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2.5 육묘산업 꾸준한 성장, 1,989억 원 판매(2018년 대비 21.9% 증가)
https://www.mafra.go.kr/mafra/2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QxOTY0NyUyRmFydGNsVmlldy5kbyUzRg%3D%3D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종자산업법 제4조(통계 작성 및 실태조사) 및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에 따라 실시하는 종자산업 현황조사인 「2021년 육묘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종자산업 현황조사: 종자업실태조사와 육묘업실태조사로 나누어 격년으로 시행
이번 「육묘업 실태조사」는 종자산업법 개정('17.12월 시행)으로 육묘업 등록이 법제화된 이후 2018년 기준 통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조사이다.
본 조사는 '21년 말까지 육묘업을 등록한 2,332개 업체 가운데 실제 영업 중인 1,472개 업체(폐업, 휴업, 복수 등록 등 제외) 중 통계에 응답한 1,431개 업체(응답률 97.2%)의 응답 결과이다.
2021년 육묘업실태조사 결과(요약)는 아래와 같다.
□ (산업 규모) 육묘업체의 판매액은 1,989억 원(공공기관 판매액 526억 원을 포함할 경우 총 2,515억 원)으로 2018년(1,632억 원) 대비 21.9% 증가
○ 육묘 판매액(전체 1,989억 원) 중 국내 판매액은 1,978억 원(99.4%), 해외 수출은 11억 원(0.6%)으로 육묘 판매는 거의 대부분 내수에 의존
○ 육묘 이외 판매액(농산물 판매) 등을 합한 업체의 총판매액은 3,398억 원으로 2018년 2,575억 원 대비 32.0% 증가
□ (산업구성) 1,431개 업체 중 육묘 판매액 1억 5천만 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1,171개(81.8%)를 차지하는 영세한 산업 구조
○ 중소규모(1억 5천만~4억 원 미만)는 148개 업체(10.4%), 중규모(4억~9억 원 미만)는 72개 업체(5.0%), 대규모(9억 원 이상)는 40개(2.8%) 업체
□ (품목군별 판매액) 2021년 육묘 판매액은 모든 품목군에서 2018년보다 증가하였으며, 품목별 판매 규모는 채소, 식량, 화훼 묘 순으로 조사
○ 육묘 판매액 1,989억 원 중 채소 묘가 78.6%인 1,564억 원(2018년 대비 17.2% 증가)으로 나타나 육묘업체의 주력품목군인 것으로 파악
○ 식량작물 묘는 286억 원으로 14.4%(2018년 대비 11.3% 증가), 화훼 묘는 5.7%인 114억 원(2018년 대비 171.4% 증가)이며, 특용·사료 등 기타 묘의 경우 25억 원으로 1.3%(2021년 신규)
□ (판매처) 육묘업체의 주요 판매처는 재배 농가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농약상/종묘상, 일반소비자, 묘 도매상 등의 순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수출은 극히 일부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
○ 육묘업체 판매처별 비중은 재배 농가가 64.1%(2018년 61.6%), 농약상/종묘상 10.8%(2018년 13.4%), 일반소비자 8.5%(2018년 12.0%), 묘 도매상 7.7%(2018년 4.0%), 농협 4.3%(2018년 3.1%)를 차지
* 묘 수출대상국은 (’18년) 3개국(네덜란드, 미국, 일본)에서 (’21년) 7개국(네덜란드, 미국, 일본, 대만, 캐나다, 멕시코, 중국)으로 4개국 확대되었으나, 판매 비중은 0.1%에 불과
□ (종사자 수) 2021년 육묘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7,437명으로 2018년 5,287명보다 40.7% 증가하여 농업 분야 일자리 창출에 일부 기여
○ 전체 종사자 가운데 상용직이 1,538명(20.7%), 임시/일용직 3,447명(46.3%), 자영업자 1,172명(15.8%), 무급가족종사자 1,179명(15.9%), 기타 종사자는 101명(1.3%)이며, 이는 2018년 종사상 지위별 비중과 비슷한 수준
□ (육묘 전문인력) 육묘업체의 묘 생산 및 품질관리 전문인력 증가로 업체의 전문성은 향상되었으나 인력의 고령화는 증가
○ 육묘업체의 묘 생산 및 품질관리 전문인력은 3,504명으로 2018년 대비(2,224명) 57.6% 증가하였으나, 60세 이상 전문인력의 비중은 44.1%로 2018년 대비(36.0%) 8.1% 상승
* 육묘인력 경력·연령·교육 정도: (경력) 15년 이상 41.5%('18년 36.7%), (연령) 60세 이상 44.1%('18년 36.0%), (교육 정도) 대학교 졸업 이상 25.8%('18년 21.1%)
□ (정부 지원) 육묘업체의 정부 지원 희망 분야는 육묘장 시설 개보수 비용 지원이 40.4%로 가장 높은 비중 점유
○ 다음이 운영자금 지원 24.6%, 육묘 자동화 설비 개발 및 보급 지원 18.3%, 육묘 관련 전문인력 육성 및 수급 지원 3.5% 등의 순
조경규 국립종자원 종자산업지원과장은 “이번 2차 육묘업 실태조사가 국내 육묘 산업의 현재를 조명하고, 향후 정책 지원 및 육묘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각 분야에서 활용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육묘업 실태조사의 세부 결과는 국립종자원 누리집(www.seed.go.kr) 및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2023년에 추진할「종자산업 현황조사」에서도 산·학·연 등 수요자의 조사 요구를 반영한 통계개선 등의 적극행정을 통해 현장 활용도 높은 통계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붙임 종자산업 현황조사(육묘업 실태조사)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