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유불급이다.
민주당 경기도당은 패착을 두려고 하는 것 같다.
교육자치법에 의해 선출된 교육의원은 애당초 비정당 후보로 선거를 치뤘고
그 의도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법은 바로 국회의원들이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미 8개 자치단체의 의회는 교육의원을 교육위원장으로 세웠다.
그런데, 왜 경기도와 서울시 만은 이리 탐욕을 드러내는가?
서울과 경기도 교육의 변화는 우리나라 교육의 변화를 주도할 만큼 규모가 크다.
이 두 곳은 이번 선거에서 무상급식과 혁신학교의 두 축으로 정국을 주도했고 그 한가운데 진보개혁적인 교육의원 후보들이 있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은 선거 중에 무상급식 슬로건을 선택했고 그 만큼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건 아니다.
교육의원을 따로 선출한 근거는 무엇인가?
그것은 교육의 전문성이 전제되는 공직선출이기 때문이다.
교육위원회 구성도 13명 중 7명이 교육의원으로 구성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남은 6명의 도의원 배정이 비율적으로도 교육의원 보다 적은데 왜 굳이 정당 소속의원이 위원장을 맡겠다고 하는가?
혹 고집을 부리는 배경에 도당위원장이나 시당 위원장이 있다면 욕심을 버려라.
민주당을 갈아먹는 짓이다.
더욱이 재보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교육위원회를 교육의원에게 돌려주지 않는다면 선거의 필패가 눈에 보인다.
'이래서 민주당이 욕 먹는다'라는 말이 벌써 돌고 있다.
민주당이 예뻐서 이번 선거에 이긴 것이 아니다.
이명박과 한나라당이 실망에 실망을 더 했기 때문에 반사이익을 얻은 바가 적지 않다.
민주당 중앙당은 교육위원장을 교육의원에게 돌려주기를 거부하는 시도당위원장을 견책하고 문책하라.
그래야 시민들은 민주당의 진정성을 믿을 것이다.
그리고 민주당은 연대의 정신으로 하루 빨리 되돌아 오기를 바란다.
이번 선거가 마지막으로 이긴 선거로 기억되는 사라져 버릴 정당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조폭과 같은 태도를 버리고 진정 교육백년대계를 위해 복무해라.
민주당 광역의원들도 꿀먹은 벙어리처럼 있지 말고 지도부의 잘못된 판단에 저항하라.
그것이 민주당의 매력이었다.
부족한 것이 과한 것 보다 낫다.
상임위원장, 그 중 교육위원장은 교육을 잘 아는 교육의원에게 맡기고 그것에 집착할 시간에 도지사의 도정을 견제하는 것이 맞다.
시간이 별로 없다.
7월 28일 이면 재보선인데, 수도권에서 민주당의 이런 행태에 반대의 여론이 형성된다면 민주당은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가?
이번 선거 승리의 주역인 시민들은 항상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행동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