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명 wheezing
- 정의
-
천명은 이상 폐청진음 중 하나로, 숨을 쉴 때 좁아진 기관지를 따라 공기가 통과할 때 들리는 특징적인 호흡음을 뜻한다. 흔히 ‘쌕쌕거리다(high-pitched whistling sound)’라고 표현하며, 주로 들숨 때보다는 날숨 때 발생하는 숨소리로 기관지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천식이 악화되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진 경우에는 오히려 천명이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어 진단 시 주의해야 한다. 협착음 혹은 그렁거림으로 번역되는 ‘stridor’는 천명과 유사하지만 천명에 비해 음역대가 저음역(low-pitched)에 가깝고 들숨과 날숨(주로 들숨 때)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들리며, 이는 고정적인 상부 기관지 폐쇄가 있음을 뜻하는 증상이다.
천명이 있는 환자에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면 특징적인 기도 폐쇄 소견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협착음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 역시 폐기능 검사를 통해 상부 기관지 폐쇄 소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천명이 특징적인 한 부위에서만 들리는 경우에는 기관지 결핵이나 기관지 종양의 증상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때에는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여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관련 신체기관
-
폐(기관지)
-
- 치료
-
천명은 기관지가 좁아져서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기관지를 넓혀주는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흔히 ‘벤토린’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는 속효성 흡입형 기관지 확장제를 특별히 고안된 분무형 기구나 혹은 미세한 증기입자로 만들어주는 네블라이저를 통해 흡입하면 된다. 특히 천식이 급성으로 악화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후에는 환자의 상태 및 증상 호전 여부에 따라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 및 흡입형 스테로이드제제를 천식의 유지요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다른 질환에 의한 천명의 경우도 일차적인 증상 완화를 위해 천식 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치료법을 시도한다.
상부 기관지 폐쇄나 혹은 국소적 천명이 들리는 경우에는 기관지내시경 등을 통하여 병변의 위치를 직접 확인하고 해당하는 질환을 치료하면 된다.
-
- 관련 질병
-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부종, 모세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카르시노이드, 기관 연화증, 기관지 종양, 기관지 결핵 |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