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노인이 빙판에서 넘어져 엉치뼈가 부러져 앉은뱅이가 되었는데
그 부위가 3년이 지나도 낫지 않아 염증이 생기고 구더기가
생길 정도 였다.
그 환자에게 날마다
보리죽을 끓여 먹게 하였더니 곪은 부위가 낫고 뼈가 붙어 한달만에 완치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보리에는 염증을 치료하는 힘이 강하다.
보리에는 섬유질과 칼슘이 풍부하여
레슬링 선수들이
인대가 늘어나거나
십자인대가 터지면, 보리죽을 먹으면 잘 낫는다고 한다.
자궁 근육이 약해 유산하는 산모도
보리밥을 즐겨먹으면 근육이 강해져
유산하지 않고,
루게릭과 같은 근육 무력증도 보리밥을 먹으면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요즘 디스크, 척추협착증, 관절염과
같은 뼈나 근육의 병이 많은데 섬유질이
적은 부드러운 음식을 먹기 때문이다.
필자가 척추 협착증으로
고생할 때 우연히 알게된 것이 바로
보리밥이었다.
이런 고질적인
병이라도 보리밥을 상식하면 뼈와 근육이 강해져 쉽게 나을 수 있다.
보리죽은
신종플루, 유행성 감기, 독감, 천연두에도 좋은
예방약인 동시에
치료약이었다.
옛날에 마마가 유행하면 쌀밥 고깃국을 먹는 왕족들 이나 귀족들을 싹 쓸어 버렸지만, 보리밥에 시래기국을 먹는 서민들은 비켜갔던 것이다.
1917년 조류독감으로
죽어갈 때, 가마솥에 보리죽을 끓여서 퍼주면서 먹게 하였더니 다 나았다고 한다.
그만큼 보리의 성질은 따뜻하고, 체질을 개선하고, 면역력이 탁월하다.
의서에 보면 보리의 성질이 차다고 했는데 이는 보리가 염증을
제거하는 항염작용 때문에 해열이 된 것이지 냉해서가 절대로 아니다.
보리는 전라도의 부드러운 찰보리보다 경상도에서 많이 재배하는 거칠고 굵은 늘보리가 좋다.
보리의 미네랄과
섬유소를 제대로 흡수하려면 푹 퍼진 보리밥이거나 그걸 한번 더 끓인 보리죽이어야 한다.
보리를 물에 불렸다가 푹 쪄서 소쿠리에 담아 김을 빼어 독을 날려버린 후, 다시 물을 부어 밥을 해야 한다.
보리밥을 먹으면,
속이 부글거리면서 소화가 안 된다면 밥을 퍼지게 짓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걸 모르고
아내에게 제발 보리 혼식하지 말라고 했는데, 알고보니 그게 아니었다.
이렇게 소화가 잘
되는 걸 말이다.
식감을 위해 보리에
쌀이나 잡곡을 조금 넣어도 된다.
보리죽을 끓일 때는
이렇게 지은 보리밥에다 물을 부어,
오랫동안 끓여서 보리 알맹이가 6배 정도로 퍼져서 섬유소가 녹아나야 우리몸에
제대로 흡수 된다.
그래서 환자들은
보리밥도 좋지만 흡수율을 위해 반드시
보리죽을 끓여 먹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리 튀밥은
섬유소를 파괴하는 것이기에 그리 효과가 없다고 한다.
절에서 식사준비
하는 걸 보면 씹지 못하는 노인들이 있는데, 음식에 대한 고정관념 때문에, 그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음식은 옛날 그대로라
무김치는 손도 못 대보고 다른 건 우물우물해서 삼키거나, 밥하고 국만 먹는 노인들도 있다.
이젠 노령화 시대에
음식문화도 달라져야 한다.
한 주간 먹을 김치나
멸치 같은 밑반찬도 대략 믹서해서 담아놓고 과일도 그때 그때 그렇게 해야 한다.
콩나물국을 믹서해도
맛은 그대로 이다.
이를 인식시켜 섬유질이
풍부한 보리와 잡곡죽에 분쇄한 반찬까지 먹게 해야 한다.
그래서 근육이 약해져
몸이 내려앉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
너나 할 것 없이
나이가 들면 몸에 기둥인 뼈에 문제가 생긴다.
특히 골다공증이
찾아오는 여성분들은 절대 관심을 갖으시고 보리밥을 선호하시기 바란다.
☆입맛 없을 때
큰 그릇에 열무김치와 고추장을 척! 올리고
참기름 듬뿍 넣고 척척 비벼서 한번 먹어보면
맛이 참 좋을 것이며
나이를 먹을 수록 보리밥이 보약이다.
♡
● 보리를 먹으면 나타나는 놀라운 효능 10가지
1. 변비예방
2. 혈관건강
3. 당뇨예방
4. 노화예방
5. 항암효과
6. 면역력강화
7. 골다공증예방
8. 빈혈예방
9. 피로해소
10. 다이어트
♧쌀과 보리의 궁합♧
쌀은 여성(女性)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보리는 남성(男性)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벼에는~수염이 없으나
보리에는~수염이 있다.
그리고
쌀밥은 부드럽고 감미로워서 먹기가 좋으나,
보리밥은 거칠고 쌀밥처럼 달콤하지 않다.
조물주의 섭리는 참으로 오묘해서
"물과 불"은 서로 상극이면서도 물과 불이 만나지 않고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게 섭리해 놓았다.
女性과 밭은 화성(火性)이며
男性과 논은 수성(水性)인데
남성인 보리"는 "화성(여성)인 밭에서 생육하고
여성인 벼(쌀)는 "수성(남성)인 논에서 생육한다.
남성은 여성의 밭"에서 생존하며
여성은 남성의 논"에서 생존할 수 있음은 재미있는 현상이다.
이는, 곧 남녀 간에 서로 다른 이성이 없이는 "정상적인 삶을 영위" 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여성인 벼(쌀)는 어릴 때부터 생장한 묘판에 그대로 두면 벼 구실을 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남성의 집인 논으로 옮겨 심어야하고
남성인 보리는 싹이 난 바로 그 자리에서 옮기지 않고 계속 살아가게 된다.
이들 생태는
여성은 시집을 가서 살아야 정상적인 여자구실을 할 수 있고, 남성은 성장한 자기 집에서 살아가는 것이 정상임을 일깨워준다.
여성들의 가장 큰 비애(悲哀)가 "시집가는 일" 이라고도 할 수가 있으나 이것은 조물주의 깊은 뜻에 의한 섭리임을 깨달아야 한다.
世上에는 간혹 아들이 없거나, 재물이 많으면 딸자식을 내 집에 두고 사위를 맞아들여 살게 하는 부모들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딸은 여자의 구실을 할 수가 없으며 사위 또한 남자의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벼와 보리는 어릴 때는 꼭 같이 고개를 숙이지 않으나 익을수록 벼(여자)는 고개를 숙이지만 보리(남자)는 익어도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그래서,
보리의 성(性)을 지닌 남성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아내에게 고개를 쉬 숙이지 않는 천성이 있지만,
여성은 나이가 들고 교양이 있어 속이 찬
여인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는 미덕(美德)을 갖게 되며 이런 여성을 품성을 갖춘 여인을 현모양처 (賢母良妻)라 할 수 있다.
이렇듯
女性인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 나이든 여성들은 남성들의 천성(天性)을 체험을 통해 이해하게 되므로 머리를 숙이듯이 이해하고 참아준다.
女人의 그런 품성 덕분에 가정(家庭)에 평화(平和)가 있고, 변함없는 부부(夫婦)의 애정(愛情)을 지킬 수가 있다.
시간이 지나도 꼿꼿하게 고개를 숙이지 않고 서 있는 벼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한 쭉정이 듯이 숙일 줄 모르는 여인 또한 속이 차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화(家和)의 바탕은 아내에게 달려 있다 남편을 굴복시키려는 생각이나 맞서려는 생각보다는,
익은 벼가 머리를 숙이듯이 져주면서 미소(微笑)와“애교 (愛嬌)라는 부드러운 무기를 사용한다면 아내에게 굴복하지 않을 남편은 아마도 세상에 없을 것이다.
첫댓글
여여하세요
호국영령들의 넋을 기리며
보리밥
많이 먹어야
겠네요
좋은글 잘보고
다녀 갑니다
네네
보리는 원래부터
좋은 잡곡이라
지금도 건강식으로
많이 애용하죠
특히 당뇨나 그런경우
죽처럼 종종 드시면
좋을것같아요
아프지 마시고
항상
좋은정보 글
잘보고갑니다
감사드립니다 태양님
추천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이뻐요
보리밥
자주 먹어야겠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드리고 갑니다
보리쌀 사야겠어요 . 감사 합니다.
네네
마스터님
보리 좋아요
꼭 혼식하시고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