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번이였던거 같네요.. 전 맞은듯.;;; 수리 추리에서 여섯문제씩 찍은거 같은데.;; 그래서 한참 우울했는데 상식에서는 의외로 찍은게 많이 맞은거 같아서.ㅡㅜ 아.. 정말 어느분 말씀따나 보름동안 삼성맨이 될수 있겠다 라는 생각에 행복했는데.ㅡㅜ 어제 이후로 완전 좌절.ㅡㅜ
합성어인 glocalization은 global에 local을 접목시킨 것입니다. 몇몇 분들 말씀을 보면 둘 중 하나만 생각해서 localization이라고 말씀하시는데 맥도날드의 장점에 필리핀인 입맛에 맛는 재료와 미트볼을 더한 것 아닙니까. 그래서 저는 glocalization이라고 봅니다.
전 로컬이라했지만, 글로컬이 정답이라면 그만한 이유가 있겠죠~ 회계,재무부분을 주로 공부하고 국제경영수업은 한번도 들은적이 없어 제가 잘 모르는 다른 이유가...;; 이번일로 glocalization이라는 용어 알게됬네요ㅋㅋ근데 우리나라에도 졸리비있어요? 왜 못본거같징.. 한 가봐야겠네요 ㅋㅋ
첫댓글 에잇..ㅡㅡ;
이런씨
에잇 맞은거 하나도 없네
그럼 1번이란 얘기입니까? 뭐라고 썼었더라 ㅋㅋ
짱나게 가는데 마다 왜 다 지들이 맞다고 그러지ㅡㅡ; 글로컬인지 로컬인지 아직도 모르겟네 젠장
이런거 맞춰봐서 머하게여? 이런거 머 하면 틀린답이 바뀝니까.. 초딩들 시험치고 답맞춰보는거도 아니고.
저도 정확한 답이 glocalization 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지금 유력시되고 있는 보기인 localization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말입니다~
신입사원 강호에게 일어났던 기적이 내게도 일어나기를 바랄뿐 츄루룩 ㅠㅠ
사람들 거의다 틀렷으면 상관없는거 아닌가?
네이버에 보니까 이렇네요. ㅡ.ㅡ;; glo·cal〔〕〔global+local〕 a. 《구어》 【경제】 (사업·거래 등에서) 범세계적이면서 현지[지역]실정도 고려하는 glocal·ize v. glocal·i·z·tion n.
그 회사는 '죨리비' 입니다. 죨리비 햄버거 되게 맛있는데 ㅋㅋㅋ
기런데 죨리비 회사가 다른 나라에 지점도 만들고 그랬나요? 자국 내에서만 사업을 하는 것이면 글로컬은 해당 안되는 것 같은데요.
자국내 기업이 현지화 했다는 건 억측인데..자국내 기업은 현지화가 필요없지요..
1 번이였던거 같네요.. 전 맞은듯.;;; 수리 추리에서 여섯문제씩 찍은거 같은데.;; 그래서 한참 우울했는데 상식에서는 의외로 찍은게 많이 맞은거 같아서.ㅡㅜ 아.. 정말 어느분 말씀따나 보름동안 삼성맨이 될수 있겠다 라는 생각에 행복했는데.ㅡㅜ 어제 이후로 완전 좌절.ㅡㅜ
합성어인 glocalization은 global에 local을 접목시킨 것입니다. 몇몇 분들 말씀을 보면 둘 중 하나만 생각해서 localization이라고 말씀하시는데 맥도날드의 장점에 필리핀인 입맛에 맛는 재료와 미트볼을 더한 것 아닙니까. 그래서 저는 glocalization이라고 봅니다.
얼레..글로컬리제이션이 있었단 말입니까? 흐미..너무 급하게 보느라...못보구 로컬리제이션이라했는뎅...그러면 글로컬리제이션이 맞는것 같습니다..ㅜ.ㅜ
젠장! 몇초 동안 열라 생각했는데... 짧았네... 그냥. 지역성이라고 해석해서 그게 더 직접적이라.. 하여간 상식 짱나네요. 눈물이 점점 앞을 가리네..
아...맞는게 없네...ㅡ.ㅡ 미치겠다....ㅜ.ㅜ 진짜 눈물나네요...
저 위에 블로그 기사 끝까지 잘읽어 보시면 로컬라이 제이션이 맞아요.
글로컬리제이션이란 단어..마케팅 전략기획 실무진들에서 꽤 자주 쓰는 용어입니다....
헉 죨리비를 아는사람이 있다니~~~
전 글로컬라이제이션을 글로벌라이제이션이라고 보고 엉? 뭐지? 이러면서 고심끝에 로컬라이제이션을 찍었다고요오 ㅠ.ㅠ 눈이 미쳤었나봐 ㅠ.ㅠ
저 장담하는데 glocalization입니다. 경영학과 수업 중 국제경영론 수업 들을 때 이 내용에 대해 배운 적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지역적인 특성을 잘 활용해 사업무대를 성공적으로 확장한 만큼, 이 경우에는 Localization이란 표현이 더 적절할 지도 모르겠다.
블로그 기사 잘읽어 보세요.
전 로컬이라했지만, 글로컬이 정답이라면 그만한 이유가 있겠죠~ 회계,재무부분을 주로 공부하고 국제경영수업은 한번도 들은적이 없어 제가 잘 모르는 다른 이유가...;; 이번일로 glocalization이라는 용어 알게됬네요ㅋㅋ근데 우리나라에도 졸리비있어요? 왜 못본거같징.. 한 가봐야겠네요 ㅋㅋ
저두 필핀갔을때 졸리비 먹어봤는데..ㅋㅋ점보버거 맛나여~~~~ㅎㅎ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아니구 글로컬라이제이션이었어요??? 전 지금에서야 알았네요~~빨리 풀어야한다는 생각에 문제도 제대로 안 읽고...에궁...절망의 연속임다~~~
localization이 답입니다... 국제경영시간에 자주 등장하는 예입니다.... 우리나라 맥도널드도 처음에는 glocalization화하여 접근했다가 롯데리아에 된통 당했죠?? 김치버그.. 롯데리아 한국정서를 소구했는것이 먹힌거죠.. 그러고나서 맥도널드도 한복입고 광고를 했답니다..
그리고 맥도널드가 무슨 필리핀 토종기업입니까??? 저 필리핀 바기오에 6개월 살다 왔는데.. 맥도널드 세트메뉴 26페소(약500원)해서 두개나 먹다가 체한적있습니다..3년전이었는데 완전 미국방식과 똑같더라구요....
참고로 죨리비는 중국 화교들이 만든 회사입니다... 무섭죠... 화교들.. 상권장악력...
윗분... 지문 제대로 상기하시고 또... 용어에 대한 개념도 제대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