신의 털이 모두 움직인다는 뜻으로, 부속된 것은 반드시 그 주동체의 동정(動靜)에 따름을 이름. -공총자-
▶ 一望無際(일망무제) = 일망무애(一望無涯)
一:한 일, 望:바랄 망, 無;없을 무, 際:때 제.
한 눈에 다 바라볼 수 없도록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 一望之下(일망지하)
一:한 일, 望:바랄 망, 之:갈 지, 下:아래 하.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안계(眼界)에 속하여 있는 아래.
▶ 一網打盡(일망타진)
죄 지은 자들을 하나 남김없이 잡음. -송사,인송기-
▶ 一脈相通(일맥상통)
생각ㆍ성질(性質)ㆍ처지(處地) 등(等)이 어느 면에서 한 가지로 서로 통(通)함, 서로 비슷함.
▶ 一面如舊(일면여구)
一:한 일, 面:낯 면, 如:같을 여, 舊:예 구.
처음으로 만났으나 곧 친밀하게 됨을 이름. -진서-
▶ 一面之契(일면지계)
한 번 만나서 얼굴을 알고 있는 정도의 교분, 아는 사이. -세설신어,현원-
▶ 一鳴驚人(일명경인)
평소에 울지 않던 새가 한번 울어 사람을 놀라게 한다 함은,
늘 남몰래 재주를 품고 있던 이가 어떤 경우에 그 슬기를 보여 세상을 놀라게
한다는 뜻. -사기-
▶ 日暮途窮(일모도궁) = 일모도원
日:날 일, 暮:저물 모, 途:길 도, 窮:다할 궁.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는 뜻으로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음의 비유.
▶ 日暮途遠(일모도원)
때가 늦었거나 나이가 들어 뜻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가 없다는 뜻.
-사기,오자열전-
▶ 一毛不拔(일모불발)
毛:털 모, 不:아닐 불, 拔:뺄 발.
털 하나라도 남을 위해 뽑지 않는다는 뜻으로, 몹시 인색하고 이기적임을 비유한 말.
▶ 一木難支(일목난지)
木;나무 목, 難:어려울 난, 支:가를 지.
나무 한 그루로 지탱하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이미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 힘으로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의경 세설신어 임탄편-
▶ 一沐三握髮(일목삼악발)
一:한 일, 沐:목욕할 목, 三:석 삼, 握:쥘 악, 髮:터럭 발.
한 번 머리를 감는데 찾아오는 사람이 있어 세 번이나 머리를 쥔 채 맞이했다는 뜻으로, 현군(賢君)이나 현자(賢者)를 후하게 대접함의 비유.
▶ 一目瞭然(일목요연)
一:한 일, 目:눈 목, 瞭:밝을 요, 然:그러할 연.
한 번 보고 훤히 알 수 있음, 요(瞭)는 눈동자가 환한 것, 또는 사물이 훤한 모양.
-주자어류-
▶ 一目之羅不可以得鳥(일목지라불가이득조)
一:한 일, 目;눈 목, 之:갈 지, 羅:그물 라,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以:써 이, 得:얻을 득,
鳥:새 조.
한 코의 그물로 새를 잡지는 못한다 함이니, 무엇을 얻고자 하면 마땅히 그만한 준비를 갖추어 둔 후에라야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준남자-
▶ 一木破天(일목파천)
一:한 일, 木:나무 목, 破:깨드릴 파, 天:하늘 천,
일이 미쳐 때를 만나지 못함을 이름. -태평광기-
▶ 一無差錯(일무차착)
一:한 일, 無:없을 무, 差:어긋날 차, 錯:섞일 착.
(차근차근하고 치밀하여 복잡하고 곤란한 일을 처리함에 있어)
조금도 실수나 잘못이 없음.
▶ 一門普門(일문보문)
하나의 교리(敎理)에 통달(通達)하면 모든 고리에 쉬이 통달(通達)할 수 있다는 말.
▶ 一文不通(일문불통)
一:한 일, 文;글월 문, 不:아닐 불, 通:통할 통.
①한 자도 읽을 수 없음. 문맹(文盲). = 일자무식(一字無識).
②서로 편지 한 통 왕래가 없는 일. = 일문부지(一文不知).
▶ 一物不知君子之恥(일물부지군자지치)
一:한 일, 物:만물 물, 不:아닐 부, 知:알 지,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之:갈 지, 恥:부끄러울 치.
한 가지의 일이라 할지라도 알지 못함은 군자의 수치이므로 사람은 학문과 지식을 닦아야 함을 이름. -해여총고(陔餘叢考)
▶ 溢美之言(일미지언)
너무 지나치게 칭찬하는 말. -장자-
▶ 日薄西山(일박서산)
薄:엷을 박,
일락서산(日落西山)의 처지와 같다. 나이가 들어 목숨이 얼마 ,남자 않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밀 진정표-
▶ 一飯三吐哺(일반삼토포)
一:한 일, 飯:밥 반, 三:석 삼, 吐:토할 토, 哺:먹을 포.
어진 사람을 맞아 들임에 열성임, 옛날 중국의 주공(周公)이 현인(賢人)을 구함에 있어 한 끼의 식사에 세 번이나 입에 넣은 밥을 도로 뱉어버리고 일어나 객(客)을 영접한 일.
▶ 一班全豹(일반전표)
一:한 일, 班:나눌 반, 全:온전할 전, 豹:표범 표.
일반(一班)은 표범가죽의 얼룩무뉘 모양,
일부분으로 그 전체를 추량(推量)하거나 비평하거나 하는 것. -세설신어-
▶ 一飯之德(일반지덕)
一:한 일, 飯:밥 반, 之:갈 지, 德:큰 덕.
한 술 밥의 덕이라는 뜻으로, 보잘것없이 베푼 아주 작은 은덕(恩德)을 이르는 말.
▶ 一飯之報(일반지보)
一;한 일, 飯:밥 반, 之:갈 지, 報:갚을 보.
한 번 밥을 얻어먹은 은혜에 대한 보답(報答), 곧 적은 은혜에 대한 보답.
▶ 一飯之恩(일반지은) = 일찬(餐)지덕(德)= 일반지덕
飯:밥 반, 恩:은혜 은.
밥 한 끼니 얻어먹은 은혜라는 뜻으로 아주 자그마한 은혜를 일컫는 말,
즉 자그마한 은혜도 잊지 않고 반드시 보답한다는 뜻이다. -사기 법수전-
▶ 一飯千金(일반천금)
옛날 한신(韓信)이 어떤 빨래하던 노모(老母)에게서 한끼를 얻어먹고는
뒤에 천금으로 사례한 일.
▶ 一髮不白(일발불백) = 일모불백(一毛不白)
一;한 일, 髮:터럭 발, 不;아닐 불, 白:흰 백.
늙은이의 머리털이 하나도 세지 아니한 모양.
▶ 一髮引千鈞(일발인천균)
髮:터럭 발, 引:끌 인, 千:일천 천, 鈞:서른근 균.
한 가닥의 머리털로 천 균의 물건을 매어 끈다는 뜻으로, 지극히 위태로움을 이르는 말, 또는 매우 염려스러운 것, 천균은 매우 무거운 것, 일균은 30근.
▶ 一發必中(일발필중)
一:한 일, 發:쏠 발, 必:반드시 필, 中:가운데 중.
한 번 쏘아 반드시 맞힘.
▶ 一罰百戒(일벌백계)
一:한 일, 罰:벌줄 벌, 百:일백 백, 戒:경계할 계.
한 사람의 악인을 처벌함으로써 다른 백 사람(大勢)이 죄를 범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 범죄예방의 비유.
▶ 一碧萬頃(일벽만경)
一:한 일, 碧;푸를 벽, 萬:일만 만, 頃;잠깐 경.
바다의 넓고 푸른 경치. -악양누기(岳陽樓記)-
▶ 一邊倒(일변도)
一:한 일, 邊:가 변, 倒:넘어질 도.
한쪽에만 집착하는 것, 한쪽에만 편드는 것, 주체성없이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는 것.
-근사록-
▶ 一別三春(일별삼춘)
一:한 일, 別:다를 별, 三:석 삼, 春:봄 춘.
헤어진 지 3년이나 되어 그립다는 뜻. -두보의 시-
▶ 一步不讓(일보불양)
一:한 일, 步:걸음 보, 不:아닐 불, 讓:사양할 양.
남에게 한 걸음도 양보(讓步)하지 아니함.
▶ 一覆之水不復盛器(일복지수불복성기)
一:한 일, 覆:뒤집힐 복, 之:갈 지, 水:물 수, 不;아닐 불, 復:돌아올 복, 盛:성할 성, 器:그릇 기.
한번 쏟은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 함이니 한번 그르친 일은 다시 바로잡을 수 없다 하여 이르는 말.
▶ 一夫當關萬夫莫開(일부당관만부막개)
한 사람이 지키면 만 사람이 와도 이를 격파할 수 없다. 지세가 험해서 적은 인력으로 능히 지킬 수 있는 요충지를 말한다. -이백 촉도난-
▶ 一部始終(일부시종)
一:한 일, 部:떼 부, 始:비로소 시, 終:마칠 종.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질구레한 모든 사정, 이를테면 연심(戀心)을 품은 어떤 여자의 일기에 있는 면면(綿綿)한 모든 고백 같은 것.
▶ 一俯一仰(일부일앙)
一:한 일, 俯:구푸릴 부, 仰:우러를 앙.
머리를 숙이기도 하고 우러러 보기도 함.
▶ 一夫終身(일부종신)
一:한 일, 夫:사내 부, 終:마칠 종, 身:몸 신.
아내가 남편이 죽은 뒤에도 개가를 하지 않고 일생을 마침.
▶ 一不做再不休(일부주재불휴)
一:한 일, 不:아닐 부, 做:지을 주, 再:두 번 재, 休:쉴 휴.
첫번 계획대로 안되면 다른 방법을 써서 다시 일을 시작한다는 뜻.
▶ 一傅衆咻(일부중휴)
傅:스승 부, 衆:무리 중, 咻:신음소리 휴,
스승 한 사람이 가르치는데 뭇사람이 떠들면서 방해를 하다.
한 사람이 옳은 말을 할 때 곁에 있는 사람들이 이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맹자 등문공장구 하편-
▶ 一夫出死千乘不輕(일부출사천승불경)
夫:사내 부, 出;날 출, 死:죽을 사, 千:일천 천, 乘:탈 승, 輕;가벼울 경.
한 사람이 죽음을 각오하고 나오면 천승의 군대라도 가볍게 여기지 못한다.
죽음을 각오하고 나오는 사람은 무서운 것이 없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상대라도
두려워할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회남자 설림훈-
▶ 一婦含怨五月飛霜(일부함원오월비상)
一:한 일, 婦:아내 부, 含:머금을 함, 怨:원망할 원, 五:다섯 오, 月:달 월, 飛:날 비, 霜:서리 상.
여자가 한 번 원한을 품으면 그 영향이 크다는 뜻.
▶ 日不暇給(일불가급)
日:날 일, 不:아닐 불, 暇:겨를 가, 給:공급할 급.
할 일이 많아서 시일(時日)이 부족함. -한서-
▶ 一不擧論(일불거론)
一:한 일, 不:아닐 불, 擧:들 거, 論:논의할 론.
한 번도 논의하지 아니함, 한 번도 상관하지 아니함.
▶ 一不殺六通(일불살육통)
많은 일 중 한가지 일만 잘못되어도 모든 일을 다 그르친다는 말.
[고사]옛날 강경과(講經科)의 강생(講生)이 칠서(七書) 중에서 육서(六書)에 합격하여도 그 중 일서(一書)에 합격하지 못하면 낙제로 처리되던 일에서 온 말.
▶ 日不移晷(일불이구)
구는 해그림자, 해그림자가 그대로 있다는 뜻으로,
시간이 얼마 가지 않았음을 이르는 말. -한서-
▶ 一不現形(일불현형) = 일불투족(一不投足)
一:한 일, 不:아닐 불, 現:나타날 현, 形:형상 형.
한 번도 나타나지 아니함.
▶ 一悲一喜(일비일희)
一:한 일, 悲:슬플 비, 喜:기쁠 희.
슬퍼하기도 하고, 기뻐하기도 함. -미녀편-
▶ 一臂之力(일비지력)
一:한 일, 臂:팔 비, 之:갈 지, 力:힘 력.
남을 도와줄 때 보잘것없는 힘이라고 스스로 낮추어 하는 말.
▶ 一嚬一笑(일빈일소)
嚬:찡그릴 빈, 笑:웃을 소.
얼굴을 찡그리기도 하고 웃기도 한다는 뜻으로, ①사소(些少)한 감정(感情)이나 표정(表情)의 변화(變化) ②전(傳)하여, 윗사람의 기분(氣分)을 살핌을 이르는 말.
-한비자-
▶ 一事無成(일사무성)
一;한 일, 事;일 사, 無:없을 무, 成:이룰 성.
한 가지도 이룬 일이 없음을 이름. -백거이-
▶ 一絲不亂(일사불란)
한 오라기의 실도 흐트러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질서(秩序)나 체계(體系) 따위가 잘 잡혀 있어서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一死一生(일사일생)
死:죽을 사, 一:한 일, 生:날 생.
죽음과 삶, 보통 순경(順境)과 역경(逆境), 행과 불행이 반복하는 데에 비유한다. -사기-
▶ 一死一生乃知交情(일사일생내지교정)
一:한 일, 死:죽을 사, 生:날 생, 乃:이에 내, 知:알 지, 交:사귈 교, 情:뜻 정.
참다운 교정(交情)은 살아 있을 때보다 죽은 후에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살아서는 호의(好意)를 보이는 체하다가 그가 죽고 나면 거의 다 발을 끊고 유족에게 냉정하므로 세상의 인정이란 지극히 경박하다는 말. -사기-
▶ 一絲一毫(일사일호)
一:한 일, 絲:실 사, 毫:가는 털 호.
한 올의 실과 한 올의 털. 전(轉)하여 지극히 하잘것없고 작은 일의 비유.
▶ 一寫千里(일사천리)
강물이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①조금도 거침없이 빨리 진행(進行)됨 ②문장(文章)이나 글이 명쾌(明快)함. -복혜전서-
▶ 一死七生(일사칠생)
一:한 일, 死:죽을 사, 七:일곱 칠, 生:날 생.
한 번 죽고 일곱 번 새로 태어남, 곧 이 세상에 새로 태어나는 동안.
▶ 一三昧(일삼매)
一:한 일, 三:석 삼, 昧:새벽 매.
①잡념을 떨쳐버리고 일에 열중하는 일.
②잡념을 떨쳐버리고 열심히 수행하는 일.
▶ 日三省吾身(일삼성오신)
하루에 세 번 내 몸을 돌아본다. -논어 학이편-
▶ 一觴一詠(일상일영)
一:한 일, 觴:잔 상, 詠:읊을 영.
한 잔 술을 마시고는 한 수의 시를 읆음. -왕희지-
▶ 一色疏薄(일색소박)
아름다운 여자일수록 남편에게 소박당하는 수가 많다 하여 이르는 말. -송남잡식-
▶ 一生喫著不盡(일생끽찬부진)
一:한 일, 生:날 생, 喫:마실 끽, 著:붙을 착, 不:아닐 부, 盡:다할 진.
한 평생 동안 두고 먹어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 착(著)은 조자(助字)임, -동헌필록-
▶ 一生之計在於幼(일생지계재어유), 一年之計在於春(일년지계재어춘),
一日之計在於寅(일일지계재어인), 幼而不學老無所知(유이불학노무소지),
春若不耕秋無所望(춘약불경추무소망), 寅若不起日無所辨(인약불기일무소변)
일생의 계획은 어려서 하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하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하고,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알지 못하고,
봄에 갈지 않으면 가을에 수확할 것이 없고,
새벽에 일아나지 않으면 힘써 할 일이 없다. -명심보감. 입교편-
▶ 一石二鳥(일석이조)
一:한 일, 石:돌 석, 二:두 이, 鳥:새 조.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의 이익을 얻음. 한 개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떨어뜨리는 따위의 일이란 그렇게 간단히 되는 것이 아니다.
▶ 一盛一衰(일성일쇠) = 일영일락(一榮一落)
一:한 일, 盛:성할 성, 衰:쇠할 쇠.
①한 번 성하고 한 번 쇠함. ②성하는 때도 있고, 쇠하는 때도 있음.
▶ 一歲九遷(일세구천)
一:한 일, 歲:해 세, 九:아홉 구, 遷:옮길 천.
한 해 동안에 아홉 번이나 관위(官位)가 오른다는 뜻으로, 군주의 총애를 두텁게 받음을 이름. 일월구천(一月九遷).
▶ 一世木鐸(일세목탁)
一:한 일, 世:대 세, 木:나무 목, 鐸:목탁 탁.
세상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끄는 사람, 사회의 지도자, 신문의 논설위원 등의 경칭 또는 자칭(自稱). 목탁은 금속제의 방울로 안의 혀가 나무로 만들어져 있는 것,
고대 법령을 전달할 때 울려서 민중을 모았다, 공자를 세간(世間)의 목탁에 비유했던 말, 즉 안의 혀가 금속으로 된 금령(金鈴)은 전진(戰陣)을 고하는 때에 사용했다. -논어-
▶ 一歲之雄(일세지웅)
一:한 일, 歲:해 세, 之:갈 지, 雄:수컷 웅.
그 시대에 대적(對敵)할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사람.
▶ 一世風靡(일세풍미)
一:한 일, 世:대 세, 風:바람 풍, 靡:쓰러질 미.
일세(一世)는 시대, 당 대, 그 시대의 뜻, 풍미는 바람에 몰려 초목이 쓰러진다는 뜻에서 위세에 딸려 저절로 쏠림의 비유, 그 시대를 리드하여 위세를 떨치는 것.
▶ 一所不在(일소부재)
一:한 일, 所:바 소, 不:아닐 부, 在:있을 재.
한 곳에 오래 머물러 있지 않음. 곧 정처없이 떠돌아 다님.
▶ 一笑一少一怒一老(일소일소일노일노)
一;한 일, 笑:웃을 소, 少:적을 소, 怒:성낼 노, 老:늙을 노.
웃으면 젊어지고 성내면 늙는다는 말.
▶ 一笑千金(일소천금)
한 번 웃는 것이 천금의 값어치가 있다는 말.
▶ 一手獨拍雖疾無聲(일수독박수질무성)
一:한 일, 手:손 수, 獨:홀로 독, 拍:손뼉 칠 박, 雖;비록 수, 疾:병 질, 無:없을 무, 聲:소리 성.
한 손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은 현명한 신하를 얻어야 대업을 이룰 수 있으며, 신하 또한 현명한 임금을 만나야만 재능을 발휘할 수있다는 것을 비유(譬喩)해서 이른 말.
-한비자-
▶ 一樹百穫(일수백확)
樹:나무 수, 百:일백 백, 穫:벼 벨 확,
한 나무에서 백 배를 수확(收穫)한다는 뜻으로, 인물(人物)을 양성(養成)하는 보람을 이르는 말, 곧 인재(人材) 한 사람을 길러냄이 사회(社會)에는 막대(莫大)한 이익(利益)을 줌을 이르는 말.
-관자-
▶ 一宿一飯(일숙일반)
一:한 일, 宿:잘 숙, 飯:밥 반.
한 번 숙박(宿泊)하여 한 번 식사를 대접받음, 곧 조그마한 은덕을 입음의 비유.
▶ 一瞬千里(일순천리)
一;한 일, 瞬:눈 깜박일 순, 千:일천 천, 里:마을 리.
천리나 되는 넓은 경치를 한 눈에 내다 봄. -소철(蘇轍의 초(超)-
▶ 一勝一敗兵家常事(일승일패병가상사)
실패한 사람을 위로하거나, 실패한 사람 자신이 스스로 변명하는 말. -당서-
▶ 一視同仁(일시동인)
모든 사람을 차별없이 평등하게 보고, 똑같이 인애(人愛)를 베푸는 것. -한유,원인-
▶ 一時名流(일시명류)
당대에 명성이 높은 사람들. -세설신어,품조-
▶ 一時雄兒(일시웅아)
一:한 일, 時:때 시, 雄:수컷 웅, 兒:아이 아.
일대(一代)의 영웅. -삼국위지-
▶ 一食萬錢(일식만전)
一:한 일, 食:밥 식, 萬:일만 만, 錢:돈 전.
한 끼의 식사에 일만 전을 소비했다는 진(晋)나라의 임개(任愷)의 고사에서 몹시 호화롭게 낭비함을 일컫는 말. -진서-
▶ 一身是膽(일신시담)
身:몸 신, 是;바를 시, 膽:쓸개 담.
담이 큰 것을 일컫는 말. 온 몸이 쓸개뿐이다. -삼국지 촉지 조운전-
▶ 一身兩役(일신양역)
一:한 일, 身:몸 신, 兩:두 양, 役:부릴 역.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맡았다는 말.
▶ 一身爲輕舟(일신위경주)
一:한 일, 身:몸 신, 爲:할 위, 輕:가벼울 경, 舟:배 주.
빠른 배같이 몸을 한곳에 편히 둘 수 없어 떠돌아 다니는 신세. -상건(常建)의 시(詩)-
▶ 一身千金(일신천금)
一:하 일, 身:몸 신, 千:일천 천, 金:쇠 금.
사람의 몸은 매우 귀중한 것이라는 뜻.
▶ 一實無相(일실무상)
진실(眞實)의 가르침은 유일(唯一) 절대(絶對)의 것이어서 가상(假想)으로 나타난 여러 가지 현상계(現象界)와 동떨어진 것이라는 뜻.
▶ 一實之道(일실지도)
一:한 일, 實:열매 실, 之:갈 지, 道:길 도.
진실의 이치는 하나로서 성자(聖者)나 범인(凡人)이나 다름없음을 이름. -법화경-
▶ 一心可以事百君(일심가이사백군)
신하는 진심만 있으면 백군(百君)을 섬길 수 있다는 뜻이니,
마음만 진실하면 백사람에게 믿음을 받는다는 뜻. -설원-
▶ 一心敬禮(일심경례)
마음을 하나로 하고,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를 공경(恭敬)하여 예배(禮拜)함.
▶ 一心同體(일심동체)
一:한 일, 心:마음 심, 同:한가지 동, 體:몸 체.
(여러 사람이 뜻이나 행동을 함께 하여) 한 마음 한몸이 됨,
곧 밀접하고 굳게 결합함을 이르는 말.
▶ 一心不亂(일심불란)
一:한 일, 心:마음 심, 不:아닐 불, 亂:어지러울 란.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쓰고, 어지러워지지 아니함.
또 [불교]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 삼매(三昧).
▶ 一心萬能(일심만능)
一;한 일, 心:마음 심, 萬:일만 만, 能:능할 능.
어떤 일이라도 일심으로만 되면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一心百君(일심백군)
一:한 일, 心:마음 심, 百:일백 백, 君:임금 군,
충의심만 있으면 어떠한 군주라도 섬길 수 있음.
▶ 一心三觀(일심삼관)
자기(自己)의 마음속에 공(空), 가(假), 중(中)의 삼제가 있음을 알고, 생사(生死), 번뇌(煩惱)의 경지(境地)에서 벗어나, 열반(涅槃), 보리에 들어가는 도(道)를 닦는 일.
▶ 一心正念(일심정념)
一;한 일, 心:마음 심, 正:바를 정, 念:생각할 념.
①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쓰고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②한마음으로 아미타불의 제도를 믿고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나미아미타불을 부름.
▶ 溢惡之言(일악지언)
溢:넘칠 일, 惡:악할 악, 之:갈 지, 言:말씀 언.
너무 지나치게 헐뜯는 말.
▶ 一雁高空(일안고공)
높은 하늘에 기러기 한 마리라는 뜻으로, 기러기는 떼지어 나는 데, 무리에서 빠져 나온 한 마리 기러기가 높고 맑은 가을 하늘을 높이 날아가는 모양(模樣)으로, 고독(孤獨)한 심경(心境)과 고고한 경지(境地)를 이르는 말.
▶ 一夜十起(일야십기)
夜:밤 야, 起:일어날 기.
하룻밤에 열 번도 더 일어난다는 뜻으로 병자를 정성스럽게 간호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후한서 제오륜전-
▶ 一陽來復(일양래복)
동지(冬至)를 고비로 음기(陰氣)가 사라지고, 양기(陽氣)가 다시 온다는 뜻으로, 나쁜 일이나 괴로운 일이 계속(繼續)되다가 간신히 행운(幸運)이 옴을 이르는 말.
-역경,복래-
▶ 一魚濁水(일어탁수)
물고기 하나가 물을 흐리게 한다 함이니, 다수중에 한 사람이
좋지못한 짓을 하여 그 화(禍)를 여러 사람에게 입힌다는 뜻.
▶ 一言可破(일언가파)
言:말씀 언, 可:옳을 가, 破:깨뜨릴 파.
잘라서 한 마디로도 곧 판단이 될 수 있음.
▶ 一言居士(일언거사)
一:한 일, 言:말씀 언, 居:살 거, 士:선비 사.
무슨 일이든지 한 마디씩 참견하지 않으면 마음이 놓이지 않는 사람, 곧 말참견을
썩 좋아하는 사람, 거사는 범어(梵語)에서 나온 말로 불가에서는 출가하지 않고
불도를 수행하는 남자를 일컫는다.
▶ 一言半句(일언반구)
一:한 일, 言:말씀 언, 半:반 반, 句:글귀 구.
한 마디의 말과 한 구(句)의 반, 곧 극히 짧은 말.
▶ 一言芳恩(일언방은)
一:한 일, 言:말씀 언, 芳:꽃다울 방, 恩:은혜 은.
한 마디의 작은 말로서 베푼 은혜.
▶ 一言不中(일언불중)이면 千語無用(천어무용)이니라.
말 한마디가 이치에 맞지 않으면 천 마디도 소용이 없다. -명심보감-
▶ 一言而駟馬不及(일언이사마불급)
一:한 일, 言:말씀 언, 而:말이을 이, 駟:사마 사, 馬:말 마, 不:아닐 불, 及:미칠 급.
한번 입밖에 나간 말은 마차(馬車)로도 따를 수 없으므로 말조심하라는 뜻.
▶ 一言以爲知一言一言以爲不知(일언이위지일언일언이위부지)
단 한마디의 말로써 지자(知者)도 되고 무식자도 될 수 있다는 뜻으로,
언어는 매우 신중히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논어-
▶ 一言以蔽之(일언이폐지)
言:말씀 언, 以:써 이, 蔽:가릴 폐,
한 마디로 말하자면 한 마디의 말로 능히 그 전체의 뜻을 다함. -논어-
▶ 一言之左(일언지좌)
一:한 일, 言:말씀 언, 之:갈 지, 左:왼 좌.
한 마디의 도움, 또는 그러한 신하.
▶ 一言之下(일언지하)
말 한 마다로 잘라서 말함. 두 말할 나위도 없음.
▶ 一業所感(일업소감)
많은 사람이 똑같은 선악(善惡)의 업인(業因)으로 똑같은 업과(業果)를 느끼는 일.
▶ 一與一奪(일여일탈)
一:한 일, 與:줄 여, 奪:빼앗을 탈.
혹은 주기도 하고 혹은 빼앗기도 함.
▶ 日亦不足(일역부족)
日:날 일, 亦:또 역, 不:아닐 부, 足:발 족.
종일토록 하여도 다하지 못한다는 것. -시경-
▶ 一淵不兩蛟(일연불양교)
한 연못 속에 두 마리의 교용(蛟龍)이 살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뜻으로, 세력이 같은 사람끼리 한 곳에서 살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 -문자-
▶ 一葉落知天下秋(일엽낙지천하추) ☞ 일엽지추
葉:잎 엽, 落:떨어질 낙, 知:알 지, 天:하늘 천, 秋:가을 추.
잎 하나 떨어지는 것으로 천하가 가을임을 안다.
작은 현상으로 큰 근본도 알 수 있다는 것. -준남자. 설산훈편-
▶ 一葉浮萍歸大海人生何處不相逢(일엽부평귀대해인생하처불상봉)
一;한 일, 葉:잎 엽, 浮:뜰 부, 萍:부평초 평, 歸:돌아올 귀, 大:큰 대, 海:바다 해, 人:사람 인,
生:날 생, 何:어지 하, 處:곳 처, 不:아닐 불, 相:서로 상, 逢:맞이할 봉.
물 위에 뜬 마른 풀이 큰 바다에 이름과 같이 사람도 어느때인가는 어느 곳에서 서로 만날 수가 있다는 뜻. -정관(丁冠)의 시-
▶ 一葉障目(일엽장목)
一:한 일, 葉:잎 엽, 障:막힐 장, 目:눈 목.
나무 잎사귀 하나에 눈이 가려 앞을 내다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그 무엇에 현혹되어 안목이 좁아진 것을 비유하는 말. -할관자 천칙편-
▶ 一葉知秋(일엽지추)
일엽낙혜천지추(一葉落兮天知秋)의 준말이니 ①한 가지 일을 보고 장차 앞으로 있을 일을 미리 안다는 말. ②쇠망(쇠망)의 조짐이 나타남을 비유한 말. -회남자-
▶ 一葉片舟(일엽편주)
하나의 나무잎 같이 작은 조각배. -소시,적벽부-
▶ 一葉蔽目不見泰山(일엽폐목불견태산)
一:한 일, 葉:잎 엽, 蔽;가릴 폐, 目:눈 목, 不;아닐 불, 見:볼 견, 泰:클 태, 山;뫼 산.
한 장의 나뭇잎 하나로 눈을 가리면 태산(泰山)같이 큰 것도 볼 수 없다는 뜻으로, 한 점의 사심(私心)이 공명(公明)한 마음을 덮는 것을 비유한 말. -할관자-
▶ 一榮一落(일영일락) = 일영일쇠
一:한 일, 榮:꽃 영, 落:떨어질 락.
혹은 영화롭고 혹은 쇠퇴함.
▶ 一臥三十年(일와삼십년)
一:한 일, 臥:엎드릴 와, 三;석 삼, 十:열 십, 年:해 년.
벼슬하지 않고 30년이란 오랜 세월을 민간에서 지조를 지킴을 이름.
와(臥)는 고(高)의 뜻으로 은거하여 지조를 지키는 일. -남당서-
▶ 一牛鳴地(일우명지)
一:한 일, 牛소 우, 鳴:울 명, 地:땅 지.
한 마리으 소의 울음소리가 들릴 정도의 가까운 거리의 땅, 일우후지(一牛吼地)
▶ 一牛吼地(일우후지)
소의 울음 소리가 들릴 정도(程度)의 거리(距離)라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거리(距離)를 이르는 말.
▶ 一雄多雌(일웅다자)
교미기에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현상(現狀). 이를테면 물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음.
▶ 一月九遷(일월구천) = 일세구천
一:한 일, 月:달 월, 九:아홉 구, 遷:옮길 천.
한 달 동안에 아홉 번이나 벼슬에 오른다는 말로, 임금의 총애를 많이 받고 있음을 이르는 말.
▶ 日月光天地(일월광천지)
日:날 일, 月:달 월, 光:빛 광, 天:하늘 천, 地:땅 지.
해와 달이 천지를 비춘다는 뜻으로, 임금의 덕이 높음을 칭송하는 말. -북사-
▶ 日月無私照(일월무사조)
태양과 달은 만물을 공평하게 비춘다는 뜻. 곧 공평함을 비유하는 말.
▶ 日月不爲一物晦其明(일월불위일물회기명)
日:날 일, 月:달 월, 不:아닐 불, 爲:할 위, 一;한 일, 物:만물 물, 晦:그뭄 회, 其:그 기, 明:밝을 명.
.일월(日月)은 만물을 고루 차별없이 비쳐줌을 이름. -고문효경-
▶ 一月三舟(일월삼주)
一:한 일, 月:달 월, 三:석 삼, 舟:배 주.
같은 달을 보더라도 세 척의 배에서 바라보면 각기 달라 보인다. 정지해 있는 배에서 보면 달도 정지하고 있는 것 같고, 남행하는 배에서 보면 달도 남행하는 것 같고,
북행하는 배에서 보면 달도 북행하는 듯이 보인다. 그와 같이 부처가 가르치는 도(道)는 같아도 사람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것이 달라진다고 하는 비유. -대장경-
▶ 日月欲明浮雲蔽之(일월욕명부운폐지)
欲:바랄 욕, 明:밝을 명, 浮:뜰 부, 雲:구름 운, 蔽:가릴 폐.
일월(日月)이 밝게 빛나려고 하여도 구름에 가려 어두운 것과 같이
사람의 본성은 본시 어질고 착하나 욕심 때문에 악해짐을 이름.
또 덕 있는 인자한 임금이 간신 때문에 명철(明哲)한 판단력이 가리워지는
비유로 쓰임. -문자-
▶ 日月逾邁(일월유매)
日;날 일, 月:달 월, 逾:넘을 유, 邁:갈 매.
나이를 먹어 점점 늙는 것을 이름. -서경-
▶ 日月爭光(일월쟁광)
업적이나 인덕이 뛰어남,
해와 달의 빛에 필적할 만한 고결한 인품을 말함. -사기,굴원가생열전-
▶ 日月之明(일월지명)
日:날 일, 月:달 월, 之:갈 지, 明:밝을 명.
해나 달과 같이 밝은 총명.
▶ 日月合其明(일월합기명)
성인(聖人)의 명덕은 일월과 함께 환하다는 뜻. -역경-
▶ 一衣帶水(일의대수)
옷의 띠와 같은 물이라는 뜻으로, ①좁은 강, 해협(海峽), 또는 그와 같은 강을 사이에 두고 가까이 접해 있음을 이르는 말 ②겨우 냇물 하나를 사이에 둔 가까운 이웃.
▶ 一飮一啄(일음일탁)
飮:마실 음, 啄:쫄 탁.
얼마 안되는 적은 음식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이미 정해진 자기의 분수를 지키고 다른 것을 탐내지 않음의 비유.
▶ 一以貫之(일이관지)
하나로써 그것을 꿰뚫었다는 뜻으로, ①처음부터 끝까지 변(變)하지 않음 ②또는 막힘없이 끝까지 밀고 나감.
▶ 一以貴之(일이귀지)
하나의 줄로 꿰었다.
하나의 이치, 또는 방법이나 태도로써 모든 일을 꿰뚫었다는 것. -논어,이인편-
▶ 一人當千(일인당천)
한 사람이 천 명의 적을 당해낸다는 뜻으로 용사를 형용해 이르는 말. -북제서-
▶ 一人三失怨豈在明(일인삼실원기재명)
과실이 잦으면 남의 원한을 받음이 마땅하나 그 과실은 모두 사소한 일에서
생기므로 작은 일을 조심하지 않으면 큰 과실을 초래한다는 훈계. -서경-
▶ 一人有慶兆民賴之(일인유경조민뇌지)
一:한 일, 人:사람 인, 有:있을 유, 慶:경사 경, 兆:조짐 조, 民:백성 민, 賴:의지할 뇌, 之:갈 지.
임금의 선악은 만민의 행불행에 관계되므로 정치를 함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 -서경-
▶ 一人傳虛萬人傳實(일인전허만인전실)
一:한 일, 人:사람 인, 傳:전할 전, 虛:빌 허, 萬:일만 만, 實:열매 실.
한 사람이 거짓말을 하면 많은 사람이 그것을 전하는 사이에 그것을 사실로 전한다 함이니 말을 신중히 하라고 경계하는 말. -조야첨재(朝野僉載)-
▶ 一人知儉一家富(일인지검일가부)
一:한 일, 人;사람 인, 知:알 지, 儉;검소할 검, 家:집 가, 富:부자 부.
가장 된 사람이 검약할 줄 알면 그 집안이 흥함을 이름. -담자화서(譚子化書)-
▶ 一日難再晨(일일난재신)
시간을 아끼며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
하루에 아침이 두 번 오지 않는다는 것. -도잠시,잡시-
▶ 一日不作百日不食(일일부작백일불식)
日:날 일, 不:아닐 부, 作:지을 작, 百:일백 백, 食:밥 식.
농부가 하루 일을 쉬면 백 일 동안의 양식이 줄어듦.
▶ 一日不念善 諸惡皆自起(일일불염선 제악개자기)
하루라도 착한 생각을 하지 않으면 모든 악이 저절로 자기에게서 나온다.
-명심보감 개선편-
▶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일일불독서 구중생형극)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명심보감. 안중근-
▶ 一日三秋(일일삼추)
一:한 일, 日:날 일, 三:석 삼, 秋:가을 추.
그리워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시경-
▶ 日日新又日新(일일신우일신)
하루하루 새로우며, 또 날마다 새로워야 한다. -대학-
▶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몹시 그리워하며기다림. -서경, 채갈-
▶ 一日之計在于晨(일일지계재우신)
하루의 일은 아침에 계획을 세워서 실행해야만 한다.
일은 시작이 중요하다. -통속편 시서-
▶ 一日之狗不知畏虎(일일지구부지외호)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는 뜻으로 너무 세상 물정을 몰라 겁내는 게
없음을 이르는 말.
▶ 一日之雅(일일지아)
一:한 일, 日;날 일, 之:갈 지, 雅:아담할 아.
잠시 동안의 교제(交際)를 이름.
▶ 一日之長(일일지장)
양자(兩者)중 하나가 조금 나이가 많거나 나을 때 이르는 말. -논어-
▶ 一日千里(일일천리)
一:한 일, 日:날 일, 千:일천 천, 里:마을 리.
①준마(駿馬)가 하루에 천리를 달림을 이름. ②재주가 극히 뛰어남을 이름.
③물이 쏜살같이 흐름을 이름. -商子書策(상자서책)-
▶ 一日千秋(일일천추)
하루가 천 년 같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사람끼리의 사모(思慕)하는 마음이 간절(懇切)함을 이르는 말, 뜻대로 만날 수 없는 초조(焦燥)함을 나타내는 말.
▶ 一日淸閑(일일청한)이면, 一日仙(일일선)이니라.
하루라도 마음이 맑고 한가롭다면, 그 하루 동안은 신선이 된다. -명심보감-
▶ 一字無識(일자무식)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무식함.
▶ 一字百金(일자백금)
백(百), 천(千), 만(萬)은 개수(個數)를 나타내지만 여기서는 많다의 뜻으로 쓰여, 한 글자의 값어치가 백금이다라는 뜻으로, ①지극(至極)히 가치(價値) 있는 문장(文章)을 말함 ②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俗談)과 맥(脈)이 통(通)함.
▶ 一字不說(일자불설)
一:한 일, 字:글자 자, 不:아닐 불, 說:말씀 설.
부처의 경지는 문자로서는 표현할 수 없다는 말.
▶ 一字師(일자사)
字:글자 자, 師;스승 사.
잘 못 읽은 한 자의 글자를 바로 잡아 준 스승이라는 뜻으로,
정곡을 찔러 확심을 깨우쳐주는 가르침을 말한다. 이야기는 여러 문헌에 나온다.
-오대상보, 학림옥로 간보-
▶ 一子相傳(일자상전)
학문(學問)이나 기예(技藝) 따위의 깊은 뜻을 자기(自己)의 자녀(子女) 중(中) 한 자식(子息)에게만 전(傳)하고, 다른 자식(子息)에게는 비밀(秘密)로 함.
▶ 一字之師(일자지사)
一:한 일, 字:글자 자, 之:갈 지, 師:스승 사.
시(詩)나 문장의 잘못을 지적하거나 최선이라고는 할 수 없는 문자의 사용법을 지적하고 주의시켜 주는 사람, 또 시나 문장을 짓거나, 또는 비판을 함에 있어서 단 한 자도 소홀히 하지 않는 사람. -당재자전-
▶ 一字之褒貶(일자지포폄)
字:글자 자, 之:갈 지, 褒:기릴 포, 貶:떨어뜨릴 폄.
글자 하나의 씀씀이의 중요성을 말한다. 한 자의 씀씀이 여하로 칭찬도 하고 깎아내리기도하는 것, 포폄은 칭찬과 헐뜯음, 전하여 비평(批評)의 뜻.
▶ 一字千金(일자천금)
매우 가치가 있는 문자나 문장,
단 한 자라도 천금의 값어치가 있다는 것. -사기,여불위열전-
▶ 一將功成萬骨枯(일장공성만골고)
위에 서는 사람이 공을 세운 그늘에는
수많은 아랫사람의 희생이 있다는 것. -조송시-
▶ 一長一短(일장일단)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다고 하는 것, 이 경우의 일은 혹은의 뜻으로,
길다든지 짧다든지 의 의미. -논형 무형-
▶ 一張一弛(일장일이)
사람에 대하여 엄격하게 대하기도 하고,
관대하게 대하기도 하여 알맞게 다루는 것. -예기,잡기-
▶ 一場春夢(일장춘몽)
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영화(榮華)나 덧없는 일이란 뜻으로, 인생(人生)의 허무(虛無)함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후청록-
▶ 一場風波(일장풍파)
一:한 일, 場;마당 장, 風;바람 풍, 波:물결 파.
한 바탕의 심한 야단이나 싸움.
▶ 一錢不値(일전불치)
한 푼어치의 가치도 안된다는 뜻으로, 쓸모없음을 이르는 말. -사기-
▶ 一箭雙雕(일전쌍조)
箭:화살 전, 雙:둘 쌍, 雕:독수리 조.
화살 한 발에 두 마리의 새를 잡다. 일거양득이라는 뜻으로, 일발관이(一發貫二),
또는 일발쌍관이라고도 한다. -수서 장손성전-
▶ 一節動而百枝搖(일절동이백지요)
一:한 일, 節:마디 절, 動:움직일 동, 而:말이을 이, 百:일백 백. 枝:가지 지, 搖:흔들 요.
한 줄기의 대가 움직이면 여러 가지(枝)가 움직인다는 뜻으로 한곳에서 난리가 일어나면 소란이 전국에 미친다는 것을 이름. -염철론 신한편-
▶ 一切唯心造(일절유심조)
마음이 모든 것을 만들어 준다. -화엄경-
▶ 一點紅(일점홍)
一:한 일, 點:점찍을 점, 紅:붉을 홍.
①좌중에서 단 한 사람의 기생(妓生)을 가리켜 이름.
②푸른 잎 가운데 한 송이의 꽃이 피어 있는 것.
▶ 一定不變(일정불변)
一:한 일, 定:정할 정, 不:아닐 불, 變:변할 변.
한 번 정하여져 바뀌지 아니함.
▶ 日照不等(일조부등)
같은 날의 두 번의 만조(滿潮) 또는 간조(干潮)의 높이가 서로 같지 않은 현상(現象).
▶ 一朝一夕(일조일석)
朝:아침 조, 夕:저녁 석.
어제 오늘의 단 시일의 뜻으로, 일이나 사물은 긴 세월을 거치며 차츰차츰 이루어진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역경-
▶ 一朝之忿(일조지분)
一:한 일, 朝:아침 조, 之:갈 지. 忿:성낼 분.
일시적인 감정에 격하여 도의에 벗어난 분노(忿怒)를 이름. -논어-
▶ 一朝之忿忘其身(일조지분망기신)
한때의 노여움으로 자신의 처지를 잊어버리는 것. -논어 안이-
▶ 一朝之患(일조지환)
一:한 일, 朝;아침 조, 之:갈 지, 患:근심 환.
갑자기 하루아침에 덮치는 근심이나 재앙.
▶ 一簇(일족)
一:한 일, 簇:조릿대 족.
한 떨기 꽃 구름 같은 것이 한데 뭉친 것을 세는 말. -두보의 시-
▶ 一柱難支(일주난지)
기둥 하나로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이미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는 말.
▶ 日中不決(일중불결)
日;날 일, 中;가운데 중, 不:아닐 불, 決:결단할 결.
이른 아침부터 회의를 열어서 반날이 지나서 오정 때에 이르도록 아직 결정되지 않음.
▶ 日中逃影(일중도영)
逃:달아날 도, 影:그림자 영.
한낮에 그림자를 피하고자 함. 불가능한 일의 비유.
▶ 日中卽昃月滿卽食(일중즉측월만즉식)
日:날 일, 中:가운데 중, 卽;곧 즉, 昃:기울 측. 月;달 월, 滿:찰 만, 食:밥 식.
모든 사물(事物)이 극성(極盛)한 다음엔 반드시 쇠한다는 말. -역풍괘-
▶ 日中卽昃月盈卽食(일중즉측월영즉식)
日:날 일, 中:가운데 중, 卽;곧 즉, 昃:기울 측. 月;달 월, 盈:찰 영, 食:밥 식.
왕성함이 극에 이르면 곧 쇠퇴(衰退)한다는 뜻. 일중은 정오(正午)를 , 측(昃)은 일모를 가리킴. -역경-
▶ 一汁一菜(일즙일채)
一;한 일, 汁:진액 즙, 菜;나물 채.
국 한 그릇과 나물 한 그릇의 식사란 뜻으로, 변변치 못한 식사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一紙半錢(일지반전)
紙:종이 지, 半:반 반, 錢:돈 전.
종이 한 장과 엽전 5리(厘), 곧 극히 미미한 기부의 비유.
▶ 一知半解(일지반해)
하나쯤 알고 반쯤 깨닫는다는 뜻으로, 지식이 충분히 제 것으로 되어 있지 않거나 아는 것이 퍽 적음을 이르는 말. 수박 겉홡기 지식, 어설픈 지식, -창랑시화,시변-
▶ 一枝巢(일지소)
一:한 일, 枝;가지 지, 巢;새집 소,
나뭇가지 하나로 지은 둥우리라 함이니, 매우 작은 집이라는 뜻. -장자-
▶ 一陣狂風(일진광풍)
一;한 일, 陣;진칠 진, 狂;미칠 광, 風;바람 풍.
한바탕 부는 사납고 거센 바람.
▶ 一眞法界(일진법계)
오직 하나인 참된 세계(世界). 절대(絶對) 무차별(無差別)의 우주(宇宙)의 실상(實相).
▶ 一塵不染(일진불염)
一:한 일, 塵:티끌 진, 不:아닐 불, 染:물들 염.
①티끌만큼도 물욕(物辱)에 물들어 있지 않음. ②모든 것이 맑고 깨끗함.
③토지(土地)가 깨끗함. ④절조(節操)가 깨끗함.
⑤문장(文章) 등이 뛰어나게 아름다움.
▶ 一進一退(일진일퇴)
한 번 나아갔다 한 번 물러났다 함. 힘이 비슷하여 이겼다 졌다 함. -순자-
▶ 日進月步(일진월보)
날로 달로 끊임없이 진보 발전함.
▶ 一倡三歎(일창삼탄)
一:한 일, 倡:광대 창, 三:석 삼, 歎:탄식할 탄.
한 사람이 먼저 노래를 하면 세 사람이 그 뛰어남에 몇 번이나 감탄한다, 곧 한 번
시문(詩文)을 읽고 여러 번 탄상한다는 뜻으로, 썩 훌륭한 시문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 -소식 답장문잠서-
▶ 一唱一和(일창일화)
一;한 일, 唱:노래할 창, 和:화할 화.
(시문이나 노래 같은 것을) 번차례로 한편에서 부르고 한편에서 화답함.
▶ 一擲乾坤(일척건곤)
한 번 던져서 하늘이냐 땅이냐를 결정(決定)한다는 뜻으로, 운명(運命)과 흥망(興亡)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勝負)를 겨룸.
▶ 一隻眼(일척안)
隻:새 한 마리 척, 眼:눈 안.
좌우의 눈 이외의 또 다른 하나의 눈, 척안은 하나의 눈, 고대의 성인은 좌우 두 눈과는 별도로 이마에 눈 하나를 가졌다는 전설에서, 전(轉)하여 사물을 꿰둟어보는 안력(眼力), 뛰어난 식견을 말한다.
▶ 一擲千金(일척천금)
一:한 일, 擲:던질 척, 千:일천 천, 金:쇠 금.
큰맘 먹고 대담한 일을 함의 비유, 한 번의 노름에 천금을 내던질 만큼 배짱이 좋은 것, 일척은 한번 던진다는 뜻으로 주사위 등을 던지는 것.
▶ 一天萬乘(일천만승)
一:한 일, 天:하늘 천, 萬:일만 만, 乘:탈 승.
①천자, ②천자의 지위, 즉 주나라 때 천자는 수레 만승을 소유할 수 있었음.
▶ 一天之下(일천지하)
一:한 일, 天:하늘 천, 之:갈 지, 下:아래 하.
한 하늘 아래, 곧 온 천하.
▶ 一體分身(일체분신)
①부처가 세상(世上) 사람을 구(救)하기 위(爲)해 일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일 ②동일(同一)의 사물(事物)을 근원(根源)으로 하고 거기에서 갈라져 나온 사물(事物).
▶ 一觸卽發(일촉즉발)
一:한 일, 觸:닿을 촉, 卽:곧 즉, 發:쏠 발.
조금만 닿아도 곧 폭발할 것 같은 모양, 즉 막 일이 일어날 듯하여 몹시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일컫는 말, 대단히 절박한 상황.
▶ 一寸肝腸(일촌간장)
寸:마디 촌, 肝:간 간, 腸:창자 장.
한 토막의 간과 창자라는 뜻으로, 주로 애달프거나 애가 탈 때의 마음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一寸光陰不可輕(일촌광음불가경)
짧은 시간이라도 헛되이 보내지 말라. -주희-
▶ 日就月將(일취월장)
날마다 달마다 성장(成長)하고 발전(發展)한다는 뜻으로, 학업(學業)이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진보(進步)함을 이름. -시경,주송-
▶ 一炊之夢(일취지몽) =한단지몽
一:한 일, 炊:불 땔 취, 之:갈 지, 夢:꿈 몽.
인생능 믿기 어렵고 세상은 덧없다는 것을 가라키는 말.
▶ 一醉千日(일취천일)
一:한 일, 醉:술 취할 취, 千:일천 천, 日:날 일.
한 번 취하면 천 일을 간다는 뜻으로, 아주 좋은 술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박물지-
▶ 一針見血(일침견혈)
針;바늘 침, 見:볼 견, 血:피 혈.
한 번 침을 놓아 죽은 피를 뽑아내면 혈액순환이 원활해 진다는 뜻으로,
간단한 방법을 써서 본질적인 문제나 병을 고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一枕黃梁(일침황량)
枕:베개 침, 黃:누를 황, 梁:대들보 량.
허황한 꿈, 헛된 생각.
▶ 一波萬波(일파만파)
작은 한 사건이 큰 파장을 불러 일으킴. -냉재야화-
▶ 一敗塗地(일패도지)
싸움에 한 번 패하여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번 싸우다가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나지 못함. -사기(고조본기)-
▶ 一片丹心(일편단심)
一:한 일, 片:조각 편, 丹:붉을 단, 心:마음 심.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란 뜻으로, ①한결같은 참된 정성(精誠), 변(變)치 않는 참된 마음을 이름 ②오로지 한 곳으로 향한, 한 조각의 붉은 마음 ③진정(眞情)에서 우러나오는 충성(忠誠)된 마음.
▶ 一片氷心(일편빙심)
一;한 일, 片:조각 편, 氷:얼음 빙, 心:마음 심.
한 조각 얼음같이 깨끗한 마음.
▶ 一偏之言(일편지언)
一:한 일, 偏:치우칠 편, 之:갈 지, 言:말씀 언.
두 쪽 가운데의 한쪽 말, 한쪽으로 기운 말.
▶ 一布被二十年(일포피이십년)
一:한 일, 布:베 포, 二:두 이, 十:열 십, 年:해 년.
옷을 20년이나 갈아 입지 않음, 검소(儉素)한 생활을 이름. -문중(文中)-
▶ 一暴十寒(일폭십한)
초목을 기르는데 하루 볕에 쪼이고 열흘이나 응달에 둔다는 뜻으로,
단 하루 공부하고 열흘이나 노는 게으름의 비유,
조금 일하고 오랫동안 쉰다는 뜻. -맹자-
▶ 一彼一此(일피일차)
一:한 일, 彼:저 피, 一:한 일, 此:이를 차.
저곳에서 하기도 하고 이곳에서 하기도 함.
▶ 一筆句之(일필구지)
筆:붓 필, 句:글귀 구.
송(宋)나라의 범중엄(范仲淹)이 부덕한 사람들을 명부에서 일필로 삭제해버린 데서, 붓으로 단번에 금을 죽 그어서 지워버림.
▶ 一筆揮之(일필휘지)
一:한 일, 筆:붓 필, 揮:휘두를 휘, 之:갈 지.
한숨에 흥취있고 줄기차게 글씨를 서 내림.
▶ 日下無蹊徑(일하무혜경)
日:날 일, 下:아래 하, 無:없을 무, 蹊:지름길 혜, 徑:지름길 경.
혜경은 좁은 길, 해가 비치고 있는 곳에는 좁은 길이 없다 함이니, 즉 나쁜 일이 행해지지 아니한 것을 탄미(嘆美)한 말임. -당서-
▶ 日下五色雲見(일하오색운현)
日:날 일, 下:아래 하, 五:다섯 오, 色:빛 색, 雲:구 름 운, 見:나타날 현.
서운(瑞雲)이 보임을 이름. -송사-
▶ 一寒如此(일한여차)
寒:찰 한, 如:같을 여, 此:이를 차.
이와 같이 한결같이 춥다, 가난한 것을 개탄하는 말이다. -사기 범수전-
▶ 一行三昧(일행삼매)
一:한 일, 行:다닐 행, 三:석 삼, 昧:새벽 매.
잡념(雜念)을 떨쳐버리고 오직 염불(念佛)에만 전념(專念)함.
▶ 一行有失百行俱傾(일행유실백행구경)
한번 실수를 하게 되면 모든 일을 다 잘 못하는 줄 안다는 뜻.
▶ 一向專念(일향전념)
一:한 일, 向:향하다 향, 專;오로지 전, 念:생각할 념.
오직 한 가지 일에만 전념함.
▶ 一向專修(일향전수)
一:한 일, 向:향하다 향, 專:오로지 전, 修:닦을 수.
오직 열심히 수행하고 닦음.
▶ 一虛一盈(일허일영)
있는가 하면 없고, 없는가 하면 있음, 곧 변화가 무상함을 이름. -진서-
▶ 一狐裘三十年(일호구삼십년)
一:한 일, 狐:여우 호, 裘:갖옷 구, 三:석 삼, 十:열 십, 年:해 년.
호구(狐裘:여우 가죽으로 만든 옷) 한 벌을 30년 동안이나 입었다는 뜻으로 검소(儉素)한 것을 이름. -예기-
▶ 一毫半點(일호반점)
一;한 일, 毫:가는 털 호, 半:반 반, 點:점찍을 점.
일호(一毫)를 힘주어 이르는 말.
▶ 一呼再諾(일호재락)
呼:부를 호, 再:두 번 재, 諾:대답할 락.
주인이 한 번 부르면 종이 그에 응하여 "예 예"하고 대답함.
곧 비굴하고 남에게 아첨함을 이름.
▶ 一呼百諾(일호백낙)
一:한 일, 呼:부를 호, 百:일백 백, 諾:대답할 낙.
한 사람이 소리를 내어 외치면 여러 사람이 이에 따름.
▶ 一狐之腋(일호지액)
狐:여우 호, 腋:겨드랑이 액.
한 마리의 여우 겨드랑이 밑의 최고 아름다운 모피라는 뜻으로, 아주 귀하여 값이
비싼 물건의 비유, 또는 한 사람의 직언하는 선비의 비유.
▶ 一壺天(일호천)
壺:병 호, 天:하늘 천.
호리병 속의 하늘,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즐기는 것을 뜻하기도 하고 별천지, 선경(別天地, 仙境)을 말하기도 한다. 주로 후자의 뜻이 강하다. -후한서 방술전-
[고사]옛날 중국 한(漢)나라의 비장방(費長房)이 시리(市吏)로 있을 때 약을 파는 노인이 있어 점두(店頭)에 병 하나를 두곤 장사가 끝나면 그 속에 들어가곤 했는데 어느 때 장방이 노인과 함께 그가 가진 병 속에 들어가 보니 거기에는 훌륭한 옥당(玉堂)이 있고 좋은 술과 맛있는 안주가 가득차 있더라는 고사에서 온 말.
▶ 一壺千金(일호천금)
하잘것없는 것이라도 때와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쓸모가 있음. -할관자,학문-
▶ 一攫千金(일확천금)
一:한 일, 攫:붙잡을 확, 千:일천 천, 金:쇠 금.
대수롭지 않은 일로 단번에 큰 돈을 손에 ,넣는 것.
▶ 一薰一蕕(일훈일유)
蕕:누린내풀 유,
훈은 향초(香草), 유는 냄새나는 풀, 곧 훈. 유의 두 가지 풀을 한데 놓으면
냄새는 없어지고 악취만 난다는 뜻으로, 선행은 스러지기 쉽고, 악행은 잘
제거되지 않음의 비유, 또 착한 사람의 세력은 악인에 미치지 못한다는 비유,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는 말과 같다. -좌전-
▶ 一薰一獲(일훈일획)
薰:향풀 훈, 獲:얻을 획.
착한 것과 악한 것, 진나라 때의 학자 두예의 해석에 의하면 훈은 향기로운 풀로서 선(善)을 대표하고 획은 악취나는 풀로서 악(惡)을 대표한다고 하였다.
-좌전 희공4년 조-
▶ 一喜一悲(일희일비)
①기쁜 일과 슬픈 일이 번갈아 일어남. ②한편 기쁘고 한편 슬픔.
▶ 一喜一憂(일희일우)
一:한 일, 喜:기쁠 희, 一:한 일, 憂:근심할 우.
사정이 조금이라도 변할 때 마다 기뻐하거나 걱정하거나 하는 것,
기쁨과 근심이 번갈아 일어남.
자료-다음카페:손정섭
|
첫댓글 감사히!! 담아가겠습니다. (_ _)
행복한 한주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