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은행 등에 가서 거스름돈으로 5원,1원짜리 동전을 받게 되면 짜증부터 난다.은행 창구내 마련된 저금통에 넣고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하찮은 5원,1원짜리 동전도 발행 연도를 잘 보고 모아두면 나중에 큰 돈이 될 수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에 도는 5원짜리 동전 규모는 10억 9000만원,1원짜리는 5억 6000만원이다.오래전에 발행이 중단된 500원짜리 이하 지폐 등을 포함하면 150억원에 이르는 돈이 시중에서 제 구실을 못한다.하지만 옛 ‘동전이나 지폐’는 발행 연도 등에 따라 큰 돈이 된다고 한은은 설명한다.
1962년 환에서 원으로 바꾼 화폐개혁 이후 한국조폐공사가 66년도에 발행한 구리로 만든 1원짜리 동전은 고(古)화폐상점 등에서는 7만원에,5원짜리는 9만원에 거래된다.66년 이후 발행된 알루미늄 동전 1원짜리는 현재 6000원,5원짜리는 1만원선에 거래되고 있다.80∼90년도에 발행된 5원,1원짜리 동전은 500∼100원을 호가한다고 한다.
500원짜리 이하의 지폐도 지금 거의 사용은 되지 않지만,수집상 등에서는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다.500원짜리 지폐(93년5월 발행중단,미회수분 107억원),100원(80년12월,18억원),50원(73년10월,1억7000만원),10원(〃,7억3000만원),5원(69년5월,4300만원),1원(70년5월,7000만원),50전(80년12월,300만원),10전(〃,100만원)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발행 규모가 적은 10원짜리 지폐는 무려 160만원,500원짜리는 90만원,50원짜리는 70만원 등으로 거래되고 있다.
한국은행 김두경 발권국장은 “500원짜리 이하 지폐는 모두 발행이 중단됐지만 5원,1원짜리는 부분적으로 발행이 계속되고 있다.”며 “특히 발행 규모가 적은 것일수록 값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이 얘기를 왜하냐하면,
뭐 우리 세대야 500원짜리 화폐를 기억할 것이다. (이순신 장군 그려진 천원짜리 2/3크기의 녹색화폐)
은행에 가보면, 아직도 잠자고 있는 500원권지폐가 많이 있다.
보통 은행 영업점에서 시재(영업점에 있는 총 현금)을 마감할 때, 지폐+주화+손권의 형식으로 계산이 되는데, 이 "손권"에 손상권은 물론 구권 화폐도 같이 계산이 되기 때문.
한국은행에 불입하면 되지만, 얘네가 워낙 까다롭게 받아서 접힌 부분 다 펴고, 찢어진부분은 백지로 붙여 "전액"(3/5이상 있을 때) 및 "반액" 등등의 도장도 찍고 해서 보내야하기 때문에 불입을 잘 안한다...-_-;;
그 당시에 500원권 한 다발(5만원)을 내돈 내고 사서, 화폐수집상에 팔았으면...무려 9천만원!!! 쿨럭. 뭐 그렇게까진 안되더라도.... 암튼 돈이 돈을 버는구나!!!
첫댓글 1원, 5원짜리 동전도 소장해두면 언젠가 큰 돈이 될지도 모르겠어요. 근데 아무래도 제가 백발(혹은 대머리)히끗할 노년기때나 가능할지도...
울집에 1원짜리 1000개 있는데...걍 나둬야지..므흣~
울집에 엄마가 모아놓은 100원짜리 지폐 본 적 있는데 어딨는지...
울집엔 요즘 신식 지폐돈도 흔치 않은데..
정말 위 기사내용의 시세가 맞나여? 누구 아는 분 말씀좀 해주세요... 제가 10원자리 백원짜리 오백원짜리등 지폐가 다수있걸랑요...011-9872-7002
제가 회현에 고화폐 상점 돌아다녀봤는데요. 저 가격에 안산다고 하더군요. ㅡㅡㅋ... 새거여야 한다나?다 합쳐서 1500원이라나? 암튼 이상한 소리만하구 안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