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한국 기업 투자를 희망하는 요르단 석유화학기업 | ||||
---|---|---|---|---|---|
게시일 | 2016-02-19 | 국가 | 요르단 | 작성자 | 진준현(암만무역관) |
한국 기업 투자를 희망하는 요르단 석유화학기업 - KOTRA 암만 무역관에서는 현지 화학기업을 인터뷰해 투자 희망 수요 발굴 - - 품질관리, 공습사슬망관리(SCM) 등의 분야에 협력 희망, 시장 다변화 전략 제시 -
□ 요르단 기업 개요
○ 기업명: Intermediate Petrochemicals Industries(IPI)
○ 주요 품목: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농업용․공업용 FRP 시트, PVC 화합물, 가소제, 전기 슬렌더 케이블, 신발, 페놀포름알데히드, 유기과산화물, 유기용제, Masterbatch 등
○ 웹사이트: www.ipi.com.jo
○ 설립연도: 1980년
○ 직원 수: 약 100명
○ 생산공장: 7개 공장, 6만7000sqm(요르단 북부 Zarqa 산업단지에 위치)
○ 주요 거래시장: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팔레스타인 등
○ 참고사항 - 주요 취급품목의 요르단 시장점유율 약 90% - 해당 기업은 암만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 인터뷰 주요 내용
○ 해당 기업은 요르단 석유화학분야에서 30여 년간 중견기업으로 성장해온 기업이며, 주로 요르단을 포함해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팔레스타인 등 중동지역에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음.
○ 과거 한국 기업과 DOP, 케이블 등 거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품질과 가격 적정성에 있어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음.
○ 최근 기존 시장의 불안 요소 발생 -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정정 불안으로 수입 수요가 감소하고 실질적인 수출경로 또한 막히는 등 해당국 시장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유가하락으로 경기가 어려워졌을 뿐 아니라 수입보다는 내수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 사우디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로 해당 요르단 기업의 경쟁력 약화
○ 품질관리(Quality Control), 공급사슬망관리(SCM) 개선을 통한 품질 제고 및 제조원가 감소를 달성하는 등 내부 체질 개선에 투자해 주변국 상황 개선 이후 원활한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함.
○ 기존 시장인 중동 주변국의 틈새시장을 발굴하는 한편, 아프리카 신시장을 개척하는 등 시장 다변화 또한 모색하고 있음.
IPI 일부 공장 전경 자료원: KOTRA 암만 무역관 직접 촬영
□ 한국 기업 투자유치 희망
○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고, 관련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과 함께 R &D 및 생산설비, 마케팅 등에 투자해 제 2의 기회 창출 희망(Quality Control, SCM 분야 협력 희망)
○ 참여하는 한국 기업은 공동연구를 통한 원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요르단 기업 의견)
○ 적합한 기업 발굴 시, 해당 기업 담당자가 직접 방한해 면담을 실시하고자 함.
산업 시찰 중 KOTRA에 투자유치 관련 내용을 전달하는 IPI General Manager
자료원: KOTRA 암만 무역관 직접 촬영
□ 결론
○ 요르단 주변 정세의 불안 및 석유가격 하락으로 인해 요르단 석유화학기업들이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
○ IPI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체질 개선을 통해 주변시장 안정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고자 함. 따라서,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춘 기업과의 공동 투자는 그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음.
○ 또한 최근 아프리카 시장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 중동지역뿐 아니라 아프리카까지 영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관심 있는 한국 기업은 KOTRA 암만 무역관을 통해 해당 기업과 연락 또는 면담 가능
자료원: 기업 관계자 인터뷰,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암만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