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평화통일을 위한 8·15 민족대축전’ 본대회가 2005년 8월 15일 장충동 장충체육관에서 남북 당국대표들과 남, 북, 해외대표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광복60돌 자주평화통일을 위한 8·15민족대축전’의 둘째 날인 15일 서울 시내 곳곳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의 크고 작은 집회가 열렸다. 보수·진보단체들이 각기 집회를 열어 광복 60돌을 기념하면서 시내 전역에서 하루 종일 구호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보수단체들은 이날 ‘한미동맹 강화’ 등을 주장한 반면, 진보단체들의 집회에서는 ‘반전·반미’ 구호로 맞섰다. 경찰은 대학로 29개 중대, 광화문 15개 중대, 서울역 9개 중대 등 5000여명을 행사장 주변에 배치했으나 우려하던 보수·진보단체 간 충돌이 없었다.
반핵반김 국민협의회 회원 2000여명은 오후 3시부터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광복 60주년 자유통일 국민대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전날 북한 대표단이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일을 두고 “과연 그들이 자격이 있느냐”며 “민족의 분단을 가져온 김정일 정권을 타도하고, 국내에 있는 친북 세력을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대표 정순희씨가 “정부차원의 대북지원은 핵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싸워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읽기도 했다.
참석자들은 집회 중간 중간 ‘친북세력 북한으로 추방하자’ ‘6·25 망각하면 6·25가 다시 온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보수단체인 국민행동본부 회원 2500여명은 낮 12시부터 서울역 앞 광장에서 ‘광복60주년 자유통일 국민대회’를 열어 정부의 대북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광복 60주년을 맞아 남북한의 이단세력이 서울을 무대로 대한민국의 민족사적 정통성을 부인하려는 굿판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애국 시민들이 총단결해 좌익세력을 몰아내자”고 말했다. 이들은 또 국가의 정통성 수호를 위한 행동강령으로 ‘헌법을 위반한 6·15 선언 폐기 및 관련자 처벌’, ‘대북 전력송전 반대’, ‘북한인권 개선’ 등을 주장했다.
집회 도중 한 참석자가 무대 쪽으로 뛰어나와 인공기를 불 태우려고 했으나 “위법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주변 사람들의 저지로 무산됐다.
이날 집회에는 전날 남북통일축구대회가 열린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주변에서 보수단체 회원들이 태극기를 나눠주다 저지당한 것에 항의하는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한편 태평양전쟁 희생자 유족회 회원 200여명은 오후 1시부터 서울 탑골공원 앞에서 ‘태평양전쟁 희생자 위령제’를 열었다. 이들은 종로를 거쳐 일본대사관까지 행진했다.
진보단체들의 모임인 전국민중연대·통일연대는 오전 10시 30분 대학로에서 1만 2000여명(경찰 추산)이 모인 가운데 ‘반전평화 자주통일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집회 참석자들은 낮 12시 10분쯤부터 종로5가를 거쳐 종각까지 약 2.5㎞의 거리 행진을 했다. 8·15 광복을 상징하는 815명의 풍물패들이 앞장선 가운데, 참석자들은 대형 한반도기를 비롯해 푸른색·분홍색 등 삼각 깃발을 들고 넘실대는 파도의 모습을 나타냈다.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상징하는 모형배와 ‘통일815’ 열차 조형물도 거리행진에 등장했다.
한편 ‘8·15민족대축전’의 첫날인 14일 서울 시내 곳곳에서는 북측 대표단을 환영하는 단체의 집회와 이를 반대하는 단체들의 집회가 각각 열렸다. 그러나 우려됐던 양측의 충돌은 없었다.
2010년 | 광화문 1865년 원형으로 복원, 개문식(開門式) |
2005년 | 남북 이산가족 첫 화상상봉 |
2003년 | 조오련, 한강 600여리(250km) 열흘 만에 종단 성공 |
2001년 |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에 참석한 일부 남측 대표단, 북한의 조국통일3대헌장 기념탑에 참배해 물의 |
2001년 | 북한에서 개최된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 8·15 공동행사`에 참석한 남측 대표단, 북한 통일탑 개·폐막식 행사에 참석해 파문 |
2000년 | 남북 이산가족 200명 서울-평양에서 50년 만에 혈육 상봉(-18일) |
2000년 | 북한 민항기 50년 만에 한국에 첫 취항 |
1998년 | 이란 성지순례단, 18년 만에 처음으로 양국 국경선을 통해 이라크를 방문 |
1998년 | 북아일랜드 폭탄테러로 30년 만에 최대 유혈참극 발생 |
1998년 | 정부, 건국 50주년 맞아 총 7천7명 특별사면·복권·가석방 |
1997년 | 뮤지컬 `명성황후` 국내 공연사상 최초로 뉴욕 공연 |
1996년 | 일본 행동파 지성 마루야마 마사오 사망 |
1995년 | 구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시작, 중앙돔 상부 첨탑 철거 |
1989년 | 이내창군 의문사 |
1989년 | 임수경양과 문규현 신부, 전대협 대표로 평양축전에 참가한 후 판문점 통해 귀환 |
1987년 | 독립기념관 개관 |
1983년 | 독립기념관 천안에서 기공 |
1979년 | 캄보디아 헹 삼린 정권, 폴 포트 정권 4년동안 300만명이 학살되고 사원 2800개소가 파괴됐다고 발표 |
1975년 | 방글라데시 군부쿠데타 |
1974년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1974년 | 새마을호 운행 개시 |
1974년 | 육영수 여사 피격 사망 |
1971년 | 바레인, 영국으로부터 독립 |
1970년 | 남산 1호터널 개통 |
1970년 |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 출간 |
1970년 | 박정희 대통령, 남북통일. 8·15선언 발표 |
1970년 | 병무청 발족 |
1969년 | 우드스톡 축제 |
1968년 | 정치활동 정화법 시효만료 |
1966년 | 새돈 500원권 유통 |
1966년 | 나트랑에 주월(駐越)야전사령부 신설 |
1961년 | 농업협동조합 발족 |
1961년 | 동독 군인 콘라트 슈만, 서독으로 탈출 |
1960년 | 콩고, 프랑스로부터 독립 |
1954년 | 전국 댄스홀 폐쇄령 |
1953년 | 정부, 서울환도를 선포 |
1953년 | `Korea Republic(現-코리아 헤럴드)` 창간 |
1952년 | 네델란드 인도네시아 서이리안 조약 조인 |
1949년 | 헝가리 인민공화국 선언 |
1948년 |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
1948년 | 하지중장 군정폐지 발표 |
1948년 |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 |
1947년 | 인도공화국 수립(초대 수상 네루) |
1946년 | 서울특별자유시 헌장 제정 |
1945년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 |
1945년 | 프랑스 페탕원수에 사형 결정 |
1945년 | 대한민국, 일제에서 해방 |
1926년 | 시인 박인환 출생 |
1923년 | 독일 바이마르에서 바우하우스전 개최 |
1917년 | 레닌 `국가와 혁명` 완성 |
1914년 | 파나마 운하 개통 |
1888년 | `아라비아 로렌스`로 알려진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 출생 |
1771년 | 영국 계관시인 월터 스코트 출생 |
1769년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출생 |
423년 | 서로마 제국의 황제(393-423) 호노리우스 사망 |
32년 | 신라, 한가위의 가배(嘉排) 놀이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