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自家撞着(자가당착) 자기 스스로 한 말과 헹동이 서로 맞지 않아 모순됨을 일컫는 말. -선림유취,간경문-
◆ 自家藥籠中物(자가약롱중물) 自:스스로 자, 家:집 가, 藥:약 약, 籠:대그릇 롱, 中;가운데 중, 物:만물 물. 자기 집 약통 안에 있는 물건, 항상 필요할 때마다 도움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십팔사략-
◆ 自彊不息(자강불식) 오로지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아니함. 수양에 힘써 게을리하지 아니하는 것. -역경, 건괘상전-
◆ 刺客奸人(자객간인) 刺:찌를 자, 客:손 객, 奸:간음할 간, 人:사람 인. 자객과 간사(奸邪)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몹시 독하거나 모진 사람을 이르는 말.
◆ 自激之心(자격지심) = 자곡지심(自曲之心) 자기가 어떤 일을 해놓고 그 일에 대해 자기 스스로 미홉하게 여기는 마음. ◆ 自見者不明(자견자불명) 자가 자신의 결함은 명백히 볼 수 없다는 뜻. -노자-
◆ 刺股(자고) 소진(蘇秦)이 독서할 때 졸음이 오면 넓적다리를 송곳으로 찔렀다는 데서, 자신의 태만을 극복해서 열심히 면학함을 이름. -전국책-
◆ 慈故能勇(자고능용) 자애심이 두터운 고로 자연히 용기가 생기는 것을 이름. -노자-
◆ 刺股讀書(자고독서) 刺:찌를 자, 股:넓적다리 고, 讀:읽을 독, 書:글 서. 소진(蘇秦)이 열심(熱心)히 독서한 고사(故事) -전국진책-
◆ 自古英雄盡解詩(자고영웅진해시) 自;스스로 자, 古:옛 고, 英:꽃부리 영, 雄:수컷 웅, 盡:다할 진, 解:풀 해, 詩:시 시. 예로부터 영웅치고 시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없다. -임관 기봉대-
◆ 自古以來(자고이래) 自:스스로 자, 古:옛 고, 以:써 이, 來:올 래. 예로부터 내려오면서
◆ 自高自大(자고자대) 自:스스로 자, 高:높을 고, 大:큰 대. 스스로 잘난 체하며 교만함.
◆ 刺股懸梁(자고현량) 허벅다리를 찌르고, 머리털을 대들보에 묶는다는 뜻으로, 분발(奮發)하여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 自過不知(자과부지) 自:스스로자, 過:지날 과, 知:알 지. 제 허물은 제가 모름, 사람은 대개 자신의 과실을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는 말.
◆ 藉光(자광) 藉:깔개 자, 光:빛 광, 남들 덕분에 편리를 보거나 명예나 이익을 보게 되었을 때 일컫는 말로, "남의 돌팔매에 밤 줍는다", "남의 불에 게 굽기". "남의 떡에 설 쇤다"는 속담과 뜻이 비슷하다. 전국책 진책-
◆ 自曲之心(자곡지심) 自:스스로 자, 曲;굽을 곡, 之:갈 지, 心:마음 심. 결점이 있거나 남보다 못한 점이 있는 사람이 스스로 고깝게 여기는 마음. 자곡하는 마음.
◆ 刺骨之恨(자골지한) 刺:찌를 자, 骨:뼈 골, 之:갈 지, 恨:한할 한. 깊은 원한을 이름. -風窓小牘(풍찬소독)-
◆ 自求多福(자구다복) 自:스스로 자, 求:구할 구, 多;많을 다, 福:복 복. 많은 복을 하늘이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구하는 것이다. -시경 다아문왕편-
◆ 藉寇兵而齊盜糧(자구병이제도량) 藉;깔개 자, 寇;도둑 구, 兵:군사 병, 而:말 이을 이, 齊;엄숙할 제, 盜:도둑 도, 糧;양식 량. 구적(寇敵)에게 병기(兵器)를 빌려주고 도둑에게 양식을 대어준다는 말. -전국책-
◆ 自歸勿論(자귀물론) 오래 된 일이나 대수롭지 않은 일은 저절로 흐지부지하여 짐.
◆ 刺豆燃萁(자두연기)=刺豆燃豆萁(자두연두기) 刺:찌를 자, 豆:콩 두, 燃;불탈 연, 萁:콩깍지 기, 콩을 삶는 데 콩대를 땔감으로 한다. 곧 콩과 콩대는 같은 뿌리에서 자란 것이면서 (本是同根生) 서로가 괴롭힌다는 뜻으로, 형제가 사이가 나쁨을 비유하는 말. -세설신어 문학편- [고사]옛날 중국 위(魏)나라 문제(文帝)가 그 아우 동아왕(東阿王)을 미워하여 그로 하여금 칠보(七步)를 걷는 동안에 시(詩)를 짓게 하였더니, 그 시에 이르기를 콩을 삶으며 콩깍지를 태우니 콩은 솥안에서 운다. 본래는 다같은 뿌리에서 났거늘 서로 볶기를 그다지도 급히 하는가, 문제(文帝)는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 동아왕은 그의 아우 조식(曹植)임.
◆ 自頭至尾(자두지미) = 종두지미(從頭至尾) 自:스스로 자, 頭:머리 두, 至:이를 지, 尾:꼬리 미. 머리로부터 꼬리에 이르기까지, 곧 자초지종(自初至終)을 뜻하는 말.
◆ 自得(자득)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①자기가 스스로 터득함. ②마음에 만족하게 여김. -중용-
◆ 自量處之(자량처지) 自;스스로 자, 量:헤아릴 량, 處;곳 처, 之:갈 지. 스스로 헤아려서 처리함.
◆ 自力回向(자력회향) ①자기(自己)가 닦은 선행(善行)의 공덕(功德)을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일 ②자기(自己)가 닦은 법력(法力)으로 남에게 돌이켜 주는 일.
◆ 子路負米(자로부미) 子;아들 자, 路;길 로, 負:짐질 부, 米:쌀 미, 공자의 제자인 자로(子路)는 가난하여 매일 쌀을 등짐으로 100리 밖까지 운반하여 그 운임으로 양친을 봉양했음. -공자-
◆ 自勞而得(자로이득) 自:스스로 자, 勞:일할 로, 而:말이을 이, 得:얻을 득. 혼자의 힘으로 일을 끝마침.
◆ 玼吝考妣비(자린고비) 玼:흉 자, 吝;아길 린, 考:상고할 고, 妣:죽은 어머니 비. 고비(考妣)는 돌아간 부모라는 뜻, 더러울 정도로 인색한 사람을 꼬집어 이르는 말.
◆ 子莫執中(자막집중) 융통성이 없고 임기응변할 줄 모르는 사람을 두고 이름. [참고] 자막(子莫)은 중국 전국시대 사람으로 중용지도(中庸之道)를 지나치게 지켜 조금도 융통성이 없었다 함.
◆ 滋蔓難圖(자만난도) 滋:불을 자, 蔓:덩굴 만, 難:어려울 난, 圖:그림 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악한 일이 점점 만연(蔓延)하여 제어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름. -좌전-
◆ 慈母有敗子(자모유패자) 자애가 지나친 어머니의 슬하에는 도리어 방자하고 버릇없는 자식이 있음. - 사기 -
◆自防(자방) 스스로 방지하다. -명심보감, 성심편-
◆ 自辯捷疾(자변첩질) 自:스스로 자, 辯:판별할 변, 捷:이길 첩, 疾:병 질. 천성이 능변(能辯)하고 행동이 빠름.
◆ 資父事君(자부사군) 아버지를 자료(資料)로 하여 임금을 섬길지니, 아버지 섬기는 효도(孝道)로 임금을 섬겨야 함.
◆ 自斧刖足(자부월족) 제 도끼에 발을 찍힌다 함이니, 잘 알고 있다고 조심을 하지 않아 큰 실수를 하게 된다는 뜻.
◆ 慈悲(자비) 慈:사랑 자, 悲:슬플 비. ①동정심이 많고 자비로움, 크게 사랑하고 크게 가엾게 여김. ②부처나 보살이 중생에게 복을 주어 괴로움을 없게 함. -대일경(大日經)-
◆ 慈悲忍辱(자비인욕) 慈:사랑 자, 悲:슬플 비. 忍:참을 인, 辱:욕 욕. 중이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인 자비와 인욕, 또는 보살(菩薩)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자비심으로써 고난(苦難)을 참고 견디는 일.
◆ 自相矛盾(자상모순) 자체의 모순에 빠진다는 뜻으로, 말이 앞뒤가 맞지 않거나 말과 행동이 서로 어긋남을 이르는 말. -한비자-
◆ 子誠齊人(자성제인) 子:아들 자, 誠:정성 성, 齊:엄숙할 제, 人:사람 인. 자기의 견해만을 유일한 것으로 믿는 사람을 가리켜 이르는 말. [참고] 중국 제(齊)나라의 공손축(公孫丑)이라는 사람이 관중(管中), 안자(晏子)만을 장한 줄 알고 있으므로 맹자가 그에게 "자네는 참 제나라 사람이로다" 하였다 함.
◆ 自性眞如(자성진여) 자성은 바뀌거나 없어지지 않는 절대적(絶對的)인 진리(眞理)라는 뜻.
◆ 自損者益自益者缺(자손자익자익자결) 스스로 겸손한 사람은 이익이 되고 이익을 탐내는 사람은 오히려 결손이 됨을 이름. -설원-
◆ 子帥以正孰敢不正(자솔이정숙감부정) 子;아들 자, 帥:거느릴 솔, 以:써 이, 正:바를 정, 孰:누구 숙, 敢:감히 감, 不:아닐 부, 그대가 앞장서서 바르게 행동한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게 행동하겠는가?, 위에 있는 사람이 정도를 걸으면 아랫사람들도 자연히 그 길을 따른다는 뜻이다. -논어 안연편-
◆ 自手削髮(자수삭발) 제 손으로 머리를 깎음이니, 하기 어려운 일을 남의 손을 빌리지 않고 제 힘으로 처리한다는 뜻.
◆ 自手成家(자수성가) 自:스스로 자, 手:손 수, 成:이룰 성, 家:집 가. 물러 받은 재산없이 제 힘으로 재산을 모은다는 뜻.
◆ 自受用身(자수용신) 수행(修行)이 완성(完成)되어 복덕(福德)과 지혜(智慧)가 원만(圓滿)하고 밝아 늘 진리(眞理)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을 받는 불신.
◆ 自肅自戒(자숙자계) 自:스스로 자, 肅:엄숙할 숙, 戒:경계할 계.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삼가고 경계함.
◆ 玆膝不屈於人(자슬불굴어인) 玆:검을 자, 膝:무릎 슬, 不:아닐 불, 屈:굽을 굴, 於:어조사 어, 人;사람 인. 사람에게 굴복(屈服)하지 않는 것을 이름. -당서-
◆ 自勝自强(자승자강) 자신을 이기는 사람은 강하다. -노자,33장-
◆ 自繩自縛(자승자박) 제 줄로 제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제가 쓴 마음이나 언행으로 말미암아 제 자신이 행동의 자유를 갖지 못하는 일, 자기 모순, 또 불가에서는 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워하는 일을 말한다.
◆ 自勝之癖(자승지벽) 自:스스로 자, 勝:이길 승, 癖:적취 벽. 자기가 남보다 나은 줄로 여기는 버릇.
◆ 自是之癖(자시지벽) 자기의 편견만을 옳다고 여기는 버릇, 편벽된 소견만을 옳다고 고집하는 버릇.
◆ 自我得之自我損之(자아득지자아손지) 自;스스로 자, 我:나 이, 得:얻을 득, 之:갈 지, 損:덜 손. 자업자득(自業自得)한 것이므로 아무도 탓할 수 없다는 말. -사기-
◆ 自我作古(자아작고) 낡은 관습이나 습관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방식이나 제도를 만들어 내는 것. -송사, 예지-
◆ 慈愛(자애) 慈:사랑 자, 愛:사랑 애. 아랫사람에 대한 두터운 사랑. -좌전-
◆ 慈愛之情(자애지정) 慈:사랑 자, 愛:사랑 애, 之:갈 지, 情:뜻 정. 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도타운 사랑의 마음, 자애로운 정.
◆ 自業自得(자업자득) 제가 지은 재앙이 제 몸에 닥침. -정법염경-
◆ 自然淘汰(자연도태) 自:스스로 자, 然:그러할 연, 淘:쌀 일 도, 汰:사치할 태. 생물이 자연환경이나 조건에 적응하는 것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은 사멸(死滅)하는 현상, 적자생존의 원칙, 인위도태(人爲淘汰)도 있다.
◆ 自然皆有春意(자연개유춘의) 自:스스로 자, 然:그러할 연, 皆:다 개, 有:있을 유, 春:봄 춘, 意:뜻 의. 내 마음이 조용한 때에는 천지만물(天地萬物)이 자연히 봄빛을 받아 빛나는 것과 같은 감(感)이 있음. -근사록(近思錄)-
◆ 慈烏(자오) 까마귀는 자란 뒤에 어미새에게 먹이를 제공하여 양육해 준 은혜를 갚음, 이것을 반포(反哺)라 하며, 때문에 까마귀를 자오라 이름. -당서-
◆ 子曰(자왈), 父母在(부모재)일진대 不遠遊(불원유)하며, 遊必有方(유필유방)이니라. 공자. 가로되, 부모가 세상에 계실 때는 멀리 떨어져 놀지 않으며, 놀되 반드시 행방을 알려야 하느니라. -명심보감- ◆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 子爲父隱(자위부은) 부자지간(父子之間)의 천리인정(天里人情)을 이름. 나쁜 일을 아비는 자식을 위해서숨기고, 자식(子息)은 아비를 위(爲)하여 숨긴다는 뜻. -논어,자로-
◆ 自由奔放(자유분방) 自:스스로자, 由:말미암을 유, 奔:달릴 분, 放:놓을 방. 생각대로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 아무런 근거도 없이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기풍(氣風).
◆ 慈幼恤孤(자유휼고) 慈:사랑 자, 幼:어릴 유, 恤:구휼할 휼, 孤:외로울 고. 유아(幼兒)를 사랑하고, 아비없는 고아(孤兒)를 가엾게 여김. -관자-
◆ 自疑不信人(자의불신인) 자신을 의심하는 사람은 남을 믿지 않는다는 뜻. -소서-
◆ 自隱無名(자은무명) 自:스스로 자, 隱:숨을 은, 無:없을 무, 名:이름 명. 스스로 은둔(隱遁)하여 이름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 것을 이름. -사기-
◆ 自怡(자이) 自:스스로 자, 怡:기쁠 이. 자기 마음속으로 즐겨하는 것을 이름. -도홍경의 시-
◆ 子子孫孫(자자손손) 子:아들 자, 孫:손자 손. 대대(代代)의 자손. -서경-
◆ 字字珠玉(자자주옥) 字:글자 자, 珠:구슬 주, 玉:구슬 옥. 글자마다 주옥이라는 뜻으로 필법이 묘하게 잘 됨을 가리키는 말.
◆ 自作自筆(자작자필) 自:스스로 자, 作:지을 작, 筆:붓 필. 자기가 글을 지어 자기 손으로 씀.
◆ 自作自活(자작자활) 自:스스로 자, 作:지을 작, 活:살 활.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작하여 자기 힘으로 살아나감.
◆ 自作之蘖(자작지얼) 自:스스로 자, 作:지을 작, 蘖:서자 얼. 제가 저지른 일로 말미암아 생긴 재앙이라는 뜻.
◆ 自將擊之(자장격지) ①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적을 침. ②무슨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고 손수 자기가 함을 이르는 말.
◆ 資章甫適越(자장보적월) 資:재물 자, 章:글 장, 甫:클 보, 適:맞을 적, 越:넘을 월. 관(冠)을 쓰지 않는 월(越)나라로 관을 팔러 간다는 뜻으로 목적과 반대되는 일을 함을 이름, 장보(章甫)는 은(殷)나라 관(冠)장사.
◆ 自障障他(자장장타) 自:스스로 자, 障:막힐 장, 他:다를 타. 잘못된 이치를 믿어 자신을 해롭게 함과 동시에 남까지도 잘못되게 함.
◆ 紫電淸霜(자전청상) 紫:자주 빛 자, 電:번개 전, 淸:맑을 청, 霜:서리 상. 절조(節操)가 늠연(凜然)한 것을 이름.
◆ 自全之計(자전지계) 저만 편하고 온전하도록 일을 꾸민다는 뜻.
◆ 自頂至踵(자정지종) 自:스스로 자, 頂:정수리 정, 至:이를 지, 踵:발 뒤꿈치 종. ①이마에서부터 발꿈치에 이르기까지라는 뜻으로, 온 몸을 뜻하는 말. ②생활 전체.
◆ 自中之亂(자중지란) 자기네 무리 속에서 일어나는 싸움.
◆ 自知者不怨人(자지자불원인) 자가 자신을 아는 사람은 사람을 원망하지 않는다는 뜻. -순자-
◆ 自知者英(자지자영) 自:스스로 자, 知:알 지, 者:사,람 자, 英:꽃부리 영. 자기 자신을 아는 사람은 총명한 사람이라는 뜻. -中說(중설)-
◆ 紫之奪朱(자지탈주) 옳지 않은 것이 옳은 것을 이기고, 소인(小人)이 현자(賢者)를 능가함의 비유. -논어-
◆ 自唱自和(자창자화) 自:스스로 자, 唱:노래할 창, 和:화할 화. 자기가 노래부르면서 스스로 화답한다는 말이니 혼자서 자문자답한다는 뜻.
◆ 自賤拜他(자천배타) 自:스스로 자, 賤:천할 천, 拜:절 배, 他:다를 타, 제 것은 천대하고 남의 것은 무조건 숭배하는 것.
◆ 刺草之臣(자초지신) 刺:찌를 자, 草:풀 초, 臣:신하 신. 풀을 베는 천한 신하라는 뜻으로, 평민이 임금에 대하여 낮추어 일컫는 말.
◆ 自初至終(자초지종) 自;스스로 자, 初:처음 초, 至:이를 지, 終:마칠 종. 처음부터 끝까지의 동안, 또는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 子推股(자추고) 子:아들 자, 推:밀 추, 股:넓적다리 고. 자추(子推)는 진(晋)나라 중이(重耳:文公의 이름)의 신하 개자추(介子推)임, 자추가 다리의 살을 베어 중이에게 먹인 것을 이름. -한시외전-
◆ 自取富貴(자취부귀) 自:스스로 자, 取:취할 취, 富:부자 부, 貴:귀할 귀. 자기 힘으로 부귀를 누리게 되는 것을 이름. -사문류취 별집-
◆ 自取之禍(자취지화) 自:스스로 자, 取:취할 취, 之:갈 지, 禍:재앙 화. 제 스스로의 잘못으로 받게 되는 재앙.
◆ 自彈自歌(자탄자가) 自:스스로 자, 彈:탄알 탄, 歌:노래 가. 스스로 거문고를 타고 스스로 노래함. 자창자화.
◆ 自暴自棄(자포자기)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자신을 내던져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사는 것. -맹자, 이루 상편-
◆ 自皮生蟲(자피생충) 가죽에 좀이 나서 가죽을 먹게 되면 마침내는 다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좀도 살 수 없게 되는 것이니 형제나 한 집안끼리의 싸움을 이름.
◆ 自下擧行(자하거행) 自:스스로 자, 下:아래 하, 擧:들 거, 行:다닐 행. 윗사람을 거치지 아니하고 자기 마음대로 해나감.
◆ 自下達上(자하달상) 自:스스로 자, 下:아래 하, 達:통할 달, 上:위 상. 아래로 부터 위에 미치게 함.
◆ 子罕以不貪爲寶(자한이불탐위보) 子:아들 자, 罕:그물 한, 以:써 이, 不:아닐 불, 貪:탐낼 탐, 爲:할 위, 寶:보배 보. 자한(子罕)이란 사람은 탐욕(貪慾)을 하지 않음을 보배로 여겼음. -좌전-
◆ 自行自止(자행자지) 自:스스로 자, 行:다닐 행, 止:그칠 지. 가고 싶으면 가고, 말고 싶으면 만다는 뜻으로,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함을 이름.
◆ 子虛烏有(자허오유) 子:아들 자, 虛:빌 허, 烏:까마귀 오, 有:있을 유. 있지도 않은 일. -사마상여 자허부-
◆ 自見者不明(자현자불명) 자신을 세상에 과시하는 사람은 도리어 그 재능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다. -노자. 이십사장-
◆ 字挾風霜(자협풍상) 字:글자 자, 挾:낄 협, 風:바람 풍, 霜:서리 상. 삼엄(森嚴)한 문장. -서경잡기-
◆ 紫荊花(자형화) 紫:자주빛 자, 荊:광대싸리 형, 花:꽃 화. 박태기 나무의 꽃이라는 뜻으로, 형제가 화기애애하게 지내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형제가 협심하여 잘 산다는 뜻으로 쓰인다. -속제해기-
◆ 自畵自讚(자화자찬) 自:스스로 자, 畵:그림 화, 讚:기릴 찬. 자가가 그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함. 전(轉)하여 제 일을 제 스스로 자랑함, 자기가 그림을 그린다면 그 찬(讚:칭찬)은 타인에게서 써 받는 것이 에티켓 인데도 그것까지 스스로 써버리는 것.
◆ 雀角鼠牙之爭(작각서아지쟁) 雀:참새 작, 角:뿔 각, 鼠:쥐 서, 牙:어금니 아, 之:갈 지, 爭:다툴 쟁. 송사(訟事)의 비유, 다툼을 호소하는 것. 참새에게 뿔이 있으니까 지붕에 구멍을 뚫고 쥐에게 어금니가 있으니까 벽에 구멍을 뚫는다는 구실을 붙여 송사를 일으키는 것, 원래는 사랑의 수법을 노래한 것으로, 남자가 여자에게 마음을 두고 그 사실을 호소함으로서 공식적으로 두 사람의 관계를 인식시키려고 한 것이다. -시경-
◆ 作法自斃(작법자폐) 제가 만든 법에 제가 걸려 죽는다는 뜻으로, 제가 놓은 덫에 제가 치인다는 속담과 비슷하다. -사기-
◆ 昨非今是(작비금시) 昨:어제 작, 非:아닐 비, 今:이제 금, 是:바를 시. 작일(昨日)은 비(非), 금일(今日)은 시(是)의 뜻, 전에는 그르다고 생각한 것이 이제는 옳다고 생각하게 됨. =작고금비.
◆ 作舍道傍(작사도방) 作:지을 작, 舍:집 사, 道:길 도, 傍:곁 방. 길가에 집을 짓는데 오고가는 사람들의 의견이 서로 달라서 주인의 마음이 흔들려 쉽게 집을 짓지 못한다 함이니 무슨 일에 의견이 많아서 얼른 결정치 못함을 뜻하는 말.
◆ 作舍道傍三年不成(작사도방삼년불성) 집을 길가에 짓게 되면 지나는 사람마다 참견을 해서 3년이 지나도 이루지 못한다는 말이니 무슨 일을 해 나감에 있어 간섭하는 사람이 많아 도리어 일을 이루어 내지 못함을 이름. -송남집식-
◆ 作事必謀始出言必顧行(작사필모시출언필고행) 作:지을 작, 事:일 사, 必:반드시 필, 謨:꾀 모, 始;비로소 시, 出:날 출, 言:말씀 언, 顧;돌아볼 고, 行:다닐 행, 일을 꾸밀 때는 반드시 미리 계획을 짜야 하고, 말을 할 때는 먼저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무슨 일이나 말이든 한번 시작하고 내밷으면 다시 그것을 수습하고 싶어도 못하는 법이다. 때문에 시작할 때 과정과 결과까지도 염두에 두고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다. -소학 가언편 장사숙의 좌우명-
◆ 作善降之百祥(작선강지백상) 作:지을 작, 善:착할 선, 降:내릴 강, 之:갈 지, 百:일백 백, 祥:상서로울 상 사람이 착한 일을 하면 하늘은 복되게 해 준다는 것. -서경-
◆ 鵲巢大理庭(작소대리정) 鵲:까치 작, 巢:새집 소, 大:큰 대, 理:다스릴 리, 庭:뜰 정. 대리는 사법(司法)을 관장하는 관청을 말한다. 태평한 세상에는 형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옥(獄)에도 까치가 집을 지을 정도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이 평화롭고 죄인이 없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당서-
◆ 鵲巢知風之所起(작소지풍지소기) 鵲:까치 작, 巢:새집 소, 知:알 지, 風:바람 풍, 之:갈 지, 所:바 소, 起:일어날 기. 까치집을 보고 바람이 있을 것을 안다는 것, 집을 낮게 지으면 바람이 일고 높게 지으면 바람이 없다 함. -준남자-
◆ 勺水不入(작수불입) 물 한 모금도 마시지 못한다는 뜻으로, 음식(飮食)을 전혀 먹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
◆ 酌水成禮(작수성례) 酌:따를 작, 水:물 수, 成:이룰 성, 禮:예절 례. 물만 떠 놓고 혼례를 지냄, 가난한 집의 혼례를 가리키는 말.
◆ 作心三日(작심삼일) 作지을 작, 心:마음 심, 三:석 삼. 日:날 일. 한 번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못간다. 결심한 일이 오래가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맹자 등문공장구 하편-
◆ 雀躍(작약) 雀:참새 작, 躍:뛸 약. 참새가 뛰듯이 대단히 기뻐함. -장자-
◆ 勺藥之贈(작약지증) 남녀간에 향기로운 함박꽃을 보내 정을 더욱 두텁게 함을 이름. -시경-
◆ 作義兄弟(작의형제) ①의리(義理)로써 형제(兄弟) 관계(關係)를 맺음 ②또는, 그 형제(兄弟). 결의(結義) 형제(兄弟).
◆ 灼灼園中花(작작원중화) 灼:사를 작, 園:동산 원, 中:가운데 중, 花:꽃 화. 동산에 꽃이 작작(灼灼)하게 만발한 것을 이름. -범질(范質)의 시
◆ 綽綽有餘裕(작작유여유) 綽:너그러울 작, 有:있을 유, 餘:남을 여, 裕:넉넉할 유. 일을 당하여 여유가 있고 침착함. 여유가 작작함. -맹자-
◆ 作之不已(작지불이) 作:지을 작, 之:갈 지, 不:아닐 불, 已:이미 이, 끊임없이 힘써 함.
◆ 作之書之(작지서지) 作:지을 작, 之:갈 지, 書:글 서. ①자작자팔(自作自筆). ②자기가 계획하고 제가 실천함을 이르는 말.
◆ 昨醉未醒(작취미성) 昨:어제 작, 醉:술 취할 취, 未:아닐 미, 醒:술깰 성. 어제 마신 술이 아직 깨지 아니함.
◆ 雀學鹳步(작학관보) 참새가 황새걸음을 배운다는 뜻으로, 자기의 역량은 생각지 않고서 억지로 남을 모방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爝火雖微卒能燎野(작화수미졸능요야) 爝:햇불 작, 火:불 화, 雖:비록 수, 微:작을 미, 卒:군사 졸, 能:능할 능, 燎:햇불 요, 野:들 야. 조그만 불일지라도 넓은 광야(廣野)를 태우는 일이 있으므로 조그만 일이라도 신중을 기(期)하여야 한다는 말. -후한서-
◆ 棧豆之戀(잔두지련) 말이 조금 남은 콩을 탐하여 외양간을 떠나지 못한다는 말이니 보잘 것없는 작은 이익을 잊지 못하고 애쓰는 모양을 비유한 말.
◆ 殘杯冷炙(잔배냉적) = 진배냉효 마시다 남은 술과 찬 구이의 뜻으로, 변변치 않은 주안상으로 푸대접을 이르는 말. -안씨가훈-
◆ 殘山剩水(잔산잉수) 殘:잔인할 잔, 山:뫼 산, 剩:남을 잉, 水:물 수. 전란(戰亂)후에 남은 산수(山水), 망국(亡國)의 산수, 중국 남송(南宋)의 원체산수화(院體山水畵)를 평하여 이르는 말. 자연의 일각(一角)을 그리고 암시적인 공간을 크게 묘사하는 특색을 이름.
◆ 殘月曉星(잔월효성) 殘:남을 잔, 月:달 월, 曉:새벽 효, 星:별 성. 새벽녘에 남아 있는 달과 별, 새벽달과 새벽별,
◆ 暫不離側(잠불리측) 暫:잠깐 잠, 不:아닐 불, 離:떠날 리, 側:곁 측. 잠시도 곁에서 떠나지 아니함.
◆ 蠶絲牛毛(잠사우모) 蠶:누에 잠, 絲:실 사, 牛:소 우, 毛:털 모. 누에고치 실과 소털, 곧 일의 가닥이 매우 지저분하고 어수선함의 비유.
◆ 簪銷暗鑠(잠소암삭) 알지 못하는 사이에 쇠가 녹듯이 슬그머니 줄어들어 없어짐.
◆ 蠶食(잠식) 蠶:누에 잠, 食:밥 식. 누에가 뽕잎을 먹듯 한쪽에서 점점 먹어 들어감, 타국의 영토나 남의 재산 등을 차츰 침략해 들어감. -사기-
◆ 潛龍勿用(잠용물용) 아무리 천하를 통일할 역량과 포부를 간직한 영웅이라도 아직은 시기가 아니므로 가만히 숨어 있고 나오지 말라는 뜻. -역경 건괘초효, 효사-
◆ 簪筆(잠필) 簪:비녀 잠, 筆:붓 필. 일이 있을 때 쓰기 위하여 붓을 머리에 꽂고 홀(笏)이나 독(牘)을 몸에 지니고 다녔다는 데서 온 말로 붓을 지니고 다님.
♠ 長杠大筆(장강대필) 長;긴 장, 杠;외나무 다리 강, 大:큰 대, 筆:붓 필. 문장이 씩씩하여 힘있고 웅대한 글을 가리켜 이르는 말.
♠ 長江天塹(장강천참) 長:긴 장, 江:큰 내 강, 天:하늘 천, 塹:구덩이 참. 천년의 험한 요쇄(要塞)를 이름. -남사-
◆ 長劔期乎斷不期乎鏌鎁(장검기호단불기호막야) 長:긴 장, 劔:칼 검, 期:기약할 기. 乎:어조사 호, 斷:끊을 단, 不:아닐 불, 鏌:칼 이름 막, 鎁:칼 이름 야. 장검의 용도(用途)는 물건을 자르 는 데 있을 따름이지 반드시 막야(鏌鎁)와 같은 명검(名劔)이라야 할 필요는 없음. -여시춘추-
◆ 長頸烏喙(장경오훼) 환난은 같이 할 수 있으나 안락은 같이 누릴 수 없는 사람. -사기 월세가-
長頸烏喙(장경오훼) 길다란 목에 까마귀 부리 같이 뾰족한 입이라는 뜻으로, 관상에서, 목이 길고 입이 뾰족한 상(相)을 이르는 말.
◆ 將計就計(장계취계) 상대편의 계략을 미리 알고 오히려 그것을 역이용하는 계책. -삼국지연의-
◆ 將功贖罪(장공속죄) 將:장수 장, 功:공 공, 贖:속죄할 속, 罪:허물 죄. 죄를 지은 사람이 공을 세워 속죄함.
◆ 長廣舌(장광설) 뛰어난 변설(辯舌)을 말한다. -소식 시. 중동림총장로-
◆ 臧谷亡羊(장곡망양) 臧:착할 장, 谷:골 곡, 亡:망할 망, 羊:양 양, 동기는 어떻든 그 효과는 다 같이 나쁘다는 뜻으로 맡은 바 일을 등한히 해서 다같이 손실을 빚어냈다는 말로 쓰인다. -장자 병무편-
◆ 長驅大進(장구대진) 長:긴 장, 驅:몰 구, 大:큰 대, 進:나아갈 진. 멀리 몰아서 우쩍 나아감.
◆ 章句小儒(장구소유) 유학(儒學)의 대의(大義)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문장(文章)의 어구(語句)에만 집착하는 속유(俗儒) -한서-
◆ 長久之計(장구지계) 長:긴 장, 久:오랠 구, 之:갈 지, 計:셈할 계. 어떤 일이 오래 계속될 것을 도모하는 계책.
◆ 長短相較(장단상교) 길고 짧음은 상대적(相對的) 관계(關係)에서 비교(比較)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長短說(장단설) 때와 경우에 따라서 교묘하게 변설을 늘어놓는 것. -사기, 전담열전-
◆ 葬陶家側(장도가측) 葬:장사 장, 陶:질그릇 도, 家:집 가, 側:곁 측. 오(吳)나라의 애주가(愛酒家)인 정천평(鄭天平)이 임종 때 유언하기를 질그릇 굽는 사람의 집옆에다 묻어달라고 한 일, 후에 질그릇 굽는 사람이 무덤의 흙을 파서 술병을 만들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삼국오지 손권전-
◆ 將東隱士(장동은사) 將:장수 장, 東:동녘 동, 隱:숨을 은, 士:선비 사. 봉맹(逢萌)의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벼슬을 하지 않는 숨은 선비를 이름. -후한서-
◆ 杖頭百錢(장두백전) 杖:지팡이 장, 頭:머리 두, 百:일백 백, 錢:돈 전. 진(晉)나라 원수(阮脩)의 고사(故事),항상 돈 100냥을 장주(杖頭)에 걸었다는 말. -진서-
◆ 腸肚相連(장두상련) 腸:창자 장, 肚:배 두, 相:서로 상, 連:잇닿을 련. 창자가 잇따라 있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들끼리 무엇을 궁리하거나, 또는 생각하거나 하는 것이 아주 같아 배짱이 서로 맞음을 뜻함.
◆ 藏頭隱尾(장두은미)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확실(確實)히 밝히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長立待令(장립대령) 長:긴 장, 立:설 립, 待:기다릴 대, 令:하여금 령. 오래 서서 분부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에 날마다 문안을 하여 어떠한 이익을 얻고자 아첨하는 사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 藏頭隱尾(장두은미)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데에서, 사실을 똑똑히 밝히지 아니함.
◆ 張脈憤興(장맥분흥) 張:베풀 장, 脈:맥 맥, 憤:분할 분, 興:일어날 흥. 사람이 분격(憤激)하면 혈맥(血脈)은 장동(張動)하여 외형(外形)은 강형(疆形)이나 속은 건갈(乾竭)함을 이름. -좌씨전-
◆ 牆面而立(장면이립) 牆:담 장, 面:낯 면, 而:말이을 이, 立:설 립. 담장을 앞에 두고 서 있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하는 것, 전(轉)하여 무학자(無學者), 무식자(無識者)의 비유. -논어-
◆ 長目飛耳(장목비이) 長:긴 장, 目:눈 목, 飛:날 비, 耳:귀 이, 긴 눈과 날아다니는 귀라는 뜻으로, ①옛일이나 먼 곳의 일을 앉은 채로 보고들을 수 있는 눈이나 귀, 곧 서적(書籍)을 이름 ②사물(事物)을 날카롭게 관찰(觀察)하고 널리 정보(情報)를 모아 잘 알고 있음을 이르는 말.
◆ 長木之斃無不標(장목지폐무불표) 長:긴 장, 木:나무 목, 之:갈 지, 斃:넘어질 폐, 無:없을 무, 不:아닐 불, 標:표할 표. 긴 나무가 넘어질 때 근처에 있는 것을 모두 쳐부수듯이 큰 나라가 멸망할 때에는 함부로 딴 나라를 침을 이름. -좌전-
◆ 裝聾作啞(장롱작아) 裝:꾸밀 장, 聾;귀머거리 롱, 作;지을 작, 啞:벙어리 아. 중국에서 쓰이는 속담으로, 귀먹은 귀머리인 척하고, 말 못하는 벙어리인 척한다는 뜻이다. 아무것도 듣지도 못하고, 말하지도 못한다는 말이다.
◆ 將伯之助(장백지조) 將:장수 장, 伯:맏 백, 之:갈 지, 助:도울 조. 타인의 도움을 얻음을 이름. -시경-
◆ 墻壁無依(장벽무의) 墻:담장 장, 壁:바람벽 벽, 無:없을 무, 依:의지할 의. 의지할 곳이 없음.
◆ 丈夫非無淚不灑離別間(장부비무루불쇄리별간) 丈:어른 장, 夫:사내 부, 非:아닐 비, 無:없을 무, 淚:눈물 루, 不:아닐 불, 離:떠날 리, 別:다를 별, 間:사이 간. 남자의 눈에 눈물이 없는 것은 아니나 이별(離別) 등 사사(私事)로운 일 때문에는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는 뜻. -육구몽(陸龜蒙)의 시-
◆ 丈夫爲志窮當益堅(장부위지궁당익견) 丈:어른 장, 夫:사내 부, 爲:할 위, 志:뜻 지, 窮:다할 궁, 當:마땅할 당, 益:더할 익, 堅:굳을 견. 대장부(大丈夫)다운 사람은 일단 뜻을 세우면 궁(窮)할수록 더욱 견고(堅固)히 해야 한다는 뜻. -후한서-
◆ 丈夫一言重千金(장부일언중천금) 장부가 한 말은 천금의 무게가 있다는 말이니, 곧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때 나무라는 말. =장부일언천년불개(丈夫一言千年不改)
◆ 丈夫一言千年不改(장부일언천년불개) 丈:어른 장, 夫:사내 부, 一:한 일, 言:말씀 언, 千:일천 천, 年:해 년, 不:아닐 불, 改:고칠 개. 남자가 한번 말한 것은 천년이 가도 변하지 않는다 함이니, 언약(言約)을 중히 여기고 절대로 어기지 않을 때 이름.
◆ 張飛軍令(장비군령) 張:베풀 장, 飛:날 비, 軍:군사 군, 令:하여금 령. 졸지에 썩 급히 서두르는 명령이나일을 이름. 잠비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이름난 장수.
◆ 將飛者翼伏將唑者爪縮(장비자익복장서자조축) 將:장수 장, 飛:날 비, 者:사람 자, 翼:날개 익, 伏:엎드릴 복, 唑:씹을 서, 爪:손톱 조, 縮:오그라들 축. 장차 날려는 자는 날개를 갖추고 , 장차 할퀴려는 자는 손톱을 오므린다는 뜻. -설원(說苑)-
◆ 長蛇陣(장사진) 長:긴 장, 蛇:뱀 사, 陣:진칠 진. 썩 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가늘게 서 있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른 말.
◆ 長沙痛哭(장사통곡) = 통곡유체장태식 長:긴 장, 沙:모래 사, 痛:아플 통, 哭:소리 내어 울 곡. 가의(賈誼)가 제후(諸侯)가 강대(强大)하여 제어하기 어려움을 슬퍼하고 탄식한 일, 가의는 장사왕의 태부(太傅)였음.
◆ 長三耳(장삼이) 長:긴 장, 三:석 삼, 耳:귀 이. 노복(奴僕)을 이름, 노복에게는 세 귀가 있는데 양쪽 귀와 듣는 것 자체도 귀라는 뜻에서 나온 말. -공총자-
◆ 張三李四(장삼이사)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이란 뜻으로, ①성명(姓名)이나 신분(身分)이 뚜렷하지 못한 평범(平凡)한 사람들 ②사람에게 성리(性理)가 있음은 아나, 그 모양(模樣)이나 이름을 지어 말할 수 없음의 비유(比喩).
◆ 長相思(장상사) 長:긴 장, 相:서로 상, 思:생각할 사. 오랫동안 서로 그리워 함. -文選古詩-
◆ 將相之材(장상지재) 將:장수 장, 相:서로 상, 之:갈 지, 材:재목 재. 장수나 재상이 될 만한 인재.
◆ 長舌(장설) 長:긴 장, 舌:혀 설. 혀가 긴 것, 곧 말이 많음. -시경-
◆ 長袖善舞多錢善賈(장수선무다전선고) = 장수선무 長:긴 장, 袖:소매 수, 善:착할 선, 舞:춤출 무, 多:많을 다. 錢;돈 전. 賈:장사 고. 긴 소매자락은 춤추기에 좋고 많은 돈은 장사하기에 좋다. 즉 자본이나 밑천이 든든하면 장사하기가 한결 수월해진다는 말이다. 능력과 함께 물질적인 조건마져 갖추어져 있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다는 말도 된다. 우리 속담 "이왕이면 다홍치마"와 뜻이 같다. -한비자 오두편-
◆ 藏修游息(장수유식) 학문을 전심일의(專心一意)로 닦는 것을 이름, 곧 공부할 때는 물론 놀 때도 학문을 닦는 것을 항상 마음에 간직함다는 말. -예기-
◆ 長繩繫日(장승계일) 긴 줄로 해를 붙들어 맨다는 뜻으로, 시간(時間)의 흐름을 매어 멈추게 하려는 것, 즉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이르는 말.
◆ 掌握(장악) 掌:손바닥 장, 握:쥘 악. 손 안에 잡아 쥐었다는 뜻으로 수중(手中)에 있음을 이름. -송서(宋書)-
◆ 長夜(장야) 長:긴 장, 夜:밤 야. ①가을이나 겨울의 기나긴 밤. ②죽어 매장9매장)됨. 뜻이 바뀌어 명토(冥土)를 이름.
◆ 長夜之飮(장야지음) 長:긴 장, 夜:밤 야, 之:갈 지, 飮:마실 음. 날이 새도 창을 가리고 불을 켜놓은채 계속하는 주연(酒宴) -한비자-
◆ 場屋(장옥) 場:마당 장, 屋:집 옥. 시험장(試驗場). -통감(通鑑)-
◆ 長臥不起(장와불기) 長:긴 장, 臥:엎드릴 와, 不:아닐 불, 起:일어날 기. 오래도록 앓아 누워서 일어나지 못함.
◆ 將欲取之必先與之(장욕취지필선여지) 將:장수 장, 欲:바랄 욕, 取:취할 취, 之:갈 지, 必:반드시 필, 先:먼저 선, 與:줄 여, 무엇인가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주어야 한다는 듯이다. -한비자 설림편-
◆ 將欲奪之必固與之(장욕탈지필고여지) 사람의 물건을 빼앗으려면 우선 내 것을 주어 환심을 사야 된다는 뜻. -노자-
◆ 長吁短歎(장우단탄) 長:긴 장,吁:탄식할 우, 短:짧을 단, 歎:탄식할 탄. 긴 한숨과 짧은 탄식이라는 뜻에서 탄식하여 마지않음을 이르는 말. ◆ 牆有耳伏寇在側(장유이복구재측) 담벼락에도 귀가 있고, 숨은 도적은 바로 옆에 있다. 담벼락에 귀가 있다는 말은 사람이 없는 집안에서나 방안에서 한 말이 금방 밖으로 새어 나가게 된다는 뜻이다. 숨은 도적이 옆에 있다는 말은 가장 심복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어떤 복병(伏兵)과 같은 일을 하게 될지 모른다는 뜻이다. 결국 말과 행동을 조심하라는 뜻이다. -관자 군신편-
◆ 長耳目(장이목) 남의 언동을 가장 주의 깊게 보고 들음. -한서-
◆ 壯而不密(장이불밀) 壯:장할 장,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密:빽빽할 밀. 웅장(雄壯)하나 세밀(細密)하지 못함을 이름.
◆ 長者萬燈(장자만등) 長:긴 장, 者:사람 자, 萬:일만 만, 燈:등잔 등. 부자가 신불(神佛)에게 일만의 등을 올리는 반면에 빈여(貧女)는 단 하나의 등을 바치나 그 참듯만 있으면 빈녀의 한 등이 장자의 만 등만 못지 않다는 뜻.
◆ 長者三代(장자삼대) 부자(富者)는 3대(三代)까지 가기 어렵다는 말, 곧 아버지가 고생(苦生)해서 재산(財産)을 만들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 3대인 손자(孫子)는 생활(生活)이 사치(奢侈)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蕩盡)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
◆ 張籍飮杜詩(장적음두시) 張:베풀 장, 籍:서적 적, 飮:마실 음, 杜:막을 두, 詩:시 시. 장적이 두보(杜甫)의 시집을 태워 그 재를 마시고 명시인(名詩人)이 되기를 원한 고사(故事). -운선잡기(雲仙雜記)-
◆ 帳前秋閱(장전추열) 帳:휘장 장, 前:앞 전, 秋:가을 추, 閱:검열할 열. 죄인을 왕의 장전에 꿇리고 친히 국문(鞫問)함.
◆ 杖朝(장조) 杖:지팡이 장, 朝:아침 조. 80세, 여든 살이 되는 노인은 조정에서도 지팡이를 짚고 다닐 수 있으므로 이름. -예기-
◆ 漿酒霍肉(장주곽육) 漿:미음 장, 酒:술 주, 霍:빠를 곽, 肉:고기 육. 고기를 보기를 콩잎같이, 술을 보기를 간장같이 생각한다는 뜻, 곽(霍)은 곽(藿)과 통함, 곽(藿)은 콩잎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음. -한서-
◆ 莊周之夢(장주지몽) 莊:장중할 장, 周:두루 주, 夢:꿈 몽.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깬 후 장자가 나비가 되었는지 나비가 장자가 되었는지 의심하였다는 말로, 자아(自我)와 외물(外物)은 본시 동일하다는 이치를 설명한 것임. -장자-
◆ 場中得失(장중득실) 과장(科場)에서 잘하는 사람도 낙방을 하고 잘 못하는 사람도 급제를 하는 수가 있다는 말이니 무슨 일이나 생각했던 바와 같이 되지 않는다는 뜻.
◆ 掌中寶玉(장중보옥) 掌:손바닥 장, 中:가운데 중, 寶:보배 보, 玉;구슬 옥. 손안에 쥔 보옥, 곧 매우 사랑하는 자식이나 아끼는 물건을 보배롭게 일컫는 말.
◆ 牆之壞也於隙(장지괴야어극) 조그마한 틈이 담장을 무너뜨린다는 뜻으로,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다는 우리 속담과 비슷한 말이다. 즉 작은 일이라도 소홀히 하다가 일이 크게 벌어져 감당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회남자-
◆ 長進之望(장진지망) 長:긴 장, 進:나아갈 진, 之:갈 지, 望:바랄 망. 앞으로 크게 잘 되어갈 희망.
◆ 障盡解脫(장진해탈) 障:막힐 장, 盡:다할 진, 解:풀 해, 脫:벗을 탈. 수행(修行)을 장애하는 모든 번뇌를 끊고 자유로운 경지에 이름.
◆ 臧倉小人(장창소인) 臧:착할 장, 倉:곳집 창, 小:작을 소, 人:사람 인, 남을 헐뜯기 좋아하는 소인배를 일컫는 말이다. -맹자 양혜왕장구 하편-
◆ 長醉不醒(장취불성) 長:긴 장, 醉술 취할 취, 不:아닐 불, 醒:술 깰 성. 노상 술을 계속해서 마시어 깨지 아니함.
◆ 長枕大衾(장침대금) 긴 베개와 큰 이불이라는 뜻으로, 긴 베개와 큰 이불은 함께 누워자기에 편하므로 형제(兄弟) 간(間)에 우애(友愛)가 두터움을 이르는 말.
◆ 長太息(장태식) 長:긴 장, 太:클 태, 息:숨쉴 식. 길게 한숨쉬며 하는 탄식. -잡소(雜騷)-
◆ 長鞭不及馬腹(장편불급마복) 長:긴 장, 鞭:채찍 편, 不:아닐 불, 及:미칠 급, 馬:말 마, 腹:배 복. 긴 채찍으로도 말의 배에는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강대한 세력일지라도 가까운 곳에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의 비유.
◆ 長風破浪(장풍파랑) 멀리 불어 가는 대풍을 타고 끝없는 바다 저쪽으로 배를 달린다는 뜻으로, 대업(大業)을 이룬다는 말.
◆ 杖下之魂(장하지혼) 杖:지팡이 장, 下:아래 하, 之:갈 지, 魂:넋 혼. 장형을 당하고 그 자리에서 죽은 혼.
◆ 長鋏歸來乎(장협귀래호) '장검아 돌아 갈거냐' 란 뜻이다. 유능한 인재가 의외의 박대를 당함. -사기 맹상군전-
◆ 長鋏歸來食無魚(장협귀래식무어) 긴 칼을 차고 돌아와 보니 밥상에는 고기가 없다. 유능한 인재가 의외의 박대를 받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다. -전국책 제책-
◆ 在家(재가) 在:있을 재, 家:집 가. 중이되는 것을 출가(出家)라 하고 중이 안된 사람을 재가라고 함.
◆ 在家戒(재가계) 在:있을 재, 家;집 가, 戒:경계할 계. 삼계(三戒)의 하나.
◆ 在家讀書(재가독서) 在:있을 재, 家:집 가, 讀:읽을 독, 書:글 서. 빆에 나가지 아니하고 집에서 홀로 글을 읽는 일.
◆ 在家無日(재가무일) 在:있을 재, 家:집 가, 無:없을 무, 日:날 일. 분주하게 돌아다니느라고 집에 붙어 있는 날이 없음.
◆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在:있을 재, 家:집 가, 貧:가난할 빈, 亦:또 역, 好:좋을 호. 객지에 있는 사람이 고향을 그리워한 말로 자기집에 있으면 아무리 가난해도 조금도 고통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는 말. -계욱(戒昱)의 시-
◆ 載鬼一車(재귀일거) 載:실을 재,鬼:귀신 귀, 車:수레 거. 귀신이 수레 가득실려 있다는 뜻으로, 무서운 일, 괴이한 일의 비유, 본래는 괴기(怪奇)한 것은 두려움을 품은 자에게만 보이는 법이라는 것으로, 시의심(猜疑心)을 말한다. -역경-
◆ 才氣煥發(재기환발) 사리(事理) 판단(判斷)이 날카롭고 재능(才能)이 빛난다는 뜻으로, 재주와 슬기가 불 일어나듯이 나타남을 이르는 말.
◆ 材大難用(재대난용) 材:재목 재, 大:큰 대, 難:어려울 난, 用:쓸 용. 재목이 커서 쓰이기 곤란하다는 말로, 재사(才士)가 불우(不遇)한 것을 비유한 말. -두보의 시-
◆ 才德兼備(재덕겸비) 才:재주 재, 德:큰 덕, 兼:겸할 겸, 備:갖출 비. 재주와 덕행을 겸하여 다 갖춤.
◆ 在德不在險(재덕부재험) 在:있을 재, 德:큰 덕, 不:아닐 부, 險:험할 험. 덕에 있는 것이지 험준한 데 있는 것은 아니다. 나라의 안전과 국민의 단결은 임금과 통치자들의 덕에 달려 있지 변방의 지리나 요새가 험준하다 해서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이 말은 진정한 안전은 물질적 조건이 아니라 인화단결에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사기 손자오기열전-
◆ 載道之器(재도지기) 도를 싣는 그릇이란 뜻으로, 문학(文學), 또는 시를 정의(定義)하는 말. 문학은 도(道)를 실현(實現)하는 도구(道具).
◆ 再三思之(재삼사지) = 재고삼사(再考三思) 再:두 번 재, 三:석 삼, 思:생각할 사, 之:갈 지. 이리 저리 여러 번 되풀이하여 자주 생각함.
◆ 在三之義(재삼지의) 在:있을 재, 三:석 삼, 之:갈 지, 義:옳을 의. 사람은 군, 사, 부(君師父)의 삼자에 의하여 사는 것이므로 그들의 몸이 있는 곳에서 죽어야 된다는 것을 이름.
◆ 在上不驕高而不危(재상불교고이불위) 在:있을 재, 上:위 상, 不:아닐 불, 驕:교만할 교, 高:높을 고,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危:위태할 위. 임금이 백성의 윗자리에 있으면서 교만하지 않으면 아무리 높은 자리라도 위험하지 않다는 말. -효경-
◆ 在所難免(재소난면) 在:있을 재, 所:바 소, 難:어려울 난, 免:면할 면. 어떤 일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 在色之戒(재색지계) 여색에 대한 강한 경계. -논어-
◆ 才勝薄德(재승박덕) = 재승덕박(才勝德薄) 才:재주 재, 勝:이길 승, 薄:엷을 박, 德:큰 덕. 재주는 있어도 덕이 적음.
◆ 再實之木根必傷(재실지목근필상) 再:두 번 재, 實:열매 실, 之:갈 지, 木:나무 목, 根:뿌리 근, 必:반드시 필, 傷:상처 상. 1년에 두 번 열매를 맺으면 나무뿌리가 상한다는 뜻. -준남자-
◆ 災妖不勝善政(재요불승선정) 災:재앙 재, 妖:요망할 요, 不:아닐 불, 勝:이길 승, 善:착할 선, 政:정사 정. 천재지변의 재난이 선정(善政)을 이기지는 못한다는 것. -공자-
◆ 才有餘識不足(재유여식부족) 才:재주 재, 有:있을 유, 餘:남을 여, 識:알 식, 不:아닐 불, 足:발 족. 재주는 지나치도록 있지만 식견(識見)이 부족한 것. -소식(蘇軾)의 가의론(賈誼論)-
◆ 在有意無意之間(재유의무의지간) 在:있을 재, 有:있을 유, 意:뜻 의, 無:없을 무, 之:갈 지, 間:사이 간. 뜻이 있는 것도 아니고 뜻이 없는 것도 아닌 그 중간. -세설(世說)-
◆ 再認感情(재인감정) 再:두 번 재, 認:인정할 인, 感:느낄 감, 情:뜻 정. 어떤 대상을 보고 앞서 경험한 일이 있다고 느끼는 것, 재인작용에 따라 일어남, 친근감, 숙지감, 기지감(旣知感)이라고도 말함.
◆ 才子佳人(재자가인) 재주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 -한서, 외숙전-
◆ 才占八斗(재점팔두) 才:재주 재, 占:차지할 점, 斗:말 두, 학문이 높고 글재주가 비상한 경우나 그 사람을 일러 하는 말이다.
◆ 在齊太史簡(재제태사간) 在:있을 재, 齊:가지런할. 엄숙할 제, 太:클 태, 史:역사 사, 簡:편지 간. 제(齊)나라의 태사(太史)가 죄(罪)를 두려워하지 않고 직필(直筆)을 한 것을 이름. -문천상(文天祥)의 가(歌)-
◆ 再造之恩(재조지은) 멸망하게 된 것을 도와준 은혜.
◆ 在此一擧(재차일거) 이 한번으로 담판(談判)을 짓는다는 뜻으로, 단 한 번의 거사(擧事)로 흥하거나 망(亡)하거나 끝장을 냄.
◆ 在下者有口無言(재하자뮤구무언) 在:있을 재, 下:아래 하, 者:사람 자, 有:있을 유, 口:입 구, 無:없을 무, 言:말씀 언. 아랫사람은 어른에게 대하여 논쟁하지 못한다는 말.
◆ 才學識三長(재학식삼장) 才:재주 재, 學:배울 학, 識:알 식, 三:석 삼, 長:긴 장. 사학가(史學家)가 되려면 재능과 학식과 식견의 세 가지를 구비해야 함을 이름. - 당서-
◆ 爭先恐後(쟁선공후) 앞서기를 다투고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뜻으로, 격렬(激烈)한 경쟁(競爭)을 비유하는 말.
◆ 爭魚者濡(쟁어자유) 이익을 얻으려고 다투는 사람은 언제나 다툼을 면치 못 한다는 말.
◆ 爭友(쟁우) 爭:다툴 쟁, 友:벗 우. 친구의 잘못을 꾸짖어 충언하는 벗.
◆ 爭長(쟁장) = 爭長競短(쟁장경단) 爭:다툴 쟁, 長:긴 장. ①장유(長幼)의 순서를 다투는 것을 말함. ②장점(長點)과 단점(短點)서로 비교하여 다툼.
◆ 爭鬪(쟁투) 爭:다툴 쟁, 鬪:싸울 투. 완력(腕力)으로 서로 다툼, 서로 심하게 싸움.
다음카페 [손정섭]의 자료를 일부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