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성(城)을 쌓고 놀고 있었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줄 생각을 하지 않았다.
"얘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했다.
그러고는 이렇게 말했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城)이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城)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공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어보았다.
그러자 이름은 황택(皇澤)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다.
이에 공자(孔子)는 "한 가지 물어보아도 되겠느냐?"
그러고는 " 바둑을 좋아하느냐?" 라고 물어보았다.
그러자 황택(皇澤)은 이렇게 말했다.
"군주가 바둑을 좋아하면 신하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학문을 닦지 않고,
농사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롭지 못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에 놀란 공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냐 고 하고는 "자식을 못 낳는 아비는 누구냐?" 라고 물었다.
그러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연기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딧불이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에 놀란 공자는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 하고 말했습니다.
공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의 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공자는 잠시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 것이다." 하고 대답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다.
"그렇다면 속이 텅 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공자는 "그런 사소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보아라" 하고 말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 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目) 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공자는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했다.
공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아이를 가르쳐 제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했다.
하지만 공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덕(德)이 부족해 궁극에 이르지는 못 할 것이라는 사실을 내다봤다.
그리하여 다시 수레에 올라 가던 길을 계속갔다.
실제로 황택의 이름은 그 이후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다.
그의 천재성은 8살에서 끝이 나고 말았다.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자식을 천재로 키우려고 한다.
하지만 세상에 나가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재가 아니라 덕이 있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은 천재교육 이 아니라
지식(知識)에 앞서
덕(德)을 쌓고,
덕(德)을 베풀고,
덕(德)으로 세상을 살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이다.
머리로 세상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머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보다
가슴이 미치는 영향이 휠씬 크다.
덕(德) 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자칫 천재적인 머리로 사회의 해가 될 위험이 더 크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온갖 거짓과 모순과 악으로 넘쳐나는 것은
지식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덕(德)이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머리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德)을 쌓고 덕(德)을 즐겨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할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지도자의 위치에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덕(德)이 높은 사람이다.
첫댓글 공감입니다.
좋은 글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맞는말씀입니다~♡
德不孤 必有隣
덕은 배우기만 하고 베푸는삶을 못하고 살지만 분명 타인에게 피해주지 않는 삶을 영위하려합니다
역시 모란님
타인에게 피해주지 않는 것이 덕을 베푸는 삶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