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이후 완화로 치닫던 임금 불평등이 2020년부터는 다시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고령층 등을 중심으로 한 노동인구 증가와 이들의 저임금이 주된 원인으로 지적된다. 앞으로도 장기간 지속되는 노동시장 인구구조 변화가 배경인 만큼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임금 불평등 심화도 상태화할 수 있다.
15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 간이보고서 '최근 임금격차의 특징과 원인'(장사랑 책임연구원)을 확인하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격차가 완화돼 오던 시간당 임금은 이후 반전돼 2022년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이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시간당 임금정보를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시간당 임금 불평등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008년 0.349에서 2020년 0.325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2022년에는 0.332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니계수는 불평등의 크기를 0~1로 나타낸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0년부터 이 같은 격차는 저임금 노동자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임금이 가장 낮은 하위 10% 사람들의 시간당 실질임금은 2020년 8800원에서 2022년 9100원으로 2.9% 상승하는 데 그치고 있다. 반면 임금 수준이 가장 높은 상위 10%의 시간당 실질임금은 같은 기간 11.2%나 상승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저임금 노동자들은 더 큰 타격을 입었고, 이후 인플레이션과 임금 회복 과정에서도 뒤처져 있는 것으로 읽힌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들어 임금 격차가 벌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노동인구 구성 변화가 지목된다.50대 이상 임금근로자가 2020년 33.8%에서 2022년 38.3%로 크게 늘고 있는 것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장 책임연구원은 "근속, 퇴직, 재취업이 집중되기 때문에 동일 연령층에서의 임금 격차가 큰 50~64세 비중 증가가 임금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65세 이상 고령자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이 대거 저임금 노동시장에 진입한 것이 임금상승 정체에 특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엿볼 수 있다. 2022년에는 저임금 근로자(하위 10%)에서 차지하는 65세 이상 고령자는 2020년에 비해 25.3%나 늘었고 특히 65세 이상 여성 임금근로자는 36%나 늘었다.장 책임연구원은 "초고령 및 여성 근로자 증가가 저임금층의 임금 상승을 더욱 억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노동시장 수요공급 원리에 따라 고령, 빈곤, 사회안전망 부재 등의 이유로 저임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취약노동자가 늘어나면 그만큼 임금 상승은 억제된다.
시민단체 '일하는시민연구소' 김종진 소장은 "고령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인구구조상 이대로라면 임금 불평등은 심화될 뿐"이라며 "임금 보완 정책을 실행하고 최저임금을 올리고 사회보험료를 보조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