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心齋, 坐忘, 吾喪我
장자의 인간 마음 수양 방법을 심재(心齋), 좌망(坐忘), 오상아(吾喪我)로 정리합니다
심재(心齋)는 마음을 비움,
좌망(坐忘)은 앉아서 잊음,
오상아(吾喪我)는 나를 잃어버린 나 로 문자 그대로 해석합니다
장자의 인간세에 나오는 심제와 대종사의 좌망만 읽어도 마음 가벼울 것입니다
사려는 장자가 건강의 적이라 하니 사려깊지 마시고 심제 허로 가십시다.
장자의 인간세 12에서
안회가 “심재란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잡념을 없애고 마음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 그리고 소리를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야 한다.
나아가서 마음으로도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야 한다.
귀로도 듣지 않고 마음으로도 듣지 않도록 생각을 멈추면 허(虛)의 상태가 된다.
氣라는 것은 허의 상태에서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
도(道)는 허의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바로 그 허가 심제이니라.”
장자 대종사 38에서
어느 날 안회가 공자에게 말했다.
“저는 좌망(坐忘)하였습니다.”
공자가 깜짝 놀라 말했다.
“무엇을 좌망이라고 하는가?” 안회가 말했다.
“손발이나 몸을 잊고, 귀와 눈의 작용을 물리쳐, 형체를 떠나 지식을 버리면 위대한 도와 통하여 하나가 되는 것, 이를 일러 좌망이라고 합니다.”
나를 잊는 좌망과 마음과 생각을 굶기는 심재의 수양법은 심재는 내적 차원으로 마음을 비우고 고정관념을 비워서 마음이 고요한 상태에 이르는 것입니다
좌망은 외적 차원이 주가 되는 육신으로부터 비롯되는 욕망과 옳고 그름의 판단을 잊고 마침내 자기 자신까지도 잊어버림으로 도와 하나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자의 사상은 삶 자체에 대해 고뇌하는 철학입니다.
때문에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철학적 논제를 진행하며 먼저 거시적인 대상인 우주와 자연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인간과 관련된 삶과 본질을 거쳐 인간을 둘러싼 역사와 사회 그 가운데 인간 마음의 수양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차훈명상의 소경전이 장자입니다
현대 명상의 시초라 보는 장자의 심재(心齋), 좌망(坐忘), 오상아(吾喪我)를 차훈명상 책에 담았습니다
차훈명상은 氣수련과 양생법, 역근경, 정좌명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수련서입니다
#장자 #심제 #좌망 #오상아
#차훈명상 #수련서 #태아적
#지리산장기체류 #함양군
#지리산둘레길 숙소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