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적 관점에서 본 종교개혁의 당위성
* 머 리 말 *
2천년의 기독교 역사를 관류하는 하나의 위대한 힘은 하나님의 섭리이다. 역
사의 주관자 되신 하나님께서 당신의 크신 계획 아래서 인류의 역사를 이끌어
나가시고 인간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활용하셔서 당신의 뜻을 이루신다.
교회사의 한없는 줄기 속에서 명멸하는 수 많은 인물과 사건의 위에는 하나님
의 손길이 항상 계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여기에 겸손히 순종하고 하
나님의 적은 도구로 사용되어짐을 감사할 뿐이다.
연약하고 부족한 인간들을 통하여 당신의 계획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섭리가 오
늘의 우리에게 뜨겁게 역사하며, 이 모든 것의 내일을 바라보는 지혜의 눈을 가
지게 한다.
역사의 거대한 물줄기 속에 미미하고 보잘 것 없지만 그래도 오늘을 사는 하나
의 그릇으로 주 앞에 사용되지기를 바라는 것이 우리의 진실한 고백이리라 믿는
다. 교회가도 아니고 전문가도 아닌 편자의 교회사를 요약하게 된 것은 순전히
편자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이다. 시험을 앞두고 방대한 교회사의 분량과 연대에
미리 질려버리는 심정이어서 도저히 엄두를 낼 수 없는 것을 여러 권의 참고서
와 교회사에 관한 자료를 섭려하다 보디 하나의 결실이 나온 것이 바로 이 책이
다. 교회사 요약에 대해 한 두권의 책이 나왔으나 절판되거나 수 많은 오식 때
문에 편자 자신이 공부할 수 없어서 이와같은 고충을 당하는 교직자와 신학도들
을 위해 외람스럽게 한권의 책으로 엮어 보았다.
또 각종 고시(목사,강도사 등) 의 역대 문제들을 수집하여 각 항목에 밝혔다.
이것은 각종 고시의 수험생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리라 믿는 바이다. 각 장마다
시험 예제를 수록하여 수험생들에게 도움을 제공하였다.
이 책이 편자와 같이 단시간 안에 교회사를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좋은 도움
이 되기를 바란다. 이미 있는 자료들을 활용한 것에 불과하지만 함께 공부하는
안내역이 되기 바랄 뿐이다.
이 책에 있는 오식과 탈자나 체제의 잘못은 순전히 편자에게 있음을 고백하며
공부하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며 하나님께서 영광받으시기만 바랄 뿐이다.
= 신학 교재 편찬 위원회 =
* 서 론 *
1. 교회사의 정의
기독교의 기원, 발달,인간 세계와의 관계, 구원 역사의 조직화 등을 연구하
는 학문이다.
2. 교회사 연구의 유익
1) 기독교가 하나님의 교회임을 알게 한다.
2) 과거의 일을 통해 내일의 거울이 되게 한다.
3) 신앙 영웅들의 자취를 통하여 우리에게 위로와 격려를 준다.
4) 기독교가 세계 문명 발달의 대원천적 세력임을 알게 된다.
5) 고상한 영적 힘을 얻게 한다.
3. 교회사의 학문적 위치
1) 신학 분야 가운데 역사신학에 해당한다.
2) 교회사에는 교리사,사상사, 교회사 교회 정치사, 기독교 문화사 등이 포
함된다.
3) 연구의 범위는 전 세계적이다.
4. 교회사의 시대 구분
1) 고대사 (A.D.1-590)..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고레고리우스 1세 즉위시까지
(1) 사도시대(1-100).. 그리스로부터 사도들의 활동이 끝날 때까지
(2) 사도후 시대(100-313)..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기독교를 허락할 때까지
(3) 니케아 회의 시대(313-590)..초대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 즉위 시까지
2) 중세사(590-1517)..그레고리우스 1세 즉위부터 종교 개혁 시작까지
(1) 과도 시대(590-800).. 선교 발달기
(2) 로마 교회 성장 시대 (800-1073)..그레고리 7세 즉위까지(동서교회분리
(3) 로마 교회 전성시대(1073-1303)..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 사망까지.
(4) 로마 교회 쇠퇴 시대(1303-1517)..종교 개혁까지.
3) 근세사(1517- 현재)..종교 개혁까지
(1) 종교 개혁 시대(1517-1648)..종교 개혁 시작부터 베스트팔렌 강화 조약
까지.
(2) 근세 시대(1648-1800)..프랑스 혁명까지
제 1 부 고 대 사 (고대사)
* 사도 시대 (A.D.1-100)
1. 사도 시대의 특색
1) 기독교가 각지에 전파되었다.(소아시아,헬라,로마 등)
2) 신약 성경이 기록되었다.
3) 영적 세력이 성도의 생활에 충만하였다.(사도들이 순교함)
4) 바울의 개종과 전도에 의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였다.
2. 기독교의 기원
1) 예수 그리스도의 도성인신
2) 세례 요한의 출현
3)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전도,십자가,부활,승천)
4) 12제자에 대한 훈련
5) 오순절의 성령 강림
6) 사도들의 사명과 활동
7) 초대 교회 조직(7집사 선정)
8) 유대교의 핍박으로 분산
9) 이방 지역인 안디옥 교회 설립
3. 기독교와 로마 제국과의 관계
(로마 제국이 복음 전파의 도구로 사용된 실증)
1) 판도 확대
(1) 지중해를 중심한 전 지역이 로마 영토.
(2) 기독교가 로마 국교가 됨.
(3) 로마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문화의 동화,통일,융화에 자극함.
2) 교통의 편리
(1) 로마를 중심한 각지에의 편리한 교통함.
(2) 전도 여행,문서 전달,개인 교류에 유익하게 활용됨.
3) 언어 통일
(1) 헬라어와 라틴어로 통용되어 전도에 크게 도움이 됨.
4) 군제통일
(1) 군률이 엄하였다.
(2) 백성들의 안녕,질서를 보장.
5) 유대인의 분산
(1) 상업,박해,새 도시 이주 등으로 각지에 분산.
(2) 가는 곳마다 회당 (Symagogue)를 세움.
이것이 전도에 활용 되었다.
6) 도덕적 타락..기독교 동경의 요인이 됨
(1) 노예 매매가 성행.
(2) 잔인 포악한 풍속-맹수와의 격투 등.
(3) 자녀에 대한 살해권을 가짐
7) 종교 상태
(1) 잡신, 황제 숭배 등이 성행
(2) 생명의 종교인 기독교를 동경
8) 철학 사상
(1) 스토아 철학 (Stoicism)..규칙적 철학
(2) 에피쿠로스파(Ephicurrianism)..쾌락주의
(3) 플라톤.신 플라톤주의(Neo-Platonism)..범신론,무신론으로 방황
4
제 1 부 고 대 사 (고대사)
* 사도 시대 (A.D.1-100)
1. 사도 시대의 특색
1) 기독교가 각지에 전파되었다.(소아시아,헬라,로마 등)
2) 신약 성경이 기록되었다.
3) 영적 세력이 성도의 생활에 충만하였다.(사도들이 순교함)
4) 바울의 개종과 전도에 의해 세계 종교로 발전하였다.
2. 기독교의 기원
1) 예수 그리스도의 도성인신
2) 세례 요한의 출현
3)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전도,십자가,부활,승천)
4) 12제자에 대한 훈련
5) 오순절의 성령 강림
6) 사도들의 사명과 활동
7) 초대 교회 조직(7집사 선정)
8) 유대교의 핍박으로 분산
9) 이방 지역인 안디옥 교회 설립
3. 기독교와 로마 제국과의 관계
(로마 제국이 복음 전파의 도구로 사용된 실증)
1) 판도 확대
(1) 지중해를 중심한 전 지역이 로마 영토.
(2) 기독교가 로마 국교가 됨.
(3) 로마가 문화의 중심지로서 문화의 동화,통일,융화에 자극함.
2) 교통의 편리
(1) 로마를 중심한 각지에의 편리한 교통함.
(2) 전도 여행,문서 전달,개인 교류에 유익하게 활용됨.
3) 언어 통일
(1) 헬라어와 라틴어로 통용되어 전도에 크게 도움이 됨.
4) 군제통일
(1) 군률이 엄하였다.
(2) 백성들의 안녕,질서를 보장.
5) 유대인의 분산
(1) 상업,박해,새 도시 이주 등으로 각지에 분산.
(2) 가는 곳마다 회당 (Symagogue)를 세움.
이것이 전도에 활용 되었다.
6) 도덕적 타락..기독교 동경의 요인이 됨
(1) 노예 매매가 성행.
(2) 잔인 포악한 풍속-맹수와의 격투 등.
(3) 자녀에 대한 살해권을 가짐
7) 종교 상태
(1) 잡신, 황제 숭배 등이 성행
(2) 생명의 종교인 기독교를 동경
8) 철학 사상
(1) 스토아 철학 (Stoicism)..규칙적 철학
(2) 에피쿠로스파(Ephicurrianism)..쾌락주의
(3) 플라톤.신 플라톤주의(Neo-Platonism)..범신론,무신론으로 방황
4. 사도 바울
1) 생 애
(1) 출생...길리기아 다소 (Stoicism의 중심지)
(2) 가정 * 순수한 베냐민 지파
* 귀족이며 재산이 많음
* 유대인으로서 로마 시민권 가짐
(3) 교육 * 전통적 유대인 가정 교육
* 예루살렘 유학
* 가말리엘 문하에서 바리새주의를 수학
(4) 회심 * 기독교인 박해위해 다메섹으로 감
* 예수님의 음성듣고 회심,전도자가 됨.
* 아라비아, 길리기아에서 수양
(5) 순교...로마에서 순교
2) 사 업
(1) 제 1 차 전도 여행
* 출발지...안디옥
* 동행자...바나바
* 여행지...구브로,비시디아 안디옥 ,이고니온,루스드라,더베.
(2) 예루살렘 회의
* 동기... 이방인의 할례 문제
* 결정... 할례에 상관없이 믿음으로 구원얻음.
(3) 제 2,3창 전도 여행
* 2차...유럽으로 건너가 빌립보,데살로니가,아덴(아테네),고린도 등지
에서 전도
* 3차...마게도냐,헬라를 돌아 에베소에서 전도
(4) 로마행
* 유대인의 율법과 성전의 신성을 범하였다고 피소됨.
* 가이사랴에 3년 수감되었다가 로마에 호송 도중 파신됨
* 로마에서 전도의 기회를 가짐
3) 신 학
(1) 하나님의 주권 강조
(2) 믿음으로 구원 얻음을 강조
(3)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증거
5. 네로와 도미티아누스의 박해
1) 네로 (Nero)의 박해 (54-68)
(1) 원인...로마 대화재 사건 (64년 6월 18일,14구중 3구 전소.7구 반소)
(2) 죄명... 방화 책임을 기독 신자에게 지움.
(3) 처형방법 * 맹견과 사자밥
* 십자가에 못밖음
* 화형
(4) 순교자...바울,베드로가 순교한 듯
(5) 네로의 최후 * 국민의 신망 잃음
* 원로원 결의를 퇴위, 69년에 자살
2) 도미티아누스 (Domitian) 의 박해 (81-96)
(1) 원인...황제 예배 불복
(2) 죄명...기독교도 때문에 모든 신이 노했다는 죄명
(3) 처형 방법 * 재산 몰수
* 맹수와 결투
* 저명인사를 추방
(4) 순교자...황제의 4촌 동생 등 많은 신자
(5) 카타콤... 박해를 피해 지하 무덤에서 예배드림 (순교자들의 신앙 파
수 무대가 됨)
6. 예루살렘 멸망
1) 멸망전 상태
(1) 로마의 악정
* 펠릭스(Felix)(51-62) (행 24:26), 알비누스(Albinus)(62-64)의
지나친 탐욕
* 개인 재산,공공 재산 압수
* 뇌물 만능
(2) 백성의 강포
* 감람산에 4천여명의 폭도 집합 (4분의 1이 죽고 다수가 포로 됨)
* 유대인의 생업이 농업과 목축업이므로 선동하기 쉬움
(3) 제사장들의 부패
* 사리 사욕에 눈이 어두움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대표적,(행 23:3).
* 지도 역량이 부족 (엘르아살)
2) 멸망의 원인
(1) 가이사랴 유대인 반란 사건...헬라인이 유대인의 시민권 없음을 주장
하자 로마 정부가 이를 인정한 일에 대한 반란.
(2) 예루살렘에서도 주정당이 득세하여 로마 군영을 습격.
3) 멸망의 과정
(1) 가이사랴에서 유대인 2만명 살륙.
(2) 수리아 총독 갈루스(Gallus)가 3만명의 군사로 예루살렘을 공격했으
나 실패하다.
(3) 로마 정부는 베스파시아누스장군에게 6만명의 군대를 주어 예루살렘
을 공격하려 했으나 네로의 자살로 귀환.
(4) 디도의 출정 (70년 4월)...성을 포위하니 외부와 교류되지 않아 식량
결핍으로 고난당함.
4) 멸망의 결과...70년 9월 8일에 함락
(1) 성파괴 (2) 성전 방화 (3) 사망자 110만명 (4) 포로9만 7천명
7. 예루살렘 멸망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
1) 유대교 총본산을 함락하므로서 기독교 자유 (기독교가 유대교 능가)
2) 각지로 흩어져 전도의 판도 확장(예루살렘이 예수의 전도.죽음.부활.
승천의 주무대임)
3) 정경 (Canon) 형성 촉진
4) 기독교 조직의 운동을 촉진
8. 사도들의 종말
1) 야고보....예루살렘에서 아그립바 1세에게 피살 (44년)
2) 베드로....로마에서 순교 (64년)
3) 바울 .....로마에서 순교 (67년)
4) 야고보(주의 동생)....예루살렘에서 순교(62년)
5) 유다 ....수리아에서 전도
6) 안드레 ... 러시아 남방 시티아에서 전도하다가 사망
7) 마태 .....파사에 이디오피아에서 전도
8) 시몬 .... 인도에서 전도하다가 십자가에 못박힘.
9) 도마 ....수리아와 인도에서 전도하다가 십자가에 못박힘.
10) 바돌로매...아라비아에서 가죽 벗기어 죽음
11) 요한 ... 밧모섬에서 유배,100년경 죽음
9. 사도 시대의 예배와 예전
1) 직원...사도,전도자,교사,장로,감독,집사
2) 예배 (1) 장소 * 예루살렘 성전 * 회당 * 개인집
(2) 시일 * 안식일과 양일 예배 * 후에는 주일 예배로 통일
* 밤,비밀,축제 예배
(3) 순서
* 성경낭독...구약,사도서신,주님의 교훈
* 교훈.... 회장의 권고, 설교,예언
* 기도...사회자 공고로 기도 (금식.회중의 기도)
* 찬송...시편 및 성경 어느 부분 * 성찬
3) 예전
(1) 세례 * 세번 침수(병자나 물이 없을 때는 머리에 물을 뿌림)
* 성부,성자,성령의 이름으로 베품.
* 세례는 죄를 회개하는 신앙 고백이며 예수와 일치한다는 표시.
* 세례 후 성령 강림 바라는 안수도 행함
(2) 성찬 * 매주일 예배에서 행하여짐.
* 세례받은 자만이 참예 * 기도로 떡과 잔을 받음
4) 축제 (교회 명절)
(1) 부활절...동방은 유대인의 유월절인 니산월 14일을 지키고 서방은
춘분후 첫만월 (보름)다음 주일에 지킴
(2) 사순절 (Lent)....부활절 전 40일간
(3) 승천일과 오순절을 지킴.
10.초대교회의 신앙 생활
1) 생활의 특징
(1) 영적 감화가 많음
* 직접으로 하나님과 교통하여 능력받음.
* 병고치고 귀신 쫓아내는 능력이 일반에게도 임함
* 전도가 활발해짐.
* 결함....감정에 치우쳐 잘못된 길을 갈 위험이 많음
(2) 재림의 확신
* 유익...고난을 참고 박해를 이길 힘을 얻음
* 피해...정치 개혁,사회 개선에 무관심해 짐
(3) 사랑의 덕
* 평등주의...주인과 종이 함께 예배
* 자선사업...고아,과부,가난한 자를 돌보아 줌
* 봉사생활 ...먼 곳에서 온 손님의 발을 씻는 풍속
* 부인의 지위를 놓임
(4) 순결의 덕
* 1 부 1 처제,독신 생활 장려
* 금욕주의 (육식 안하는 자도 있음)
* 음주의 음란 방지
2) 생활의 징계 (범죄자에 대한 징계 순서)
(1) 개인적으로 충고
(2) 공중 앞에서 징계
(3) 교회에서 추방
(4) 범죄자와 교제 단결
. 사도 바울
1) 생 애
(1) 출생...길리기아 다소 (Stoicism의 중심지)
(2) 가정 * 순수한 베냐민 지파
* 귀족이며 재산이 많음
* 유대인으로서 로마 시민권 가짐
(3) 교육 * 전통적 유대인 가정 교육
* 예루살렘 유학
* 가말리엘 문하에서 바리새주의를 수학
(4) 회심 * 기독교인 박해위해 다메섹으로 감
* 예수님의 음성듣고 회심,전도자가 됨.
* 아라비아, 길리기아에서 수양
(5) 순교...로마에서 순교
2) 사 업
(1) 제 1 차 전도 여행
* 출발지...안디옥
* 동행자...바나바
* 여행지...구브로,비시디아 안디옥 ,이고니온,루스드라,더베.
(2) 예루살렘 회의
* 동기... 이방인의 할례 문제
* 결정... 할례에 상관없이 믿음으로 구원얻음.
(3) 제 2,3창 전도 여행
* 2차...유럽으로 건너가 빌립보,데살로니가,아덴(아테네),고린도 등지
에서 전도
* 3차...마게도냐,헬라를 돌아 에베소에서 전도
(4) 로마행
* 유대인의 율법과 성전의 신성을 범하였다고 피소됨.
* 가이사랴에 3년 수감되었다가 로마에 호송 도중 파신됨
* 로마에서 전도의 기회를 가짐
3) 신 학
(1) 하나님의 주권 강조
(2) 믿음으로 구원 얻음을 강조
(3)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증거
5. 네로와 도미티아누스의 박해
1) 네로 (Nero)의 박해 (54-68)
(1) 원인...로마 대화재 사건 (64년 6월 18일,14구중 3구 전소.7구 반소)
(2) 죄명... 방화 책임을 기독 신자에게 지움.
(3) 처형방법 * 맹견과 사자밥
* 십자가에 못밖음
* 화형
(4) 순교자...바울,베드로가 순교한 듯
(5) 네로의 최후 * 국민의 신망 잃음
* 원로원 결의를 퇴위, 69년에 자살
2) 도미티아누스 (Domitian) 의 박해 (81-96)
(1) 원인...황제 예배 불복
(2) 죄명...기독교도 때문에 모든 신이 노했다는 죄명
(3) 처형 방법 * 재산 몰수
* 맹수와 결투
* 저명인사를 추방
(4) 순교자...황제의 4촌 동생 등 많은 신자
(5) 카타콤... 박해를 피해 지하 무덤에서 예배드림 (순교자들의 신앙 파
수 무대가 됨)
6. 예루살렘 멸망
1) 멸망전 상태
(1) 로마의 악정
* 펠릭스(Felix)(51-62) (행 24:26), 알비누스(Albinus)(62-64)의
지나친 탐욕
* 개인 재산,공공 재산 압수
* 뇌물 만능
(2) 백성의 강포
* 감람산에 4천여명의 폭도 집합 (4분의 1이 죽고 다수가 포로 됨)
* 유대인의 생업이 농업과 목축업이므로 선동하기 쉬움
(3) 제사장들의 부패
* 사리 사욕에 눈이 어두움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대표적,(행 23:3).
* 지도 역량이 부족 (엘르아살)
2) 멸망의 원인
(1) 가이사랴 유대인 반란 사건...헬라인이 유대인의 시민권 없음을 주장
하자 로마 정부가 이를 인정한 일에 대한 반란.
(2) 예루살렘에서도 주정당이 득세하여 로마 군영을 습격.
3) 멸망의 과정
(1) 가이사랴에서 유대인 2만명 살륙.
(2) 수리아 총독 갈루스(Gallus)가 3만명의 군사로 예루살렘을 공격했으
나 실패하다.
(3) 로마 정부는 베스파시아누스장군에게 6만명의 군대를 주어 예루살렘
을 공격하려 했으나 네로의 자살로 귀환.
(4) 디도의 출정 (70년 4월)...성을 포위하니 외부와 교류되지 않아 식량
결핍으로 고난당함.
4) 멸망의 결과...70년 9월 8일에 함락
(1) 성파괴 (2) 성전 방화 (3) 사망자 110만명 (4) 포로9만 7천명
7. 예루살렘 멸망이 기독교에 끼친 영향
1) 유대교 총본산을 함락하므로서 기독교 자유 (기독교가 유대교 능가)
2) 각지로 흩어져 전도의 판도 확장(예루살렘이 예수의 전도.죽음.부활.
승천의 주무대임)
3) 정경 (Canon) 형성 촉진
4) 기독교 조직의 운동을 촉진
8. 사도들의 종말
1) 야고보....예루살렘에서 아그립바 1세에게 피살 (44년)
2) 베드로....로마에서 순교 (64년)
3) 바울 .....로마에서 순교 (67년)
4) 야고보(주의 동생)....예루살렘에서 순교(62년)
5) 유다 ....수리아에서 전도
6) 안드레 ... 러시아 남방 시티아에서 전도하다가 사망
7) 마태 .....파사에 이디오피아에서 전도
8) 시몬 .... 인도에서 전도하다가 십자가에 못박힘.
9) 도마 ....수리아와 인도에서 전도하다가 십자가에 못박힘.
10) 바돌로매...아라비아에서 가죽 벗기어 죽음
11) 요한 ... 밧모섬에서 유배,100년경 죽음
9. 사도 시대의 예배와 예전
1) 직원...사도,전도자,교사,장로,감독,집사
2) 예배 (1) 장소 * 예루살렘 성전 * 회당 * 개인집
(2) 시일 * 안식일과 양일 예배 * 후에는 주일 예배로 통일
* 밤,비밀,축제 예배
(3) 순서
* 성경낭독...구약,사도서신,주님의 교훈
* 교훈.... 회장의 권고, 설교,예언
* 기도...사회자 공고로 기도 (금식.회중의 기도)
* 찬송...시편 및 성경 어느 부분 * 성찬
3) 예전
(1) 세례 * 세번 침수(병자나 물이 없을 때는 머리에 물을 뿌림)
* 성부,성자,성령의 이름으로 베품.
* 세례는 죄를 회개하는 신앙 고백이며 예수와 일치한다는 표시.
* 세례 후 성령 강림 바라는 안수도 행함
(2) 성찬 * 매주일 예배에서 행하여짐.
* 세례받은 자만이 참예 * 기도로 떡과 잔을 받음
4) 축제 (교회 명절)
(1) 부활절...동방은 유대인의 유월절인 니산월 14일을 지키고 서방은
춘분후 첫만월 (보름)다음 주일에 지킴
(2) 사순절 (Lent)....부활절 전 40일간
(3) 승천일과 오순절을 지킴.
10.초대교회의 신앙 생활
1) 생활의 특징
(1) 영적 감화가 많음
* 직접으로 하나님과 교통하여 능력받음.
* 병고치고 귀신 쫓아내는 능력이 일반에게도 임함
* 전도가 활발해짐.
* 결함....감정에 치우쳐 잘못된 길을 갈 위험이 많음
(2) 재림의 확신
* 유익...고난을 참고 박해를 이길 힘을 얻음
* 피해...정치 개혁,사회 개선에 무관심해 짐
(3) 사랑의 덕
* 평등주의...주인과 종이 함께 예배
* 자선사업...고아,과부,가난한 자를 돌보아 줌
* 봉사생활 ...먼 곳에서 온 손님의 발을 씻는 풍속
* 부인의 지위를 놓임
(4) 순결의 덕
* 1 부 1 처제,독신 생활 장려
* 금욕주의 (육식 안하는 자도 있음)
* 음주의 음란 방지
2) 생활의 징계 (범죄자에 대한 징계 순서)
(1) 개인적으로 충고
(2) 공중 앞에서 징계
(3) 교회에서 추방
(4) 범죄자와 교제 단결
III. 니케아 회의 시대 (313-590)
이 시대는 A.D.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즉위에서부터 590년 그레고리우스
1세의 즉위까지를 말한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604년 그레고리우스 1세가 죽은
때까지를 경계로 삼는 사람도 있다. 그는 라틴 교부의 마지막 사람이며 첫 교황
이다.
1. 서 론
1) 기간
313-590 년 (최초의 세계적인 회합인 니케아 회의가 있었으므로 이렇게 부름)
2) 교리의 논쟁
박해 중에는 신앙 뿐이었다. 그러나 박해가 끝나면서 교리 문제가 등장하고
신학자들이 많이 나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사람이 아타나시우스와 아우구스티누
스 (어거스틴)이다.
3) 세계 대회
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 대회가 소집되었고 근본 교리가 제
정되었다. 교회 정치 분야에는 암브로시우스, 설교가로는 크리소스토모스,나지
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등이 유명하다.
4) 교권 증진
정치력이 쇠해 갈 수록 복음 운동이 일어났다. 교회 지도자의 세력이 점점
강대해졌고,로마 교황 세력이 강대해져 기독교가 국교가 되고 관직까지 소유
하였다.
5) 수도원의 발전
관직을 지킬 수록 교회는 속화되었고 여기에 반작용으로 금욕주의.둔세주의
가 성행하여 수도원이 생겼다.
2. 콘스탄티누스 대제 (Constantinus)
1) 콘스탄티누스 대제 약사
a. 288나이사스에서 출생, 부는 서로마 황제 클로루스(독신자),모는 헬레나.
b. 서방의 부제 클로루스(Constantius Chlorus)의 아들고 용맹하고 싸움
잘함.
c. 부왕 사망 후 서방의 황제 입후보자가 6명이었으나 막센티우스(Maxentius
와 싸워 이김.
d. 동방의 황제리키니우스의 누이를 황후로 삼고 두 황제가 밀리노 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를 공인함.
e. 동방 황제게 이교를 도와줌으로 싸워서 로마 제국을 통일함.
f. 337년 65세때 유세비우스에게 세례받고, 오순절날 사망.
2) 입신 (입신) 동기
a. 막센티우스와 로마 근교 밀위아 다리에서 전쟁할 때 태양 위에 십자가와
<이것으로 이기라>는 글자를 모든 군사들이 봄.
b. 그날 밤 꿈에 예수가 나타나 십자가를 보이고 이것으로 기장을 삼으라
하므로 그대로 하여 승리함.
c. 믿은 후에도 죄인이라고 세례받지 않다가 죽음에 이르러 세례받음.
3) 업적
a. 교회 보호
ᄀ. 외부적 감독이라 자칭하고 궁중에서 연설함.
ᄂ. 유세비우스를 궁중에 들이고 우대함.
ᄃ. 이단을 멸하고 교회 통일을 도모.
b. 법률 개정
ᄀ. 고래(고래) 풍속 개량.
(1) 십자가형 폐지 (2) 검투 폐지
(3) 축첩 제도 엄벌,이혼에 제한을 둠.
(4) 여자에게 토지 이외에 소유권 인정.
(5) 죄인 이마에 화인(화인) 금함.
ᄂ. 교회의 법률을 국가가 공인
(1) 교인간의 쟁투에 대한 교직자의 판결은 법률상 유효.
(2) 대의회 결의는 국가의 법률이 됨.
(3) 교회의 법률에 대한 불가침
(4) 사죄,감형 요구권을 교직자에게 부여함.
ᄃ. 기독교를 위한 특별 법령
(1) 주일 휴업(법정,군대)
(2) 교직자는 세금과 병역 의무 면제.
(3) 박해시 몰수한 재산 반환
(4) 교회 재산 관리법 제정, 기부금 제도 공인.
(5) 타종교의 잔인성과 불결한 행동을 금함.
c. 천도
ᄀ. 332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천도
ᄂ. 이유
(1) 야만인과 페르시아인에 제어 목적
(2) 새로운 기독교 수도 형성 목적
(3) 자기 이름을 후세에 남기려고
d. 결정...왕위를 빼앗으려고 한다고 처,자,조카까지 살해.
e. 후계자
ᄀ. 세 왕자에게 제국을 분할
(1) 장남...콘스탄티누스 (Constantinus)
(2) 차남...콘스탄스(Constans)
(3) 삼남...콘스탄티우스(Constantius)
ᄂ. 차남을 형을 죽이고 동생과 함께 나라를 차지함.
ᄃ. 차남은 10년 후 자객에게 암살당함.
ᄅ. 천하는 삼남에게 통일됨.
<요약>
*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업적
(1) 우상 숭배 금지 (2) 이교 전당을 몰수하여 교회에 줌
(3) 관직은 기독교 신자라야 함.
(4) 크게 부패하기 전에 일대 반동이 일어남.
3. 니케아 (Nicaea)회의
1) 시일과 소집자
325년 5월-6월, 콘스탄티누스 황제
2) 소집 방법
(1) 각지 감독에게 안내장을 보냄.
(2) 각 감독은 장로 2명,수행원 3명의 대동을 허락함.
(3) 관용 주창 편의를 보아주고 체재비는 국고에서 부담.
3) 소집 동기
(1) 부활절 일자 문제(동방은 유월절을 지키고, 서방은 주일을 중시했다)
(2) 아리우스 (Arius) 설 때문에 교회가 분열될까 염려하여
a.아리우스 (Arius)
ᄀ. 리비아인 (현,트리포리)
ᄂ. 루키아누스(Lucianus-312년경 죽음)에게 사사 (루키아누스는 당대
의 일류 학자로 성경 해석에 통달하였음).
ᄃ. 알렉산드리아 장로로서 큰 세력을 가지고 있음.
ᄅ. 키가 크고, 몸은 약하나 말이 명괘한 이론가.
ᄆ. 열정적이며 금욕 생활을 통해 추종자가 많음.
b. 아리우스의 학설 (그리스도관)
ᄀ. 그리스도는 피조물이다. 참 신이 아니고, 같은 성품,동격도 아니며
오직 은혜를 주어서 세계 창조의 중개가 그리스도의 본분이다.
ᄂ. 인성이 없다.
ᄃ. 악을 택하셨으면 악행을 할 수 있었다. 선행함으로 상급을 얻는다.
c. 사건의 발단
ᄀ. 감독 알렉산드리로스 삼일신의 현현을 가르칠 때 장로인 아리우스
가 이를 공격함.
ᄂ. 320년 알렉산드리아 지방 대회에서 아리우스와 그를 찬송하는 애굽
감독들을 파면함.
ᄃ. 그 세력이 점점 확대되고, 각지로 다니면서 반대 연설을 함.당시
유명한 니코메디아 감독의 유세비우스도 이에 합세함.
ᄅ. 동방에는 아리우스 설이 유포됨.
ᄆ. 황제는 스페인 감독 호지우스(Hosius)로 조정케 했으나 성공치 못
하므로 이 문제 해걸을 위하여 회의를 소집함.
4) 회원
(1) 유세비우스는 250묘으 아타나시우스는 318명으로 기록(아마 계산한 시일
이 차이가 난 듯하다)
(2) 서방은 원거리이며 헬라어를 모르므로 10명만 참속함.
(3) 박해 때문에 눈 멀고,양손 불구자,고행을 겪은 자들이 다수 참석하였다.
(4) 회원의 파벌
a. 아리우스파...유세비우스를 비롯하여 니케아,칼케돈,에베소 감독이 이
파에 속함 (아리우스도 장로로 참석)
b. 중립파...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
c. 정통파...소주지만 유력하였다. 알렉산더 골도바의 호시우스,
아타나시우스.
5) 회의
(1) 황제가 직접 참석하여 연설.
(2) 의장은 유세비우스나 호시우스인 듯.
(3) 아리우스파에서 신조 초안을 제출하였으나 기각됨.
(4) 가이사랴 유세비우스가 신조 초안 제출 (화합 목적으로)
(5) 논의의 초점은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동질임> 아타나시우스는 추상적
변론을 피하고 구원 사상에 근거하여 주장.
6) 결의
(1) 유세비우스가 제출한 초안(아리우수설 부인)에 수정을 하고 토론을 종결,
(2) 출석 회원 일동이 서명케 함.
a. 가이사랴 유세비우스는 하루 생각하고 서명함.
b. 니코메디아 유세비우스는 <이 문서에 동의치 않는 자는 처벌한다>는 마
지막 문귀를 삭제하고 서명함.
(3) 부활절은 주일에 지키기로.
(4) 교회 정치에 관한 규정 제 20조를 제공함.
<요약>
*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의 사상 비교
┌───────┬────────────┬─────────┐
│ │ 아 리 우 스 │아 타 나 시 우 스 │
├───────┼────────────┼─────────┤
│ 부 관 계 │ 유 사 │동 질 │
├───────┼────────────┼─────────┤
│ 신 성 │ 반신성 │완전 신 │
├───────┼────────────┼─────────┤
│ 인 성 │ 특별히 주장 │완전인 │
├───────┼────────────┼─────────┤
│ 창 조 │ 무로부터 창조 │낳아진다 │
├───────┼────────────┼─────────┤
│ 영 혼 │ 영혼 무,로고스가 영혼 │ │
└───────┴────────────┴─────────┘
7) 폐회
325년 7월 29일
황제 즉위 20년 기념으로 전원 초대
4. 기독론 논쟁
1) 제 2차 회의
(1)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 381년
(2) 소집자...테오도시우스 황제
(3) 의 장...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4) 의 제... 아폴리나리스(Apolinaris)설.
* 아폴리나리스의 주장은 그리스도의 인성 제한인데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로고스가 사람의 영에 대치했고 그리스도는 사람의 영이 없으니 인성 제
한이라고 주장.
(5) 결의
a. 아폴리나리스 학설을 기각
b.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이며 완전한 인간이다.
2) 제 3차 회의
(1) 장소...에베소,431년
(2) 소집자...테오도시우스 2세
(3) 의제
a. 네스토리우스(Nestorius)의 양성론
그리스도는 신이 아니고 로고스가 임하였다.(신성과 인성 구별) 주장.
b. 알렉산드리아 감독 키릴로스(376-444)가 항의
(4) 결의
ᄀ. 키릴로스파는 동방 회원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틈을 타서 네스토리우스
의 출교를 결의.
ᄂ. 네스토리우스파가 도착하여 키릴로스를 이단이라고 결의.
ᄃ. 435년 네스토리우스를 아라비아로 유배함.
3) 도적 회의
(1) 장소...에베소, 449년
(2) 의제...유티케스(Eutches)의 일성론 (일성론.Monophysotosm)
그리스도는 이성( 인성과 신성)으로 되어 있으나 합일시 인성이 신성에
침입되어 우리의 신체와 같지 아니하다는 주장
(3) 경과
a. 이 회의는 알렉산드리아 감독이 자파 세력의 확장을 위하여 유티케스를
지원하였고, 테오도시우스 황제로 소집케 함.
b. 알렉산드리아 감독 디오스코루스(Dioscorus)가 의장이 되어 병졸과 무뢰
한을 동원하여 반대파를 위헙하여 안디옥 파 수령을 내어 쫓고 유티케스
를 복직시킴 (그래서 <도적회의>라 부르고 정식 종교회의에 계산치 아니
한다)
4) 제 4차 회의
(1) 장소...칼케돈 (Chalchidon), 451년
(2) 소집자...마르키아누스 (Marcianus)황제,600명 감독 참석.
(3) 결과...칼케돈 신조를 작성
* 이 회의에 대해서는 다음 요약을 참고 바람.
5) 제 5차 회의
(1)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553년
(2) 소집자...유스티니아누스 황제,527-565
(3) 의제...일성론자와 화해하려고 삼장렬 (The Three Chapters:안디옥파의
세 신학자의 의견을 변박한 것)을 발표한 때문
(4) 결과...칼케돈 신조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정통 교리를 삼음.
6) 제 6차 회의
(1)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680년
(2) 소집자...콘스탄티누스 4세
(3) 의제...일의론(Monothelitism 양성을 가졌으나 신의만 가졌다.)
(4) 결과...이의론 채택.
7) 제 7차 회의
(1) 장소...니케아,787년
(2) 소집자..콘스탄티누스 6세
(3) 의제...성화 숭배 문제
(4) 결과...성화 숭배하기로.
8) 제 8차 회의
(1) 장소...콘스타티노폴리스, 869년, 879년.
(2) 소집자..바실리우스
(3) 의제
a. 869년...이그나시티우스 대 포티우스
b. 879년 ...니케아 신조 확인.
<요약>
* 칼케돈(Chalchedon)회의 결의 사항
(1) 예수 그리스도는 신성에도 완전, 인성에도 완전하다 (각 성질은 보존)
(2) 그리스도는 참 신이며 참 인간으로 이성있는 영혼과 육체를 소유하였다.
(3) 신성은 성부와 같고, 인성은 우리와 같으나 죄가 없다.(양성은 썩거나
변하거나 떠나지 아니함).
(4)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인성으로 동정녀에게서 출생한다.
* 이 회의는 <니케아> <에베소> 양회의에서 정한 신조를 확인하고 설명을 가
하여 교리를 명백히 하였다.
* 세계 종교회의 일람표
┌──┬─────┬─────┬───┬────────┬─────────
│ 회 │ 장 소 │ 소 집 자 │연 대 │ 논 점 │결 과
├──┼─────┼─────┼───┼────────┼─────────
│ 1 │ 니케아 │ 콘스탄티 │ 235 │ 호모이 우시우 │니케아 신조제정
│ │ │ 누스대제 │ │ 오스 유사,호모 │동질 부활절 일정
│ │ │ │ │ 우시오우스동질 │함
├──┼─────┼─────┼───┼────────┼─────────
│ 2 │ 콘스탄티│ 테오도시 │ 381 │ 아리우스설 인성│아폴리나리스설부
│ │ 노폴리스│ 우스제 │ │ 제한 부당 타고 │인싱인양성
├──┼─────┼─────┼───┼─╨──────┼─────────
│ 3 │ 에베소 │ 테오도시 │ 431 │ 키릴로스설 대 │키릴로스 이김,펜
│ │ │ 우스2세 │ │ 스트리우스설 │라기우스설,이단
├──┼─────┼─────┼───┼────────┼─────────
│ 4 │ 에베소 │ 테오도시 │ 449 │ 유티케스의 일 │이성론 채택
│ │(도적회의)│ 우스2세 │ │ 성론 반대 │
├──┼─────┼─────┼───┼────────┼─────────
│ 5 │ 칼게돈 │ 마르키아 │ 451 │ 레오서한,통성 │칼게돈신조 이성일
│ │ │ 누스 │ │ 론 배격 │인격.
├──┼─────┼─────┼───┼────────┼─────────
│ 6 │ 콘스탄티 │ 유스티니 │ 553 │ 일성논자와 화 │유이성의 본체인
│ │ 노폴리스 │ 아누스대 │ │ 해하려고 삼장 │로고스
│ │ │ 제 │ │ 형 │
├──┼─────┼─────┼───┼────────┼─────────
│ 7 │콘스탄티노│ 콘스탄티 │ 680 │ 일의론 │이의론
│ │폴리스 │ 누스4세 │ │ 성화 숭배 │성화숭배
│ │ │ │ │ 반대 │
├──┼─────┼─────┼───┼────────┼─────────
8 │콘스탄티노│ 바실리우 │ 869 │ 이그나시티우스 이그나시티우스복직
│폴리스 │ │ 879 │ 대주교 대 포티 │으로 포티아으파면
│ │ │ │ │ 우스 성령의 출 │니케아신조확인
│ │ │ │ │ 처 │
└──┴─────┴─────┴───┴────────┴─────────
5. 수도원
1) 원인
(1) 기독교가 국교가 되자 기독교의 세속화 현상이 일어나고 여기에 대한 반
작용으로 금욕 생활, 경건 생활 운동이 일어남.
(2) 교회가 조직화, 규율화 됨에 따라 개인적 신앙 활동을 수도원이라는 별개
의 사회에서 구하게 됨.
(3) 복잡한 생활에서 떠나 물질없이도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활의 욕망이
작용.
2) 기원
(1) 안토니우스(Antonius.356년 죽음)
a. 이집트 부자의 아들로 태어 조실부모하고 누이와 같이 살음.
b. <소유를 팔아 구제하라> (마19:21)라는 말씀에 감동하여 누이를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재산을 다 팔아 구제하고 굴속에 들어감.
c. 추종자가 많음, 박해시에는 알렉산드리아에 가서 신자들을 격려함.
d. 은둔 생활의 창시자
(2) 공동 생활
a. 유명한은자가 거주하는 곳에 많은 은자들이 모여옴.
b. 서로 모여 기도하고 후에는 공동 생활을 하니 이것이 수도원의 기원이
되었다.
3) 규 칙
(1) 규칙 제정자들
a. 파코미우스 (Pachomius)가 처음 제정, 나일강의 타벤나이(Tabennae) 섬에
수도원을 설립하고 규칙적으로 의식.공부,예배,노동,징벌에 관한 규정을
제정.
b. 바실리우스 (Basillius the Great)는 규칙을 정하고 교회와의 연락을 도
모함 (300-379)
(2) 규칙 제정의 필요성
a. 극단적 금욕 생활을 막기 위하여
b. 자유 방종을 방지하고 본래의 임무를 계속하기 위하여
c. 명령 계통 확립을 위하여 (의견 충돌의 방지 위해)
4) 서방 수도원
(1) 마르티누스 (Martinus)가 고을의 설립.
(2) 암브로시우스 (Ambrosius)가 밀라노에 설립
(3) 로마의 귀부인, 지식인들이 수도원에서 노동하며 생활(388년
아우구스티누스)
(4) 캇시아누스 (Cassianus) 가 마르세이유에 수도원과 수녀원을 개설.
(5) 베네틱투스 (Benedictus, 480-543)가 수도원 규칙을 제정.
a. 캇시아노 산 (Monte Cassiano)에 세운 수도원은 서방 수도원의 전형임.
b. 규칙
ᄀ. 수도원장은 전원의 선거
ᄂ. 큰 일은 전체 회의에서, 적은 일은 원장이 수석 수도사와 협의하여
처리함.
c. 입원 지원자들...일정한 기도 시험을 한 후, 일정 기간 정주할 것과 엄격
한 도덕을 지킬 것, 복종할 것을 서약한 후 허락.
d. 노동을 장려하여 자력 생활을 함.
e. 그레고리우스 1세는 이교도들에게 전도하는 임무를 맡겼다.
f. 수도원을 학문의 중심지로 만드는데는 캇시오도루스(Cassiodorus)힘이
컸다.
6. 로마 교권의 강화
1) 교권의 강화의 이유
(1) 대도시 교회라 유력자가 많고 전도,구제,회당,건축비 부담으로 세력이
집중됨.
(2) 로마는 베드로와 바울의 순교지.
(3) 동방 천도로 로마 감독의 지위를 중해 여기게 되었다.
(4) 레오 같은 유능한 감독이 있었다.
(5) 살디카 회의에서 결정.
2) 레오 1세 (440-461년 재위)
(1) 설교가, 문학가,정치가였다.
(2) 로마 감독은 베드로의 권위를 계승한 것이라고 주장 (미16:9) 근거.
(3) 하나님이 로마 제국을 세우심은 기독 교회를 위한 것이니 수도사의 지위
에 있을 만하다고 함.
(4) 서 제국의 황제 바렌티아누스 3세는 칙령으로 로마 감독은 서방 교회의
원수이며, 배반자는 국가 배반자라고 규정 (밀라노,북아프리카 등은 부인)
7. 동방의 교부들
1) 알렉산드리아 팔레스티나
(1) 유세비우스 가이사랴
a. 260년 팔레스티나 출생,신앙으로 감금된 일 있음.
b. 315년 가이사랴 감독이 됨. 339년 사망시까지 궁정 출입을 함.
c. 저서...<교회사> 콘스탄티누스 대제전> <복음의 준비> <복음의 증명>
d. 후계자...유세비우스의 뒤를 이어 교회사를 집필한 사람.
ᄀ.소크라테스(Socrates)..5세기 초엽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수사학자
ᄂ.소조멘 (Sozomen)...소크라테스와 비슷.역사의 내용은 다름.
ᄃ.테오도레트(Theodoret)...구브로의 감독,458년에 죽음.많은 저술을 남김.
(2) 아타나시우스 (296-373)
a. 326년 알렉산드리아 감독이 됨.
b. 정통 고수에 매진
c. 궁정 방침이 변동으로 3차 유배
ᄀ. 335년( 콘스탄티누스)...트리야 유배.
ᄂ. 342년 (콘스탄티우스)...로마 유배.
ᄃ. 351년 (콘스탄티우스)...사막 유배.
d. 죽을 때는 평안히 죽음
e. 저서...<로고스의 성육신> <아리우스를 반격함> <콘스탄티누스에의 변증
론> 등.
(3) 키릴로스 (Cyril)
a. 알렉산드리아 감독 (413-444)
b. 이론은 바르나 성격이 포악, 당파심이 강함.
c. 신플라톤파 여철학자 히파티아(Hypatia)의 피살에도 책임이 있다.
2) 시리아와 소아시아 지방 교부들
(1) 데오도레 (Theodore)
a. 길리기아 모브스에스티아 감독
b. 성경 주석으로 유명 (그 단편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c. 역사적 언어학적 주석으로 유명.
(2) 가바도기아 세 신학자
a.바실리우스(Basilius the Great,330-379)
ᄀ. 조모의 신앙 영향,안디옥,콘스탄티노폴리스,아덴(아테네)에서 수학.
ᄂ. 355년 변호사가 됨. 자매의 권고로 수도원생활 시작.
ᄃ. 365년 가이사랴 교회 부목사가 됨.5년후에는 감독이 됨.
ᄅ. 교회 통솔,지도 능력이 특출하고 수도원 규칙을 제정.
ᄆ. 저서<그리스도의 신성론> <성령론> 설교집,서신 등.
b.닛사의 그레고리우스 (Gregorius Nassenus,332-395)
ᄀ.바실의 동생,같이 공부함.
ᄂ.380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신학 논쟁에 참가,설교가.
c.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Gregorius Nazianzus)
(3) 크리소스토모스(Chrysostom
황금의 입)
a. 346년 안디옥에서 출생,아버지는 장군으로 일찍 죽고 어머니 안투사(Anth
usa)는 아우그수티누스의 어머니 모니카와 같이 칭찬받는 신앙인이다.
b. 법률가, 수사학자,변호사
c. 안디옥 감독에게 신학을 배운 후 세례받고 수도생활을 함.
d. 안디옥 감독이 되고 (394년),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가 됨.
e. 해석적 설교와 성경 주해에 노력
f. 사치와 황태후를 공격하다가 404년 길리기아로 추방.
8.서방의 교부들
1) 힐리리우스 (Hilarius, 295-368)
(1) 프랑스 프와티에에서 출생, 철학과 문학에 뛰어남.
(2) 350년 고향 교회 감독 정통 보수에 헌신.
(3) 저서 <삼일신론> <신앙론> <시편 주해>
2) 암브로시우스 (Ambrosius,340-397).
(1) 340년 고올의 수도 토리에서 출생,로마에서 교육받고 밀라노 주지사 됨.
(2) 5년후 감독이 죽고 후임이 됨.
(3) 교회 통솔과 권위 유지에 명성.
(4) 저서 <설교집> <성경주해> <찬미가>
3) 히에로니무스(Hieronumus Jerome)
(1) 346년 스토리돈에서 출생.
(2) 20세에 수세,372년 동방 여행.
(3) 베들레헴에서 새 수도원 건축
(4) 구약의 라틴어역 성공 (12년간)
9. 아우구스티누스 (Augustinus)
1) 생애
(1) 북아프리카 타가스테(Africa Tagaste)에서 출생,부 파트리키우스 (Patui
cius)는 이교도 (후에 신자됨), 모 모니카(Monica)는 독실한 신자.
(2) 수사학자로 유명,청년기에 8년간 마니교(이원론 주장) 신봉.
(3) 387년 3월 암브로시우스(Ambrosius)의 설교에 감화받고 입신 (롬13:14).
(4) 힙포(Hippo)교회 감독 (395년)
(5) 게르만족의 침공 때 76세로 죽음(430년)
2) 사상
(1) 신을 인격적 체험 대상으로 믿음.그리스도의 양성 주장.
(2) 삼위일체 주장, 원죄 인정,그리스도의 구원 사역 확신.
(3) 예정론,무형 교회 내세관 확인.
(4) 정통 신자됨이 구원의 필수 조건.
(5) 성례와 의식,관계를 주장 (성례전론의 원조)
3) 저서
(1) 독백 (387년)...신,영혼,영생에 대해 논의
(2) 참회록 (400) 자서전
(3) 삼위론 (400-419)...삼위 동등 주장.
(4) 하나님의 도성 (412)...지상 나라는 망하나 하나님의 나라는 영원하다.
10.펠라기우스 (Pelagius) 논쟁.
( 동방 교회가 기독론을 논하고 있을 때 서방 교회는 죄와 구원
문제를 논함)
1) 라틴 민족
(1) 죄에 대해 심각한 관념.
(2) 테르툴리아누스가 죄의 유전을 가르친 이후 암브로시우스,힐라리우스 같은
학자들이 원죄 관념을 기초로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
하다고 주장했으나 철저하지 못했다.
(3) 아우그수티누스 시대에 와서 철저함.
2) 펠라기우스
(1) 영국인 수도사로 5세기 초에 로마의 도덕적 부패 시정에 노력.
(2) 성질 온순,품행 엄정, 지식 명석.
(3) 카르타고의 장로가 되려다가 파울리누스의 반대로 못됨
(4) 에베소의 장로가 되어 그의 학설이 퍼짐.
(5) 431년 에베소 대회에서 이단을 규정.
* 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의 교리적 차이
┌─────────────────┬─────────────────┐
│ 아우구스티누스 │ 펠라기우스 │
├─────────────────┼─────────────────┤
│ 1)하나님의 예정, 불가항력적 은총 │1)의지 노력으로 개인 구원 │
├─────────────────┼─────────────────┤
│ 2)아담 죄로 죽음 │2)아담 처음부터 죽을 사람으로 출생│
│ │ 범죄 여부 없이 죽음. │
├─────────────────┼─────────────────┤
│ 3)아담의 죄 후손에게 영향 │3)아담에게만,전 인류는 무관함. │
├─────────────────┼─────────────────┤
│ 4)유아에게도 원죄 있음 │4)새로난 유아에게 아담과 동일 │
├─────────────────┼─────────────────┤
│ 5)아담 범죄로 죽음,그리스도 │5)율법도 사람을 천국으로 인도 │
│ 부활로 삼. │
├─────────────────┼─────────────────┤
│ 6)믿음 통해 구원,세례시 사죄 │6)그리스도 오기 전에 무죄자가 있 │
│ │ 었음.
└─────────────────┴─────────────────┘
3) 반 펠라기우스 설
(1) 주장자..캇시아누스, 파우스투스
(2) 주장
a. 죄 유전 b.은혜로 구원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음.
c. 하나님의 은혜는 모든 사람에게 제시, 인간 의지에 의해 받거나 거부된다.
4) 도나투스 (Donatus, 카르타고 감독 )파
(1) 주장
a. 범죄자는 교회에서 제거하라.
b. 범죄자가 회원으로 있는 교회는 하나님에게서 떠났다.
c. 범죄한 교사에게 받은 세례는 무효.
d. 따로 교회를 세워 재세례.
(2) 411년 힐라리우스 (Hilarius)가 카르타고에 회의를 소집.276(도나투스),
286 (아우구스티누스) 이단으로 규정.
(3) 결정
a. 집회를 금한다. b. 회당을 정통파에 양도한다.
c. 414년 시민권 박탈. d. 예배자는 사형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조항에 반대
11. 예배와 예전
1) 회당
(1) 바실리카(Basilica)식. (2) 원형, 다각형. (3) 비잔티움 식
2) 풍속
(1) 그리스도의 화상...키릴로스가 승리한 후 6세기에 그리스도의 화상을 회당
과 각 가정에 모시게 됨.
(2) 성자 숭배...순교자 묘소에 모여 예배, 묘소에 성전 건축하고 유골은 재단
아래 둠.
(3) 유물 숭배...의복,형구,용구 등이 고가로 매매됨 (병이 낫는다고).
(4) 성모 숭배...영구 처녀설,성모라 함.
(5) 천사 숭배.
3) 예배
(1) 순서 (설교보다 의식에 치중)
a. 1부 (세례와 참회하지 않는 자도 참석) 성경 낭독,찬송,설교,기도.
b. 2부 (1부 사람 퇴장한 후)
ᄀ.신자 위해 기도. ᄂ. 헌물 모음 (집사들이)
ᄃ.감독과 장로들-평화의 키스 ᄅ. 상찬식 후 감사기도.
ᄆ.감독의 축복으로 끝남.
(2) 절기
a. 성탄절을 12월 25일에 지킴.
b. 354년 로마에서, 37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c. 기원...로마의 3가지 축제.
ᄀ. 사투날리아(Satunalia, 17-24일)...옛날 사투룬 신이 지배한 황금시대
를 기념.
ᄂ. 시길라리아 (Sigillalia,하순)...어린이들에게 인형을 주어 즐기게 함.
ᄃ. 브루마리아 (Brumaria, 동지제)...태양의 왕복 축하. 기독교인이 축일
을 모색하게 됨.
4) 성경
(1) 삼분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중에서)
a. 정통...4복음,사도행전,바울 14서신,베드로 전서,요한 일서,계시록
b. 이의 받는일...야고보,유다,벧후,요2,요3.
c. 위경..바울행전,허마의 목양자,베드로 계시록,바나바서,12사도의 교훈.
(2)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50부를 양피지에 써서 주요 교회에 기증함-이의
받는 글까지 포함.
<요 약>
*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상징적 차이
┌─────┬──────────────┬────────────────
│ 구 분 │ Augstinus │ Aquinas
├─────┼──────────────┼────────────────
│ 신 관 │신을 인격적 체험의 대상으로 │유일신 삼위 일체는 계시로만
│ │믿으며,삼위일체설 확립 │암.
├─────┼──────────────┼────────────────
│ 인 관 │원죄 유전,영혼 유전,완전 타 │완전 타락 불인정,선행 가능
│ │락,선행 불가능 │
├─────┼──────────────┼────────────────
│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확신, │그리스도 없이 속죄 가능 그리
│ 론 │신인 양성주장. │스도의 구속을 십자가의 죽음만
│ │ │이 아니고 전 생애가 구속사임.
├─────┼──────────────┼────────────────
│ 구 속 론 │Catholic신자됨이 구원의 필 │그리스도의 없이 구원 가능,그리
│ │수 조건,그리스도의 십자가 │스도를 통하는 것이 최선의 길,
│ │속죄는 구원의 필요 조건. │그리스도와 신비적 일치가 구속
├─────┼──────────────┼────────────────
│ 예 정 론 │예정론의 주장 │
└─────┴──────────────┴────────────────
II. 로마 교회 과도 시대 (590-800)
1. 서 론
중세사는 그레고리우스 1세 즉위시부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590-1517)까
지 920년간을 말함.
1) 역사의 중심의 이동 (동방에서 서방으로)
(1) 원인
a. 희랍 교회 (동방)의 내적 생명 고갈.
b. 마호메트교의 발흥
c. 로마교회의 세력 확장
ᄀ. 라틴 민족의 정치적 자질로 로마 교회 건설.
ᄂ. 영웅이 교황이 되어 교권과 정치권을 장악.
ᄃ. 교회법을 제정하여 교황권을 강화
ᄅ. 샤를마뉴,옷토 등의 영웅이 왕이 되어 교회와 제휴함.
(2) 결과
a. 권세가 있는 곳에 부패가 따름. b. 민중의 무지와 미신.
c. 사상도 정치적 통일 체제 속에 있게 됨.
2) 종교 생활
(1) 게르만 민족의 아름다운 국민성이 교회 안에서도 발휘되고, 로마인의
정치적 자질의 공헌이 컸다.
(2) 신비, 청렴한 생활 기풍이 실시
(3) 성자와 위인이 속출.
(4) 건축,조각,회화 등의 번영.
3) 종교적 부흥.
(1) 수도원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종교적 부흥이 있음.
(2) 오늘의 가톨릭을 지배하는 신학과 제도는 거의 중세기의 것이다.
4) 시대 구분
과도시대(590-800) 샤를마뉴 대제의 즉위.
생장시대(800-1073) 그레고리우스 7세 즉위.
전성시대(1073-1303) 보니파키우스 즉위.
쇠퇴시대(1303-1517) 종교 개혁.
2. 그레고리우스 1세
1) 생애
(1) 540년 로마 부호의 집에서 출생.
(2) 어머니와 고모 2명이<성자> 칭호를 받은 가정에서 성장.
(3) 부친 사망후 재산을 수도원에 기증하고 수도사가 됨.
(4) 교황의 특사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파견되기도 하고, 교황 비서가 됨.
(5) 교회와 원로원이 모두 그가 교화 되기를 갈망했으나 거절하고 변복하여
도망하다가 잡혀서 590년 9월에 교황이 됨.
2) 업적
(1) 교회의 중요 직위에 수도사 채용
(2) 교직 매매를 금함.
(3) 교직자가 된 후 결혼을 금함.
(4) 교황권 강화.
(5) 영국 전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 파송.
(6) 연옥설,성모,성자 예배 주장.
3) 실패
(1) 포카스 (Phocas) 에 대한 태도...포카스는 자신이 동로마 제국 황제로
지칭한 자로 여기에 반대하는 6명의 아들들을 부모가 보는 앞에서 학살
하였다. 그레고리우스 1세는 이 사람에게 축사함.
4) 저서와 학설
(1) 성경 주해와 설교집이 많음.
(2) 연옥설 주장.
(3) 성자 예배, 성모 예배가 시작됨.
3. 모하메드교(Mohamed)의 발흥.
1) 아라비아
(1) 사막이 많음.
(2) 소부족간의 투쟁이 계속됨.
(3) 인종은 크게 두 종류
a. 베즈인인..용맹하고 사막에 거주,유목민.
b. 하데시인..도시 외래 문화를 받음. 상업에 종사,온화한 성품.
(4) 종교..<알라> 최고신 믿으나 다신 숭배가 많음.
(5) 메카(Mecca)..모하메드교의 중심지,각종 우상이 360개나 안치되어 있음.
2) 모하메드 (Mohamed)
(1) 570년 아라비아 멕카에서 출생.
(2) 고아로 가난하게 자람.
(3) 25세 때 부자 과부와 결혼.
(4) 사업차 외국에 가서 유대교, 기독교 세계와 접촉.
(5) 40세에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일신교를 창도함으로 멕카에서 추방되어
메디나(Medina)로 도망
(6) 근방의 부족들을 규합하여 630년 멕카를 점령하고 우상을 제거,신흥 종교
의 중심지로 삼음.
(7) 632년 63세로 사망.
3) 모하메드교
(1) 기원
a. 모하메드가 개교한 종교, 처음에는 아라비아인의 종교 혁신에 있었으나
나중에는 세계 정복에 목적을 둠.
b. 전도 위해 칼을 사용.
c. 다른 일신교와 제휴하려 했으나 기독교에서 박해하므로 그도 배타적 태도
를 취함.
(2) 교리
a. 일신교로 일체의 우상을 배척.
b. 참신의 이름은 <알라> <Allah>,인류 구원을 위해 천사.모세,예수를 보냈
다. 모하메드는 천사 (예언자,인간)로 모세와 예수보다 우월함.
c. 신앙을 위해 노력하는 자 천국에 감.
d. 절대 복종(이스람(Islam.복종)이라는 모하메드교의 딴 이름을 보아도 안
다)
e. 신에게 받는 보상.
(3) 도덕
a. 근행 기도,구제, 메카 순례.
b. 음주, 돼지 고기 금함.
c. 일부다처제
d. 노예를 허락.
(4) 경전 - <코란>
a. 모하메드의 언행론 (114장으로 됨)
b. 모하메드를 최상의 예언자로 종교, 정치, 모든 사물을 정하는 무상의
권위자임.
c. 모하메드 사후 20년 후 그의 제자 아부베커(Abubeker)와 서기 지이드
(Zaid)가 편집함.
(5) 포교
a. 후계자(칼라파.Khalif.Khalifa)가 군대를 조직하고 무기를 들고 영토를
확장함.
b. 피정복자들을 설득하여 선봉이 되게 함.
c. 동편은 인도에, 서 아시아, 중앙 아시아, 북아프리카 연안,스페인 반도,
콘스탄티노폴리스, 로마까지 위협.
4) 모하메드교의 분열
(1) 원인
a. 교리 투쟁 b. 세력 다툼.
(2) 후계자의 세력 다툼.
1대 장인 아부 베커(Abu-Beker,632-644)
2대 오마르 (Omar,634-644)
3대 오트만 (Othman,644-655)...북아프리카 점령.
5대 조카 알리... 6년후 살해됨.
6대 므아위아 1세 (Moiawiya I)...알리(Ali)를 죽이고 옴마야 (Ommaiya)
가를 개설하여 100년간 유지.
(3) 분파
a. 순니파 (Sunnites)... 3대 치하에서 코란 이외의 전설 ( 이것을 순나 (
Sunna)라 부름)을 인정함, 정통파로 자처
b. 쉬데파 (Shiites)... 순나 (Sunna)를 반대 (알리)
c. 수피파 (Sufism)... 신비적 종파 (성자가 많이 남).
4. 서 유럽 전도
1) 프랑스 전도
(1) 전도자들
a. 이레네우스가 처음으로 전도.
b. 마르틴 (Martin, Bishop of Tours, 361-400)
ᄀ. 군인이므로 군대식으로 강제 입교
ᄂ. 전국 각지의 우상 전당을 헐고 우상을 제거하며 전도함.
(2) 공헌한 왕들
a. 클로레스 (Clores,496)... 예수 믿고 기독교를 장려함.
b. 샤를마르텔 (Charles Martel, 715-740)....독일과 화란에 선교사 파송.
c. 마르텔 왕자는 수도사가 됨.
d. 국왕은 보니파키우스 주선으로 대회를 소집.
ᄀ. 742년 프랑크 교회 대회의
(1) 규칙과 계율 엄수. (2) 교직자 부도덕 엄금.
(3) 신부의 결훈 금지. (4) 금욕 생활 장려.
ᄂ. 감독 회의(747)...교화의 사법권을 인정.
2) 독일 전도
(1) 윌리브로오드(Willibroad,657-739)
a. 영국인으로 아일랜드 교회의 감화와 교육을 받음.
b. 화란과 덴마아크에 선교하고 황무지에 선교 활동 전개.
(2) 보니파키우스 (Bonifacius)
a. 영국의 귀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음.
b. 윌리브로오드의 제자로 그를 도와 선교 활동을 함.
c. 교황 명령으로 프로이센(716) 선교를 거쳐 독일 전도의 사명을 받음.
d. 입신했던 사람들이 우뢰신에게 되돌아감을 보고 수천 군중 앞에서 우뢰
신이 있다는 상수리 나무를 도끼로 찍어 무사하자 많은 사람이 신앙을
갖게 됨.
e. 20년간 10만명에게 세례를 베품.
f. 744년 풀다 (Fulda)에 베네딕투스계 수도원을 건설.
g. 75세에 순교.
3) 영국 저도
(1) 선교사들
a. 50 년경 로마 군인 중 신자가 있어 교회가 건설됨.
b. 400년경 펠라기우스가 전도.
c. 파트리키우스 (Patrick,또는 Patricius 396-493)...첫 선교사.
ᄀ. 스코틀랜드 신자 가정에서 출생.
ᄂ. 어릴 때 북 아일랜드에 포로가 되어 추장집에서 6년간 목동 생활.
ᄃ. 피신하여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 후 귀가함.
ᄅ. 431년 환상을 봄 (아일랜드인이 우리를 도와 달라고 간청)
ᄆ. 안수 받고 아일랜드로 가서 30년간 전도함.
ᄇ. 일반 시민과 귀족들의 신망이 두터웠고 각처에 수도원을 세움.
d.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
ᄀ. 596년 아우구스티누스를 영국에 선교사로 파송 (교황 그레고리우스1세)
ᄂ. 켄트왕 에텔버트(Ethelbert)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영접 하고 캔터베리에
저택을 지어주고 자기도 입신, 1만명이 세례를 받음.
ᄃ. 601년 아우구스티누스가 영국 대감독이 되어 계속 선교 활동을 하였다.
(2) 선교에 공헌한 자들
a. Finan of Conlard (470-548)..수도원 제도를 크게 발전시킴.
b. 컬럼버 (Columba,521-597)..왕족 출신.
ᄀ.아일랜드 여러 교회와 두 수도원을 세움.
ᄂ. 563년 동지 12명과 스코틀랜드 아이오우너(Iona)섬에 수도원을 세움.
c. 아인단 (Aidan)... 아이오우너 수도사로 신 아이오우너에 수도원을 세움.
ᄀ. Bangar 수도원장.
ᄂ. 595년에 12명의 동지와 독일에서 선교.
ᄃ. 브루군대 (Brugundy)에 수도원 (Luxeuil)을 세움.
ᄅ. 610년 스위스 북방 여러 곳에 수도원을 세움.
ᄆ. 614년 이탈리아 봅비오 (Bobbio)에 수도원 세움.
e. 켄트공주...노오덤브리아(Northumbria) 왕 에드원 (Edwin)에게 출가할
때 방문한 아우구스티누스와 수행원 40명중 파울리누스(Paulinus)의 전
도, 에드윈 왕은 국내의 유력자를 모아 기독교 채택 여부를 의논하여 받
기로 가결.
f. 비이더 (Beada, 673-735)...수도원 출신,법학자,<영국 교회사> 저술
g. 캐드먼 (Caedmon)...시인.
3) 반동과 싸움.
(1) 노오덤브리아 남북간의 내란으로 에드윈은 전사, 파울리누스는 귀향.
(2) 노오덤브리아 왕가는 남.북계로 마찰이 심함,
(3) 644년 휘트비(Whitby)에서 영국 대표와 로마교 대표가 모여 협의함.
a. 앵글로 색슨 왕은 로마 교회에 속하기로
b. 제도와 예배 의식은 로마 교회의 법대로 하기로.
c. 부활절도 주일에 지키로.
5. 교리와 신학.
1) 화상 예배
(1) 동 제국 황제 레오(Leo)가 2개의 칙령을 발표.
a. 726년에 회당 안에 화상을 거는 것은 허락하나 입맞추지 못하도록 높은
곳에 걸라고 발표.
<반대> - 시민,수도자,다메섹,요한, 서부 그리이스의 주민들은 해군으로 유박
b. 회당에서 화상을 일체 제거하라.
<반대> - 그레고리우스 2,3세는 화상 반대자 추방을 선언 (731년)
(2) 콘스탄티누스 5세 (741-775)가 대회 소집.
<결정> - 화상,십자가, 휘장을 교회당,개인집,수도원 등에 계시하는 것을 금
함 (서방 교회는 반대)
(3) 제 7차 내케아 회의(787년.동서 회의라 불리움)
a. 콘스탄티누스 6세의 어머니가 화상 예배를 좋아하고 아들의 섭정이 되어
교황 하드리아누스와 협의하여 회의를 소집하였다.
b. <결정>
ᄀ. 예수,천사,성모,성자 화상을 시인.
ᄂ. 예배는 화상에게가 아니라 신에게 드린다.
ᄃ. 등을 화상에 드리고 분향도 가하다.
ᄅ. 화상 예배는 그 근원을 숭배하기 때문이다.
2) 니케아 신조의 문구
(1) 성령은 <성부에게서 유출한다>를 <성부 및 자신에게서 유출한다>고 주장
하는 학자 아리우스 (Arius)파 때문에.
(2) 군중이 이를 채용하고 교황이 승인.
(3) 동방 교회는 승인하지 않았고, 이것이 후일 로마 교회와 희랍 교회 분리
의 원인이 되었다.
3) 이단 바울파 (Paulicians)
(1) 개조
콘스탄티누스 실바누스 (Constantin Silveranus, 650-660)
a. 마니교 가정에서 출생했으나 마니교를 배척하였다.
b. 바울 서신에 감동되어 영과 유신,율법과 은혜를 대조하여 열심히 그 주의
를 설명함,
c. 바울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자신을 실루아노,제자들을 디모데, 디도 등으로
불렀다.
(2) 주장
1891년 아르메니아남방 에드미아찐 (Edmiatzin)도서관에서 발견된 <진리의 검
> 이라는 책에 의함.
a. 이원론 (이원론) 주장 (세상은 악의 세력이 조장했으나 영은 신에게서
왔다.
b. 예수는 하나님의 양자이다.
c. 신약은 베드로 서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선한 신의 말씀이다.
d. 로마 교회 제도를 혹평 (화상 예배,수도원,성례 등에 대하여)
e. 생활은 순결,개혁 정신이 강함.
(3) 전파
a. 콘슨탄티누스가 27년간 키봇사에서 전도.
b.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포고나투스 세메온 (Pogonatus Simeon)을 사자로 보
내어 (685년)정통 교회를 따를 것을 권면하였으나 도리어 시메온이 감동
되어 그 무리에 가담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시메온은 699년에 화형을 당
하였다.
c. 박해와 수령의 도덕적 타락 행위로 말미암아 분열되었다.(여황제 테오도라
의 박해로 10만명이 죽었다).
10. 그리이스 교부
1) 소아시아의 신학자
이 시기는 대략 주후 170년경으로 변증가 시대의 끝으로 삼는다. 이들은
사도 요한의 계승자이며 성경 해석의 중점을 이단에 대한 태도를 취하였다.
(1) 이레네우스(Irenaeus,115-119경 출생)
a. 소아시아 신학자오 고올 (Gaul)지방 감독.
b. 온유,준수, 박학자
c. 리용(Lyon)시에 전도하여 전 시민이 거의 신자가 됨.
d. 그의 신학
ᄀ. 사도 이래의 전설을 존중하고 신앙의 표준을 존중함.
ᄂ. 신관(1) 신은 자유 의지로 창조한 유일신이다.
(2) 신의 피조물인 우주는 선하다.
ᄃ. 기독관 (1) 그리스도는 신이 자기를 표현한 로고스다.
(2) 그리스도는 영원히 아버지와 함께 계신다.
(3) 출생 방법은 모른다.
ᄅ. 성령관 (1) 성자와 같이 하나님 아버지께 포함된 것이다.
(2) 성자에게 복속의 지위가 있다.
ᄆ. 특색...그리스도는 교사가 아니요 구주이다. 사람 경험을 체험하면서
사람이 하나님께 드릴 충성을 한몸에 지고 대신하였다.
(2) 힙폴리투스(Hippolitus)
a. 이레네우스의 제자로 박학자.
b. 로마 티베르(Tiber) 강 하류 포르투스 로마누스가라는 주장도 있다.
c. 사르지니아 섬에 추방당해 순교한 듯 하다.
d. 1551년 티베르강 한 섬의 순교자 사당 자리데서 그의 이름이 세겨진
상을 발견.
1842년 프랑스 학자 빌맹(Villemain)이 터어키 아소스산 수도원에서 그의 저서
< 모든 이단을 배척함> (Against all Heresies)을 발견.
2) 알렉산드리아 학파 (Alexandrian School)
(1) 판테누스 (Pantaenus)
a. 스토아(Stoics) 철학을 교육받은 자.
b. 열심가로 인도에서 전도.
(2) 클레민스 (Flavius Clemens)
a. 판테누스 문하에서 수학,189년부터 12년간 신학 교수
b. 202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Septimius Severus) 황제 박해로 안디옥과
피난,저술과 강론으로 교회 봉사
c. 성격이 온순, 명상을 좋아함.
d. 213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죽음 e.저서
* <그리이스인에게 주는 권면 (Exhortation to the Greek)
* <교육자 (Paedagogue)>
* <잡설 (Stromata)>
(3) 오리게네스 (Origenes)
< 생 애 >
a. 185년 알렉산드리아 출생.
b. 어릴 때 신앙독실, 총명,부지런함.
c. 아버지는 202년 대 박해시 순교,모친과 6명의 자매 위해 필경과 학생
가르침.
d. 18세부터 클레멘스 후계로 신학 교수가 됨.
e. 청년시에 수술하고 고자됨 (천국 위해).
f. 명성이 놓아지자 시기하여 군인들이 감시하고 그 문하생 7명 사망.
g. 211년부터 로마, 아라비아,팔레스티나,그리이스 등지로 전도 여행.
h. 이단설 주장한다고 추방되어 가이샤라에서 신학교 교장이 됨.
i. 244년 옥중에서 사망.
j. 저서 - 6천년이라고 전해짐.
< 신 학 >
a. 기독교 진리를 철학으로 해석하고 조화시키려 함.
b. 육신.정신.영이 있는 것처럼 성경에도 문의적.도의적.심령적 3종이
있다함.
c. 부와 자는 하나이다. 동질이며 같은 인격이다.
d. 영혼 선재설(선재설) 주장.
e. 내세관은 연옥설과 지옥유한설 주장.
f. 우주관은 플라톤의 영향을 입어 Idea 세계와 물질 세계가 있음을 주장.
g. 계시관은 성경을 은유적으로 해석.
h. 구원관은 만인구원설 주장.
< 요 약 >
(1) 극기 생활 (천국 위해 고자, 청년 시절 금주)
(2) 업적 많음 (기독교 학자, 변증가, 저술가)
4) 알렉산드리아 신학 과정
a. 과학,기하학,생리학,천문학
b. 철학-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책 연구.
c. 논리학 연구
d. 신학 연구
11. 라틴 교부
1) 테르툴리아누스 (Tertullian)
(1) 160년경 카르타고에서 아버지는 백부장, 어머니는 이교도인 가정에서
출생,40세에 신자가 됨.
(2) 그의 신앙관
a. 시조 아담의 불순종으로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불화가 생겼다는 죄악론.
b. 영혼은 부모에게서 유전 받았다는 유전설 취함.
c. 죄도 유전 받은 고로 죄가 육체에 있지 않다고 주장.
d. 그리스도의 사업은 십자가의 죽음으로 포괄했다.
e. 삼일신 사상 창시자.
f. 유아 세례 반대.
2) 키프리아누스 (Cyprian)
(1) 200년에 칼타고의 부잣집에서 출생,수사학,문학,법학 교사가 됨.
(2) 248년 카르타고 교회 감독이 됨.
(3) 250년 박해로 사막에 피난가서 서신으로 교회를 격려.
(4) 그의 교회론
a. 교회 안에만 구원이 있다.
b. 교회를 버린자는 외인이고, 속인이 며 적이다.
c. 교회를 어머니라고 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을 아버지라 할 수 없다.
d. 노아 방주 밖의 사람이 멸망 받음 같이 교회 밖의 사람은 멸망당함.
e. 교회는 단일, 즉 가톨릭 교회 외에 다른 교회는 있을 수 없다.
f. 교회는 감독에 의해 세워졌으니 감독 없으면 교회도 없다.
g. 분리한 교회나 이단자의 세례는 무효이다.
h. 교회 통일을 주장한 가톨릭 교회 사상의 시조.
< 요 약 >
(1) 교회만이 구원이 있고 감독권을 놓임. 교회을 방주 등으로 표현.
(2) 최초의 가톨릭 성직제도 계급 지도자.
< 교부들의 사상 비교표 >
■■■■■■■■■■■■■■■■■■■■■■■■■■■■■■■■■■■■■■■
■ 이 름 ■ 연 대 ■ 동 지 ■ 저 서 ■ 순 교 ■
■■■■■■■■■■■■■■■■■■■■■■■■■■■■■■■■■■■■■■■
■ Clemens ■92-101 ■ 마감옥 ■클레멘스 제2 ■ ■
■ 클레멘스 ■ ■ 러교회에 화 ■서 그의 설교 ■ ■
■ ■ ■ 에 힘씀 ■집 ■ ■
■■■■■■■■■■■■■■■■■■■■■■■■■■■■■■■■■■■■■■■
■ Ignatius ■D.125 ■ 디옥감독 ■로마 호송중 7 ■라야누스조옥 ■
■ 이그나티 ■ ■ ■통 서신 ■이 ■
■ 우스 ■ ■ ■ ■ ■
■■■■■■■■■■■■■■■■■■■■■■■■■■■■■■■■■■■■■■■
■ Polyacar ■D.155 ■서머나 감독 ■빌립보 교회 ■르쿠스아우렐 ■
■ 폴리카르 ■ ■ ■서 ■스 시화형(5대)■
■ 푸스 ■ ■ ■ ■ ■
■■■■■■■■■■■■■■■■■■■■■■■■■■■■■■■■■■■■■■■
■ Papias ■D.150 ■히에라폴리스 ■주의 교훈의 ■ 순 교 ■
■ 파피아스 ■ ■교회 감독 ■설명 5책 천 ■ ■
■■■■■■■■■■■■■■■■■■■■■■■■■■■■■■■■■■■■■■■ 년기론자■ ■ ■ ■ ■ ■
■ Hermas ■D.140 ■로마감독 비오 ■목양자 말세기 ■ ■
■ 헤르마스 ■ ■의 제자 ■적 문학 ■ ■
■■■■■■■■■■■■■■■■■■■■■■■■■■■■■■■■■■■■■■■
■ Justinus ■100-165 ■철학자.철학적 ■대 변증서,소 ■ 마순교 마르 ■
■ 유스티누스 ■ ■으로 서방전도 ■변증서.트리포 ■ 스아우렐리우 ■
■ ■ ■ ■스 대화 ■ 분살재를 투 ■
■ ■ ■ ■ ■ ■ 투강(5)
■■■■■■■■■■■■■■■■■■■■■■■■■■■■■■■■■■■■■■■
■ Tatianus ■110-172 ■로마거주 ■헬라인에 대한 ■ ■
■ 타티아누스 ■ ■ ■담론 디뎃사론 ■ ■
■ ■ ■ ■(예수전) ■ ■
■■■■■■■■■■■■■■■■■■■■■■■■■■■■■■■■■■■■■■■
■ Irenaeus ■115-202 ■폴리카르푸스 ■교회 평화 주장 ■셉티미우스 세 ■
■ 이레네우스 ■ ■제자 갈리아 ■라틴 신학 공헌 ■베루스 조 순교■
■ ■ ■ ■"이단을배척함" ■(6대) ■
■■■■■■■■■■■■■■■■■■■■■■■■■■■■■■■■■■■■■■■
■ Clemens ■D.213 ■알렉산드리아 ■그리이스인에게 ■셉티미우스 세 ■
■ 클레멘스 ■ ■계 안디옥 ■권면교육자.잡설 ■베루스 박해시 ■
■ ■ ■ ■찬송가. ■안디옥으로 감 ■
■■■■■■■■■■■■■■■■■■■■■■■■■■■■■■■■■■■■■■■
■ Origenes ■185-254 ■아라비아 전도 ■헥사플라.교리상 ■데키우스박해 ■
■ 오리게네스 ■ ■가이사랴 신학 ■변증적 저술 ■로 죽음 ■
■ ■ ■교 설립 ■ ■ ■
■■■■■■■■■■■■■■■■■■■■■■■■■■■■■■■■■■■■■■■
■ Tertulli ■160-240 ■청년시부량 북 ■변증론 이단의 ■ ■
■ anus 테르 ■ ■아프리카 거주 ■금제,중요논문 ■ ■
■ 툴리아누스 ■ ■가르타고 ■다수 ■ ■
■■■■■■■■■■■■■■■■■■■■■■■■■■■■■■■■■■■■■■■
■ Cyprianus ■200-258 ■가르타고감독 ■교회의 일치 81 ■데키우스 박해 ■
■ 키프리아누 ■ ■ ■서신 교회 규칙 ■때 막에 도피 ■
■ 스 ■ ■ ■조직 ■재귀발레리아누■
■ ■ ■ ■ ■스조 참형 ■
■■■■■■■■■■■■■■■■■■■■■■■■■■■■■■■■■■■■■■■
12. 이단과 분파들
1) 유대교적 이단
(1) 에비온 파 (Ebionites. 가난한 자)
a. 바울 교리의 배척 (마태 복음만 사용한 듯함)
b. 율법고수
ᄀ. 할례를 행하고 ᄂ. 안식을 지키고
ᄃ. 금식 ᄅ. 율법을 문자적으로 해석
c. 기독관
ᄀ. 동정녀 탄생 부인 ᄂ. 인성만 주장
ᄃ. 수세시 직분 받음을 거부 ᄅ.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됨.
(2) 엘카이파 (Elkesaites)
a. 예수는 아담이 다시 사람이 되어 나왔고 앞으로도 다시 육신을 입을 수
있다고 주장.
b. 할례를 행하고, 안식을 지키고.금식한다.
(3) 그노시스파 (Gnosticism)
a. 말뜻(어의)...헬라어(지식.Gnosis)에서 나옴.지식이란 신비적 초자연적
지식이요 보통 지식이 아니다.
b. 당시 유행하는 점성술, 마술, 철학,페르시아의 이원적 우주론의 혼합체
에 기독교 교리를 혼합해서 일종의 종교 철학을 구성하려고 한 것이다
c. 그들의 새 교리
ᄀ. 구약에서 유대교적 요소를 거절할 것
ᄂ. 예수의 육체적 고난, 부활 등의 실재를 부인.
ᄃ. 금욕과 방랑 생활을 시인.
d. 그들이 해결하려는 문제
ᄀ. 하나님이 창조한 우주에 왜 죄가 있고 재해가 있느냐
ᄂ. 어떻게 하면 사람이 구원을 얻을 수 있는가?
ᄃ. 신.구약의 관계에 관한 것.
e. 여기에 대한 이들의 해명
ᄀ. 신으로 유출된 아이온 (Aeon- 영원히 존재하는 자라는 뜻)이 신에게
멀어져 최하급에 달함.
ᄂ. 우주는 하급 신이 창조한 것이므로 불완전과 죄가 있다.
ᄃ. 구약 성경의 신은 하급신이다.
ᄅ. 그리스도는 최고 아이온이며 가현하였다.
ᄆ. 구원은 물질의 구속을 해탈하고 하나님께로 돌아감이니 소수이다.
ᄇ. 속죄는 지식을 통해 완수한다.
ᄉ. 인류는 선악의 혼합으로 삼분할 수 있다.
* 물질적 인간 * 심령적 인간 * 정신적 인간
2) 교회의 분파
(1) 몬타누스파 (Montanism)
a. 기원... 156년 프리기아(브루기아)의 몬타누스에 의해 시작됨
(테르툴리아누스 분파)
b. 교리... 구교와 일치함 (성경은 전부 정경)
c. 원시... 원시 기독교의 부흥
ᄀ. 신앙보다 지식을 강조하는 사상을 반대 (그노스시스주의 반대)
ᄂ. 엄격한 규율을 실시(천년왕국설)
ᄃ. 교회의 계급 제도를 반대(만인 제사주의)
ᄅ. 금식과 고행을 장려,재혼 금지,금욕주의
ᄆ. 세례 후 범죄는 무서운 것이라고 강조.
(2) 노바티아누스파 (Novatianists)
a. 분파된 원인
ᄀ. 데키우스황제 시대 (249-251)에 박해로 변절자가 많았는데 이들이 다
시 교회로 들어오려할 때 어떻게 처리하느냐로 의견이 갈라졌다.
ᄂ. 로마 교회와 동방 및 서방 감독들과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관대히 대함
ᄃ. 노바티아누스는 엄중히 계율을 지키게 할 것을 강조
ᄅ. 로마 감독들은 여러 차례 회합하고 노바티아누스를 파면하고 변절자
들은 적당히 회개시키고 받아드리기로 결정
b. 이들의 주장
ᄀ. 신앙을 배반한 치명적인 범죄자는 교회에서 받아드릴 수 없다.
ᄂ. 그외 중죄는 우상 숭배,살인,음란 등이다.
ᄃ. 죄목....(1) 분파주의자로 교회 질서 문란, 분렬 조성
(2) 이단 주장
ᄅ. 이 분파는 7세기에 가서 자취를 감춤.
(3) 도나투스파 (Donatism)
a. 파생 원인과 주장
ᄀ. 박해시 성경을 버린 자들을 용서할 수 없다는 강경론 때문.
ᄂ. 범죄한 자가 속한 교회는 하나님이 떠났으니 제명하라.
ᄃ. 범죄한 교사에게 받은 세례는 무효라고 주장.
b. 분파 과정
ᄀ. 카르타고에서는 두파로 분렬되고 두 감독이 세워지고 북아프리카는
분란이 계속됨.
ᄂ. 콘스탄티누스 데제는 처음에 이단을 규정했다가 33년에는 태도가 변하
여 신앙과 예배의 자유 법령을 공포하고 가톨릭교회에는 관용 정책을
쓰도록 권유함.
ᄃ. 330년에는 270명의 감독이 이 파에 속함.
c. 교리와 주장
ᄀ. 엄격한 교회의 규칙과 교인의 순결을 주장
ᄂ. 세속적인 교직자를 배격함.
ᄃ. 교회 일에 세속 사람의 간섭 불허
ᄅ. 감독 정치를 채택.
ᄆ. 세례를 받아야 구원받는다.
ᄇ. 개인주의로서 편협,완고,광신 상태로 흘러감.
3) 마니교
로마 제국 동방에서 3세기에 일어난 종교로서 그노시스파와 비슷한 점이 있으
나 그 근원이 동방이며, 서방으로 흘러와서 기독교와 접촉하고 기독교적 요소를
흡수하였다.
(1) 교조 마니 (Mani.216-276)
a. 페르시아 귀족의 아들로 19세-24세 때 계시를 받음.
b. 인도와 중국 여행을 하고 돌아와서 많은 신도를 얻음.
c. 페르시아 궁정에서 우대했으나 반재자의 미움으로 십자가에 달려 가죽
벗겨 죽임을 당함.
(2) 교리
페리시아의 이원론을 근거로 이 세계는 광명과 흑암의 투쟁장이라고 함.
a. 인류는 악마가 광명국에 침입하므로 생겼다.
b. 그러므로 인생이 돌아갈 곳은 해탈이다.
c. 해탈하기 위해서는 금욕 생활을 하여야 한다.
ᄀ. 입의 봉인....육식,망언을 말라.
ᄂ. 손의 봉인....모든 악한 일을 행치 말라.
ᄃ. 가슴의 봉인... 정욕과 악한 생각을 말라.
(3) 조직
마니-12사도-70감독-교사-행장
(4) 전파
메소포타미아,수리아,팔레스티나, 이집트,북아프리카 스페인 등지에서 13
세까지 계속되었다.
13. 성경과 신조
1) 성경
(1) 성경의 집성
a. 초기 주일 예배시에 예수의 언행록을 읽음.
b. 160년 전후 사복음서에 종합 집성.
c. 마르키온은 사도 서신 (바울의 10서신)을 경전의 일부함.
d. 테르툴리아누스 시대에는 이미 신악의 집성이 완료됨
(2) 무라토리 단편
a. 1740년에 이탈리아의 역사가 무라토리(Muratori)가 미라노의 도서관
에서 발견하였다.
b. 4복음서,사도행전,바울의 13개 서신,유다서, 요한2서와 요한 계시록
(3) 페시토 (Peshito)
a. 2세기 중엽 이전에 에뎃사에서 만들어진 시리아(수리아)어역.
b. 4복음서,사도행전,바우르이 13서신,히브리서,야고보,베드로 후서,
요한 1서가 포함.
c. 유다서,베드로전서,요한2.3서가 추가됨.
d. 이레네우스는 야고보, 유다서, 베드로 후서,요한3서를 인용치 않음.
e. 클레민스는 빌레몬, 요한2.3서,베드로 후서,야고보서를 인용하지 않음.
f. 테르툴리아누스은 야고보, 베드로 후서,요한 2.3서를 인용하지 않음.
<요약>
정경 (Canon)에 대하여
(1) 신구약 66권이 정경
(2) 희랍어 [카논]은 <곧은 장대> <지팡이>라는 뜻
(3) 성경에는 <규례> <분량>이라는 뜻으로 사용됨(갈6:13,15,16 고전 10:
13,15,16).
(4) 교회가 Canon 을 정경이란 뜻으로 시작한 것은 이 말이 애초부터 사랑
의 신앙 행위를 규정하는 원리라는 관념을 갖고 사용함.
(5) 신약 성경도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까지 쓰여지고 교부들의 서적에도
이 관념을 갖고 사용함.
(6) Canon <표준> <근본원리> <근본적인 원리를 기록한 책의 목록>을 뜻함.
(7) 결정 시기....동방 교회가 382년 로마 전체 회의에서 27권과 그 목차
가 확정됨.
(8) 결정 기준
a. 역사적 기준:사도적 권위가 있는가?
b. 내적 기준: 그 감화력이 사도들의 것과 동일한가?
2) 사도신경
(1) 12 사도가 예루살렘에서 신앙의 표준으로 작성하여 베드로가 로마에
가지고 갔다는 전설에 의하여 <사도신경>이라고 함.
(2) 당시 수세 후보자의 신앙 고백으로서 오랫 동안 사용되어 왔다.
(오늘의 것과 같지 않음)
(3) 아리우스 등 이단이 일어남으로 정통 교리를 표시할 만한 문자를 넣어
381년에 전문이 완성된 듯하다 (콘스탄티노폴리스 회의).
14. 교회 정치와 역원
1) 교회 정치
(1) 교회 주권
a. 대도시 교회로 집중...탁월한 지도자와 경제적 풍부함으로 인하여
b. 교회는 구원의 조직체...교회 외에는 구원이 없다함
c. 감독의 권위....감독 없이는 교회도 없다하여 전권을 장악.
(2) 지방 대회
a. 도시를 중심하여 지방 대회가 열림.
b. 4세기 경에는 카르타고, 알렉산드리아, 로마 안디옥.갈라디아.엘베리
스(Elberis), 아를 (Arles) 등지에서 회집.
c. 의장은 대부분 대도시 감독이 되고 간혹 연장자가 됨.
2) 역원
(1) 직제
a. 초기 ...감독,장로 b. 3세기 중엽...감독 1명,장로단,집사국
c. 3세기 후반...(안수직) 감독,장로단,집사 (비안수직),부집사,시승,
악마 조복사,독경사,수위 등.
(2) 자격
a. 심신이 건전하고 도덕심이 견고한 자.
b. 자기 교회에서 피선된 자.
c. 30세 이상 단,병상에서 수제자, 관직자, 군직자, 재혼자, 노예,스스로
된 불구자, 수세 후 중범자는 될 수 없음.
(3) 임직
a. 감독...지방 교회 평신도에 의해 선출...3명의 인근 감독이 안수.
b. 장로 집사... 교회가 교직자에 의해 선출...감독이 안수.
(4) 권한
a. 대감독...그 지방 전 감독을 지휘하고 안수례를 행하고 2년 1차 종교
회의를 소집하고 의장이 됨.
b. 목사... 하나님과 사람의 중재자로 군림.
c. 감독...교회 정치의 수반,행정 관리.집례,설교,종교회의 참석.
d. 장로..통상예배 관리,안수례 행함.신도 교육,종교회에서 감독의 상담
역할.
15. 예배와 예전
1) 예배
(1) 예배 장소
a. 초기는 개인집,셋집,회당
b. 200년 후는 특별한 건물에서 예배.
c. 회당은 평행 4변형으로 본당과 목사의 자리인 강단으로 설비.
(2) 예배 내용 (주일 회집)
a. 찬송... 시편과 성경중 이사야 6장,눅 1:46-2:29, 마21:9를 노래함.
b. 성경 낭독...사도가 쓴 예수의 언행록,선지자의 글.
c. 설교...회장이 간단한 말로 즉석 설교, 후에는 준비하여 설교함.
d. 기도...총기립하여 힘에 지나도록.
e. 성찬식..떡,포도주,물을 가지고 회장이 나누어 줌 결석자는 집사는
통해 보내줌.
f. 헌금...회장이 보관하여 고아,과부,병자,곤궁한 자를 구제한다.
2) 예전
(1) 세례
a. 수세전...기도하고 자주 금식(2년간)
b. 문답시...사죄에 관한 원칙을 알게 하고 구하게 함.
c. 세례식...세번 침례함.
d. 수세후...일 주일간 목욕 안함.
e. 축일. 부활절 ...50일간 흰 옷 입음
(2) 유아세례
a. 찬송...이레네우스, 키프리아누스
반대...테르툴리아누스
b. 라틴 교회는 전반적으로 시행
(3) 부활절
a. 동방...유대인의 유월절 (니산월 14일)
b. 서방...춘분후 첫 만월 다음 주일
c. 이를 통일하기 위해 158년 폴리가르푸스가 로마에 가서 타협하려 하였
으나 에베소 감독과 이레오가 반대.
d. 325년 니케아 회의에서 통일.
(4) 렌트 (Lent)
a. 부활절전 1주간 (고난주간)근신.
b. 40 시간 무덤에서 머문 시간 동안 금식.
c. 40 일간 렌트(대제)로 지킴.
(5) 승천일과 오순절
a. 부활 후 40일째는 승천일.
b. 부활 수 50일째는 오순절.
(6) 주현절
성탄절이 없을 때 예수의 세례와 그 출현을 축하하는 날임.
16. 생활과 풍속
1) 박애와 자선
(1) 박해가 심하므로 성도는 단결
(2) 로마 감독 우르바누스 1세 (223-230)는 걸인 없음을 확인.
(3) 시리아(수리아),아라비아,가바도기아까지 원조.
(4) 카르타고 질병시에 시체를 처리하여 전염병을 방지.
2) 정결한 생활
(1) 결혼은 인정하나 독신 남녀는 존경.
(2) 이혼 후 재혼하지 못하며 재혼자는 파문.
(3) 교직자는 장립 후에 결혼을 피할 것.
3) 은둔 생활과 금식 (수,금요일은 아침 식사를 하지 않음)
4) 순교자와 수절자 숭배
5) 장례식
a. 화장하지 않음. b. 과도히 슬퍼하지 않음.
c. 복상기 상복은 일반과 같음.
d. 죽은자의 일용 기구, 장식품은 묘문에 장식
제 3 부 근 세 사 (근세사)
I.종교 개혁 시대 (1517-1648)
1. 서 론
1) 개혁의 필요성
(1) 교회의 부패...교직 매매,고급 성직자의 부도덕한 생활,음행.
(2) 교황의 세속화...교회의 권위 추락.
2) 개혁의 원인
(1) 교회의 타락...교직의 타락으로 휴머니즘의 발생.
(2) 개혁 전 개혁자의 위클리프,후스 등의 개혁론의 영향.
(3) 교황 레오 10세의 속죄표 판매에 대한 루터의 봉기.
3) 개혁의 형태
(1) 루터파...독일과 동북 유럽.
(2) 쯔빙글리파...쮜리히를 중심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스위스와 남부 독일.
(3) 칼빈파...제네바를 중심으로 불어를 사용하는 프랑스,스코틀랜드,네덜란드
(4) 영국 개혁파...영어를 사용하는 민족.
(5) 제세례파...서부 유럽의 대부분.
(6) 예수회...구교 운동으로 반종교 개혁 운동
4) 개혁이 성공한 지역.
(1) 튜톤족이 자리잡은 북유럽과 로마 이외의 지역.
(2) 로마교화된 라틴족이 거주하는 남유럽 실패.
5) 정치 형태
(1) 루터파...확정된 양식이 없음.
(2) 칼빈파...장로 정치.
(3) 영국교...구교 정치.
(4) 재세례파...침례교가 회중 정치.
6) 신학 사조
(1) 구교와 일치점...하나님,그리스도,성령,
(2) 다른점...교회,성경,구원,내세관 등.
a. 전설,가경을 배격. b. 교회내 구원,예전 반대.
c. 연옥설,속죄표,미사.화체설 반대
d. 루터,쯔빙글리는 개척,칼빈과 멜랑히톤은 조직.
7) 예배 의식.
(1) 지방어로 설교,교육 부흥,미사 분향 제도 폐지.
(2) 성일,성자,유물,성상 숭배,사자 위한 기도,성지 순례 등 폐지.
<요 약>
*종교 개혁의 공과
1) 공
(1) 성경의 근본 사상으로 환원.
(2) 우상화와 의식화한 예배를 중심으로 환원.
(3) 전체주의에서 신앙의 자유 얻음(성경 해석의 길 제시, 하나님과의 직접
교제).
(4) 로마 교회내의 자체 혁신 운동 전개.
2) 과
(1) 신교안에 여러 교파가 생김.
(2) 전쟁 유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파탄)
* 종교 개혁이 경제계에 미친 영향.
(1) 봉건주의의 몰락으로 중산 계급의 부흥.
(2) 일반적 지식을 발달로 문화의 향상.
(3) 개인주의 부흥으로 자본주의 형성,
(4) 각종 공업 발달의 계기.
2. 마르틴 루터 (Martin Luther)와 개혁
1) 생애
(1) 1483.11.10 독일 아이스레벤에서 광부의 아들로 출생, 어머니는 독실한
신자였다.
(2) 19세에 에르푸르트(Erfurt)대학에서 스콜라 철학과 라틴 문학 전공.
(3) 법학을 전공하려다가 아우그수티누스 교단 수도원에 들어감.
(4) 베텐베르크 대학의 논리학,물리학 교수를 거쳐 신학 교수가됨.
(5) 1511년 수도사 회의 사명을 띠고 로마 여행,교회의 여러가지 부조리를
알게됨. 1512년 신학 박사 됨.
(6) 1525년 카타리나 폰 보라(Katharina von Bora)수녀와 결혼
(7) 1546.2.18 죽음.
2) 개혁 사업
(1) 발단...교황 레오 10세의 속죄표 판매에 반대하여 1517년 10월 31일에
95개조 논제로 공격.
(2) 추방장...에크(John Eck)의 재빠른 고발에 따라
a. 저서를 불태우라
b. 60일내 회개하지 않으면 그 일당까지 체포한다. 루터는 1520.12.10 대학
에서 교수와 학생들을 모아놓고 추방장을 불태워 버렸다.
(3) 95개조 항의문
a. 대의
ᄀ.속죄표는 하나님의 징벌을 없이 할 수 없고, 교회의 정죄만 없이 할 뿐
이다.
ᄂ.속죄표는 죄를 사할 수 없다.
ᄃ.속죄표는 죄인이 하나님께 의당히 받아야 할 형벌을 없이 할 수 없다.
ᄅ.연옥에 있는 영혼에게는 속죄표가 쓸 데 없다.
ᄆ.죄를 참회한 신자는 하나님께 사죄함을 이미 받은고로 속죄펴는 쓸 데
없다.
ᄇ. 선행,공로,보화가 무엇인지 평민이 깨달을 수 없고 그 보화 창고는
하나님의 은혜와 영광을 가르친 복음 뿐이다. 교황은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나 성도들의 공로를 팔 권한이 없고 정죄만 없앨 권한이 있다.
b. 내 용
ᄀ.서론 1-7 ᄂ.연옥에 있는 자 사면 문제 8-29
ᄃ.살아있는 자 사면 문제30-80. ᄅ.평신도로서 반대 81-91
ᄆ.판매 동기의 잘못 지적 92-95.
3) 사상과 저서
(1) 사상
a. 경험적,실제적 종교 탐구. b. 성찬은 공재설 주장.
c. 삼대 주장
ᄀ.이신득의 (믿음으로써 의롭게 된다)
ᄂ.신자개제사장 (믿는자는 모두 제사장 이다)
ᄃ.성경의 권위.
(2) 저서
a. 1520.5.선행론 (선행은 오직 신앙에서)
b. 1520.8.독일 크리스찬 귀족에게 고함 (교황청의 부패를 공격)
ᄀ.교황의 속권 지배 반대.
ᄂ.교황만의 성경 해석 반대.
ᄃ.교황만의 회집권 주장 반대.
c. 1520.10 교회 바벨론 포로 (성도는 다 제사장,성찬,세례,참회만 예전)
d. 1520.11 크리스챤의 자유 (로마서를 토대로 한 이신득의 교리).
4) 루터의 바름스 (Warms) 국회
(1) 1521년 1월 21일 카알(Karl) 5세가 바름스(Warms) 에서 국회를 소집.
(2) 의제 - 루터 처리 문제.
(3) 교황 특사 - 알렉산도 (Alexander)
(4) 루터의 국회 출두
a. 카알 5세가 신변 안전 보증서를 주어서 소환.
b. 죽음을 각오하고 3월 26일 출발.
c. 도중에서 군중들의 환송을 받음.
d. 작사,작곡의 찬송가 <내 주는 강한 성이요>를 부름.
(5) 국회의 심문 (4월 17일)
a. 25권의 저서가 루터의 것인가? (그렇다)
b. 이를 취소할 수 없는가? (진리가 아니라는 것을 성경으로 증명하기 전에는
취소할 수 없다).
(6) 황제의 명령.
a. 루터는 죄인.그와 만나는 자도 처벌하다.
b. 루터는 저술을 금한다.
(7) 4월 26일 구기 도중 친구의 성으로 납치되어 신약 번역에 착수했다. 1521
년 3월에 탈고, 1543년에 14회 정정 출판.
3. 독일의 개혁 운동.
1) 멜랑히톤(Philipp Melancthon 1497-1560)
(1) 21세기부터 대학의 어학 교수 (히브리어,그리이스어)
(2) 성격이 온유 겸손하고 강직하므로 혁명적인 루터의 유일한 동지였다.
(3) 저서 <신학 통론>
a. 권위는 성경에 있다.
b. 신앙...예수가 우리 죄를 위해 죽으심을 확신하는 것.
c. 예전...세례와 성찬.
2) 과격파와 온건파
(1) 온건파...에라스무스 (루터의 개혁이 과격하다고 비판)
(2) 과격파
a. 카알시타트(KarlstadtP...독신주의,성상 숭배,성찬식.제사 부분 등 반대.
b. 토마스 뭔쩌 (Thomas Munzer) 등 3인
ᄀ. 유아 세례 부인 ᄂ.성경과 교직을 경히 여김.
ᄃ. 사회 조직의 개혁을 강조 ᄅ.세상 종말이 가까웠다고 혼란.
(3) 루터의 방문...1522년 3월 바르트부르크(Warburg)에
a. 8일간의 설교로 혼란과 질서를 완전히 회복 (과격주의 배격)
b. 많은 수도사와 일반 귀족들의 지지를 얻음.
3) 분열
(1) 농민의 난...1524년 농민의 봉기를 무력으로 진압하여 사망.자 15만명에
달함. 루터는 귀족편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킴.
(2) 에라스무의 분열...자유 의지를 강조하여 루터와 반대의견 발표.
(3) 루터의 결혼...1525년 귀족 출신 수녀 카타리나 폰 보라(Katharina von
Bora)와 결혼 (이는 많은 사람에게 조소 거리가 됨).
4) 황제외 박해와 항의
(1) 1526년 스파이어(Speier)국회...제후는 교황이나 황제 앞에서 답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신앙을 정하는 권리가 있다.
(2) 1529년 국회 재소집.
a. 가톨릭 제후국주의 개혁주의 선전을 금지함.
b. 개혁주의 제후국에서 가톨릭 활동은 자유.
c. 옛날부터의 권위와 세입은 그대로 가진다.
(3) 개혁파의 항의
a. 1529년 4월 19일 항의문 제출.
b. 서명자...5제후국,14자유시
5) 신교 발전
(1) 1530년 6월 25일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문 작성 (멜랑히톤이 기초)
(2) 1532년 뉘른베르크에서 신구교 화친 조약 체결.
(3) 1539년 덴마아크,스웨덴,노르웨이 등이 신교권에 가담.
4. 쯔빙글리 (Zwingli)의 개혁 운동.
1) 생애
(1) 1484년 1월 1일 스위스 빌트하우스 (Wildhaus)에서 출생.
(2) 15세때 뵐플린 (Wolflin)의 문하생이 되고, 2년 후에 비엔나에서 유학,
철학 연구
(3) 1506년 글라루스(Glarus)에서,1516년 아인지이델른에서, 1519년 쮜리히에
서 목회.
(4) 1531년 10월 갑펠에서 가톨릭 연맹과의 싸움에서 전사.
2) 개혁 사업
(1) 주요 활동 무대...쮜리히 쮜리히는 인구 7천명의 소도시.1519년에 쮜리히
목사가 됨.
(2) 67개조 논재 (루터의 95개조 논제와 비슷)를 걸고 토론하여 시 의회에서
통과됨.(민주국가이므로 다수의 지지로 통과.시행).
a. 예배 의식의 근본적 개혁.
b. 교회 정치의 주권은 교회에 있음.
c. 대회 조직-목자,각 교회 대표 2명,정부 대표8명.
3) 스위스의 각지의 개혁 운동
(1) 베른(Bern)
a. 1528년 1월 26일 개혁 단행.
b. 베르트홀로 할러 (Berthold Haller).세바스티안 마이어 (Sebastian Mayer
)등이 지지함.
(2) 바알 (Bazel)
a. 1525년 2월에 개혁
b. 요한 외콜람파디우스 (Johann Oecolampadius,1482-1531)가 개혁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목사요, 대학 교수로서 쯔빙글리 다음가는 개혁자였다.
4) 신구 양파의 투쟁
(1) 원인
a. 산림 지역 5개조는 개혁을 거절하고 연맹을 맺음.
b. 시비쯔주에서 목사 1명을 이단이라고 화형시킴.
(2) 캅펠 (Kappel)의 제1일 조약
a. 산림 지역 주는 군비를 지출한다.
b. 각주의 신앙은 다수로 결정한다.
c. 종교상 문제로 분쟁하지 말것.
(3) 캅펠 제 2 조약
a. 1531년 산림 지역 주들이 조약을 어기고 군사 8천명으로 쮜리히 급습.
b. 개혁 도시들도 대항했으나 대패 쯔빙글리의 전사.
c. 조약 체결.
ᄀ.개혁 도시 주는 군비를 지출할 것.
ᄂ.5개 산림 지역 주는 로마교를 지킨다.
5) 루터와의 만남.
(1) 시기...제 1 갑펠 조약과 제 2조약.
(2) 때와 목적 - 1529년 10월 1일 마르부르크에서
(3) 차이점
a. 정치 문제...루터는 작센의 동의만 얻으려함. 쯔빙글리는 독일과 스위스
개혁자의 합동으로 프랑스 왕과 협력하여 카알 5세로 하여금 신교를 공인
하게 하려함.
b. 성찬 문제...쯔빙글리(상징설) 루터(공재설)
(4) 결과 ... 15개조의 신조중 14개조는 합의했으나, 성찬 문제로 성립되지
못함.
5. 칼빈의 개혁 운동
1) 생애
(1) 1509년 7월 10일 파리 동북방에 소재한 느와이용(Noyon)에서 5형제 중 둘
째로 출생함.
(2) 부친 제라드(Jhon Gerad)는 법률가로 감독.서기로 근무 했고,모친은 경건
한 신앙인이었다.
(3) 1523년 8월에 파리 대학에 입학.라틴어,철학,인문 과학을 공부함. 졸업 때
에 법과를 전과함.
(4) 1533년 11월 1일에 친구 니콜라스 코프(Nicholas Cop)가 파리 대학 학장으
로 취임 할 때 취임 연설의 기초자로 복음주의를 강조하였다. 그 결과 코
프는 바젤로 피난하고 칼빈은 앙궐렘(Anguleme)의 뒤틸레(Du Tillet)의 집
에 피신하였다 이 집은 은퇴 교역자의 집으로 윤곽을 잡았다.
(5) 1535년 바젤에서 역사적 명저인 <기독교 강요> (Institutio Religionis
Christianae)를 발행하였다.
(6) 스트라스부르로 가는 도중 제네바에서 파렐 (W.Farel)를 만나 제네바에
영원히 머물며, 개혁 사업에 종사하였다.
(7) 1540년 8월 네덜란드에서 피신해 온 과부와 결혼하였다.
(8) 1564년 5월 24일 55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그는 분주한 개혁 사업 속에서
과로로 신체가 허약 하였는데, 수년간 1일 1식을 하였고 매일 설교하며,
주 3회 신학강의를 하고 저술에 종사하는 한편 외국의 신앙 동지들과 연락
하는 등 과로 속에서 지냈다.
2) 제네바의 개혁 운동
(1) 개혁전의 정치 조직
a. 제네바시는 자치권이 있었다.
b. 시정을 세 종류의 의회 (평의회,200인 의회, 시민 총회)에 의해 지배됨.
(2) 제네바의 개혁 운동
a. 1521년경에 루터의 저서가 제네바에 전달되어 개혁 운동의 기운이 가득하
였고, 1532년에는 일반인의 동요가 있었다.
b. 파렐(Farel)의 베른 개혁 운동이 성공하여 제네바가 개혁당에게 힘과 자극
을 주었다.
ᄀ.200인 의회는 미사를 금했다. ᄂ.풍속 개량과 규율을 엄해 지켰다.
c. 팔렐과 칼빈의 개혁 운동
ᄀ.칼빈은 3인의 목사중 1인
ᄂ.시민들의 반항으로 의회는 파렐과 칼빈의 추방을 결의
ᄃ.스트라스부르에서 3년간 성경 주석 집필
ᄅ.1541년 신파의 집권으로 다시 초청되어 23년간 머무르며 개혁 운동에 전
력하였다. 처음 13년을 고전하였으나 후기 10년은 성공적인 개혁 사업을
전개하였다.
3) 칼빈의 개혁 사업
칼빈의 이상은 정교 일치로 신정 건설에 있었다.
(1) 교회법 제정
a. 교회 정치...감독없이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b. 교회 직원...목사 (목사회가 선정하고 시의회에 회부,교회의 동의로 확정)
장로 (교회 정치 담담), 집사 (회계와 구제사업 담당)
c. 교인...전 시민이 교인으로 신앙 고백을 하여야 했다.
(2) 평의회 조직
a. 목사 5인,장로 12인으로 조직된 풍속.도덕 취체 기관으로 매주 1회 회집
하였다.
b. 칼빈은 목사 회원이었으나 성경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c. 교회 추방권이 있었고 1542-46년 사이에 58명 사형,76명 추방의 결정이 있
었다.
(3) 사업 부흥을 위하여 견직 공업을 장려하였다.
(4) 시민 교육을 위해 대학을 설립함.
4) 저술 활동
(1) 기독교 강요 (2) 신구약 주석
(3) 문답서 (4) 설교, 서신
(5) 세네카의 주해 등.
5) 칼빈의 신학 사상
(1) 사상
a. 신학의 기초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하나님의 섭리 주장, 그리고 인간과
의 밀접한 관계에 두었다.
b. 성찬론은 기념설을 주장하였다.
(2) 신앙 5개 신조
a. 인간의 전적 타락 b. 무조건적 예정.
c. 제한된 선택. d. 불가항력적 은총.
e. 성도의 견인.
6) 칼빈이 유럽에 끼친 사상적 영향
(1) 영국
a. 청교도들에 의하여 가톨릭식의 의식과 미신적 예식 일소.
b. 청교도 신앙을 배양
c. 후우퍼,(Hooper), 험프리 (Humphrey) 밀톤 (Milton)
번연 (Bunyan)등을 배출.
(2) 스코틀랜드
a. 패트릭 해밀턴 (Patrick Hamilton)과 조오지 위셔트 (G.Wishart) 에 의하
여 개혁의 봉화가 일어났다.
b. 존 녹스 (John Knox)에 의하여 1506년 개혁 교회가 법적으로 인정을 받았
다.
(3) 프랑스
a. 위구노 (Huguenots) 가 활동, 그 중심 인물은 페르베였다.
b. 1572년 성 바돌로매 (St,Bartholomew) 전야제에 위구노 대량 학살이 있었
다. 1598년 앙리 4세의 난트(Nantes) 칙령에 의하여 신교의 자유를 획득
하였다.
7) 칼빈 사상이 발전한 원인.
(1) 신학이 통일적이다.
(2) 교회의 기치가 선명하다. 교회 정치는 세계 각국에서 적용하여도 편리한
점이 많다.
(3) 기독교 생활 훈련에 치중하여 실효를 거두었다.
(4) 재세례파,루터파,쯔빙글리파들을 넓게 포용하였따.
(5) 훌륭한 테오도르 베자 (Theldore Beza)와 같은 후계자가 있었다.
6. 개혁자의 신학.
개혁자들의 신학을 여러가지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것을
도표화 하면 다음과 같다.
┌────────┬───────┬────────┬──────────┐
│ 구 분 │루 터 │쯔 빙 글 리 │ 칼 빈 │
├────────┼───────┼────────┼──────────┤
│ 신 학 중 심 │그리스도중심 │신의지 중심 │ 신의 절대 중심 │
├────────┼───────┼────────┼──────────┤
│ 근 본 원 칙 │이 신 득 의 │이 신 득 의 │ 신의 절대 주권 │
├────────┼───────┼────────┼──────────┤
│ 성 찬 론 │공 재 설 │기 념 설 │ 영적 임재설 │
├────────┼───────┼────────┼──────────┤
│ 국가와의 관계 │교회는 국가에 │민주헌법,교권 │ 국가와 교회 분리 │
│ │복종 │배격 │ │
└────────┴───────┴────────┴──────────┘
7. 제세례 파 (Anabaptist)
1) 기원
(1) 종교개혁 이전부터 독일,화란,이태리 등지에 흩어져 있던 개혁 신앙을 소
유한 적은 무리들.
(2) 동기는 초대 교회 형태로 교회를 회복시키자는 의도였다.
(3) <재세례파>란 명칭의 유래는 유아 세례를 부인하고 장년 세례만을 주장하
는 데서 나옴.
(4) 중세 교회의 조직,의식, 예전을 반대하고 예배하는 자국어로 하고 기도에
힘씀.
(5) 교회는 신앙을 고백한 자들의 집단체라고 주장.
2) 주장
(1) 1527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총회가 회집되어 재세례파 교회를 조직.
(2) 교회 정치는 목사, 장로, 집사직을 두었다.
(3) 대표자는 발다자르 휘브마이어 (Balthasar Hubmaier)와 한스 뎅크(Hans
Denk)이다.
3) 신앙
(1) 초대 교회의 신앙 생활을 모방.
(2) 신앙적 의식을 가지고 신앙 고백을 할 때라야 세례의 의의가 있다고 주장
(유아 세례 반대)
(3) 무저항 주의
(4) 국가 지배 반대,세금 납부 반대.
(5) 예정론을 배격하고 자력 구원설 주장.
(6) 그리스도의 산상 설교나 말씀을 문자대로 복종하려고 노력함.
(7) 예배는 단순하고 신앙은 의식적이어야 한다고 주장.
4) 결과
(1) 로마교,루터파,칼빈파의 반대로 박해를 받음.
(2) 오늘의 침례파 형성은 재세례파의 발전에서 온것임.
8. 로마 교회의 부흥과는 예수회
개신교의 개혁 운동에 대항하려는 로마 교회의 반종교 개혁 (Counter Reforma
tion)으로서 로마 교회의 부패를 정화하고, 규율을 바로 잡으며 교리적으로는
종래의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는 운동이다.
1) 기원
(1) 히메네스 (Ximenes, 1436-1517)
a. 로마에서 수학하고 프란체스코 교단에서 엄격한 신앙 생활을 하였다.
b. 1495년 톨레도 (Toledo)의 대감독이 되었고 스페인 교회의 머리가 되었다.
c. 그는 교회의 정화,대학의 설립,아퀴나스 신학에의 복귀에 최선을 다하였다
(2) 캄페기오 (Camperggio)... 1524년에 남부 독일에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
다.
(3) 콘타리니 (Contarini)와 카랍파 (Caraffa)...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개혁 운
동에 종사함, 카랍파가 1555년 바울 4세로서 교황이되자 도덕 혁신, 예배
의 진흥,재정의 정리에 힘을 쏟음.
2) 창설자
이그나티우스 로율라(Ignatius Loyola)
(1) 1491년 스페인 귀족의 아들로 태어남 (로율라는 성 이름임).
(2) 무사 교육을 받고 통솔력을 키움.
(3) 1521년 전쟁에서 중상을 당해 입원 중 성자전을 읽다가 헌신하기로 결심함
(4) 37세때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연구함.
(5) 이들은 팔레스티나에서 고생하는 기독교인을 보호하고 로마 교회에 충성을
맹세하였다.
3) 예 수 회 ((라) Societas Jesu, (영) Jesits)
(1) 정의...로마 교회 안에서 생긴 수도사의 단체로서 일정한 규칙 생활을 하
고 전도하며 이단과 싸우고 이교도들을 개종시키기에 힘쓴 결사 단체임.
(2) 로욜라가 규합한 6명의 동지로 출발
(3) 1540년 9월 27일 교황의 재가를 얻음 (단원 60명으로 출발)
(4) 강령은 절대 복종,2년간 예배 훈련 (금욕적 고행과 노역), 학생(5년)
부사원 (교수와 수학,5년) 정사원 (신학 연구,4년) 등 모두 16년간 수련을
받음,복종,빈곤,독신의 이들의 3대 서약임.
(5) 세력 확장의 방법
a. 고백을 들음(정치상 기밀을 들음으로 확장의 기회로 활용)
b. 교육 (대학 경영, 상류 사회를 이끔)
c. 외국 선교 (크게 성공함)
ᄀ.프란티스코 하브예르 스페인 (Francis Xavier,1506-1552)... 인도,
스리랑카,일본 등지에 선교.
ᄂ. 맛테오 릿치(Matteo Ricci)...중국,브라질,유럽 아이 등지에 선교.
4) 결과
(1) 로마 교회의 내부 각성
(2) 개신교 영향을 줌.
9. 트렌토 (Trento) 회의
1) 동기
(1) 소집자...교황 바울을 3세 (황제 카알 5세의 청원으로)
(2) 시일... 1545-1663 (18년간,5대 교황이 교체됨)
(3) 세계 종교 대회로서 19회 째임.
(4) 의제
a. 황제편에서... 교회의 개량,신교와 가급적 타협을 주장.
b. 교황편에서...신교 혼동 방지를 위해 교리 제정을 주장.
2) 회의
(1) 제 1 기...1545-1549.9.17 교리 문제에 치중하여 교황과 황제의 충돌을 피
하기 위해 무기 정회 (1547.3.전염병으로 볼로냐 (Bologna)로 옮겨 모임).
(2) 제 2 기...1551-52 율리우스 3세에 의해 트렌토에서 열리게 되었다.
(황제의 타협 정책)
(3) 제 3 기...1562-63,피우스 (Pius) 4세가 회의를 소집함. 비타협파가 주도
권을 장악하였다.
3) 결의
(1) 제 1 기...성경과 교회 전통의 동권, 세례,견신을 인정.
(2) 제 2 기...성찬,참회,예전을 인정.
(3) 제 3 기...생사자간의 중보기원 유효, 성자 숭배,속죄표 인정.
4) 결과
(1) 로마 교회의 수뇌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함.
(2) 비타협적이며 신교의 언권을 봉쇄.
(3) 로마 교회 교리 재확인.
(4) 교회 규율을 바로 잡음.
(5) 로마 교회의 개혁 운동과 전도 운동의 계기를 마련 (신학교와 감독 선거
에 개혁이 옴).
5) 공포
1564년 피우스 4세에 의해 공포됨.
10. 스칸디나비아의 종교 개혁.
1) 스위덴의 종교 개혁
(1) 구스타프 파사 (Gustav Vasa)가 독일 망명시에 루터를 만났고 왕이 된 후
에도 계속 교류를 하였다.
(2) 울라프 페터손 (Olaf Pesterson,1499-1573), 라아스 페터손 (Lars Peter-
son)라아스 안도손 (Lars Anderson,1480-1552) 등은 스웨덴 종교 개혁의
3대 인물로서 신약을 번역하였다.
(3) 국왕은 1527년에 국회를 소집하고 루터파 예배의 자유를 허락하였다.
2) 덴마아크의 종교 개혁
(1) 왕 크리스찬 2세가 루터주의를 찬송하는 정치 채택.
(2) 한수 타우젠 (Hans Tausen, 1494-1561) 이 덴마아크의 궁전 목사로서
1530년 동지들과 함께 43조의 신앙 고백을 제정하였고, 교회 정치를 루터
식으로 함.
3) 노르웨이의 종교 개혁
왕의 권력으로 종교 개혁을 단행하였다.
4) 아이슬란드의 종교 개혁
깃세르 아이나르센 (Gisser Einarsen ) 이 1540년 스칼홀트 (Skal holt)에
서 루터 교회 감독이 되어 개혁 사업을 단행하였다.1554년에 신교가 이 섬
을 지배하게 되었다.
11. 네덜란드의 종교 개혁
네덜란드 (Netheland)라고 부르는 지역은 오늘날의 화란과 벨기에에 이르는 지
역으로 여러 제후국으로 나누어져 있다가 부르고뉴 (Brougogne)공이 결혼, 매
수 약탈의 방법으로 병합하였다.
1) 식민지 시대
(1) 부르고뉴 공이 프랑스와 싸워 전사하자 국토의 대부분이 프랑스령이 됨.
(2) 독일 황제 카알 5세가 집권하자 대부분이 독일령이 됨.
(3) 카알 5세의 신교 탄압이 심하였으나 루터와 칼빈의 사상이 널리 퍼짐.
(4) 스페인 영토가 되어 필립 2세의 박해를 받음.
2) 독립 전쟁.
(1) 오랑주 공 빌헬름 (Whilhelm) (1533-1534)
a. 가톨릭 신앙으로 양육 받음.
b. 11세때에 오랑즈 (Orange)가를 상속받고, 카알 5세의 총애를 받음.
c. 필립 2세가 알바 (Alva) 공을 파견하여 <피의 법정 <이라는 재판을 하여
18.000명을 죽이는 대박해를 함.
(2) 1568년 빌헬름 (Wilhelm)은 신앙의 자유와 가치권을 부르짖고 어민과 수
부들을 모아서 독립 전쟁을 시작함.
a. 1574년 라이덴 (Leiden)포위시 빌헬름은 제방을 끊어 바닷물을 넣어 승리
함.
b. 1581년 독립을 선언, 빌헬름이 대통령이 되어 라이덴 대학을 중심하여 개
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c. 1584년 빌헬름은 필립 2세가 보낸 자객에서 암살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구
와 아들이 계승하여 1648년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1) 라이덴 대학을 비롯하여 프라넥케르, 그레요닌겐,우트레히트,할더비크 대
학이 등이 설립되어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다.
(2) 칼빈주의가 발달하였고, 신앙 자유를 통한 개혁 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12. 프랑스의 종교 개혁
1) 개혁의 반대자들
(1) 왕권 (2) 고등 법원(파를라망:Parlment) (3) 소르본 (Sorbonne)
2) 개혁자들
(1) 마르가레트 (프랑소와 1세의 누이)
a. 신교도는 아니어도 개혁 사상을 동정하고 보호함.
b. 1527년 프랑스령내 소국인 나바르 왕과 결혼하여 나바르여왕이라 불리웠고
궁전을 개혁자들의 은신초로 제공하였다.
(2) 칼빈
a. 칼빈은 프랑스에 거주하지 않았으나 프랑스를 위하여 여러 방면으로 지원
을 하엿다.
ᄀ.1555년 파리에 프랑스 최초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ᄂ.8년간 49개처 교회가 설립되었다.
b. 교회의 지도자들은 제네바에서 교육을 받은 자들이며 1567년까지 120명의
목사가 파견되었다.
3) 위그노 (Huguenots)사건
(1) 시발
카타리나가 섭정하면서 세력 확장을 위하여 신교와 결탁하자 가톨릭파 지
도자인 귀이즈 (Guise ) 형제는 이를 결렬시키고자 1562년 3월 1일 그의 호위
병으로 바시 (Vassy) 에서 예배드리는 위그노파를 습격하였다.(이것을 <바시의
혈낙>이라고 한다)
(2) 경과
프랑스의 종교 쟁론이 전쟁으로 변하였고 위그노 사건이라는 장기전으로
돌입하였다.
a. <1차전>
노르망디에서 1년간 전쟁.
ᄀ.위그노의 지도자는 콘데 (Conde)로서 영국과 독일의 개혁파들이 응원하였다
ᄂ.가톨릭의 지도자는 귀이즈 형제 외에도 몽모랑시 (Montmorency) 장군과 생
앙드레 (St.Anere) 였고, 쌍방의 지도자 모드가 포로되고 전사하였다.
ᄃ.1563년 3월 앙부와즈 (Amboise) 칙령으로 종전하였다. 이 칙령의 내용은
(1) 가톨릭 교회는 파리와 각 도시에서 로마교 성당에서 예배드리고,
(2) 위그노파의 귀족에게는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그들이 소속한 시나 궁전
에서 예배 처소를 구할 수 있게 하였다.
b. < 2 차전>
위그노파는 로레인의 홍의 주교가 궁중에서 득세하자 이를 제거하려는 것이
전쟁으로 변하였다. 1569년 11월에 양파가 모두 기진하여 휴전하였다.
c. < 3 차전>
카타리나가 2차전의 책임이 위그노에게 있다 하여 그 목사를 추방하므로 시
작하였고 얼마후 양파 모두 기진하여 1570년 8월에 생 제르맹 (St.Germain)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a. 이 조약에 의하며 위그노는 파리 이외에서 예배의 자유와 평등 권리가 허용
되었다. (관직 부여)
b. 조약 실행의 담보로 4개 도시를 주었다.
4) 바돌로매 축제의 학살
위그노 전쟁이 프랑스 국내의 내란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유럽 전 지역의
신구교 국가 사이에 전쟁과 실력 대결로 변하였다.
(1) 카타리나는 자기의 딸 엘리자베토를 스페인왕 필립과 결혼 시켰고,
(2) 신교측에서는 엘리자베토의 노이 마르가레토를 나바르의 앙리 (Henri)
와 결혼 시켰다.
(3) 1572년 8월 24일 (성 바돌로매 축제일) 결혼 축하를 위해 양파가 파리에
모였을 때 종소리를 신호로 콜리니 (Coligny)를 위시하여 파리에서 7만
여명,지방에서 무스히 위그노를 학살 하였다.
5) 낭트(Nantes) 칙령
1598년 4월 3일 앙리 (Henri) 4세가 국가와 개혁 교회와의 관계 즉 신교의
양심의 자유를 용인하는 칙령
(1) 예배 자유를 허락하고 (2) 관직 취득권 부여.
(3) 신교도들도 로마 교인과 동등권 부여
(4) 안전 보증으로 수개처 도시에 병력을 허용.
13.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1) 혼인 관계.
프랑스 왕실과의 관계로 친밀함.
2) 칼빈의 영향.
스코틀랜드는 독립 국가이므로 프랑스와 친밀하고 칼빈의 영향을 받아 종교ᅧ
개혁을 활발히 진행하였다.
3) 3개의 대학 설립.
(1) 1413년 세인트 앤드루우즈(St.Andrews)대학
(2) 1451년 글래스고우 (Glasgow) 대학.
(3) 1464년 애버디인(Aberdeen)대학.
4) 개혁자들
(1) 첫 순교자 패트릭 해밀톤 (Patrick Hamilton)...1528년 2월 27일 순교.
(2) 조오지 위셔트(Geoge Wishart)...1546.3.1 순교.
(3) 존 녹스(John Knox,1505-1572).
a. 대지주의 아들로 그래스고우 대학 수학.
b. 1530년까지 로마 교회 소속.
c. 조오지 위셔트의 제자.
d. 투옥되었다가 1549년 탈출하여 영국 목사가 되었고, 1554년에는 제네바
칼빈을 만남.
e. 여러 교회에서는 목회하였으며 개혁 운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제 3 부 : 근세사(종교 개혁시대)(2/2)
14. 영국의 종교 개혁.
1) 성격
(1) 교리와 신학 중심이 아님. (2) 정치와 교회법이 중심.
2) 원인:(헬리(Henry) 8세의 중혼 문제로 교황과 충돌이 생김.
(1) 헨리 8세가 형수인 캐더린 (형은 이미 죽음)과 결혼하려고 교회법이 인
정하지 않은 것을 교황을 강요하여 결혼 하였다. 15년간 매어리(Mary)외
에는 자식이 없었다.
(2) 15년간 매어리 외에는 자식이 없으니 이 결혼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고
교황에게 선언하여 주기를 청하였으나 교황이 거절 하였다. 헨리 8세는
1533년 궁녀인 앤 불린(An Boleyn)과 결혼하였으나 교황이 반대하였다.
3) 개혁의 방법
(1) 교황과 단절하고 국교를 창설 (2) 교회 수장령을 발펴 (1535).
(3) 교황에게 납세와 재판을 금함.
(4) 수도원을 해산하고 수입을 황실에 귀속시킴.
(5) 그러면서도 구교적 태도를 취하였고 화체설 부인자를 화형에 처하였다.
4) 종교 정책
(1) 대립하여 오던 신구교 양파를 모두 탄압하고 영국교회에 복종을 강요함.
(2) 1559년 국회에서 교회 수장령을 가결.
(3) 공기도움 채택.
a. 성찬식에서 일반에게 떡을 나누어 줄 일.
b. 십자가,제단,화상을 제거.
c. 단순한 제복 착용, 로마교 의식이 많음.
(4) 1563년 39개조 신조를 제정.
a. 성찬식 견해는 칼빈의 사상과 같음.
b. 신조는 진보적 경향이 농후함.
5) 결과
의식이 치중하므로 여기에 반대하여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6) 관련 인물들
(1) 헨리 8세 (Henry Vlll, 1509-1547)
a. 교황 레오의 부탁으로 루토의 저서를 금함.
b. 중혼 문제로 교황과 대립.
c. <7종의 예전의 고수>라는 책을 저술하고 가톨릭 성례를 그대로 준수함.
(2) 윌림엄 틴들(William Tydale, 1484-1535)
a.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
b. 성경 번역을 완성. c.이단자로 교수형 당함. 시체를 불사름.
(3) 에드워드 6세 (Edward VI,1547-1553)
a. 칼빈주의를 취함. b.중요한 감독 직위에 신교도를 배치.
c. 유명한 신학자를 초빙하여 대학 교수에 임명.
(4) 매어리 (Mary,1553-1558).
영국을 가톨릭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신교의 목사와 감독을 체포하고 불사
르는 피의 여왕.
(5) 엘리자베드 (Elizsbeth, 1558-1603 재위)
a. 46년간의 치세는 영궁의 중흥기였다. b. 신교의 기치를 들고 나옴.
c. 의식 치중의 영국 국교를 강요. d.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15. 30년 전쟁 전의 독일
1) 시말칼덴(Schmalkalden)전쟁 (1546-47).
프로테스탄티 제후들과 카알 5세와의 전쟁.
(1) 원인
a. 1531년 신교 계통 제후들이 시말칼덴에서 동맹을 체결.
b. 카알 5세가 교황과 합하여 스페인 군대로 이들을 공격.
(2) 결과
a. 작센공 모리쯔(Moritz)등이 변절하여 황제 편에 가담.
b. 신교군이 대패.
2) 아우크스부르크 가신조 (Augsburg Interim)
(1) 선언 이유
a. 교황은 황제의 세력 신장이 두려워 구원병을 소환.
b. 황제가 노하여 자력으로 종교를 정리하고자 선언함.
(2) 내용
a. 교직자의 결혼 허락 b.일반 교인에게도 성찬 때 잔을 줌.
c. 7예전,사자 위한 미사.성자의 공덕 등 로마 교회 제도를 답습.
(3) 결과 : 남부 독일 외에는 잘 시행되지 않음.
3)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회의 조약
(1) 모리쯔 등 변절자들이 회개하고 1552년 3월에 황제는 습격하여 승리함.
(2) 1555년 국회가 열리고 9월 25일에 협정함.
a. 로마교 신자와 아우크스부르크 신조 신봉자는 같은 권리를 가짐 .
(칼빈,쯔빙글리는 제외).
b. 주의 시민의 신앙은 군후의 신앙과 같아야 함.같지 않으면 재산을 팔아
다른 주로 이사하여야 함.
4) 카알 5세의 토위 (1556)
(1) 스페인,인도,네덜란드,이탈리아의 왕위를 아들 필립 2세에게 물려줌.
(2) 독일 왕위는 동생 페르디난트 1세에게 물려 주었으나 1564년에 막시밀리안
2세에게 계승시킴.
16. 30 년 전쟁.
1) 의의
(1) 가톨릭 교도와 신교도들의 신앙 교리로 인한 전쟁.
(2) 독일 제국의 안전과 파괴 문제는 정치적 전쟁임.
2) 원인 (1618-1648)
(1) 독일의 루돌프 (Rucolf)황제가 신교의 자유를 허략하였으나 그 후 가톨릭
파인 페르디난트 황제가 즉위하고 신교를 박해 하였따. 신교 개혁파는 여
기에 굴하지 아니하고 구교에 도전하여 독일 30년 전쟁이 일어났다.
(2) 전쟁의 직접적 원인은 가톨릭 보호령인 보히미아(Bohemia)에 스페인왕 구
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를 적극 후원한 데 있다.
3) 경과
(1) 제 1 기 (1618-23) 팔쯔 (Pfalz) 전쟁
a. 왕이 신교를 탄압하여 회당을 헐게하므로 개혁파들이 궐기하여 프라하를
점령하였다.
b. 개혁파에 영국왕의 원조가 없고, 루터파는 변절하엿다. 왕군은 틸리(Tilly
를 대장으로 공격하여 승리하였고 이에 망명자가 3만명이나 되었다.
(2) 제 2 기 (1625-29) 덴마아크 전쟁
덴마아크왕 크리스찬 4세는 영국, 네덜란드 군대와 같이 독일의 신교군을
후원하였으나 독일 왕군에게 격퇴 당하였다.
(3) 제 3 기 (1630-35) 스웨덴 전쟁.
스웨덴 왕 구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군을 도와 침입하였으나
발렌시타인에 의해 격퇴되었다.
(4) 제 4 기 (1635-48) 프랑스 전쟁.
프랑스는 독일 왕권의 강화를 견제하기 위하여 스웨덴을 도와 남부 이탈리
아를 공격하여 독일에 혼란을 주었고, 프랑스의 야심을 보고 신교 제후들
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4) 결과
(1) 전쟁의 피해로 인구 3분의 2가 감소.
(2) 교역자 전사가 620명.
(3) 교육,정치,경제,문화 등 각 분야가 황폐하여짐.
(4) 베스트팔리아 조약 체결 (1648)
5)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조약
30년 전쟁으로 1648년에 독일과 스웨덴 사이에 맺은 강화 조약이다.
(1) 종교에 관한 규정
a. 가톨릭파,루터파,칼빈파 모드가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
b. 교횔 제산 소유권은 1624.1.10. 현상으로 환원한다.
c. 자유 이주권은 허용하며 재산 몰수는 할 수 없다.
d. 루터파와 개혁 교ᅡ와의 관계는 조약 체결 당시의 현상에 준하다. 신앙 자유
유,재산 소유를 인정한다.
(2) 정치에 관한 규정
a. 스페인은 네덜란드를 승인한다.
b. 독일은 스웨덴의 독립을 승인한다.
c. 스웨덴에 포메라니아 (Ponerania)의 일부와 뤼겐 (Rugen)섬을 할양하고 이
지역 대표는 독일 국회에 참석한다.
d. 프랑스는 메츠 (Metz) 툴루즈 (Toulouse), 베르덩 (Verdun),알자스 (Alsace
의 대부분을 획득한다.
e. 각국은 자유로 서로 연합하여 또 자기 나라와 외국 간에 맹약할 수 있다.
17. 아르메니우스파의 신학론과 도르트레히트 회의
( Dordrecht = 도르트.Dort)
1) 아르미니우스 (Arminius,1560-1609)
(1) 156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출생.
(2) 제네바에 유학한 후 1588년에 암스테르담 목사가 됨.
(3) 학시과 웅변이 탁월하였다.
(4) 코오른허트 (Coornhert) 설을 논박해 달라는 관의 위촉을 받고 연구하다
가 여기에 탁월하였다.
(5) 1603년 라이든 대학 교수가 되어 칼빈의 예정론을 반대함.
2)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차이
┌──────┬──────────┬──────────┐
│ 문 제 │ Calvin 파 │ Arminius 파 │
├──────┼──────────┼──────────┤
│ 인 간 │ 완 전 타 락 │자유 의지 의존 │
├──────┼──────────┼──────────┤
│ 예 정 │ 무조건 예 정 │예지 예정 │
├──────┼──────────┼──────────┤
│ 속 죄 │ 제한된 선택 구원 │무한 선택 구원 │
├──────┼─╨────────┼──────────┤
│ 은 총 │ 불가항적 은총 │가향적 은총 │
├──────┼──────────┼──────────┤
│ 성 도 │ 성도의 견인 (보호) │성도의 보호 불확실. │
└──────┴──────────┴──────────┘
3) 도르트레히트(Dordrecht, Dort) 회의
(1) 목적...칼빈파의 아르미니우스파의 분쟁을 종결 짓고 아르미니우스 파를
배제할 목적.
(2) 시일,장소...1618.11.13. 네덜란드 도르트레히트에서 회집.
(3) 소집자 및 회원...네덜란드 국회의원 84명,아르미니우스는 피고로 참석.
(프랑스의 불참)
(4) 결의 내용
a. 아르미니우스파 국외 추방.
b. 칼빈 신조를 채택하여 <도르트 레히트 신조>를 제정.
(5) 결과
a. <정치적 속죄론>으로 우세하던 아르미니우스파가 쇠퇴하므로 개혁파의 위
기를 막았다.
b. 드르트레히트 신조는 그후 위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큰 영향을 줌.
18. 소키누스 (Socinus) 신학
삼위일체 교리를 반대하고 단일신론 (Unitarianism)을 주장하는 흐름.제세례파
와 신비주의 중에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소키누스에 와서 구체화 되었다.
1) 소키누스 (Faustus Socinus, 1539-1604).
(1) 이탈리아 귀족으로 법률가
(2) 백부 레리오 소키누스 (Lelio Socinus, 1525-1562)의 유지를 받들어 삼위
일체설을 반대하는 것을 평생의 사명으로 삼고 폴란드로 감.
(3) 만년에 신조와 문답서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4) 1605년에 시말쯔 (Schmalz)가 이를 완성하고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였다.
(5) 1638년 예수회에 의해 폐쇠되고 추방을 당함.
2) 사상
(1) 신앙...신의 명령과 약속을 승인.
(2) 성경...교리와 도덕을 가르친 글.
(3) 기독론
a. 그리스도의 교사적 측면 강조
b. 신인 양성의 합일을 부인.
c. 기적적 탄생으로 보통 인간과 다르게 출생.
d. 전도에 착수하기 전 하늘에 올리워져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으며 부활 승
천하여 하나님 나라의 지배권을 얻음.
(4) 속죄론...대속설 반대.
그리스도는 죄의 지배에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하여 죽고, 우리의 죄를 버
리게 하셨다.
(5) 삼위일체 교리를 구원에 필요치 않으나 대단히 유용하다.
19. 그리이스 교회
1) 키릴로스 루카리스(Cyrillos Lucaris)
(1) 1572년 그레데 섬에서 출생.
(2) 1602년에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가 됨.
(3) 1616년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 조오지 아보트 (Georg Abbot)와 연락.
(4) 알렉산드리아 사본 (Codex Alexandrinus) 을 영국왕 차알즈 1세에게 기증.
(5) 162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가 됨.그는 신앙 고백서를 제네바에서 출
판하여 이단으로 몰리고 5번 추방 되고 5번 복직되었다. 1638년 6월에 사
형을 당하였다.
2) 러시아의 교회
(1) 몽고의 침입으로 유럽과 교통이 끊어졌으나 기독교가 널리 전파되었다.
(2) 교회의 중심지는 키에프(Kiev) 였고 후에 모스크바 (Moskva)로 옮겼다.
(3) 주교 필라레트 로마노프 (Philaret Romanov) 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국난을
막음. 그의 아들 1613년에 즉위함.
(4) 니콘 (Nikon 1652-1667)
a. 필라레트 로마노프의 후계자로서 교회 개혁을 기도...교직자 음주를 금하
고, 인쇄소를 설치하여 문서 운동을 전개, 교회 음악 개량.
(5) 페트로 대제 (1689-1725)
a. 진실한 신자.
b. 모스크바 대주교를 폐하고 성회(성회)를 설치하여 그 의장이 되었다.
8. 로마 교회의 부흥과는 예수회
개신교의 개혁 운동에 대항하려는 로마 교회의 반종교 개혁 (Counter Reforma
tion)으로서 로마 교회의 부패를 정화하고, 규율을 바로 잡으며 교리적으로는
종래의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는 운동이다.
1) 기원
(1) 히메네스 (Ximenes, 1436-1517)
a. 로마에서 수학하고 프란체스코 교단에서 엄격한 신앙 생활을 하였다.
b. 1495년 톨레도 (Toledo)의 대감독이 되었고 스페인 교회의 머리가 되었다.
c. 그는 교회의 정화,대학의 설립,아퀴나스 신학에의 복귀에 최선을 다하였다
(2) 캄페기오 (Camperggio)... 1524년에 남부 독일에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
다.
(3) 콘타리니 (Contarini)와 카랍파 (Caraffa)...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개혁 운
동에 종사함, 카랍파가 1555년 바울 4세로서 교황이되자 도덕 혁신, 예배
의 진흥,재정의 정리에 힘을 쏟음.
2) 창설자
이그나티우스 로율라(Ignatius Loyola)
(1) 1491년 스페인 귀족의 아들로 태어남 (로율라는 성 이름임).
(2) 무사 교육을 받고 통솔력을 키움.
(3) 1521년 전쟁에서 중상을 당해 입원 중 성자전을 읽다가 헌신하기로 결심함
(4) 37세때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연구함.
(5) 이들은 팔레스티나에서 고생하는 기독교인을 보호하고 로마 교회에 충성을
맹세하였다.
3) 예 수 회 ((라) Societas Jesu, (영) Jesits)
(1) 정의...로마 교회 안에서 생긴 수도사의 단체로서 일정한 규칙 생활을 하
고 전도하며 이단과 싸우고 이교도들을 개종시키기에 힘쓴 결사 단체임.
(2) 로욜라가 규합한 6명의 동지로 출발
(3) 1540년 9월 27일 교황의 재가를 얻음 (단원 60명으로 출발)
(4) 강령은 절대 복종,2년간 예배 훈련 (금욕적 고행과 노역), 학생(5년)
부사원 (교수와 수학,5년) 정사원 (신학 연구,4년) 등 모두 16년간 수련을
받음,복종,빈곤,독신의 이들의 3대 서약임.
(5) 세력 확장의 방법
a. 고백을 들음(정치상 기밀을 들음으로 확장의 기회로 활용)
b. 교육 (대학 경영, 상류 사회를 이끔)
c. 외국 선교 (크게 성공함)
ᄀ.프란티스코 하브예르 스페인 (Francis Xavier,1506-1552)... 인도,
스리랑카,일본 등지에 선교.
ᄂ. 맛테오 릿치(Matteo Ricci)...중국,브라질,유럽 아이 등지에 선교.
4) 결과
(1) 로마 교회의 내부 각성
(2) 개신교 영향을 줌.
9. 트렌토 (Trento) 회의
1) 동기
(1) 소집자...교황 바울을 3세 (황제 카알 5세의 청원으로)
(2) 시일... 1545-1663 (18년간,5대 교황이 교체됨)
(3) 세계 종교 대회로서 19회 째임.
(4) 의제
a. 황제편에서... 교회의 개량,신교와 가급적 타협을 주장.
b. 교황편에서...신교 혼동 방지를 위해 교리 제정을 주장.
2) 회의
(1) 제 1 기...1545-1549.9.17 교리 문제에 치중하여 교황과 황제의 충돌을 피
하기 위해 무기 정회 (1547.3.전염병으로 볼로냐 (Bologna)로 옮겨 모임).
(2) 제 2 기...1551-52 율리우스 3세에 의해 트렌토에서 열리게 되었다.
(황제의 타협 정책)
(3) 제 3 기...1562-63,피우스 (Pius) 4세가 회의를 소집함. 비타협파가 주도
권을 장악하였다.
3) 결의
(1) 제 1 기...성경과 교회 전통의 동권, 세례,견신을 인정.
(2) 제 2 기...성찬,참회,예전을 인정.
(3) 제 3 기...생사자간의 중보기원 유효, 성자 숭배,속죄표 인정.
4) 결과
(1) 로마 교회의 수뇌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함.
(2) 비타협적이며 신교의 언권을 봉쇄.
(3) 로마 교회 교리 재확인.
(4) 교회 규율을 바로 잡음.
(5) 로마 교회의 개혁 운동과 전도 운동의 계기를 마련 (신학교와 감독 선거
에 개혁이 옴).
5) 공포
1564년 피우스 4세에 의해 공포됨.
10. 스칸디나비아의 종교 개혁.
1) 스위덴의 종교 개혁
(1) 구스타프 파사 (Gustav Vasa)가 독일 망명시에 루터를 만났고 왕이 된 후
에도 계속 교류를 하였다.
(2) 울라프 페터손 (Olaf Pesterson,1499-1573), 라아스 페터손 (Lars Peter-
son)라아스 안도손 (Lars Anderson,1480-1552) 등은 스웨덴 종교 개혁의
3대 인물로서 신약을 번역하였다.
(3) 국왕은 1527년에 국회를 소집하고 루터파 예배의 자유를 허락하였다.
2) 덴마아크의 종교 개혁
(1) 왕 크리스찬 2세가 루터주의를 찬송하는 정치 채택.
(2) 한수 타우젠 (Hans Tausen, 1494-1561) 이 덴마아크의 궁전 목사로서
1530년 동지들과 함께 43조의 신앙 고백을 제정하였고, 교회 정치를 루터
식으로 함.
3) 노르웨이의 종교 개혁
왕의 권력으로 종교 개혁을 단행하였다.
4) 아이슬란드의 종교 개혁
깃세르 아이나르센 (Gisser Einarsen ) 이 1540년 스칼홀트 (Skal holt)에
서 루터 교회 감독이 되어 개혁 사업을 단행하였다.1554년에 신교가 이 섬
을 지배하게 되었다.
11. 네덜란드의 종교 개혁
네덜란드 (Netheland)라고 부르는 지역은 오늘날의 화란과 벨기에에 이르는 지
역으로 여러 제후국으로 나누어져 있다가 부르고뉴 (Brougogne)공이 결혼, 매
수 약탈의 방법으로 병합하였다.
1) 식민지 시대
(1) 부르고뉴 공이 프랑스와 싸워 전사하자 국토의 대부분이 프랑스령이 됨.
(2) 독일 황제 카알 5세가 집권하자 대부분이 독일령이 됨.
(3) 카알 5세의 신교 탄압이 심하였으나 루터와 칼빈의 사상이 널리 퍼짐.
(4) 스페인 영토가 되어 필립 2세의 박해를 받음.
2) 독립 전쟁.
(1) 오랑주 공 빌헬름 (Whilhelm) (1533-1534)
a. 가톨릭 신앙으로 양육 받음.
b. 11세때에 오랑즈 (Orange)가를 상속받고, 카알 5세의 총애를 받음.
c. 필립 2세가 알바 (Alva) 공을 파견하여 <피의 법정 <이라는 재판을 하여
18.000명을 죽이는 대박해를 함.
(2) 1568년 빌헬름 (Wilhelm)은 신앙의 자유와 가치권을 부르짖고 어민과 수
부들을 모아서 독립 전쟁을 시작함.
a. 1574년 라이덴 (Leiden)포위시 빌헬름은 제방을 끊어 바닷물을 넣어 승리
함.
b. 1581년 독립을 선언, 빌헬름이 대통령이 되어 라이덴 대학을 중심하여 개
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c. 1584년 빌헬름은 필립 2세가 보낸 자객에서 암살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구
와 아들이 계승하여 1648년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1) 라이덴 대학을 비롯하여 프라넥케르, 그레요닌겐,우트레히트,할더비크 대
학이 등이 설립되어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다.
(2) 칼빈주의가 발달하였고, 신앙 자유를 통한 개혁 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12. 프랑스의 종교 개혁
1) 개혁의 반대자들
(1) 왕권 (2) 고등 법원(파를라망:Parlment) (3) 소르본 (Sorbonne)
2) 개혁자들
(1) 마르가레트 (프랑소와 1세의 누이)
a. 신교도는 아니어도 개혁 사상을 동정하고 보호함.
b. 1527년 프랑스령내 소국인 나바르 왕과 결혼하여 나바르여왕이라 불리웠고
궁전을 개혁자들의 은신초로 제공하였다.
(2) 칼빈
a. 칼빈은 프랑스에 거주하지 않았으나 프랑스를 위하여 여러 방면으로 지원
을 하엿다.
ᄀ.1555년 파리에 프랑스 최초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ᄂ.8년간 49개처 교회가 설립되었다.
b. 교회의 지도자들은 제네바에서 교육을 받은 자들이며 1567년까지 120명의
목사가 파견되었다.
3) 위그노 (Huguenots)사건
(1) 시발
카타리나가 섭정하면서 세력 확장을 위하여 신교와 결탁하자 가톨릭파 지
도자인 귀이즈 (Guise ) 형제는 이를 결렬시키고자 1562년 3월 1일 그의 호위
병으로 바시 (Vassy) 에서 예배드리는 위그노파를 습격하였다.(이것을 <바시의
혈낙>이라고 한다)
(2) 경과
프랑스의 종교 쟁론이 전쟁으로 변하였고 위그노 사건이라는 장기전으로
돌입하였다.
a. <1차전>
노르망디에서 1년간 전쟁.
ᄀ.위그노의 지도자는 콘데 (Conde)로서 영국과 독일의 개혁파들이 응원하였다
ᄂ.가톨릭의 지도자는 귀이즈 형제 외에도 몽모랑시 (Montmorency) 장군과 생
앙드레 (St.Anere) 였고, 쌍방의 지도자 모드가 포로되고 전사하였다.
ᄃ.1563년 3월 앙부와즈 (Amboise) 칙령으로 종전하였다. 이 칙령의 내용은
(1) 가톨릭 교회는 파리와 각 도시에서 로마교 성당에서 예배드리고,
(2) 위그노파의 귀족에게는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그들이 소속한 시나 궁전
에서 예배 처소를 구할 수 있게 하였다.
b. < 2 차전>
위그노파는 로레인의 홍의 주교가 궁중에서 득세하자 이를 제거하려는 것이
전쟁으로 변하였다. 1569년 11월에 양파가 모두 기진하여 휴전하였다.
c. < 3 차전>
카타리나가 2차전의 책임이 위그노에게 있다 하여 그 목사를 추방하므로 시
작하였고 얼마후 양파 모두 기진하여 1570년 8월에 생 제르맹 (St.Germain)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a. 이 조약에 의하며 위그노는 파리 이외에서 예배의 자유와 평등 권리가 허용
되었다. (관직 부여)
b. 조약 실행의 담보로 4개 도시를 주었다.
4) 바돌로매 축제의 학살
위그노 전쟁이 프랑스 국내의 내란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유럽 전 지역의
신구교 국가 사이에 전쟁과 실력 대결로 변하였다.
(1) 카타리나는 자기의 딸 엘리자베토를 스페인왕 필립과 결혼 시켰고,
(2) 신교측에서는 엘리자베토의 노이 마르가레토를 나바르의 앙리 (Henri)
와 결혼 시켰다.
(3) 1572년 8월 24일 (성 바돌로매 축제일) 결혼 축하를 위해 양파가 파리에
모였을 때 종소리를 신호로 콜리니 (Coligny)를 위시하여 파리에서 7만
여명,지방에서 무스히 위그노를 학살 하였다.
5) 낭트(Nantes) 칙령
1598년 4월 3일 앙리 (Henri) 4세가 국가와 개혁 교회와의 관계 즉 신교의
양심의 자유를 용인하는 칙령
(1) 예배 자유를 허락하고 (2) 관직 취득권 부여.
(3) 신교도들도 로마 교인과 동등권 부여
(4) 안전 보증으로 수개처 도시에 병력을 허용.
13.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1) 혼인 관계.
프랑스 왕실과의 관계로 친밀함.
2) 칼빈의 영향.
스코틀랜드는 독립 국가이므로 프랑스와 친밀하고 칼빈의 영향을 받아 종교ᅧ
개혁을 활발히 진행하였다.
3) 3개의 대학 설립.
(1) 1413년 세인트 앤드루우즈(St.Andrews)대학
(2) 1451년 글래스고우 (Glasgow) 대학.
(3) 1464년 애버디인(Aberdeen)대학.
4) 개혁자들
(1) 첫 순교자 패트릭 해밀톤 (Patrick Hamilton)...1528년 2월 27일 순교.
(2) 조오지 위셔트(Geoge Wishart)...1546.3.1 순교.
(3) 존 녹스(John Knox,1505-1572).
a. 대지주의 아들로 그래스고우 대학 수학.
b. 1530년까지 로마 교회 소속.
c. 조오지 위셔트의 제자.
d. 투옥되었다가 1549년 탈출하여 영국 목사가 되었고, 1554년에는 제네바
칼빈을 만남.
e. 여러 교회에서는 목회하였으며 개혁 운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14. 영국의 종교 개혁.
1) 성격
(1) 교리와 신학 중심이 아님. (2) 정치와 교회법이 중심.
2) 원인:(헬리(Henry) 8세의 중혼 문제로 교황과 충돌이 생김.
(1) 헨리 8세가 형수인 캐더린 (형은 이미 죽음)과 결혼하려고 교회법이 인
정하지 않은 것을 교황을 강요하여 결혼 하였다. 15년간 매어리(Mary)외
에는 자식이 없었다.
(2) 15년간 매어리 외에는 자식이 없으니 이 결혼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고
교황에게 선언하여 주기를 청하였으나 교황이 거절 하였다. 헨리 8세는
1533년 궁녀인 앤 불린(An Boleyn)과 결혼하였으나 교황이 반대하였다.
3) 개혁의 방법
(1) 교황과 단절하고 국교를 창설 (2) 교회 수장령을 발펴 (1535).
(3) 교황에게 납세와 재판을 금함.
(4) 수도원을 해산하고 수입을 황실에 귀속시킴.
(5) 그러면서도 구교적 태도를 취하였고 화체설 부인자를 화형에 처하였다.
4) 종교 정책
(1) 대립하여 오던 신구교 양파를 모두 탄압하고 영국교회에 복종을 강요함.
(2) 1559년 국회에서 교회 수장령을 가결.
(3) 공기도움 채택.
a. 성찬식에서 일반에게 떡을 나누어 줄 일.
b. 십자가,제단,화상을 제거.
c. 단순한 제복 착용, 로마교 의식이 많음.
(4) 1563년 39개조 신조를 제정.
a. 성찬식 견해는 칼빈의 사상과 같음.
b. 신조는 진보적 경향이 농후함.
5) 결과
의식이 치중하므로 여기에 반대하여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6) 관련 인물들
(1) 헨리 8세 (Henry Vlll, 1509-1547)
a. 교황 레오의 부탁으로 루토의 저서를 금함.
b. 중혼 문제로 교황과 대립.
c. <7종의 예전의 고수>라는 책을 저술하고 가톨릭 성례를 그대로 준수함.
(2) 윌림엄 틴들(William Tydale, 1484-1535)
a.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
b. 성경 번역을 완성. c.이단자로 교수형 당함. 시체를 불사름.
(3) 에드워드 6세 (Edward VI,1547-1553)
a. 칼빈주의를 취함. b.중요한 감독 직위에 신교도를 배치.
c. 유명한 신학자를 초빙하여 대학 교수에 임명.
(4) 매어리 (Mary,1553-1558).
영국을 가톨릭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신교의 목사와 감독을 체포하고 불사
르는 피의 여왕.
(5) 엘리자베드 (Elizsbeth, 1558-1603 재위)
a. 46년간의 치세는 영궁의 중흥기였다. b. 신교의 기치를 들고 나옴.
c. 의식 치중의 영국 국교를 강요. d.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15. 30년 전쟁 전의 독일
1) 시말칼덴(Schmalkalden)전쟁 (1546-47).
프로테스탄티 제후들과 카알 5세와의 전쟁.
(1) 원인
a. 1531년 신교 계통 제후들이 시말칼덴에서 동맹을 체결.
b. 카알 5세가 교황과 합하여 스페인 군대로 이들을 공격.
(2) 결과
a. 작센공 모리쯔(Moritz)등이 변절하여 황제 편에 가담.
b. 신교군이 대패.
2) 아우크스부르크 가신조 (Augsburg Interim)
(1) 선언 이유
a. 교황은 황제의 세력 신장이 두려워 구원병을 소환.
b. 황제가 노하여 자력으로 종교를 정리하고자 선언함.
(2) 내용
a. 교직자의 결혼 허락 b.일반 교인에게도 성찬 때 잔을 줌.
c. 7예전,사자 위한 미사.성자의 공덕 등 로마 교회 제도를 답습.
(3) 결과 : 남부 독일 외에는 잘 시행되지 않음.
3)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회의 조약
(1) 모리쯔 등 변절자들이 회개하고 1552년 3월에 황제는 습격하여 승리함.
(2) 1555년 국회가 열리고 9월 25일에 협정함.
a. 로마교 신자와 아우크스부르크 신조 신봉자는 같은 권리를 가짐 .
(칼빈,쯔빙글리는 제외).
b. 주의 시민의 신앙은 군후의 신앙과 같아야 함.같지 않으면 재산을 팔아
다른 주로 이사하여야 함.
4) 카알 5세의 토위 (1556)
(1) 스페인,인도,네덜란드,이탈리아의 왕위를 아들 필립 2세에게 물려줌.
(2) 독일 왕위는 동생 페르디난트 1세에게 물려 주었으나 1564년에 막시밀리안
2세에게 계승시킴.
16. 30 년 전쟁.
1) 의의
(1) 가톨릭 교도와 신교도들의 신앙 교리로 인한 전쟁.
(2) 독일 제국의 안전과 파괴 문제는 정치적 전쟁임.
2) 원인 (1618-1648)
(1) 독일의 루돌프 (Rucolf)황제가 신교의 자유를 허략하였으나 그 후 가톨릭
파인 페르디난트 황제가 즉위하고 신교를 박해 하였따. 신교 개혁파는 여
기에 굴하지 아니하고 구교에 도전하여 독일 30년 전쟁이 일어났다.
(2) 전쟁의 직접적 원인은 가톨릭 보호령인 보히미아(Bohemia)에 스페인왕 구
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를 적극 후원한 데 있다.
3) 경과
(1) 제 1 기 (1618-23) 팔쯔 (Pfalz) 전쟁
a. 왕이 신교를 탄압하여 회당을 헐게하므로 개혁파들이 궐기하여 프라하를
점령하였다.
b. 개혁파에 영국왕의 원조가 없고, 루터파는 변절하엿다. 왕군은 틸리(Tilly
를 대장으로 공격하여 승리하였고 이에 망명자가 3만명이나 되었다.
(2) 제 2 기 (1625-29) 덴마아크 전쟁
덴마아크왕 크리스찬 4세는 영국, 네덜란드 군대와 같이 독일의 신교군을
후원하였으나 독일 왕군에게 격퇴 당하였다.
(3) 제 3 기 (1630-35) 스웨덴 전쟁.
스웨덴 왕 구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군을 도와 침입하였으나
발렌시타인에 의해 격퇴되었다.
(4) 제 4 기 (1635-48) 프랑스 전쟁.
프랑스는 독일 왕권의 강화를 견제하기 위하여 스웨덴을 도와 남부 이탈리
아를 공격하여 독일에 혼란을 주었고, 프랑스의 야심을 보고 신교 제후들
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4) 결과
(1) 전쟁의 피해로 인구 3분의 2가 감소.
(2) 교역자 전사가 620명.
(3) 교육,정치,경제,문화 등 각 분야가 황폐하여짐.
(4) 베스트팔리아 조약 체결 (1648)
5)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조약
30년 전쟁으로 1648년에 독일과 스웨덴 사이에 맺은 강화 조약이다.
(1) 종교에 관한 규정
a. 가톨릭파,루터파,칼빈파 모드가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
b. 교횔 제산 소유권은 1624.1.10. 현상으로 환원한다.
c. 자유 이주권은 허용하며 재산 몰수는 할 수 없다.
d. 루터파와 개혁 교ᅡ와의 관계는 조약 체결 당시의 현상에 준하다. 신앙 자유
유,재산 소유를 인정한다.
(2) 정치에 관한 규정
a. 스페인은 네덜란드를 승인한다.
b. 독일은 스웨덴의 독립을 승인한다.
c. 스웨덴에 포메라니아 (Ponerania)의 일부와 뤼겐 (Rugen)섬을 할양하고 이
지역 대표는 독일 국회에 참석한다.
d. 프랑스는 메츠 (Metz) 툴루즈 (Toulouse), 베르덩 (Verdun),알자스 (Alsace
의 대부분을 획득한다.
e. 각국은 자유로 서로 연합하여 또 자기 나라와 외국 간에 맹약할 수 있다.
17. 아르메니우스파의 신학론과 도르트레히트 회의
( Dordrecht = 도르트.Dort)
1) 아르미니우스 (Arminius,1560-1609)
(1) 156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출생.
(2) 제네바에 유학한 후 1588년에 암스테르담 목사가 됨.
(3) 학시과 웅변이 탁월하였다.
(4) 코오른허트 (Coornhert) 설을 논박해 달라는 관의 위촉을 받고 연구하다
가 여기에 탁월하였다.
(5) 1603년 라이든 대학 교수가 되어 칼빈의 예정론을 반대함.
2)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차이
┌──────┬──────────┬──────────┐
│ 문 제 │ Calvin 파 │ Arminius 파 │
├──────┼──────────┼──────────┤
│ 인 간 │ 완 전 타 락 │자유 의지 의존 │
├──────┼──────────┼──────────┤
│ 예 정 │ 무조건 예 정 │예지 예정 │
├──────┼──────────┼──────────┤
│ 속 죄 │ 제한된 선택 구원 │무한 선택 구원 │
├──────┼─╨────────┼──────────┤
│ 은 총 │ 불가항적 은총 │가향적 은총 │
├──────┼──────────┼──────────┤
│ 성 도 │ 성도의 견인 (보호) │성도의 보호 불확실. │
└──────┴──────────┴──────────┘
3) 도르트레히트(Dordrecht, Dort) 회의
(1) 목적...칼빈파의 아르미니우스파의 분쟁을 종결 짓고 아르미니우스 파를
배제할 목적.
(2) 시일,장소...1618.11.13. 네덜란드 도르트레히트에서 회집.
(3) 소집자 및 회원...네덜란드 국회의원 84명,아르미니우스는 피고로 참석.
(프랑스의 불참)
(4) 결의 내용
a. 아르미니우스파 국외 추방.
b. 칼빈 신조를 채택하여 <도르트 레히트 신조>를 제정.
(5) 결과
a. <정치적 속죄론>으로 우세하던 아르미니우스파가 쇠퇴하므로 개혁파의 위
기를 막았다.
b. 드르트레히트 신조는 그후 위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큰 영향을 줌.
18. 소키누스 (Socinus) 신학
삼위일체 교리를 반대하고 단일신론 (Unitarianism)을 주장하는 흐름.제세례파
와 신비주의 중에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소키누스에 와서 구체화 되었다.
1) 소키누스 (Faustus Socinus, 1539-1604).
(1) 이탈리아 귀족으로 법률가
(2) 백부 레리오 소키누스 (Lelio Socinus, 1525-1562)의 유지를 받들어 삼위
일체설을 반대하는 것을 평생의 사명으로 삼고 폴란드로 감.
(3) 만년에 신조와 문답서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4) 1605년에 시말쯔 (Schmalz)가 이를 완성하고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였다.
(5) 1638년 예수회에 의해 폐쇠되고 추방을 당함.
2) 사상
(1) 신앙...신의 명령과 약속을 승인.
(2) 성경...교리와 도덕을 가르친 글.
(3) 기독론
a. 그리스도의 교사적 측면 강조
b. 신인 양성의 합일을 부인.
c. 기적적 탄생으로 보통 인간과 다르게 출생.
d. 전도에 착수하기 전 하늘에 올리워져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으며 부활 승
천하여 하나님 나라의 지배권을 얻음.
(4) 속죄론...대속설 반대.
그리스도는 죄의 지배에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하여 죽고, 우리의 죄를 버
리게 하셨다.
(5) 삼위일체 교리를 구원에 필요치 않으나 대단히 유용하다.
19. 그리이스 교회
1) 키릴로스 루카리스(Cyrillos Lucaris)
(1) 1572년 그레데 섬에서 출생.
(2) 1602년에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가 됨.
(3) 1616년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 조오지 아보트 (Georg Abbot)와 연락.
(4) 알렉산드리아 사본 (Codex Alexandrinus) 을 영국왕 차알즈 1세에게 기증.
(5) 162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가 됨.그는 신앙 고백서를 제네바에서 출
판하여 이단으로 몰리고 5번 추방 되고 5번 복직되었다. 1638년 6월에 사
형을 당하였다.
2) 러시아의 교회
(1) 몽고의 침입으로 유럽과 교통이 끊어졌으나 기독교가 널리 전파되었다.
(2) 교회의 중심지는 키에프(Kiev) 였고 후에 모스크바 (Moskva)로 옮겼다.
(3) 주교 필라레트 로마노프 (Philaret Romanov) 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국난을
막음. 그의 아들 1613년에 즉위함.
(4) 니콘 (Nikon 1652-1667)
a. 필라레트 로마노프의 후계자로서 교회 개혁을 기도...교직자 음주를 금하
고, 인쇄소를 설치하여 문서 운동을 전개, 교회 음악 개량.
(5) 페트로 대제 (1689-1725)
a. 진실한 신자.
b. 모스크바 대주교를 폐하고 성회(성회)를 설치하여 그 의장이 되었다.
1. 종교개혁의 원인
(1) 교회의 부패(교직매매, 음행)
(2) 교황의 세속화(권위상실, 홍의주교의 부도덕생활)
(3) 위클리프의 종교개혁론에 일반교인까지 감동
(4) 레오 10세의 면죄부 판매
2. 목적
(1) 율법종교에서 복음적 종교로 만들 목적
(2) 교권주의에서 참 자유주의로 발전시킬 목적
(3) 의식적인 신앙에서 체험적 신앙으로 옳길 목적
3. 그 형태
(1) 루터파(독일북부, 동북구)
(2) 칼빈파(제네바 중심으로 불어쓰는 서구)
(3) 즈빙글리파(주리히 중심으로 독어쓰는 서구,남독)
(4) 재세례파(서구대부분)
(5) 영국개혁파(영어쓰는 민족에게)
(6) 예수종회파(구교재생, 부흥으로 로마 중심지역)
~L* 95개 논제 *~N
1. 일시 ; 1517년 10월 31일
2. 장소 ; 윗텐벍 교회 정문에 붙임
3. 95개조 내용 요약
(1) 1-7조 ; 성서적으로 본 회개의 의미, 면죄부를 판
단할 일반적인 원칙을 서론적으로 말한다
(2) 8-29조 ; 연옥에 가 있는 영혼을 위한 면죄부에
대하여 이 논제들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내적이며 영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3) 30-80 ; 살아있는 자들을 위한 면죄부에 대하여
(4) 81-95 ; 결론적으로 면죄부 판매에 대한 평신도로
서의 반대와 면죄부 판매의 옳지못한 동기를 적었다.
4. 핵심부분
(1) 36조 ; 진정으로 회개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면죄부가 없어도 죄와 형벌에서 사함받을
수 있는 완전한 권리를 가진다.
(2) 37조 ; 모든 진정한 그리스도인들은 산 자나 죽은
자나 간에 그리스도와 교회의 모든 축복에
참여한다. 이것은 면죄부 없어도 하나님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1. 시대적 배경
(1) 정치 ; 중세 독일의 무 국가 상태, 유명무실한 황제권.
(2) 경제 ; 장원 경제 몰락, 신흥상업 자본주의, 농노
에서 약간의 자유.
(3) 사상 ; 르네상스 휴머니즘.
2. 종교개혁 발생의 원인
(1) 교회내의 부패 (2) 교회의 교리적 탈선
(3) 사회적 계급과 빈부격차 (4) 교회의 재정압박
(5) 교직자들의 수준 생활의 저하 (6) 성직자 부재
(7) 성직자들의 도덕적 타락 (8) 대중의 종교적 열정
3. 독일의 특수성(시대적 상황)
(1) 무력한 황제와 무 국가 상태
(2) 봉건 영주의 세력강화
(3) 제국도시의 번영과 의식 발달
(4) 기사계급의 몰락과 반항
(5) 농민들의 불만
(6) 로마의 착취 대상
(7) 독일 국민의 종교적 순수성과 열정
II. 근세 시대 (1648-1800)
1. 서 론
1) 기간
1648년의 베스트팔리아 조약으로 부터 1800년의 프랑스 대혁명 말기까지를 근
세 시대라고 본다.
2) 특징
(1) 종교 개혁이 성공한 나라는 교황권이 약화되고 왕권이 강화되었다.
(2) 제왕 신권설을 주장하며 신아의 자유를 강조.
(3) 청교도 운동의 발생.
3) 계몽 사조
(1) 공헌 a. 미신 타파. b.지식의 개발. c. 법률 개정 작업.
(2) 결점. a. 영적 내용이 없음. b.역사 무시, 정서를 경시
c. 신학은 형식 논리에 사로잡혀 인생사와 관련이 없었다.
4) 부흥 운동
(1) 독일...경건파 운동. (2) 영국...메더디스트(Methodist) 운동.
(3) 가톨릭...정숙주의 운동.
2. 영국의 청교도 운동
1) 의의
(1) 가톨릭식의 의식과 미신적 교회 풍토에 대한 청결 운동.
(2) 영국의 종교 개혁을 신학과 제도적으로 철저화 하려는 신앙인의 무리들.
(3) 제임스 1세의 즉위 때부터 청교도, 시대라고 부름.
2) 기원
(1) 존 후우퍼 (John Hooper. 1495-1555)
a. 헨리 8세 때 대륙으로 가서 개혁 운동을 배움-교회 제단 두는 일을 반대.
b. 1550년 글로스토 (Gloucester) 감독이 되었을 때 임직시에 제복 입는 것을
거절하여 투옥되었고, 메어리 여왕의 박해 때 화형 당함.
(2) 대륙에서 돌아온 개혁파 신자들이 국교의 근본적 개혁을 주장.
3) 지도자
(1) 토머스 키아트리이트 (Thomas Cartwright, 1535-1603).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의 개혁주의자.
b. 1569년 신학 교수로서 명강연.
c. 성경은 신앙과 교회 정치의 표준이며, 성경적 교회정치의 형태는 장로정치
뿐이라고 주장.
d. 그의 학설 때문에 추방되어 12년간 독일에 망명하였다.
(2) 로버트 브라운 (Robert Browne)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독립 교회 정치 형태를 주장.
b. 이들을 독립주의자 (Independents)혹은 브라우니스트 (Brownist) 라고 부
르며 청교도들과 구별된다.
4) 생활
(1) 성경의 감화 (2) 하나님의 의지를 최고의 법칙으로 지킴.
(3) 가정에 대한 고상한 이상.
(4) 안식일 성 수 (5) 자연의 아름다움을 예찬.
5) 성경 번역사
(1) 위클리프 (Wyclif,1380)...라틴어로부터의 번역.
(2) 틴들 (Tyndale,1515)..위클리프를 많이 따름.
(3) 커버데일 (Coverdale,1535)...위클리프를 많이 따름.
(4) 매튜 성경 (Matthew Bible, 1537)... 틴들역의 부족을 커버데일역으로 보
충하고 약간의 수정과 약주를 달았다.
(5) 대성경(The Great Bible,1538-39)...헨리 8세때 매튜 성경을 개정.
(6) 태버너 성경 (The Taverner Bible,1539)...리처드 테버너 (Richard Tavern
er) 가 매튜 성경을 수정.
(7) 제네바 성경 (The Geneva Bivle,1557)...제네바에 피신했던 휘팅검 (Whitt
ngham)이 신약을 번역,청교도들이 애용.
(8) 감독 성경 (The Bishop's Bible,1568)...대주교 파아카(Parker)가 8명의
감독과 다른 학자들과 번역,40년간 공적으로 사용한 영어 성경.
(9) 로마교도 성경 (Donai Rheims, 1582 - 신약,1610 - 구약)
(10) 흠정역 (King James Version,1611)...영어의 표준적 성경이 됨.
5) 위스트민스터 (Westminster) 회의
(1) 동기
a. 찰스 1세가 왕권 신수설을 주장하며 국회를 탄압하고 1629-1640년간 국회
를 소집하지 않았다.
b. 1640년 11월에 스코틀랜드와의 전쟁 때문에 국회를 회집하였다. 이국회를
장기 국회 (The Long Parliament)라고 하며 지도자는 장교로 정치를 주장
하는 햄프던(Hampden),핌(Pym) 등이다.
(2) 목적...교회의 신조와 정치,의식 등을 새로 제정하기 위하여
(3) 회원...목사 121명,귀족 10명,하원 의원 20명
(4) 결의
a. 예배 모범을 채택. b. 신앙 고백서 채택
c. 대소 요리 문답서 제정.
6) 크롬웰 (Oliver Cromwell, 1599-1658)/
(1) 헌팅턴(Huntington)출신으로 후에 국회 의원이 되었다.
(2) 국왕과 국회와의 전쟁에서 국회군을 이끌고 국왕군을 격파하였다.
(3) 아일랜드,스코틀랜드를 정복하고 공화 정치를 선포.
(4) 1652년 공화국 통령 (Protector )이 되어 종교 자유를 허락하고 신교도들
을 보호함.
7) 이 시대의 학자들.
(1) 존 밀톤 (John Milton, 1608-1674)
a. 철저한 청교도로서 크롬웰의 비서관을 냄.(소경이 되었으나).
b. 저서..<실락원> <복락원>
(2) 존 번연 (John Brnyan, 1628-1688)
a. 베드퍼드(Bedford)출신으로 대장간에서 일함.
b. 침례교회에 속하여 설교, 불법 집회로 죄로 12년간 투옥 되었고 석방되어
다시 16년간 설교함.
(3) 리처드 백스터 (Richard Baxter, 1615-1691).
a. 국회군의 종군 목사.저술의 종사.
b.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조화에 노력함.
c. 저서...<성도의 영원한 휴식> <목회자상>등
(4) 존 오우엔 (John Owen, 1619-1683)
a. 영국 국교회 목사로서 장로파에 가담하였다가 후에 독립파가 됨.
b. 크롬웰의 궁중 목사가 됨.
c. 옥스퍼드 교회 수석 목사.
d. 저서...<히브리서 주해>
(5) 리처드 후커(Richard Hooker,1533-16)
a. 옥스퍼드 대학의 조교수
b. 저서...<교회 정치의 법칙>
(6) 제러미 테일러 (Jeremy Taylor, 1613-1667)
a. 영국 교회의 교구장. b. 저서...<거룩한 생활> (거룩한 죽음>
(7) 조오지 허어버트(George Herbert, 1593-1632)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제임스 1세의 부름으로 궁중에서 화려한 생활
을 함.
b. 시인으로서 시집 <성전 Temple> 이 유명함.
3. 근세 철학의 기원
1) 과학의 발달
(1) 코페르니쿠스 (Copernicus,1473-1543)의 태양 중심설 주장.
(2) 코플러 (Kopler,1571-1630)의 천문학 연구.
(3) 브루노 (Bruno,1548-1600)의 천문학 연구.
(4) 갈릴레오 (Galileo,1564-1642)의 망원경 개발과 코페르니쿠스 학설의 입증
(5) 뉴우튼(Newton,1642-1727)의 만유 인력의 법칙 발견.
2) 철학자와 그 사상들
(1) 베이컨 (Fransis Bacon,1561-1626)
a. 생애
ᄀ.영국 고관의 아들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을 마치고 파고 대사관 근무.
ᄂ.변호사,하원의원,검찰총장,고관 대법관 등을 역임.
b. 사상-귀납법적 학문 연구
ᄀ. 그리이스인들의 잘못을 지적...이론만 주장하고 관찰을 게을리 하는 것
ᄂ. 우상론...종족(인간) 우상,동굴 우상 (환경,습관,교육),시장 우상(교제
하는 데서 생기는 편견)
(2) 홉즈 (Thomas Hobbes,1588-1679)
a. 목사의 아들로서 옥스퍼드 대학 출신이었고 프랑스에서 20여년간 체류함.
b. 그의 사상은 유물론 기초 위에 정립하였다....지식은 감각이 집성한 것이
고 정신은 감각할 수 없을 만큼 정미한 물체다.
(3) 데카르트(Descartes,1596-1679).
a. 프랑스 귀족으로 출생,유럽 각지에서 연구.
b. 그의 사상<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직접적 의식을 강조하고,신
의 실재에 대해서는 사유와 실재는 신에게서 통일된다고 주장.
(4) 스피노자 (Benedict Spinoza, 1632-1677)
a. 유대인으로 유대 교리와 학문을 배우고 후에는 자유파와의 친교로 유대
교에서 파문 당함.
b. 그의 사상
ᄀ.자연과 신을 동일시 함. ᄂ.신인 합일...논리학
(5) 존 로크(John Locke,1632-1704).
a. 인식론적 경험 철학을 개발.
ᄀ.이성에 의한 자유 행동을 주장.
ᄂ.신의 존재는 인과 사실로 증명되며 종교는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주장.
4. 자연신교 (Deism)
1) 발단
16세기의 개혁자들이 전통을 버리고 신앙에만 의존한 데 반하여 17세기 영
국에서 일어난 신학 사상으로 계시를 이성과 대치시키고, 종교를 도덕으로 대
치,이성으로 종교의 근본 도리를 캐낼 수 있다고 확신하는 사상이다.
2) 교리
(1) 신의 존재를 믿는다. (2) 창조주는 자연법을 세웠다.
(3) 인가에게는 양심과 자유를 주었다.
(4) 장연은 신의 완전한 창조이므로 특별 계시가 필요 없다.
3) 대표자
(1) 에드워드 허어버트(Edward Herbert,1581-1648)...자연신교를 개조하였다.
이성과 도덕률을 강조(특징:선자), 독립,보통,확실,필요,직접 등 6가지가
있다.
(2) 토올런드 (Toland, 1670-1722)... 합리적 자연신교를 주장.
(3) 콜린즈 (Collins, 1676-1729)...자유 이성론 주장,예언 부인.
4) 결론
자연신교는 죄악과 투쟁할 능력을 주지 못하였다. 그래서 칸트(Kant)의 순
수 이성 비판에서 이성의 한계성을 정하므로 이성을 유일한 근거로 삼았던 자
연신교는 사상적으로 어느 정도 활동하다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II. 근세 시대 (1648-1800)
1. 서 론
1) 기간
1648년의 베스트팔리아 조약으로 부터 1800년의 프랑스 대혁명 말기까지를 근
세 시대라고 본다.
2) 특징
(1) 종교 개혁이 성공한 나라는 교황권이 약화되고 왕권이 강화되었다.
(2) 제왕 신권설을 주장하며 신아의 자유를 강조.
(3) 청교도 운동의 발생.
3) 계몽 사조
(1) 공헌 a. 미신 타파. b.지식의 개발. c. 법률 개정 작업.
(2) 결점. a. 영적 내용이 없음. b.역사 무시, 정서를 경시
c. 신학은 형식 논리에 사로잡혀 인생사와 관련이 없었다.
4) 부흥 운동
(1) 독일...경건파 운동. (2) 영국...메더디스트(Methodist) 운동.
(3) 가톨릭...정숙주의 운동.
2. 영국의 청교도 운동
1) 의의
(1) 가톨릭식의 의식과 미신적 교회 풍토에 대한 청결 운동.
(2) 영국의 종교 개혁을 신학과 제도적으로 철저화 하려는 신앙인의 무리들.
(3) 제임스 1세의 즉위 때부터 청교도, 시대라고 부름.
2) 기원
(1) 존 후우퍼 (John Hooper. 1495-1555)
a. 헨리 8세 때 대륙으로 가서 개혁 운동을 배움-교회 제단 두는 일을 반대.
b. 1550년 글로스토 (Gloucester) 감독이 되었을 때 임직시에 제복 입는 것을
거절하여 투옥되었고, 메어리 여왕의 박해 때 화형 당함.
(2) 대륙에서 돌아온 개혁파 신자들이 국교의 근본적 개혁을 주장.
3) 지도자
(1) 토머스 키아트리이트 (Thomas Cartwright, 1535-1603).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의 개혁주의자.
b. 1569년 신학 교수로서 명강연.
c. 성경은 신앙과 교회 정치의 표준이며, 성경적 교회정치의 형태는 장로정치
뿐이라고 주장.
d. 그의 학설 때문에 추방되어 12년간 독일에 망명하였다.
(2) 로버트 브라운 (Robert Browne)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독립 교회 정치 형태를 주장.
b. 이들을 독립주의자 (Independents)혹은 브라우니스트 (Brownist) 라고 부
르며 청교도들과 구별된다.
4) 생활
(1) 성경의 감화 (2) 하나님의 의지를 최고의 법칙으로 지킴.
(3) 가정에 대한 고상한 이상.
(4) 안식일 성 수 (5) 자연의 아름다움을 예찬.
5) 성경 번역사
(1) 위클리프 (Wyclif,1380)...라틴어로부터의 번역.
(2) 틴들 (Tyndale,1515)..위클리프를 많이 따름.
(3) 커버데일 (Coverdale,1535)...위클리프를 많이 따름.
(4) 매튜 성경 (Matthew Bible, 1537)... 틴들역의 부족을 커버데일역으로 보
충하고 약간의 수정과 약주를 달았다.
(5) 대성경(The Great Bible,1538-39)...헨리 8세때 매튜 성경을 개정.
(6) 태버너 성경 (The Taverner Bible,1539)...리처드 테버너 (Richard Tavern
er) 가 매튜 성경을 수정.
(7) 제네바 성경 (The Geneva Bivle,1557)...제네바에 피신했던 휘팅검 (Whitt
ngham)이 신약을 번역,청교도들이 애용.
(8) 감독 성경 (The Bishop's Bible,1568)...대주교 파아카(Parker)가 8명의
감독과 다른 학자들과 번역,40년간 공적으로 사용한 영어 성경.
(9) 로마교도 성경 (Donai Rheims, 1582 - 신약,1610 - 구약)
(10) 흠정역 (King James Version,1611)...영어의 표준적 성경이 됨.
5) 위스트민스터 (Westminster) 회의
(1) 동기
a. 찰스 1세가 왕권 신수설을 주장하며 국회를 탄압하고 1629-1640년간 국회
를 소집하지 않았다.
b. 1640년 11월에 스코틀랜드와의 전쟁 때문에 국회를 회집하였다. 이국회를
장기 국회 (The Long Parliament)라고 하며 지도자는 장교로 정치를 주장
하는 햄프던(Hampden),핌(Pym) 등이다.
(2) 목적...교회의 신조와 정치,의식 등을 새로 제정하기 위하여
(3) 회원...목사 121명,귀족 10명,하원 의원 20명
(4) 결의
a. 예배 모범을 채택. b. 신앙 고백서 채택
c. 대소 요리 문답서 제정.
6) 크롬웰 (Oliver Cromwell, 1599-1658)/
(1) 헌팅턴(Huntington)출신으로 후에 국회 의원이 되었다.
(2) 국왕과 국회와의 전쟁에서 국회군을 이끌고 국왕군을 격파하였다.
(3) 아일랜드,스코틀랜드를 정복하고 공화 정치를 선포.
(4) 1652년 공화국 통령 (Protector )이 되어 종교 자유를 허락하고 신교도들
을 보호함.
7) 이 시대의 학자들.
(1) 존 밀톤 (John Milton, 1608-1674)
a. 철저한 청교도로서 크롬웰의 비서관을 냄.(소경이 되었으나).
b. 저서..<실락원> <복락원>
(2) 존 번연 (John Brnyan, 1628-1688)
a. 베드퍼드(Bedford)출신으로 대장간에서 일함.
b. 침례교회에 속하여 설교, 불법 집회로 죄로 12년간 투옥 되었고 석방되어
다시 16년간 설교함.
(3) 리처드 백스터 (Richard Baxter, 1615-1691).
a. 국회군의 종군 목사.저술의 종사.
b.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조화에 노력함.
c. 저서...<성도의 영원한 휴식> <목회자상>등
(4) 존 오우엔 (John Owen, 1619-1683)
a. 영국 국교회 목사로서 장로파에 가담하였다가 후에 독립파가 됨.
b. 크롬웰의 궁중 목사가 됨.
c. 옥스퍼드 교회 수석 목사.
d. 저서...<히브리서 주해>
(5) 리처드 후커(Richard Hooker,1533-16)
a. 옥스퍼드 대학의 조교수
b. 저서...<교회 정치의 법칙>
(6) 제러미 테일러 (Jeremy Taylor, 1613-1667)
a. 영국 교회의 교구장. b. 저서...<거룩한 생활> (거룩한 죽음>
(7) 조오지 허어버트(George Herbert, 1593-1632)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제임스 1세의 부름으로 궁중에서 화려한 생활
을 함.
b. 시인으로서 시집 <성전 Temple> 이 유명함.
3. 근세 철학의 기원
1) 과학의 발달
(1) 코페르니쿠스 (Copernicus,1473-1543)의 태양 중심설 주장.
(2) 코플러 (Kopler,1571-1630)의 천문학 연구.
(3) 브루노 (Bruno,1548-1600)의 천문학 연구.
(4) 갈릴레오 (Galileo,1564-1642)의 망원경 개발과 코페르니쿠스 학설의 입증
(5) 뉴우튼(Newton,1642-1727)의 만유 인력의 법칙 발견.
2) 철학자와 그 사상들
(1) 베이컨 (Fransis Bacon,1561-1626)
a. 생애
ᄀ.영국 고관의 아들로 태어나 케임브리지 대학을 마치고 파고 대사관 근무.
ᄂ.변호사,하원의원,검찰총장,고관 대법관 등을 역임.
b. 사상-귀납법적 학문 연구
ᄀ. 그리이스인들의 잘못을 지적...이론만 주장하고 관찰을 게을리 하는 것
ᄂ. 우상론...종족(인간) 우상,동굴 우상 (환경,습관,교육),시장 우상(교제
하는 데서 생기는 편견)
(2) 홉즈 (Thomas Hobbes,1588-1679)
a. 목사의 아들로서 옥스퍼드 대학 출신이었고 프랑스에서 20여년간 체류함.
b. 그의 사상은 유물론 기초 위에 정립하였다....지식은 감각이 집성한 것이
고 정신은 감각할 수 없을 만큼 정미한 물체다.
(3) 데카르트(Descartes,1596-1679).
a. 프랑스 귀족으로 출생,유럽 각지에서 연구.
b. 그의 사상<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직접적 의식을 강조하고,신
의 실재에 대해서는 사유와 실재는 신에게서 통일된다고 주장.
(4) 스피노자 (Benedict Spinoza, 1632-1677)
a. 유대인으로 유대 교리와 학문을 배우고 후에는 자유파와의 친교로 유대
교에서 파문 당함.
b. 그의 사상
ᄀ.자연과 신을 동일시 함. ᄂ.신인 합일...논리학
(5) 존 로크(John Locke,1632-1704).
a. 인식론적 경험 철학을 개발.
ᄀ.이성에 의한 자유 행동을 주장.
ᄂ.신의 존재는 인과 사실로 증명되며 종교는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주장.
4. 자연신교 (Deism)
1) 발단
16세기의 개혁자들이 전통을 버리고 신앙에만 의존한 데 반하여 17세기 영
국에서 일어난 신학 사상으로 계시를 이성과 대치시키고, 종교를 도덕으로 대
치,이성으로 종교의 근본 도리를 캐낼 수 있다고 확신하는 사상이다.
2) 교리
(1) 신의 존재를 믿는다. (2) 창조주는 자연법을 세웠다.
(3) 인가에게는 양심과 자유를 주었다.
(4) 장연은 신의 완전한 창조이므로 특별 계시가 필요 없다.
3) 대표자
(1) 에드워드 허어버트(Edward Herbert,1581-1648)...자연신교를 개조하였다.
이성과 도덕률을 강조(특징:선자), 독립,보통,확실,필요,직접 등 6가지가
있다.
(2) 토올런드 (Toland, 1670-1722)... 합리적 자연신교를 주장.
(3) 콜린즈 (Collins, 1676-1729)...자유 이성론 주장,예언 부인.
4) 결론
자연신교는 죄악과 투쟁할 능력을 주지 못하였다. 그래서 칸트(Kant)의 순
수 이성 비판에서 이성의 한계성을 정하므로 이성을 유일한 근거로 삼았던 자
연신교는 사상적으로 어느 정도 활동하다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5. 영국 신학자의 변증과 비판.
자연신교를 비롯한 각종 사상이 기독교를 공격하므로 기독교의 변증이 필요하
게 되었다.
1) 버틀러 (Joseph Butler, 1692-1752)
(1) 생애
a. 옥스퍼드 대학을 졸없하고 롤즈교회(Rolls Chapel)의 설교자가 되었다.
b. 1752년 사망시까지 감독으로 봉사하였고 평생을 독신으로 사상 연구에
몰두하였다.
(2) 저서
<유사론>을 1736년에 저작.
a. 이 책은 자연 종교가 계시 종교를 공격한 것을 반격한 책이다.
b. 계시에 나타난 신의 정치와 자연계에 나타난 신의 정치가 유사하다고 강
조하였다.
2) 윌리엄 페일리(William Paley, 1743-1805).
(1) 생애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서 모교에서 10년간 교수 생활을 하였다.
b. 영국 교회 성직자로서 평생을 봉사하였다.
(2) 저서
< 기독교 변증학> <도덕 및 정치 철학> 1795,< 자연 신학> 1802,
3) 흄 (David Hume,1711-1799)
(1) 생애
a. 에딘바러 출신으로서 처음에는 법학을 연구하였으나 후에 문학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b. 프랑스에서 연구 귀국 후에 <인생론>을 발표하였으나 어려워서 일반의 환
영을 받지 못하였다.
(2) 사상
a. 로크의 경험론,버어클리(Berkeley)의 관념론을 계승하여 회의적 경험론에
도달하였고 이것이 후에 비판 철학의 기원이 되었다.
b. 전지각 (Perception)을 인상 (Impression)과 관념(Idea) 으로 구분하였다.
ᄀ.인상...최대한의 힘으로 맹렬하게 들어오는 지각.
ᄂ.관념...사유하고 논의할 때 떠오르는 모든 약한 현상
c. 윤리학에서는 도덕이 기초를 동정에서 구하였다.
d. 경제학을 철학과 접근시켜 애덤 스미드(A.Smith)에게 여향을 주었다.
6. 징세니슴(Jansenisme:얀세니즘 Jansenism)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짐은 국가다>라는 표현과 같이 독재주의를 실시 하였고
그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부흥을 주장하는 장
세니즘 (Jansenisme) 에 대해 박해를 가하였다.
1) 코블넬이우스 장세니우스( Cornelius Jansenius, 1585-1638)
(1) 생애
a. 네덜란드 북부 지방에서 출생하였고 루뱅(Louvain)대학에서 수학함.
b. 루뱅 대학의 교수 바유스 (Bajus,1513-1589)의 사상을 받아 아우구스티누
를 존경하고 스콜라 철학을 미워함.
c. 후에 루뱅 대학장,이프르(Ypres)의 감독이 되었다.
(2) 저서
a. 22년에 걸려서 대저인 <아우구스티누스>를 출판하였다.
< 내용 > 1부 반대론 비평
2부 인간 이성의 한계론.
3부 회심론
b. 1642년에 교황 우르바누스 7세가 금서로 지정하였으나 그의 사상이 널리
전파되었다.
2) 블래즈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
(1) 생애
a. 명문가에서 출생하였고, 비범한 두뇌의 소유자로서 어릴 때부터 수학과 물
리학을 연구하였다.
b. 24세때 부친의 병을 치로차 초빙받아 온 의사들의 감화로 장세니슴과 접촉
c. 수도원에 들어간 누이와 자신의 실연,그리고 마차에서 떨어진 경험 등이
회심의 동기가 되었다.
(2) 저서
a. <향촌서한:Lettres Provinciales)...고향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서 예수회를 풍자 비평한 것이다. 도처에서 환영을 받았고 예수회에는 치
명타가 되었다.
b. <팡세(Pensees)>... 기독교 진리를 인생 구조에 비교하여 변증한 것이다.
파스칼 불후의 명작이다.
7. 정숙주의 (Quietismus)
안정을 중요시하는 신비주의로서 그 근원은 스페인의 (Alombrados (광명을 받
은자)에서 찾을 수 있다.
1) 미카엘 몰리노스 (Michael Molinos, 1640-1697)
(1) 생애...사라곳사 (Saragossa) 부근에서 출생하여 코임브라 (Coimbra)에서
교육 받았다. 1669년 로마에서 와서 설교자로 활약하였다.
(2) 저서... <심령의 길잡이 (Spiritual Guide),1675>를 발행.
< 내용 >
a. 완전해지려면 마음이 조용해야 한다. 즉 말하지 않고 느끼지 않고 아무런
능력도, 움직이지도 말아야 한다.
b. 자기를 망각하고 하나님에게 전심함이 최고의 상태이다.
c. 영혼이 변화 개조되어 하나님과 같이 되기 위해서는 정신이 능력이 정지되
고 수동적이 되어서 고요한 생각이나 하나님에 대한 선한 사상이라도 가질
수 없게 되어야 한다.
(3) 교황 인노켄트 11세와 기타 유력자들이 이 저서를 칭찬하였으나 예수회가
불리하자 루이 14세를 충도하고 교황에게 청구하여 모리노스를 투옥시켰다
2) 귀용 부인 (Madame Gryon)
(1) 생애
a. 1648년 파리 남방 몽타르기 (Montargis)에서 출생.
b. 재색을 겸비하여 부호 귀용에게 시집갔으나 남편은 학식과 능력이 없었고
시어머니는 괴퍅하여 기도로 위로를 받았다.
c. 스승 라콤브(La Conbe)가 12년간 투옥되어 옥사하였다. 그 화가 귀용 부인
에게 미쳐서 여수도원에 감금되었고 종신 유배를 받았다.
(2) 저서...<간단하고 쉬운 기도법>,<분류,Torrnt>
3) 페넬롱 (Fenelon, 1651-1715)
(1) 프랑스 명문가 출신으로 예수회 소속 학교에서 교육받음.
(2) 신교에서 로마교로 개종한 부인들을 위한 <노벨 가톨릭>의 감독이 되었다.
(3) 귀용 부인과 우정 교류.
(4) 황태자의 스승이 됨 (1694년)
(5) 1689년 캉브래 (Combrais)대감독이 되었다.
4) 보쉬에 (Bossuet, 1627-1704)
(1) 프랑스 대종 (Dijon) 에서 출생하였고 예수회 소속 학교에서 배움.
(2) 황태자의 스승이 되었고 1681년에 모오의 감독이 되었다.
(3) 그는 설교가로서 정치적 수완이 좋았다.
(4) 저서...<개혁교회의 교리 이동사>
8. 예수회의 금지
1) 예수회의 타락
(1) 위대한 지도자가 나오지 아니하였다.
(2) 돈을 탐내고 안일을 구하고 음모를 잘 꾸미며 그 약점이 폭로되었다.
(3) 중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이 중국의 습관에 동화되어 기독교의 본질을 버리
기까지 하였다.
2) 예수회의 추방.
(1) 포르투갈
a. 원인...남미 파라구아이에서 군대를 훈련시켜 스페인과 포르투갈 군대를
공격하였고, 국왕 엠마누엘 1세의 암살 음모가 예수회의 계획이라는 여론
b. 추방...1759년 9월 3일 예수회의 재산이 몰수되고 포루투갈 영지에서 추
방되었다.
(2) 프랑스...국가의 안녕 질서를 해하는 자로 규정되어 추방당함.
(3) 스페인...1767년 4월 2일 5천명을 체포하여 재산 몰수후 추방함.
3) 예수회의 금지령
(1) 교황 클레멘스 14세가 금지 방침을 세움.
(2) 1773년 2월 21일에 책임자에게 금지령을 통보.
(3) 각국 정부에서 협력
(4) 러시아와 프로이센 (Preussen)에서는 존속을 공인하였다.
(5) 1814년 피우스 7세가 재흥을 허가하였다.
9. 대륙의 계몽 사조
영국에서 일어난 초월신교와 회의 사상이 프랑스에 들어와 극단의 유물 사상
이 되어 기독교를 반대하는 사상적 세력이다.
1) 볼태르 (Voltaire, 1694-1778).
(1) 생앵
a. 10세에 예수회 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수학.
b. 1750년 프로이센왕의 초청으로 프랑스 사상을 독일에 고취시켰다.
c. 말년에 스위스에서 은거하며 저술에 종사하였다.
(2) 사상
a. 이성의 해방,정신의 자유를 주창,각 방면에 전통을 파괴하였다.
b. 조롱,풍자 문학으로 기독교를 공격.
c. 신의 존재는 믿으나 신의 성질 중 선하심은 무한하다 힘은 유한하다.
d. 형이상학의 근거를 도덕에 두었다.
2) 디데로 (Diderot, 1713-1784)
(1) 프랑스의 철학적 비평가요 자연신론자.
(2) 사상...a. 유물론적 감정주의.
b. 무신론적 자연주의
(3) 저서<철학사상,1746> <맹인에 대한 서한 1749> 등.
3) 홀바하 (Holbach, 1723-1779)
(1) 신의 관념을 버리고 자연을 취하므로 행복을 얻는다.
(2) 자연은 사람으로 하여금 광명을 찾아 진리를 찾게 하는 것이고, 종교는 이
성을 부패케 하여 인생을 오도하고 무지 중에 안심케 한다.
4) 루소 (J.J.Rousseau, 1712-1778)
(1) <자연으로 돌아가라> 주장...자연은 인간을 선량,자유,행복하게 만들었으
나 사회는 사악, 노예,불행하게 하였다.
(2) 저서...<학문 및 예술론>, <참회록>,<민약론>,<에밀>.
5) 라이프니쯔 (G.W. Leibniz,1646-1716)
(1) 독일의 철하자, 법률가,수학가,역사가요 신학자임.
(2) 철학의 중심은 원자 (Monad )설이다.
a. 원자는 활동력이 있고 나누기 어려운 근본 세력.
b. 신은 최고 원자, 총자원자의 창조자
c. 그의 우주관 신관은 낙관적이었다.
6) 기타 학자들
(1) 크리스찬 볼프 (Christian Wolff,1679-1754)... 라이프니쯔 철학을 답습하
였으나 고찬원적 관념론은 생략하고 일바니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사
상을 가르쳤다.
(2) 모오제스 멘델스조온 (Moses Mendelssohn, 1729-1786)...인격과 문학으로
존경받음.
(3) 빌헬름 예루살렘 (Wilhelm Jerusalem,1707-1789)
(4) 헤르만 사무엘 라이마루스 (Hermann Samuel Reimarus, 1694-1768).
10. 경건 (Pietism)파 운동
1) 동기 : 기성 교회의 속화로 내면적 운동으로 승화되었다.
(1) 풍속이 문란하여지고.
(2) 교회에 영적 은혜의 설교가 없고,
(3) 그리스도를 체험하는 생활을 소홀히 하였다.
2) 의의
17세기 말 독일 루터파 교회 내에서 일어난 신비 계통의 운동으로서 성령과
내적 생명을 존중하는 운동이다.
3) 주장
(1) 따로 새로운 교리를 세우지 아니하고 신학의 이론에서 성경으로 돌아감이
옳다고 주장.
(2) 심령에 광명이 있는 자라야 능히 성경의 진리를 이해할 수 있다.
(3) 성령의 성결한 힘으로 갱생한 자라야 마음에 빛이 있다.
4) 중요 인물
(1) 필립 야코브 스페너(Phillp Jacob Spener)
a. 1635년 알자스 (Alsace)에서 출생하였고, 어릴 때부터 신앙 훈련과 신앙서
탐독,경건 생활을 하였다.
b. 1666년 목사 안수를 받음.
c. 자기 집에서 신앙 집회를 하였고 후에 궁정 목사가 되었다가 사퇴.
(2) 아우구스트 프랑케 (August Franke)
a. 1663년 뤼베크 (Lubeck) 에서 출생.
b. 라이프찌히 대학에서 성경회(Collegium Philobiblicum)를 통하여 설교와
강연을 하여 대세력을 장악했으나 집회 금지를 당하였다.
c. 할레 (Halle)에 가서 교수와 목사를 겸직하며 고아원을 세우고 인쇄소와
출판사를 세웠다.
(3) 벵겔 (J.A. Bengel, 1687-1751)
a. 독일의 신학자요 목사로 경건파 운동을 시작.
b. 저서...<말세론> <신약주해>
5) 업적과 결과
(1) 경건주의 운동은 성경 연구에 자극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신학적 이론에서
실제적 방향으로 전환, 성령의 감화와 개인의 갱생 등에 주력케 함.
(2) 극단의 금욕주의를 초래하여 조직된 교회에서 분리됨.
(3) 성령의 감화와 개인적 갱생의 필요를 각오케 하는 등 많은 영향을 끼쳤고
여기에서 파생죈 모라비아파는 전도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
6) 모라비아 교회 (Moravian Brethren
Unetas Fratrum)
(1) 의의
30년 전쟁시 로마 교회의 박해로 모라비아로부터 보히미아에 피난온 장
후스 (John Huss) 일파는 찐쩨ᄂ 돌프 (Zinzwndolf,1700-1760)백작이 자기 영
토 내에 거주케 하였고 1727년 8월 13일에 모라비아 교회를 세우기에 이르렀고
그들의 경건주의를 영어로 Moravianism이라고 한다.
(2) 사업과 업적
a. 반 수도원적 신앙 수양과 세계 복음화에 목적을 두었다.
b. 세계 각지에 전도하엿다.
c. 정열적 독신자들로서 위슬리 (John Wesley) 에게 큰 감화를 주었다.
11. 메더디스트 교회 (Methodists)
1) 유래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웨슬리를 중심을 종교계의 침체를 바로잡기 위하여
성경 연구와 감옥 방문 전도 등이 감리 교회의 시초이다.
2) 조직
(1) 비사제적 감독 정치
(2) 중앙 집권적 조직.
(3) 감독은 총회에서 투표 목사는 감독이 파송되었다.
(4) 직원은 목사,장로,권사,속장,유사,탁사 등이다.
3) 교리
(1) 하나님은 은혜 무차별적이다. 그리스도는 모든 죄인을 위하여 십자가에 달
렸다.
(2) 지옥에 가는 것은 그 사람의 책임이다.
(3) 자기 구원에 대하여 성령의 확신을 얻을 수 있음.
(4) 원죄는 믿지만 완전 타락은 불신.
(5) 의롭게 된자는 거룩하게 되기 위하여 계속 노력하여야 한다.
4) 설립
(1) 1739년 5월에 처음으로 회당에 회집하였다.
(2) 1740년 7월에 남자 26명,여자 48명이 정식 결성하였다.
5) 위슬리의 신학 ( 위의 3) 교리 참조)
6) 위슬리의 부흥 운동
(1) 1703년 6월 17일 영국에서 목사의 16번째 아들로 (모친수으재너 (Susannah
출생.
(2) 옥스퍼드 대학의 특대생이었고, 대학 펑의원으로 당선.
(3) 대학내에<성단>이라는 모임을 조직하고 진도자가 되었다.
a. 경건을 목적으로 b. 성경과 경건 서적 읽기
c. 매일밤 기도회 모임. e. 병자, 가난한 자, 감옥에 갖힌 자 돌봄.
(4) 선교사로 미국 조오지아 주에 파송되었으나 성과 없이 돌아오다가 배에서
풍랑을 만남, 모라비아 교도들이 태연히 전도하는 것을 보고 감동 받음.
(5) 1738년 5월 24일 모라비아 교회의 기도회에 참속하여 하나님의 임재와
능력을 체험.
(6) 모라비아 교회의 경건 생활을 배우기 위하여 독일에 가서 찐쩨ᄂ 돌프 백
작을 방문하고 2주간 체류함.
(7) 1739년5월 브리스틀에서 처음으로 야외 설교를 하여 큰 부흥운동이 일어남
(8) 1739년5월12일에 브리스틀에 처음으로 메더디스트 교회를 설립.
(9) 1742년 2월 메더디스트 연회 개최
(10) 저서 381종
(11) 표어 <세계는 나의 교구이다>
7) 분파
(1) 원시 메더디스트
a. 야외 설교와 여자의 설교권 인정.
b. 신도의 평등 권리를 존중.
c. 목사 1인과 평신도 2인의 비례로 의회를 조직.
(2) 일치 자유 메더디스트
a. 목사 임면권이 중앙에 있음을 반대.
b. 개교회의 독립 주장.
(3) 칼빈파 메더디스트
a. 휘트피일드 (Whitefield )가 7회 도미하여 칼빈 신학을 전파
b. 위슬리와 별도로 전도함.
12. 궤이커파 (Quakers)와 스베덴 보리 (Sweden-borg)
1) 궤이커파
(1) 조오지 폭스(George Fox,1642-1691)
a. 런던에서 직조업자의 아들로 출생.
b. 19세 때 정신적 갈등으로 각지를 방황.
c. 1646년 신적 영감을 받고 마음의 평안을 얻었다고 함.
d. 1649년 노팅검 (Nottingham)교회에서 예배 드리는 중에 청중석에서 일어나
성경을 이해하고 진리를 깨닫기 위하여 위로부터 오는 빛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여 예배 방해 혐의로 투옥.
e. 세계 각지에서 전도하여 많은 추종자를 얻었다. 그 중 펜이 대표적이다.
(2) 윌리엄 펜 (William Pen 1644-1718)
a. 런던 태생으로 그의 집안은 스튜어트 왕가의 총애를 받았다.
b. 1667년 폭스의 설교에 감도을 받고 추종자가 되었다.
c. 펜실바니아에 식민지를 개척하고 궤이커 파를 이주시켰다.
d. 많은 저서가 있다.
< 신앙 고백과 요리 문답> (A Catechism and Confession of Faith,1673)
< 참 기독교 신학의 변증> (An Apology for the True Christian Divinity
1678)
(3) 교리와 생활
a. 내적 광명(성령)을 중요시함.
b. 세례,성찬 등 예전은 전연 없고 예배 순서도 없으며 영감자가 인도함.
c. 교인은 전부 성직자이며, 산상 보훈을 지켜 전쟁 반대,노예 제도 폐지.
d. 의복과 생활은 검소 단순하며 성실을 주장.
(4) 결론
a. 신학 계통이 없고 정치 조직이 미약하다 (기독교 역사상 특이한 현상)
b. 극단적 신비주의로 많은 박해를 받았으나 영국에서는 1687년 제임스 2세의
신교 자유령으로 예배의 자유를 얻음.
2) 스베덴보리주의
(1) 스베덴보리의 생애 (1688-1772)
a. 1688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출생 (아버지는 웁살
라(Uppsala) 대학 교수며 비평가를 겸했다).
b. 상류층 가정의 출신으로 각 분야의 학문을 연구하엿고 유럽 각국을 순방함.
c. 국왕 차알즈 12세의 초청으로 광산국 고문이 되어 많은 과학 기구를 발명.
d. 그는 과학자, 철학자,정치가로서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다.
(2) 신앙과 사상
a. 54세 때 접신주의자가 되었다.
b. 1747년 모든 공직을 사퇴하고 기도와 성경 연구에 전념하였다.
c.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다른 하나님이 없다고 주장.
d. 자연 과학과 종교 사상의 기이한 결합이 그의 사상이다.즉 자연과학,철학
적 사변, 접신적 자아의 초월로서 구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
(3) 그의 교회
a. 1783년 12월 5일 런던에서 기독 교회의 독립 단체로서 활동을 시작.
b. 1787년 그들의 원리와 제도를 만들어 독자적 기독 교회 운동을 전개.
c. 1817년 미국에서 스베덴보리 대회를 개최
d. 한국에도 <새 예루살렘 교회> 혹은 < 새교회>라는 명칭으로 서울과 광주
를 중심으로 포교하고 있다.
13. 미국 초대 기독교
1) 신대륙의 식민지
(1) 버어지니아 식민지...영국이 신대륙에 처음으로 식민지를 건설하였다.
1607년 제임스타운 (Jamestown)에 식민지를 개척하고 교회를 세우며 농업
과 광산을 위하여 개발하였다.
(2) 뉴우 잉글랜드 식민지... 1620년 메이 플라우어 (May Flower)호도 신대륙
에 건너온 청교도들에 의하여 개척되었다.
(3) 세일럼 (Salem) 식민지...1628년 8백명의 청교도들이 건너와서 개척함.
2) 초기 기독교
(1) 종교 분포도
뉴우잉글랜드....청교도. 펜실베이니아...궤이커 교도
메린랜드...가톨릭 교도. 남부 지방....영국 국교도.
(2) 지도자들
a. 조너던 에드워즈(Jonathan Edwards,1703-1758)
ᄀ. 1720년 예일 대학 졸업.
ᄂ. 예일 대학 교수.1758년 프린스턴 대학 총장.
ᄃ. 그의 사상은 칼빈주의 신학이다.
ᄅ. 저서
<하나님의 영의 현저한 특징> (The Distinguishing Marks of a Work of
the Spirit of God, 1741). < 부흥의 원리> ( Thoughts on the
Revival,
1742) <자유의 의지 > Freedom of Will,1754)
<원죄> Original Sin 1758)
b. 지도자들의 교파적 배경
ᄀ. 경건파...프릴링하이전 (Thedore J. Frelinghuysen, 1691-1747)
ᄂ. 장로교...테넌트 (William Tennent, Sr,1673-1745).
ᄃ. 회중교회...에드워즈(Jonathan Edward, 1703-1758)
ᄅ. 감리교회...휘트피일드(George Whitefield,1714-1770).
14. 프랑스 혁명
1) 원인
(1) 가톨릭 교회의 부패...가톨릭 교회는 국가 전체 부의 20%를 차지하고 납
세 의무도 없었다.
(2) 경제적 불균형...대다수 국민이 가난한 생활을 하고 소수의 귀족과 성직
자들만이 호화 생활을 하였다.
(3) 정치적 타락...왕권의 횡포와 매관 매직의 횡행.
(4) 사회 계급의 모순....성직자,귀족,농민으로 3계급이 분리되어 있고 제1,
제2 계급의 착취가 심하였다.
2) 발생의 결과
(1) 1789년 5월 5일 재정 궁핍으로 승려,귀족,평민으로 삼민회를 소집하여 국
사를 위임한 데 있다.
(2) 그해 7월 14일 바스티유(Bastille) 성을 공격하고 자유,평등.박애의 날로
축하하였다.
(3) 계급 폐지,교회 재산을 국유화,위그노의 예배 자유를 허용.
(4) 1792년 9월 21일 공화 정치를 실시, 루이 16세를 위시한 교관들을 처형
하엿다. 그해 11월 7일에 가톨릭의 반대로 공화 정치를 폐지.
(5) 나폴레옹의 출현...공포 정치와 내란의 와중에서 나폴레옹이 쿠데타를 일
으켜 정권을 장악.
(6) 유럽 각지의 새로운 기풍 조성의 자극제가 되었다.
5. 영국 신학자의 변증과 비판.
자연신교를 비롯한 각종 사상이 기독교를 공격하므로 기독교의 변증이 필요하
게 되었다.
1) 버틀러 (Joseph Butler, 1692-1752)
(1) 생애
a. 옥스퍼드 대학을 졸없하고 롤즈교회(Rolls Chapel)의 설교자가 되었다.
b. 1752년 사망시까지 감독으로 봉사하였고 평생을 독신으로 사상 연구에
몰두하였다.
(2) 저서
<유사론>을 1736년에 저작.
a. 이 책은 자연 종교가 계시 종교를 공격한 것을 반격한 책이다.
b. 계시에 나타난 신의 정치와 자연계에 나타난 신의 정치가 유사하다고 강
조하였다.
2) 윌리엄 페일리(William Paley, 1743-1805).
(1) 생애
a.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서 모교에서 10년간 교수 생활을 하였다.
b. 영국 교회 성직자로서 평생을 봉사하였다.
(2) 저서
< 기독교 변증학> <도덕 및 정치 철학> 1795,< 자연 신학> 1802,
3) 흄 (David Hume,1711-1799)
(1) 생애
a. 에딘바러 출신으로서 처음에는 법학을 연구하였으나 후에 문학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b. 프랑스에서 연구 귀국 후에 <인생론>을 발표하였으나 어려워서 일반의 환
영을 받지 못하였다.
(2) 사상
a. 로크의 경험론,버어클리(Berkeley)의 관념론을 계승하여 회의적 경험론에
도달하였고 이것이 후에 비판 철학의 기원이 되었다.
b. 전지각 (Perception)을 인상 (Impression)과 관념(Idea) 으로 구분하였다.
ᄀ.인상...최대한의 힘으로 맹렬하게 들어오는 지각.
ᄂ.관념...사유하고 논의할 때 떠오르는 모든 약한 현상
c. 윤리학에서는 도덕이 기초를 동정에서 구하였다.
d. 경제학을 철학과 접근시켜 애덤 스미드(A.Smith)에게 여향을 주었다.
6. 징세니슴(Jansenisme:얀세니즘 Jansenism)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짐은 국가다>라는 표현과 같이 독재주의를 실시 하였고
그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부흥을 주장하는 장
세니즘 (Jansenisme) 에 대해 박해를 가하였다.
1) 코블넬이우스 장세니우스( Cornelius Jansenius, 1585-1638)
(1) 생애
a. 네덜란드 북부 지방에서 출생하였고 루뱅(Louvain)대학에서 수학함.
b. 루뱅 대학의 교수 바유스 (Bajus,1513-1589)의 사상을 받아 아우구스티누
를 존경하고 스콜라 철학을 미워함.
c. 후에 루뱅 대학장,이프르(Ypres)의 감독이 되었다.
(2) 저서
a. 22년에 걸려서 대저인 <아우구스티누스>를 출판하였다.
< 내용 > 1부 반대론 비평
2부 인간 이성의 한계론.
3부 회심론
b. 1642년에 교황 우르바누스 7세가 금서로 지정하였으나 그의 사상이 널리
전파되었다.
2) 블래즈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
(1) 생애
a. 명문가에서 출생하였고, 비범한 두뇌의 소유자로서 어릴 때부터 수학과 물
리학을 연구하였다.
b. 24세때 부친의 병을 치로차 초빙받아 온 의사들의 감화로 장세니슴과 접촉
c. 수도원에 들어간 누이와 자신의 실연,그리고 마차에서 떨어진 경험 등이
회심의 동기가 되었다.
(2) 저서
a. <향촌서한:Lettres Provinciales)...고향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서 예수회를 풍자 비평한 것이다. 도처에서 환영을 받았고 예수회에는 치
명타가 되었다.
b. <팡세(Pensees)>... 기독교 진리를 인생 구조에 비교하여 변증한 것이다.
파스칼 불후의 명작이다.
7. 정숙주의 (Quietismus)
안정을 중요시하는 신비주의로서 그 근원은 스페인의 (Alombrados (광명을 받
은자)에서 찾을 수 있다.
1) 미카엘 몰리노스 (Michael Molinos, 1640-1697)
(1) 생애...사라곳사 (Saragossa) 부근에서 출생하여 코임브라 (Coimbra)에서
교육 받았다. 1669년 로마에서 와서 설교자로 활약하였다.
(2) 저서... <심령의 길잡이 (Spiritual Guide),1675>를 발행.
< 내용 >
a. 완전해지려면 마음이 조용해야 한다. 즉 말하지 않고 느끼지 않고 아무런
능력도, 움직이지도 말아야 한다.
b. 자기를 망각하고 하나님에게 전심함이 최고의 상태이다.
c. 영혼이 변화 개조되어 하나님과 같이 되기 위해서는 정신이 능력이 정지되
고 수동적이 되어서 고요한 생각이나 하나님에 대한 선한 사상이라도 가질
수 없게 되어야 한다.
(3) 교황 인노켄트 11세와 기타 유력자들이 이 저서를 칭찬하였으나 예수회가
불리하자 루이 14세를 충도하고 교황에게 청구하여 모리노스를 투옥시켰다
2) 귀용 부인 (Madame Gryon)
(1) 생애
a. 1648년 파리 남방 몽타르기 (Montargis)에서 출생.
b. 재색을 겸비하여 부호 귀용에게 시집갔으나 남편은 학식과 능력이 없었고
시어머니는 괴퍅하여 기도로 위로를 받았다.
c. 스승 라콤브(La Conbe)가 12년간 투옥되어 옥사하였다. 그 화가 귀용 부인
에게 미쳐서 여수도원에 감금되었고 종신 유배를 받았다.
(2) 저서...<간단하고 쉬운 기도법>,<분류,Torrnt>
3) 페넬롱 (Fenelon, 1651-1715)
(1) 프랑스 명문가 출신으로 예수회 소속 학교에서 교육받음.
(2) 신교에서 로마교로 개종한 부인들을 위한 <노벨 가톨릭>의 감독이 되었다.
(3) 귀용 부인과 우정 교류.
(4) 황태자의 스승이 됨 (1694년)
(5) 1689년 캉브래 (Combrais)대감독이 되었다.
4) 보쉬에 (Bossuet, 1627-1704)
(1) 프랑스 대종 (Dijon) 에서 출생하였고 예수회 소속 학교에서 배움.
(2) 황태자의 스승이 되었고 1681년에 모오의 감독이 되었다.
(3) 그는 설교가로서 정치적 수완이 좋았다.
(4) 저서...<개혁교회의 교리 이동사>
III. 최근세 시대 (1800- 현재)
1. 서 론.
1) 복음의 확장
(1) 교통이 발달로 세계가 축소되고 각 분야가 세계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2) 복음이 대륙 오지에서 부터 절해의 고도까지 널리 전파되었다.
(3) 미국의 번영이 복음 전파에 촉진제적인 구실을 하였다.
2) 기독교의 사회 활동
(1) 프랑스 혁명이 결과로 유럽 대륙에 평민 세력이 확장되엇다.
(2) 산업의 발달로 자본가의 노동자의 격차를 더욱 심하게 하였다.
(3) 교회 안에서는 하층 계급에게 전도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4) 각종 사회 사업 기관을 설립하여 생활 개선 운동이 일어났다.
3) 과학의 철학의 발달
(1) 유물론적 세계관의 형성.
(2) 종교와 과학의 조화 문제 대두.
(3) 신학 연구에 새로운 영향.
(4) 칸트를 위시한 각종 철학 사상 대두.
4) 새로운 신학 사조의 형성.
(1) 실라이어마하 (Schleiermacher).
(2) 리츨 (Ritschl)
(3) 코울리지 (S.T.Cloerdge)
(4) 부시넬 (Bushnell)
5) 종교적 반동 운동
(1) 바티칸 회의의 교황 무오설 주장.
(2) 옥스퍼드 운동 등.
2. 철학과 문학의 새로운 사조
1) 의의
프랑스의 혁명 당시만 해도 교회는 인심을 지배할 수 있었으나 19세기에 접어
들자 새로운 움직임이 철학계와 문학계와 문학계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2) 문학자
(1) 루소.(J.J.Rorsseau,1712-1778)
(2) 괴테.(J.W,von Goethe.1749-1832)
(3) 실러.(J.C.F.von Schiller,1759-1805)
3) 철학자
(1) 칸트 (Immanuel Kant,1724-1804)
a. 생애
ᄀ.1724년 4월 22일 독일 쾨니히스베르크(Konigsberg)에서 출생하고 여기서
교육을 받았다.
ᄂ.1775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강사로 취임하였고 1770년에 정교수가 됨.
ᄃ.이 도시에서 평생을 보냈고 독신 생활과 규칙 생활로 일관하였다.
b. 저서
ᄀ.순수 이성 비판 (1781). ᄂ.실천 이성 비판(1788).
ᄃ.판단력 비판 (1790). ᄅ.프롤레고메나(1783)
ᄆ.도덕 철학 원론(1785). ᄇ.이성의 한계내의 종교 (1793)
ᄉ.인간학 (1798).
c. 사상
칸트의 사상은 주지주의 사상이다. 즉 사색의 자유를 추구한 나머지 개인
적 주지주의 사상이다. 즉 사색의 자유를 추구한 나머지 개인적 주지주의에만
집착하여 자연 과학의 가설 위에 서있는 학문 만을 진리라고 하는데 대하여 지
식적 비판을 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ᄀ. 순수 이성 비판...인식론과 형이상학
(1) 인식론...모든 인식에는 밖으로부터 공급하는 요소와 안으로부터 공급하는
요소가 있다. 시간과 공간은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실
재를 인식할 수 있는 주관적 형식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형식
에 맞추어 우리의 정신은 현상 세계를 창조한다고 했다.
(2) 형이상학...인간은 주관적 지식과 경험으로 도저히 알수 없는 것이라고
불가지론을 주장하였다.
ᄂ. 실천 이성 비판...도덕론 신을 도덕의 근본적인 전제라고 하였다. 즉 실천
이성의 요청에 의한 신을 주장한 것이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인간의 윤리
적 의무를 이행케 하는 존재자로 생각하였다.
칸트는 기독교회의 영적인 신비주의 경험이나 인간의 구원 그 밖의 교리들
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하였다.
(2) 요한 고트프리이드 폰 헤르더(Johann Gottfried Von Herder,1774-1803).
a. 칸트의 제자로 신학을 전공 루소의 감화를 받음.
b. 괴테의 주선으로 바이마르 (Weimar)의 궁전 목사가 되었다.
c. 사상
ᄀ.감정을 중요시하고 개인주의에 치우침.
ᄂ.종교는 인도의 체현이며 기독교는 최고의 체현이라고 하였다.
ᄃ.기독교를 알려면 원시적 사료를 연구하여야 한다.
ᄅ.성경은 인간을 위해 인간이 기록한 책이므로 이것을 읽는데는 인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주장.
d. 저서...<역사 철학의 관념>1792
3. 실라이어마허 (Schleiermacher,1768-1834)
1) 생애
(1) 1768년 동부 독일 브레슬라우 (Breslau) 에서 목사의 아들로 출생.
(2) 바르비 (Barby) 신학교를 마치지 못하고 할레(Halle) 대학을 옮겨 칸트
연구.
(3) 할레 대학과 베를린 대학에서 강의
2) 신학 (종교적 체험의 신학)
(1) 종교론
a. 감정이나 감정 영역 속한다. 인간 정서의 기초하여 신을 의지하는 생활이
다 (객관적 계시보다 주관적 감정에 권위를 두어 종교를 인간학으로 대치
시켰다).
b. 무한한 감촉을 맛보는 것이다.( 경험).
(2) 기독교의 본질
a. 그리스도 중심 (합리주의자는 구속의 역사가 그리스도에게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지 않음).
b. 그리스도의 사업이 곧 구속이다. (신앙은 하나님은 의지하는 체험 속에
뿌리박고 있다. 죄는 하나님을 원수시하고 구속은 죄를 극복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은총만으로 가능하다).
c. 신조나 성경 보다 종교적 개인의 체험을 중요시 한다.
(3) 기독론
a. 예수는 인류의 원형이다.
b. 제 1 창조를 초월하는 제 2의 창조이다.
c. 성육신은 기적이요 초장연적 사건이다.
d. 그가 고난 당함으로 인류와 완전히 결합되었다.
3) 저서
<종교론> (Rden Uber die Religion,1799).
<독 백 > (Monologen)
<기독교 시앙> (Der Christliche Glarbe, 1820-1821).
4. 실라이어마허 이후
1) 헤겔 (Georg W.F.Hegel,1770-1831).
(1) 생애
a. 시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출생하여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
b. 가정교사, 예나 대학 강사, 신문기자, 고교 교장 등을 거쳐서 1816년 하이
델베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다가 베를린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2) 사상
a. 관념론을 논리적으로 발전시켜 범신론을 주장.
b. 셀링(Schelling)의 세계관을 근거하여 체계화 하려고 시도하였고,논리와
형이상학을 동일시하엿고 실재를 활동과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c. 라이프니쯔의 주지설을 발전시켜 이성과 절대자를 동일시하고 이성은 논리
적 과정 그 자체라고 하였다.
d. 변증법적 과정에 있어서 3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1) 정.... 추상 보통의 개념.
(2) 반.... 모순 개념.
(3) 합.... 제 3의 개념.
즉 변증법적 과정이란 실제의 진화를 따라 결국은 보통 개념이 되므로 일체의
모순은 해결된다는 것이다.
(3) 저서...<정신 현상학> <철학 개론> <법철학> <종교 철학> <논리학>
2) 시트라우스 (D.F. Straus, 1808-1874)
(1) 튀빙겐 대학에서 수학, 실라이어마허와 헤겔의 영향을 받음.
(2) <예수의 전기> 를 발행하여 충격을 줌.
a. 예수는 역사적 인물이나 이적은 신화다.
b. 역사적 가치로 보아 복음서 중 마태복음만 중요하고 요한복음은 가치가
없다.
c. 이적은 사실상 불가능하니 역사적 가치가 없으나 형이상학적 관념으로 보
면 큰 가치가 있다.
3) 바우어 (F.C.Baur, 1792-1860)
(1) 튀빙겐 출신으로 실라이어마허와 헤겔의 영향을 받았다.
(2) 시트라우스와 같은 방법으로 성경과 기독교 역사를 비판 하였다.
(3) 저서...<기독교 화합의 교리> (1841)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육신 교리>
(1847), <기독교 교리사> (1847), <초 3세기의 교회사> (1853).
4) 비이더만 (A.E.Biedermann,1819-1885)
(1) 스위스 쮜리히 교수이며 비평가임.
(2) 구원의 원리와 예수의 인격을 구분.
(3) 성육신은 하나님의 생활의 전요소이다.
(4) 속죄, 부활,승천은 시간 이상의 사실로 보아야 한다.
5) 자유 복음파 (중용파)
(1) 헤겔 철학과 실라이어마허 신학을 병합 보충한 자유 복음파로서 경험 신학
에 감정과 지식의 활동도 포함할 것을 주장하였다.
(2) 도르너 (I.A.Dorner,1809-1884)등 많은 학자들이 이 학파에 소속되어 있다
5. 옥스퍼드 운동 전의 영국 교회
1) 영국 교회를 지배하는 사상들
(1) 메더디스트 복음파
(2) 고교회파
(3) 프랑스 혁명의 자유 사상.
2) 코울리지 (Samul Taylor Coleridge,1772-1834).
(1) 생애
a. 케임브리지, 옥스퍼드에서 수학.
b. 천재로서 호반 ᄉ인 평론가,철학자 종교가로서 <영국의 실라이어마허>라고
불리었다.
c. 간트,셀링의 저서 탐독,스피노자를 숭배하였다.
(2) 사상
a. 종교론...종교는 다 영적이며 외적 증명에 있지 아니하다.
b. 죄...원죄를 강조
c. 속죄론...그리스도의 죽음이 우리 죄를 속함은 우리 경험으로 알 수 없는
비밀이다.
d. 성경론...신의 계시이다. 오류가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전체 정신에 비추
어 각 부분의 가치를 정할 수 있다.
e. 교회론...하나님께서 조직한 기관으로 다른 어떤 제도보다 귀한 것이다.
3) 오오리얼 칼리지 (Oriel College)파 (1810-20 왕성)
(1) 사상
a. 진보적 사상 고취
b. 자유로운 연구 주장.
c. 도덕적 정신 충만.
(2) 중심 인물
a. 토마스 아아놀드 (Thomas Arnold, 1795-1842)
ᄀ.옥스퍼드 출신으로 역사 연구
ᄂ.성경의 비평적 연구를 시인하고 영적 방면에는 경건하였고, 국교회의
문호 개방과 교회와 국가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b. 훼이틀리 (Whately), 햄프던 (Hampden), 호오킨즈 (Hawkins) 등.
6. 옥스퍼드 운동. (Oxford Movement)
1) 의의와 발단
1833-1841년에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일어난 종교 운동으로서 일명 소책
자 운동이라고도 한다. 1822년의 선거법 확장안과 1828년 종교 자유법안으로 중
산층의 국회 진출이 늘고 개혁파의 세력이 커지자 고교회의 권위 보존을 위해
일어났다. 그 발단은 1833년 7월 14일 존 키이블(John Keble)이 <국민적 배신>
이란 설교를 함으로 시작되었다.
2) 목적
(1) 종교의 침체를 구출
(2) 건실하고 순수한 교회를 육성.
(3) 도덕 재무장.
(4) 교리와 규칙을 지킴.
(5) 전통의 계승.
3) 중심 인물
(1) 존 키이블 (John Keble,1792-1866).
a. 목사의 아들로서 옥스퍼드 수학.
b. 시인으로 고문학을 연구하고 <크리스찬이여>이라는 시집을 간행하여 25년
간 10만부가 발행되었다.
c. 권리와 장업함을 좋아하며 국교회의 풍속을 좋아했다.
(2) 프루으드 (Richard H,Froude,1803-1836).
a. 오오리얼 학교에서 키이블에게 사사.
b. 개혁 교회를 공격하고 수도원을 장도하였다.
(3) 뉴우면 (John H,Newman,1801-1836).
a. 옥스퍼드에서 수학,후에 목사가 됨.
b. 신앙심이 독실하였고, 자유 사상으로 기울어졌다.
c. 1827년에 키이블의 저서에 감동을 받고 사상의 전환이 왔다.
d. 소책자를 발행하고 주일 오후마다 성 매어리 교회에서 설교하였고 대학을
중심으로 옥스퍼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4) 결과
(1) 영국 교회에 경건 정신을 환시시킴.
(2) 건전한 음악, 미술,종교 정서를 고취.
(3) 교회의 예전을 존중하는 기풍을 세움.
7.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1) 모오리스 (Frederick D.Maurice 1805-1872)
(1) 유니테어리언 목사의 아들로 출생하여 케임브리지와 옥스퍼드 대학에서
수학.
(2) 1828년 영국 교회 목사 안수를 받고 평생을 봉사하였고 킹칼라지 (King
College)와 케임브리지 대학의 교수 생활도 하였다.
(3) 기독교 사회주의의 창설자로 1854년에 노동자 대학을 설립하고 사회 운동
을 시작하였다.
(4) 속죄와 이신득의에 대하여 정통파와 화합하지 못하고 공격을 받았다.
(5) 저서... <신학 논문집> <링컨즈 인 (Lincoln's Inn) 설교집> <그리스도의
왕국> <심리,윤리,철학사> <요한복음 및 서신 강해>
2) 킹슬리 (Charles Kingsley, 1819-1875)
(1)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25세에 설교자가 되고 후에 궁정 목사가 됨.
(2) 모오리스의 감화를 받고 그와 함께 사회 개량 운동에 헌신하였다.
(3) 천재적 시인이며 자연미를 즐겼다.
(4) 저서-<역사적 소설> <사회 비평집> <설교집> <사론> 등이 있음.
3) 로버트슨 (Frederick Robertson,1816-1853).
(1) 런던 출신으로 옥스퍼드에서 수학.
(2) 24세 때에 설교자가 됨.
(3) 1846년 삼위일체 교회 목사로 7년간 봉직
4) 이 시대의 문학자들
(1) 토머스 카알라일 (Thomas Carlyle,1795-1881)
(2) 존 스튜어트 밀 (John Stuart Mill 1806-1873).
(3) 매튜 아아놀드 (Matthew Arnold,1822-1888)
8. 스코틀랜드 교회
1) 당시의 상황
(1) 차알즈 2세가 왕위를 회복한 후에 장로 정치 제도를 폐지하고 감독 정치를
행하였다.
a. 1649년 이후 목사된 4백명이 감독의 승인을 거부하고 퇴직 하였다.
b. 반대당인 캐머런당 (Cameronian)이 일어나 8년간 투쟁하여 1만여명이 희생
되었다.
(2) 1685년 제임스 2세가 즉위하여 로마교회 부흥을 꾀하였으나, 1689년 혁명
이 일어나 국왕은 해외로 망명하고 장로 정치를 회복하였다.
(3) 1707년 영국과 합병되었으나 비교직자가 보호 제도로 교회의 독립적 존재
가 방해를 받았다. 온건파는 이 제도에 찬동하여 영적 생명이 고갈되었다.
(4) 교회의 분립
a. 일치 장로 교회 (United Presbyterian Church)
b. 자유 교회 (Free Church)
c. 1900년의 위에 두 교회가 합동하여 <스코틀랜드 일치 자유교회>가 협정
되었다.
2) 중심 인물
(1) 토머스 차아머즈 (Thomas Chalmers)
a. 1780년 앤스트러더 (Anstruther)에서 출생하여 칼빈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자랐다.
b. 목회,교수,저술,자선 사업에 힘씀.
c. 1834년 총회에 부인 법안 (Veto Act)를 제출하여 비교직자 보호제를 반대
하여 이를 통과 시켰다.
d. 국교회로부터 분리하여 470명의 목사와 같이 자유 교회를 설립하였다.
e. 에든버러 신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이 되었다.
(2) 에드워드 어어빙 (Edward Irving 1792-1834)
a. 애넌 (Annan)에서 출생,1819년 글래스고우에서 차아머즈의 조수가 됨.
b. 1832년 런던에 캘리도우니언 (Caledonian)교회 목사가 되어 설교로 감화
를 주고,성경의 예언.성령의 감화.주님의 재림에 대하여 강하게 설교하였
다.
c. 교회 분립...그리스도 범죄할 수 있다 하여 이단으로 정죄 되었고 그가 죽
은 후 제자들이 가톨릭 사도교회 (Catholic Apostolic Church)를 세웠다.
(3) 토머스 어어스킨 (Thomas Erskine,1788-1870)
a. 법률가이면서 신학에 흥미를 가진 카알라일의 친구이다.
b. 구원론...만인이 구원되었으니 의신득구는 죄사함 받은 것을 의식하고 경
험하는 것이며 이것을 신앙이라고 함.
(4) 머클로오드 캠벨(Moleod Campbell,1800-1872)
a. 목사의 아들로 글래스고우와 에든버러에서 수학.
b. 어어스킨과 가까이 지냄.
c. 속죄론...윤리적 경향을 띠었다. 즉 그리스도가 인류를 대신하여 형벌을
받은 것이 아니고 인류가 하나님께 회개케한 것이라 주장하였다.
9. 미국교회의 신학
1) 홉킨즈 학파
(1) 홉킨즈 (Samuel Hopkins, 1721-1803).
a. 모든 죄는 사욕과 사심 때문이므로 회개하여 하나님의 뜻에 복종하는 것이
모든 선의 원천이다. 회개하기 전의 선한 행동도 죄다.
b. 18세기-19세기 초에 홉킨즈 주의를 따르는 회개자가 많이 나왔다.
(2) 소 조너던 에드워즈 (1745-1801).
a. 신학자 에드워즈의 아들로 홉킨즈 학파의 대표적 신학자이다.
b. 속죄론...그리스도의 죽음이 선의 공의를 보이는데 필여하다고 주장.
2) 반홉킨지 학파
(1) 티머디 드와이트 (Timothy Dwight 1752-1817).
선한 일은 스스로 도울의무가 있다고 주장.
(2) 너대디얼 테일러 (Nathaniel Taylor,1786-1858) 자애가 회개의 좋은 동기
가 될 수 있다고 주장.
3) 유니테어리언주의 운동
(1) 채닝 (William Ellery Channing 1780-1842).
a. 교양있는 청교도 사회에서 성장한 보스턴의 칼빈주의 교회 목사.
b. 유니테어리언 주의로 급전환하였다.
c. 그의 주장
ᄀ.삼위 부정. ᄂ.예정 부정. ᄃ.원죄 부정.
(2) 파아커 (Theodore Parker,1810-1860).
a. 기적을 신화라고 하였다.
b. 기독교의 초자연적 출발을 부인하였다.
4) 신학의 개척자들
(1) 부시널 (Horace Bushnell,1802-1865).
a. 생애
ᄀ.예일 대학 출신으로 대학 조교를 거쳐 목사가 되었다.
ᄂ.신체가 허약하여 목회를 그만둠.
b. 사상 발전의 과정
ᄀ.제1기...사교적으로 본성에 잠재한 본능의 힘으로 신에 관한 경험의 일보
를 내딛는다.
ᄂ.제2기...정의의 원칙에 관련하여 하나님께 대하여 도덕적 밝음으로 나서
게 된다.
ᄃ.제3기...그리스도에 대하여 내적 개인적인 발견의 자리에 이른다.
ᄅ.제4기...선하신 하나님의 대속적 성격이라는 절대 사실을 포착하고 이것
을 스스로 얻는데 이른다.
c. 사상
ᄀ. <기독교 보육>1846.
(1) 종교 교육의 필요성 주장.
(2) 전파는 부흥회와 회개로서 된다.
ᄂ.<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 1849...기독론
(1) 무한 절대자가 아버지도 되고,아들도 되고, 성령도 되어 우리에게 나
타난다.
(2) 세 인격은 무한이 아니고 무한자를 대표해서 나타난다.
(3) 이같은 인격의 차별은 계시의 위에 있는 것이다.
ᄃ. <자연과 초자연 > 1859
(1) 기독교의 기원을 자연적으로 해석하려는데 대한 변증서이다.
ᄅ. <대속적 희생>1866...속죄론
(1) 도덕 감화설로서 예수의 죽음은 죄인을 의롭게 하는 기초가 아니고
그 힘이다.
ᄆ. <사죄와 율법>1867...속죄론을 정정.
(2) 차알즈 하지 (Charles Hodge,1797-1878).
a. 칼빈주의 수호자로서 <조직 신학>3권을 남겼다.
b. 아담의 죄가 직접 자손에게 지워진 것을 주장하였다.
5) 설교가들
(1) 브룩스 (Phillips Brooks,1835-1893).
a. 하아버드 대학 알렉산드리아 신학 수학.
b. 보스턴 삼위일체 교회 설교자.
c. 매사추세츠 주 감독.
d. 대학생들에게 특별한 감화를 주었다.
(2) 비이처 (Henry Wcrd Beecher,1813-1887).
a. 청교도 가정 출신으로 회중파에 소속.
b. 목사로서 평생을 보냈고,노예 폐지에 앞장을 섰다.
c. <크리스찬 유니언> 지를 창간
(3) 무우디 (D.L.Moody,1837-1899).
a. 노오드피일드 출신으로 가난한 구두방을 하였다.
b. 1855년 회개하고, 1860년부터 전도에 헌신하였다.
c. 대부흥사로서 하나님의 사랑을 강조하였다.
d. 교회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이를 실천하였다.
III.로마 교회 전성 시대 (1073-1303)
1. 그레고리우스 7세
1) 교회의 상황
(1) 독일 황제는 로마 교회 내정을 간섭하고 교황 및 감독 임면을 좌우했음.
(2) 독일 국내 정시는 대제후가 실권을 장악하고, 교회는 영수 수중에 좌우됨.
(3) 로마 교회의 부패,어떤 때는 세명의 교황이 각각 정통이라고 주장.
(4)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황권 확립과 로마 교회 구원 운동의 지도자가
힐데브란트(Hildebrand:그레고리우스 7세)이다.
2) 생애
(1) 1015년 소아나 (Soana)의 목수 아들로 태어남.
(2) 성 마리아 수도원에서 수학.
(3) 그레고리우스 6세가 축출 당할 때 독일로 동반하였다. 그가 죽자 남부 프
랑스 클뤼니(Clugny) 수도원으로 가서 각지를 순회하며 교왕권 확립에 힘씀
(4) 레오 9세가 교황이 되자 그는 부집사직에 임명되어 교황권을 실제적으로
행사함.
(5) 1073년 58세에 교황이 됨 (그레고리우스 7세).
(6) 1085년 70 세로 죽음.
3) 업적
(1) 교직 매매 금지 (2) 교직자의 독신 생활을 강조
(3) 교직 임면권과 재산 감독권을 교황 산하에 둠.
(4) 교황은 국왕을 지배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함.
4) 독일왕 하인리히 4세와의 충돌
(1) 하인리히 4세가 교황을 반대.
a. 독일 토지의 반이 감독과 교회의 소유이므로 재산 감독권이 교황에게로 돌
아가면 독일 왕의 실권이 약화되기에
b. 이탈리아 교황 반대파와 결탁.
c. 보름스(Worms)종교 회의 (1076)에서 교황 폐위를 결의.
(2) 교황은 하인리히 4세를 출교함.
국민은 국왕의 명령에 복종할 의무가 없다고 선언.
(3) 카놋사 (Canossa)의 굴욕
a. 제후들이 국왕을 반대하여 형세가 불리해지자 하인리히 4세는 사죄할 것을
걸심함.
b. 1077년 교황이 카놋사를 방문하였을 때 왕은 알프스 산을 넘어 출교를 철
회받음.
c. 결과..표면상의 굴복이나 실제로는 하인리히 4세가 승리함.
ᄀ.교황의 출교 해제가 있자 독일에 반대한 제후들을 보복함.
ᄂ.교황이 또 출교하니 이번에는 국민들이 왕을 동정함.
ᄃ.하인리히 4세는 로마를 점령하고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남부 이탈
리아 살레르노(Salerno)로 도망했고 거리에서 객사함.
2. 교회와 국가
1) 칼릭스티우스 (Calixtius)외 하인리히(Henry) 5세의 보름스(Worms)협약
(1) 교황 칼릭스티우스 2세 (1119-1124)는 하인리히 5세를 파문하였으나 둘다
투쟁에 지쳐 협약을 맺음.
(2) Worms 협약의 내용
a. 감독으로서 영지를 받게 될 때는 교황에게서 지환과 목자의 홀을 받고,
다음에 황제의 승인을 얻어 취임한다.(전에는 황제에게 임명권이 있었다
b. 임직식은 황제가 먼저하고 교황이 나중에 한다.
c. 황제가 거부하면 될 수 없다.
2) 알렉산도 3세와 프리드리히2세
(1) 프리드리히 왕은 보로냐 대학 교수 4명에게 황제권의 근거를 연구 조사케
하였다.과거의 방대했던 사실을 확인하고 옛 로마법을 주장하여 20년간
주장함.
(2) 교황은 교회법을 주장하여 20년간 투쟁함.
(3) 황제가 5회나 로마에 출병했으나 교황은 롬바르드인의 도움으로 황제를
물리침.
(4) 1177년 베네치아(Venezia)의 성 마가 (St.Mark)회당에서 황제는 교황 앞
에 무릎을 꿇고 발에 입맞추어 항복함.
3) 캔터베리 대주교와 헨리 2세(영국)
(1) 왕은 1164년에 감독과 귀족 회의를 소집하고 클래런던 법(Constitutions
of Clarendon)을 제정함.
<내용>
a. 종교적 사건 외에는 교직자라도 국가 재판소 관할에 속한다.
b. 교직자는 국왕 허가 없이 국외 출입을 못한다.
c. 대감독,감독,사원장 선거는 국왕명에 준하고 국왕 회당에서 행할 것.
d. 상고는 국왕에게 하며 국왕에게 충성을 다할 것.
(2)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키트(Thomas Becket)는 이를 거부하고 프랑스
로 도망하였다가 5년후 화해가 성립되어 돌아옴.
(3) 베키 (Beeket)는 1170년 12월 29일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4명의 자객에게
피살당함.
(4) 1172년 클래런던법은 폐지되고 왕은 비켓 무덤 앞에 참회하고 성자 칭호
를 수여함.
4) 인노켄트(Innocent)3세의 정책 (1198-1216)
(1) 그의 사상
a. 교황은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대리자이며 왕의 왕인 까닭에 왕을 심판할
수 있다.
b. 교황은 하나님 보다 낮으나 사람보다 우월하다.
c. 베드로에게 주신 교회 통치권을 교황이 받았다.
(2) 그의 정책
a. 프랑스의 필립 2세(1180-1223)가 처와 이혼을 하고 다른 부인과 결혼한
것을 인정치 않고 본처와 재결합케 하였다.
b. 영국 왕의 굴복
ᄀ.영국 왕 요한은 교황이 명령한 캔터베리 대주교를 승인치 않음.
ᄂ.교황은 영국왕을 출교하고 그 집행권을 프랑스 왕에게 줌.
ᄃ.영국왕이 굴복하자 1213년 복권케 하고 매년 2차씩 공납을 보내게 약속
함.
(3) 특기 사항
a. 십자군을 일으킴(4회,1202-1204)
b. 종교 재판이 시작됨 c. 고해 성사 제도 실시
5) 그레고리우스 9세와 프리드리히 2세
(1) 프리드리히 2세는 그레그리우스 9세로부터 십자군 문제로 3차례 파문당함
(2) 프리드리히는 남 이탈리아와 시실리 섬을 소유함 (200년간 교황령이었음)
(3) 교황은 정신계를,국왕은 속권을 하나님께로 받은 것이니 교황과 황제는
대등하다고 주장.
6) 보니파키우스 8세와 필립 4세
(1) 프랑스왕 필립 4세는 1296년에 제정한 교직자 과세 금지제를 반대함.
(2) 금 은을 외국에 보내는 것을 반대 함.
(3) 교황 보니파키우스는 프랑스 왕을 출교 하려고 아나니(Anagni)에 있을때
프랑스 왕이 파견한 마병에게 모욕 당하고 포로가 되었다.
(4) 그후 석방되었으나 연로한 교황은 수치로 여기고 슬퍼하다가 별세함.
3. 십자군
1) 원인
(1) 회교도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1071) 성지 순례자를 학대.
(2) 흉년으로 경제적 불황이 계속되자 반작용으로 신앙열이 발화되어 성지 순
례 행사가 잦음.
(3) 성지 회복 결의...교황 우르바누스 (Urbanus) 2세는 클레르몽 (Clermont)
종교 회의에서 십자군을 조직.
(4) 십자군의 특전...일체의 죄를 사면받게 되었다.
2) 경과
(1) 제 1회 (1096-1099)
a. 인솔자...그드프르와 (Godefroy),레이몽 (Raymond),로베르 (Robert),
위고 (Hugo).
b. 종군자...30만명 (독.불.영)
c. 예루살렘 함락...1099년 7월 15일 고드프르와가 왕이 됨.
(2) 제 2회 (1147-1149)
a. 원인...에뎃사가 회교 수중에 들어가고 예루살렘을 위협함.
b. 교황 유게니우스(Eugenius) 3세가 베르나르투스를 유세케하고 독일,프랑스
왕이 호응.
c. 결과...실패했으나 모하메드 자파분쟁으로 40년간 평안함.
(3) 제 3회 (1189-1192)
a. 원인...1187년 10월 3일에 예루살렘이 함락되므로
b. 종군자... 영,불,독군이 합세
c. 경과...독군은 중도 귀국,불군도 귀국,영군만 단독진격
d. 휴전...성지 순례자를 괴롭히지 않기로 협정.
(4) 제 4 회 (1202-1204)
a. 원인...인노켄트 3 세의 주장.
b. 결과...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
ᄀ. 교회의 유물을 서방 교회로 빼앗아 옴.
ᄂ. 라틴 제국을 세우고 발드윈 (Baldwin)을 제왕으로 삼음.
ᄃ.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로마 교회 계통으로 세우고 로마 교회에 예
속시킴.
ᄅ. 동서 교회간의 증오감 격심.
(5) 제 5회 (1218-1221)- 소년 십자군
a. 원인...성지 회복을 죄없는 청결한 소년 소녀에게 맡기기로
b. 종군...프랑스 목동 스테파노와 독일 소년 니콜라이 등 소년 소년 3만명
이 진격.
c. 결과....실패 (도중 파선,기아로 많이 죽고 종으로 팔림).
(6) 제 6 회 (1228-1229)
a.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인솔로 대군이 성지로 진격 (왕은 불신자였
으나 교황의 협조를 얻기 위해 종군)
b. 성지에 도착했으나 10년간 휴전키로 협정.
(7) 제 7 회 (1248-1254)
a. 원인...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종교적 열심으로 일으킴.
b. 결과...1만명 군사가 거의 피살되고 왕만 귀국.
(8) 제 8 회 (1270-1291)
a. 원인...루이 9세가 다시 일으켰으나 질병으로 사망.
b. 경과...영국왕 에드워드 1세가 진격하여 나사렛을 점령하고 10년간 평화
조약을 맺음.
c. 결과... 1291년 예루살렘은 완전히 회교도 소유가 되어 버렸다.
3) 실패와 원인
a. 십자군의 핵심인 교황에게 군사 통솔권이 없었다.
b. 출전한 귀족,기사들간의 전쟁 목적이 다르고 이해가 상반됨.
c. 최고 목적인 종교열이 식어지고, 재물을 약탈하기 위한 불순 동기가 작용.
d. 십자군의 오합지졸과 회교 군대의 능한 지리.
4) 십자군의 유익
a. 회교도의 서방 침입을 저지시킴.
b. 유럽 제국의 단결 촉구, 기독교 국가의 의식을 환기시킴.
c. 귀족이 쇠퇴,봉건 제도 붕괴하고 상공업이 흥왕함.
d. 해운업의 발달로 이탈리아,지중해 연안 도시의 번영.
e. 모하메드 국가의 새 지식을 흡수하고 동방과의 접촉 기회가 많아짐.
f. 로마 교회의 수입 재산 증가로 교황권 강화.
4. 스콜라 철학
1) 시대 구분
제 1기 9-12 c 발생기 제 2기 13c 전성기 제 4기 14-15c 쇠퇴기
2) 성격
(1) Scholar란 말은 샤를 대제의 궁정학교 명칭에서 유래된 듯.
(2) 신앙과 지성, 종교와 철학의 유기적인 조화 강조.
(3) 기독교와 희랍 철학의 혼합,교회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
(4) 그들의 책임은 신학을 그 시대 사조에 맞추어 재조정하는 일.
3) 가치
(1) 놀란만한 지능적 광대 구조, 신학 방법의 대전보
(2) 기독교 진리를 합리적 또는 철학적으로 논증하려는 의도
(3) 진리 해설상 오류 방지에 큰 도움.
4) 약점.
(1) 역사적 평론을 경시하고 터무니 없는 철학 위에 수립.
(2) 성경 해석에 전설적인 해설 시도
(3) 형식 논리를 과도하게 구사,괴변을 구사.
(4) 성경이나 교회 역사에 근거가 없는 이론을 도입.,
(5) 이단을 뒤집어 놓은 것이 정통이라는 독단이 생김.
5) 대표적 학자들
(1) 스코투스 에리게나 (Soctus Erigena)
a. 아일랜드 출신, 845년 궁정 학교에서 일하면서 놓은 대우를 받음.
b. 저서...<가짜 디오니시우스 (Dionysius)> (국왕의 명령으로 프랑스어로
번역), <자연의 구분>
c. 사상...범신론적이며, 신과 만유를 동일시 함.
(2) 안셀무스 (Anselmus, 1033-1109).
a. 생애
ᄀ. 북 이탈리아 아오스타 (Aosta)출신
ᄂ. 프랑스 베크(Bec) 수도원에서 수도
ᄃ. 1078년 수도원장이 됨.
ᄅ. 1093년 캔터베리 대감독에 선임.
ᄆ. 국왕 윌리암 2세와 충돌하여 국외로 추방.
ᄇ. 헨리 1 세때 소환되어 1109년 영국에서 사망.
b. 저서
ᄀ. 독백 (Monologion) ᄂ. 대화 (Proslogion)
ᄃ. 속죄론 (Cur Deus Homo).
(3) 아벨라르 (Abelard, 1079-1142).
a. 생애
ᄀ. 1079년 프랑스 출생.
ᄂ. 22세때 파리에 학교 세우고 철학을 강의
ᄃ. 1115년 노트르담에 있을 때 명성이 높음.그는 실수로 엘로이즈 (Heloise
) 와 비밀 결혼 생활을 하다가 그녀의 숙부에게 거세당함.
ᄅ. 수도원장이 되었을 때 문하생이 수천명이 됨.
ᄇ. 1140년 이단으로 선고받고, 2년 후에 사망함.
b. 사상
ᄀ. 신학 연구의 자유를 주장.
ᄂ. 신의 계시를 신앙과 희망과 사랑과 성례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ᄃ. 선지자와 사도도 잘못될 수 있다.
ᄅ. 원죄를 부인...자유 의지에 의한 것이다.
ᄆ. 속죄설...도덕 감화설 (십자가는 죄인이 회개할 생각이 나게 한다).
5. 프랑스 신비가
유럽 중세의 사상계는 양대 조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A.스콜라 철학- 아벨라르- 추리를 중해 여김 (객관적).
B.신비가 - 베르나르두스 - 직관을 중해 여김 (주관적).
* 독일 신비가 - 철학적
프랑스 신비가 - 감정적 > 특성의 소유
1) 베르나르두스 (Bernard, 1091-1153)
(1) 생애
a. 프랑스 귀족의 가문에서 출생,부친은 제 1회 십자군 전쟁에서 전사,어머
니는 독실한 신자로 7남매 중 3남으로 출생.
b. 23세때 30명의 귀족들과 함께 시토 (Citeaux)수도원 원장으로 평생을 보
냄.제 2 회 십자군 유세로 활동함.
c. 2년후 12명의 동지들과 클래르보 (Clairvaux)수도원 원장으로 평생을 보냄
제 2 회 십자군 유세로 활동함.
d. 허약한 신체와 극단적인 금식 생활로 바로 서서 다닐 수 없을 정도였다.
(2) 사상
a. 보수적 입장에서 아벨라르의 자유 사상을 배격하였다.
b. 고난당하신 그리스도를 사모하였다.
c.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분류.
ᄀ. 사람은 자아를 위해 자아를 사랑하고
ᄂ. 자아를 위해 신을 사랑하고.
ᄃ. 자아를 위해 신의 도움을 구하고.
ᄅ. 신의 사랑을 체험하면 신을 위해 신을 사랑하고
ᄆ. 신을 위해 자아를 사랑하는 자리에 이른다.
(3) 시토 (Citeaux) 교단 = 시스터시안, Cistercian
a. 베르나르두스의 정신을 계승.
b. 황무지를 개간 농업에 종사하고, 이교도 전도에 역점을 두고, 기독교 문화
전퍄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6. 탁발 교단 (Mendicant Orders)
1) 발달 원인
(1) 교황과 감독 등이 부와 권세를 얻고 사원에서 안일하게 지냄.
(2) 예배 의식만 중히 여기고 설교를 가볍게 여겼고 백성들을 멀리함.
(3) 수도사들은 청백한 일만 힘쓰고 전도와 구령 사업을 등한시 했다.
2) 의의와 유래
청빈 생활을 서약하고 구걸로 생계를 이어가는 수도단으로 그 유래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320년 이집트 남방에서 허미트 (Hermit)수도원을 창설.
(2) 528년 베네틱투스 (Benedict) 수도원을 설립 (유자녀 교육)
(3) 1115년 베르나르두스 (Berard)가 클래르보 수도원을 창설
(4) 1209년 프란체스코 (Francesco) 교단 설립.
(5) 1215년 도미니코 (Dominicou) 교단 설립.
3) 교단
(1) 시도 교단 (1098년 감독에게 복종하는 것을 조건부로 시도가 창설).
(2) 가르멜산 (Order of Carmelitis) 교단 (십자군 때 이탈리아 잔류병들이
모여서 이룩된 교단).
(3) 부라몬 교단 (1121년 설립,엄격한 금욕주의 교단).
(4) 아우그수티누스 교단 (13세기, 이탈리아 은둔사들로 조직)
(5) 프란체스코 교단 및 도미니코 교단 (교황이 탁발 교단으로 인정)
4) 중심 인물
(1) 프란체스코 (Francesco, 1182-1226).
a. 이탈리아 앗시시 (Assisi)출생.
b. 3인조 전도대 (소형 제단)를 조직하여 각처에 파송함.
c. 교단 운영( 교황 인노켄트 3세의 인가 받음. 교단원은 1221년에 3천명이
었으며 귀족, 학자 ,부호들이 많이 입단함).
5) 영향
(1) 민중의 벗이 됨...당시 보통 수도사들은 일반이 모르는 언어를 사용하였
으나 이들은 민중들을 도와주고 그들의 고백을 듣고 설교함.
(2) 대학 세력의 확장 ...많은 대학 교스들이 참가함.
(3) 학자 배출...13세기의 학자들은 거의 이 교단에서 배출됨.
7. 외국 전도
1) 라이몬드 룰리 (Raumond Lully,1234-1315).
(1) 스페인 출신의 귀족으로 예수의 십자가 환상을 봄. 프란체스코 교단원.
(2) 아라비아어를 배워 회교도에 전도.
(3) 저서로 <기독교 변증론 >이 있음.
(4) 기독교 대학에 동양어과 설치 운동을 함.
(5) 79세 사망.
2) 코르비노의 요한 (John de Nonte Corbino)
(1) 13세기경 이탈리아 출신
(2) 중국에 가서 선교함.
(3) 북경에서 신약, 시편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6천명에게 세례를 베품.
3) 중국 선교
(1) 징기스칸의 손자 쿠빌라이가 원나라를 다스릴 때 이태리의 여행가 마르
코폴로가 교황청에 100명의 선교사의 파송을 청원.
(2) 1272년 도미니코 교단에서 선교사 2명을 파송했으나 가다가 돌아옴.
(3) 20년후 프란체스코 교단에 속한 코르비노에 요한을 보냄. 떠난지 수년
만에 도착하여 쿠빌라이의 환영을 받고 전도 함.
8. 중세의 예배와 생활
1) 예배
예배 용어는 라틴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반 교인은 설교를 듣고 감동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함.
2) 예전 (Sacraments) (한국 가톨릭 용어로는 [성사]라고 함)
1439년 피렌체 (Florence) 회의에서 7대 성예전을 공인함.
(1) 성세...몸에 물을 뿌리거나 침례로 입교를 증거하는 의식.
(2) 견진(Confirmation)... 세례자에게 신앙 견고를 위한 성령을 얻게 하는
기름 붓는 의식.
(3) 성체...12세기경 롬바르두스 (1110-1161년)에 의한 형식.화체설을 토대로
한 의식.
(4) 고해...죄를 신부께 참회 고백,신부로부터 면죄받는 예식.
(5) 혼배... 교회법이 합법으로 인정하는 결혼을 예전으로 신성시함.
(6) 종부(Eotreme Unction)... 임종시 병사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의식,신교
에는 없음.
(7) 신품(Ordination)..영혼 인호를 쳐서 임직을 임명하는 예전.
3) 생활
(1) 숭배...하나님께는 예배, 그리스도께는 숭배,성모 마리아께는 최고 숭배.
(2) 공덕... 선행으로 죄사함을 받는다고 믿었다.
(3) 미사(Mass).. 세상 사람과 연옥의 사람을 위해 하나님께서 제사드리는
의식.
a. 대미사.. 향 피우고 음악 연주, 주일과 축제일에 거행.
b. 소미사...음악없이 사죄의 미사로 신부가 거행.
c. 장례미사...죽은 자 위해 제사드리는 의식.
(4) 찬송가...중세의 장엄한 찬송은 그들의 생활화가 됨.
9. 스콜라 철학 (II,III)
1) 대학 설립
(1) 기원...수도원이 발전되고 많은 학생이 모여옴.
(2) 설립된 대학
볼로냐(Bologna) 이탈리아 1158년 (법학)
파리 (Paris) 프랑스 1186년 (신학)
옥스퍼드(Oxford) 영국 1200년 (신학)
살레르노(Salerno) 이탈리아 1200년 (의학)
(3) 조직과 내용
a. 예과...음악,논리학,수학 등.
b. 본과... 신과 법과,의과.
c. 라틴어를 사용,강의와 변론함.
(4) 특권
a. 국가나 교회가 간섭하지 않음.
b. 교수나 학생의 자치 단체로 발전.
2) 대표적 학자들.
(1) 알렉산더 (Alexander of Hales, 1185-1245)
a. 프란체스코파 단원, 신학자 (영국인)
b.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입장에서 신학을 연구하는 교수함 (실제론)파리
에서 교수.
c. 저서...<신의 요의>
(2) 보나벤투라 (Gohn Bonaventura, 1221-1274)
a. 알렉산더의 제자.
b. 프란체스코 교단 단원. c. 신비주의자, 고행주의자
(3)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1193-1280)
a. 독일의 신비주의자, 도미닉 단원.
b.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신비주의의 조화를 위해 노력함.
c. 쾰른 (Koln)에서 18년간 교수, 87세로 죽음.
(4)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inas,1227-1274).
a. 이탈리아 나폴리 아퀴노 백작의 아들이며 도미니코 단원 파리 대학 출신
으로서 마그나누스에게 사사.
b. 1272년 교황 울반 2세의 초빙으로 나폴리 (Napoli) 대학의 교수가 되었
다가 1274년에 죽음.
c. 저서 <신학총론> (Summa Totus Theolgia)
ᄀ.이 책은 중, 고대 기독교 사상을 집합하여 체계화 한것임.
ᄂ.가톨릭 신앙의 표준이 되는 조직 신학서
ᄃ.근대 사상 부흥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요약>
<신학 총론> 내용
1) 신학의 연구 목적
a. 하나님과 인간의 기원과 그 운명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것.
b. 이 지식은 이성과 계시라는 두 가지 길에서 나온다.
c. 계시는 성경에 완전히 나타났으니 해석은 교회가 하여야 한다.
2) 신관...삼위일체를 믿음. 계시에 의하여.
3) 구원론...예정을 믿음.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오고, 은혜는 교회 성례를 통해서 온다.
4) 성예전
a. 성세...수세시 중생하고 원죄와 전죄와 용서를 받음. 침례를 좋게 생각함
b. 성체...화체설.
c. 고해
ᄀ.죄에 대한 후회. ᄂ.신부에게 고백.
ᄃ.신부는 죄의 경중에 따라 명령함.(성지 순례,십자군,구제 헌금 등).
ᄅ.사죄 선언...사죄 선언이 없이는 수세후 지은 죄에서 용서받을 길이 없
다.
d. 견진. e. 신품 f. 종부 g. 혼배.
5) 내세관...연옥설 주장.
6) 교회관... 구원의 기관, 교회의 머리는 교황, 교황은 신성하고 직분 수
행시 실수가 없다. 복종해야 구원받는다.
(5) 둔스 스코투스 (John Duns Scotus, 1255-1308)
a. 생애
ᄀ.프란체스코 단원 ᄂ.옥스퍼드,파리,쾰른대학 교수 역임.
ᄃ.독일 쾰른 수도원장. ᄅ.아퀴나스 반대로 유명.
b. 사상
ᄀ.하나님의 명령은 언제나 선하다.
ᄂ.하나님의 뜻은 하나님의 뜻인 고로 선하다.
ᄃ.하나님의 계시에 의해 깨달을 수 있다.
ᄅ.은혜는 성예전으로 오는 것이 아니오 하나님께서 합당히 보셔야 한다.
ᄆ.무염 시태설(무염시태설) 주장 - 원좨와 무관.
(6) 윌리엄 옥캄 (William occam, 1280-1348)
a. 영국 스코투스의 제자
b.옥스퍼드 출신, 파리 대학 교수.
c. 교회와 속권의 분리 주장.
10. 신비 사상가와 신비주의 단체 (독일)
1) 독일의 특색
(1) 신통주의(신통주의) ...하나님과 완전한 교통이 있게 하려고 노력.
(2) 하나님의 절대성 강조 (상대적으로 인간의 공허성 주장)
(3) 약점...영감으로 오는 체험을 성경보다 중해 여김.
(4) 범신론적 경향이 있음.
2) 대표자들
(1) 에크하르트(Eckhart,1260-1327)
a. 도미니코 단원,파리에서 수학.
b. 쾰른(Koln)에서 교수와 설교, 이단으로 몰림.
c. 신관...표현된 신과 은폐된 신으로 분간.삼위일체를 설명하기를 신지식은
자아의 지식이며 우주에 편만한 하나님으로 의식, 주관(성부),객관(성자)
사랑(성령).
d. 영혼....하나님의 불꽃,사람 속에 온 우주가 있다.
(2) 타울러 (John Thauler,1300-1360)
a. 도미니코 단원, 에크하리트의 제자.
b. 파리 유학, 스트라스부르에서 설교.
c. 복음주의 신비가로 실천력이 강함.
d. 장례에 헌신적으로 참예.
e. 신의 내재, 죄 회개하고 믿음으로 구원 받음을 강조.
(3) 루이스부뢰크(John Rutsbroeck,1294-1381).
a. 그륀탈(Grunthal)수도원에 은둔하여 신비적 논문을 저술.
b. 순수한 정서의 사람. 명상과 하나님과 일치를 원함.
(4) 수소 (Heinrich Suso.(1295-1366).
a. 도미니코 단원,에크하르트의 제자.
b. 콘스탄쯔(Constanz) 수도원장,기도 생활과 잠언에 대한 지혜 묵상.
3) 신비주의 단체들
(1) 베기니 (Beguini)
a. 11세기부터 있은 여자 독신 단체.
b. 공동생활, 자급 자족하며 봉사를 목적으로 함.
(2) 베가르드(Beghards)
a. 1220년에 조직된 남자,평민 직업자들의 단체
b. 공동생활, 기도,자선사업. c. 교회 탄압,화형자 생김.
d. 1311년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해산 명령을 내림.
(3) 신우단 (Gottesfreunde.신비자의 연맹)
a. 공동 생활을 하지 않으나 각각 기도와 봉사로 협조함.
b. 병자 위문,1348년 흑사병 유행시에 시체 처리에 참여.
(4) 공동 운명의 형제 (Brethren of the Common Lot)
a. 게르하르트 그로오트 (Gerhard Groot)가 조직
b. 교육,서적 보급,학교 설립.
c. 대표자.
ᄀ. 토마스 아 켐피스 (Thomas A Kempis (원명은 Thomas Hamerken von
Kempen) 1381-1471).
(1) 켐펜(Kempen)출생 (2) 성 아그네스(St,Agnes) 수도원 수도사.
(3) 저서 - <그리스도를 본받아> <장미의 동산>
ᄂ. 요한 벳셀 (Johann Wessel,1420-1489).
(1) 공동 운명의 형제단에서 설립한 학교에서 수학.
(2) 토마스 아 켐피스의 저서를 읽고 크게 감동받음.
(3) 파리, 로마,쾰른 등지의 대학 교수로 명망이 있음.
(4) 믿음으로 구원받음을 주장.
1. 성서권위의 회복
성서의 권위를 교회의 권위밑에 두고 있던 로마카토릭
교회 전통에 대한 도전이다. 그들은 "교회 대회가 정경
을 결정하였기 때문에 성서가 되었다. 그러므로 교회권
위가 성서권위보다 우선한다"는 논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성서의 해석권 내지는 성서를 읽는 것까지도
평신도들에게는 제한이 되었다. 이같은 결과가 교회의
경직화 내지는 성직자 주도적인 교회로 타락하게 하였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모든 신앙 내용을 교회의 전통
이나 교회의 권위보다 먼저 성서에 두고 있다. 교회가
결정하였기 때문에 성서가 된 것이 아니라 성서 자체의
권위가 있기 때문에 교회가 정경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
다. 오직 성서위에 신앙의 표준의 근거를 두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성서를 교인들이 자유롭게 읽을 수 있도록
개방시킨 것이 종교개혁의 근본의도요 내용이다.
존 칼빈은 "성서를 떠나서 신앙을 논하는 자들은 광난
증환자(정신병자)"라고 강하게 주장하였다.
2. 이신칭의 사상이다.
성서에 밝혀진 복음의 내용을 수납하는 믿음으로만 의
롭다(구원)함을 얻는다고 밝힌 것이다. 죄인으로서 하나
님과 불화한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되는 것은 오직 믿음
으로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복음의 본질이 성서
의 기본 핵심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과 발상은 성서
에 근거를 둔 구원관이며, 동시에 구원에 있어서 인간의
노력, 즉 공적 사상을 배제하는 내용인 것이다.
3. 만인제사장 사상이다.
그리스도를 구주로 믿는 모든 개인 개인은 복음을 믿
고 회개하므로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다는 사상이다. 속죄의 근거도 철저하게 하나님과 나
사이에서 구원자(중보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가능
하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그동안 신부들이 속죄의 권
한을 가진 것처럼 오도되는 경향에 대한 도전인 것이다.
즉 교황과 감독을 중심한 사제직에 대한 거부인 것이다.
성직자들의 타락과 인간중심주의적인 사상으로 오염된
로마카토릭 교회에 대한 이상과 같은 도전의 사상은 완
전한 개혁의지의 도전이었다. 1000여년 동안 버티어 온
교회의 뿌리를 흔들어버린 하나님의 채찍이었다.
8. 로마 교회의 부흥과는 예수회
개신교의 개혁 운동에 대항하려는 로마 교회의 반종교 개혁 (Counter Reforma
tion)으로서 로마 교회의 부패를 정화하고, 규율을 바로 잡으며 교리적으로는
종래의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는 운동이다.
1) 기원
(1) 히메네스 (Ximenes, 1436-1517)
a. 로마에서 수학하고 프란체스코 교단에서 엄격한 신앙 생활을 하였다.
b. 1495년 톨레도 (Toledo)의 대감독이 되었고 스페인 교회의 머리가 되었다.
c. 그는 교회의 정화,대학의 설립,아퀴나스 신학에의 복귀에 최선을 다하였다
(2) 캄페기오 (Camperggio)... 1524년에 남부 독일에서 개혁 운동을 전개하였
다.
(3) 콘타리니 (Contarini)와 카랍파 (Caraffa)...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개혁 운
동에 종사함, 카랍파가 1555년 바울 4세로서 교황이되자 도덕 혁신, 예배
의 진흥,재정의 정리에 힘을 쏟음.
2) 창설자
이그나티우스 로율라(Ignatius Loyola)
(1) 1491년 스페인 귀족의 아들로 태어남 (로율라는 성 이름임).
(2) 무사 교육을 받고 통솔력을 키움.
(3) 1521년 전쟁에서 중상을 당해 입원 중 성자전을 읽다가 헌신하기로 결심함
(4) 37세때 파리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신학을 연구함.
(5) 이들은 팔레스티나에서 고생하는 기독교인을 보호하고 로마 교회에 충성을
맹세하였다.
3) 예 수 회 ((라) Societas Jesu, (영) Jesits)
(1) 정의...로마 교회 안에서 생긴 수도사의 단체로서 일정한 규칙 생활을 하
고 전도하며 이단과 싸우고 이교도들을 개종시키기에 힘쓴 결사 단체임.
(2) 로욜라가 규합한 6명의 동지로 출발
(3) 1540년 9월 27일 교황의 재가를 얻음 (단원 60명으로 출발)
(4) 강령은 절대 복종,2년간 예배 훈련 (금욕적 고행과 노역), 학생(5년)
부사원 (교수와 수학,5년) 정사원 (신학 연구,4년) 등 모두 16년간 수련을
받음,복종,빈곤,독신의 이들의 3대 서약임.
(5) 세력 확장의 방법
a. 고백을 들음(정치상 기밀을 들음으로 확장의 기회로 활용)
b. 교육 (대학 경영, 상류 사회를 이끔)
c. 외국 선교 (크게 성공함)
ᄀ.프란티스코 하브예르 스페인 (Francis Xavier,1506-1552)... 인도,
스리랑카,일본 등지에 선교.
ᄂ. 맛테오 릿치(Matteo Ricci)...중국,브라질,유럽 아이 등지에 선교.
4) 결과
(1) 로마 교회의 내부 각성
(2) 개신교 영향을 줌.
9. 트렌토 (Trento) 회의
1) 동기
(1) 소집자...교황 바울을 3세 (황제 카알 5세의 청원으로)
(2) 시일... 1545-1663 (18년간,5대 교황이 교체됨)
(3) 세계 종교 대회로서 19회 째임.
(4) 의제
a. 황제편에서... 교회의 개량,신교와 가급적 타협을 주장.
b. 교황편에서...신교 혼동 방지를 위해 교리 제정을 주장.
2) 회의
(1) 제 1 기...1545-1549.9.17 교리 문제에 치중하여 교황과 황제의 충돌을 피
하기 위해 무기 정회 (1547.3.전염병으로 볼로냐 (Bologna)로 옮겨 모임).
(2) 제 2 기...1551-52 율리우스 3세에 의해 트렌토에서 열리게 되었다.
(황제의 타협 정책)
(3) 제 3 기...1562-63,피우스 (Pius) 4세가 회의를 소집함. 비타협파가 주도
권을 장악하였다.
3) 결의
(1) 제 1 기...성경과 교회 전통의 동권, 세례,견신을 인정.
(2) 제 2 기...성찬,참회,예전을 인정.
(3) 제 3 기...생사자간의 중보기원 유효, 성자 숭배,속죄표 인정.
4) 결과
(1) 로마 교회의 수뇌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함.
(2) 비타협적이며 신교의 언권을 봉쇄.
(3) 로마 교회 교리 재확인.
(4) 교회 규율을 바로 잡음.
(5) 로마 교회의 개혁 운동과 전도 운동의 계기를 마련 (신학교와 감독 선거
에 개혁이 옴).
5) 공포
1564년 피우스 4세에 의해 공포됨.
10. 스칸디나비아의 종교 개혁.
1) 스위덴의 종교 개혁
(1) 구스타프 파사 (Gustav Vasa)가 독일 망명시에 루터를 만났고 왕이 된 후
에도 계속 교류를 하였다.
(2) 울라프 페터손 (Olaf Pesterson,1499-1573), 라아스 페터손 (Lars Peter-
son)라아스 안도손 (Lars Anderson,1480-1552) 등은 스웨덴 종교 개혁의
3대 인물로서 신약을 번역하였다.
(3) 국왕은 1527년에 국회를 소집하고 루터파 예배의 자유를 허락하였다.
2) 덴마아크의 종교 개혁
(1) 왕 크리스찬 2세가 루터주의를 찬송하는 정치 채택.
(2) 한수 타우젠 (Hans Tausen, 1494-1561) 이 덴마아크의 궁전 목사로서
1530년 동지들과 함께 43조의 신앙 고백을 제정하였고, 교회 정치를 루터
식으로 함.
3) 노르웨이의 종교 개혁
왕의 권력으로 종교 개혁을 단행하였다.
4) 아이슬란드의 종교 개혁
깃세르 아이나르센 (Gisser Einarsen ) 이 1540년 스칼홀트 (Skal holt)에
서 루터 교회 감독이 되어 개혁 사업을 단행하였다.1554년에 신교가 이 섬
을 지배하게 되었다.
11. 네덜란드의 종교 개혁
네덜란드 (Netheland)라고 부르는 지역은 오늘날의 화란과 벨기에에 이르는 지
역으로 여러 제후국으로 나누어져 있다가 부르고뉴 (Brougogne)공이 결혼, 매
수 약탈의 방법으로 병합하였다.
1) 식민지 시대
(1) 부르고뉴 공이 프랑스와 싸워 전사하자 국토의 대부분이 프랑스령이 됨.
(2) 독일 황제 카알 5세가 집권하자 대부분이 독일령이 됨.
(3) 카알 5세의 신교 탄압이 심하였으나 루터와 칼빈의 사상이 널리 퍼짐.
(4) 스페인 영토가 되어 필립 2세의 박해를 받음.
2) 독립 전쟁.
(1) 오랑주 공 빌헬름 (Whilhelm) (1533-1534)
a. 가톨릭 신앙으로 양육 받음.
b. 11세때에 오랑즈 (Orange)가를 상속받고, 카알 5세의 총애를 받음.
c. 필립 2세가 알바 (Alva) 공을 파견하여 <피의 법정 <이라는 재판을 하여
18.000명을 죽이는 대박해를 함.
(2) 1568년 빌헬름 (Wilhelm)은 신앙의 자유와 가치권을 부르짖고 어민과 수
부들을 모아서 독립 전쟁을 시작함.
a. 1574년 라이덴 (Leiden)포위시 빌헬름은 제방을 끊어 바닷물을 넣어 승리
함.
b. 1581년 독립을 선언, 빌헬름이 대통령이 되어 라이덴 대학을 중심하여 개
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c. 1584년 빌헬름은 필립 2세가 보낸 자객에서 암살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구
와 아들이 계승하여 1648년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1) 라이덴 대학을 비롯하여 프라넥케르, 그레요닌겐,우트레히트,할더비크 대
학이 등이 설립되어 개혁의 중심지가 되었다.
(2) 칼빈주의가 발달하였고, 신앙 자유를 통한 개혁 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12. 프랑스의 종교 개혁
1) 개혁의 반대자들
(1) 왕권 (2) 고등 법원(파를라망:Parlment) (3) 소르본 (Sorbonne)
2) 개혁자들
(1) 마르가레트 (프랑소와 1세의 누이)
a. 신교도는 아니어도 개혁 사상을 동정하고 보호함.
b. 1527년 프랑스령내 소국인 나바르 왕과 결혼하여 나바르여왕이라 불리웠고
궁전을 개혁자들의 은신초로 제공하였다.
(2) 칼빈
a. 칼빈은 프랑스에 거주하지 않았으나 프랑스를 위하여 여러 방면으로 지원
을 하엿다.
ᄀ.1555년 파리에 프랑스 최초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ᄂ.8년간 49개처 교회가 설립되었다.
b. 교회의 지도자들은 제네바에서 교육을 받은 자들이며 1567년까지 120명의
목사가 파견되었다.
3) 위그노 (Huguenots)사건
(1) 시발
카타리나가 섭정하면서 세력 확장을 위하여 신교와 결탁하자 가톨릭파 지
도자인 귀이즈 (Guise ) 형제는 이를 결렬시키고자 1562년 3월 1일 그의 호위
병으로 바시 (Vassy) 에서 예배드리는 위그노파를 습격하였다.(이것을 <바시의
혈낙>이라고 한다)
(2) 경과
프랑스의 종교 쟁론이 전쟁으로 변하였고 위그노 사건이라는 장기전으로
돌입하였다.
a. <1차전>
노르망디에서 1년간 전쟁.
ᄀ.위그노의 지도자는 콘데 (Conde)로서 영국과 독일의 개혁파들이 응원하였다
ᄂ.가톨릭의 지도자는 귀이즈 형제 외에도 몽모랑시 (Montmorency) 장군과 생
앙드레 (St.Anere) 였고, 쌍방의 지도자 모드가 포로되고 전사하였다.
ᄃ.1563년 3월 앙부와즈 (Amboise) 칙령으로 종전하였다. 이 칙령의 내용은
(1) 가톨릭 교회는 파리와 각 도시에서 로마교 성당에서 예배드리고,
(2) 위그노파의 귀족에게는 신앙의 자유를 허락하고 그들이 소속한 시나 궁전
에서 예배 처소를 구할 수 있게 하였다.
b. < 2 차전>
위그노파는 로레인의 홍의 주교가 궁중에서 득세하자 이를 제거하려는 것이
전쟁으로 변하였다. 1569년 11월에 양파가 모두 기진하여 휴전하였다.
c. < 3 차전>
카타리나가 2차전의 책임이 위그노에게 있다 하여 그 목사를 추방하므로 시
작하였고 얼마후 양파 모두 기진하여 1570년 8월에 생 제르맹 (St.Germain)
조약을 체결하였다.
(3) 결과
a. 이 조약에 의하며 위그노는 파리 이외에서 예배의 자유와 평등 권리가 허용
되었다. (관직 부여)
b. 조약 실행의 담보로 4개 도시를 주었다.
4) 바돌로매 축제의 학살
위그노 전쟁이 프랑스 국내의 내란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유럽 전 지역의
신구교 국가 사이에 전쟁과 실력 대결로 변하였다.
(1) 카타리나는 자기의 딸 엘리자베토를 스페인왕 필립과 결혼 시켰고,
(2) 신교측에서는 엘리자베토의 노이 마르가레토를 나바르의 앙리 (Henri)
와 결혼 시켰다.
(3) 1572년 8월 24일 (성 바돌로매 축제일) 결혼 축하를 위해 양파가 파리에
모였을 때 종소리를 신호로 콜리니 (Coligny)를 위시하여 파리에서 7만
여명,지방에서 무스히 위그노를 학살 하였다.
5) 낭트(Nantes) 칙령
1598년 4월 3일 앙리 (Henri) 4세가 국가와 개혁 교회와의 관계 즉 신교의
양심의 자유를 용인하는 칙령
(1) 예배 자유를 허락하고 (2) 관직 취득권 부여.
(3) 신교도들도 로마 교인과 동등권 부여
(4) 안전 보증으로 수개처 도시에 병력을 허용.
13.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1) 혼인 관계.
프랑스 왕실과의 관계로 친밀함.
2) 칼빈의 영향.
스코틀랜드는 독립 국가이므로 프랑스와 친밀하고 칼빈의 영향을 받아 종교ᅧ
개혁을 활발히 진행하였다.
3) 3개의 대학 설립.
(1) 1413년 세인트 앤드루우즈(St.Andrews)대학
(2) 1451년 글래스고우 (Glasgow) 대학.
(3) 1464년 애버디인(Aberdeen)대학.
4) 개혁자들
(1) 첫 순교자 패트릭 해밀톤 (Patrick Hamilton)...1528년 2월 27일 순교.
(2) 조오지 위셔트(Geoge Wishart)...1546.3.1 순교.
(3) 존 녹스(John Knox,1505-1572).
a. 대지주의 아들로 그래스고우 대학 수학.
b. 1530년까지 로마 교회 소속.
c. 조오지 위셔트의 제자.
d. 투옥되었다가 1549년 탈출하여 영국 목사가 되었고, 1554년에는 제네바
칼빈을 만남.
e. 여러 교회에서는 목회하였으며 개혁 운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14. 영국의 종교 개혁.
1) 성격
(1) 교리와 신학 중심이 아님. (2) 정치와 교회법이 중심.
2) 원인:(헬리(Henry) 8세의 중혼 문제로 교황과 충돌이 생김.
(1) 헨리 8세가 형수인 캐더린 (형은 이미 죽음)과 결혼하려고 교회법이 인
정하지 않은 것을 교황을 강요하여 결혼 하였다. 15년간 매어리(Mary)외
에는 자식이 없었다.
(2) 15년간 매어리 외에는 자식이 없으니 이 결혼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고 ¤
교황에게 선언하여 주기를 청하였으나 교황이 거절 하였다. 헨리 8세는
1533년 궁녀인 앤 불린(An Boleyn)과 결혼하였으나 교황이 반대하였다.
3) 개혁의 방법
(1) 교황과 단절하고 국교를 창설 (2) 교회 수장령을 발펴 (1535).
(3) 교황에게 납세와 재판을 금함.
(4) 수도원을 해산하고 수입을 황실에 귀속시킴.
(5) 그러면서도 구교적 태도를 취하였고 화체설 부인자를 화형에 처하였다.
4) 종교 정책
(1) 대립하여 오던 신구교 양파를 모두 탄압하고 영국교회에 복종을 강요함.
(2) 1559년 국회에서 교회 수장령을 가결.
(3) 공기도움 채택.
a. 성찬식에서 일반에게 떡을 나누어 줄 일.
b. 십자가,제단,화상을 제거.
c. 단순한 제복 착용, 로마교 의식이 많음.
(4) 1563년 39개조 신조를 제정.
a. 성찬식 견해는 칼빈의 사상과 같음.
b. 신조는 진보적 경향이 농후함.
5) 결과
의식이 치중하므로 여기에 반대하여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6) 관련 인물들
(1) 헨리 8세 (Henry Vlll, 1509-1547)
a. 교황 레오의 부탁으로 루토의 저서를 금함.
b. 중혼 문제로 교황과 대립.
c. <7종의 예전의 고수>라는 책을 저술하고 가톨릭 성례를 그대로 준수함.
(2) 윌림엄 틴들(William Tydale, 1484-1535)
a.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
b. 성경 번역을 완성. c.이단자로 교수형 당함. 시체를 불사름.
(3) 에드워드 6세 (Edward VI,1547-1553)
a. 칼빈주의를 취함. b.중요한 감독 직위에 신교도를 배치.
c. 유명한 신학자를 초빙하여 대학 교수에 임명.
(4) 매어리 (Mary,1553-1558).
영국을 가톨릭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신교의 목사와 감독을 체포하고 불사
르는 피의 여왕.
(5) 엘리자베드 (Elizsbeth, 1558-1603 재위)
a. 46년간의 치세는 영궁의 중흥기였다. b. 신교의 기치를 들고 나옴.
c. 의식 치중의 영국 국교를 강요. d. 청교도 운동이 일어남.
15. 30년 전쟁 전의 독일
1) 시말칼덴(Schmalkalden)전쟁 (1546-47).
프로테스탄티 제후들과 카알 5세와의 전쟁.
(1) 원인
a. 1531년 신교 계통 제후들이 시말칼덴에서 동맹을 체결.
b. 카알 5세가 교황과 합하여 스페인 군대로 이들을 공격.
(2) 결과
a. 작센공 모리쯔(Moritz)등이 변절하여 황제 편에 가담.
b. 신교군이 대패.
2) 아우크스부르크 가신조 (Augsburg Interim)
(1) 선언 이유
a. 교황은 황제의 세력 신장이 두려워 구원병을 소환.
b. 황제가 노하여 자력으로 종교를 정리하고자 선언함.
(2) 내용
a. 교직자의 결혼 허락 b.일반 교인에게도 성찬 때 잔을 줌.
c. 7예전,사자 위한 미사.성자의 공덕 등 로마 교회 제도를 답습.
(3) 결과 : 남부 독일 외에는 잘 시행되지 않음.
3)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회의 조약
(1) 모리쯔 등 변절자들이 회개하고 1552년 3월에 황제는 습격하여 승리함.
(2) 1555년 국회가 열리고 9월 25일에 협정함.
a. 로마교 신자와 아우크스부르크 신조 신봉자는 같은 권리를 가짐 .
(칼빈,쯔빙글리는 제외).
b. 주의 시민의 신앙은 군후의 신앙과 같아야 함.같지 않으면 재산을 팔아
다른 주로 이사하여야 함.
4) 카알 5세의 토위 (1556)
(1) 스페인,인도,네덜란드,이탈리아의 왕위를 아들 필립 2세에게 물려줌.
(2) 독일 왕위는 동생 페르디난트 1세에게 물려 주었으나 1564년에 막시밀리안
2세에게 계승시킴.
16. 30 년 전쟁.
1) 의의
(1) 가톨릭 교도와 신교도들의 신앙 교리로 인한 전쟁.
(2) 독일 제국의 안전과 파괴 문제는 정치적 전쟁임.
2) 원인 (1618-1648)
(1) 독일의 루돌프 (Rucolf)황제가 신교의 자유를 허략하였으나 그 후 가톨릭
파인 페르디난트 황제가 즉위하고 신교를 박해 하였따. 신교 개혁파는 여
기에 굴하지 아니하고 구교에 도전하여 독일 30년 전쟁이 일어났다.
(2) 전쟁의 직접적 원인은 가톨릭 보호령인 보히미아(Bohemia)에 스페인왕 구
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를 적극 후원한 데 있다.
3) 경과
(1) 제 1 기 (1618-23) 팔쯔 (Pfalz) 전쟁
a. 왕이 신교를 탄압하여 회당을 헐게하므로 개혁파들이 궐기하여 프라하를
점령하였다.
b. 개혁파에 영국왕의 원조가 없고, 루터파는 변절하엿다. 왕군은 틸리(Tilly
를 대장으로 공격하여 승리하였고 이에 망명자가 3만명이나 되었다.
(2) 제 2 기 (1625-29) 덴마아크 전쟁
덴마아크왕 크리스찬 4세는 영국, 네덜란드 군대와 같이 독일의 신교군을
후원하였으나 독일 왕군에게 격퇴 당하였다.
(3) 제 3 기 (1630-35) 스웨덴 전쟁.
스웨덴 왕 구스타프 아돌프 (Gustav Adolf)가 신교군을 도와 침입하였으나
발렌시타인에 의해 격퇴되었다.
(4) 제 4 기 (1635-48) 프랑스 전쟁.
프랑스는 독일 왕권의 강화를 견제하기 위하여 스웨덴을 도와 남부 이탈리
아를 공격하여 독일에 혼란을 주었고, 프랑스의 야심을 보고 신교 제후들
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4) 결과
(1) 전쟁의 피해로 인구 3분의 2가 감소.
(2) 교역자 전사가 620명.
(3) 교육,정치,경제,문화 등 각 분야가 황폐하여짐.
(4) 베스트팔리아 조약 체결 (1648)
5) 베스트팔리아 (Westphalia)조약
30년 전쟁으로 1648년에 독일과 스웨덴 사이에 맺은 강화 조약이다.
(1) 종교에 관한 규정
a. 가톨릭파,루터파,칼빈파 모드가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
b. 교횔 제산 소유권은 1624.1.10. 현상으로 환원한다.
c. 자유 이주권은 허용하며 재산 몰수는 할 수 없다.
d. 루터파와 개혁 교ᅡ와의 관계는 조약 체결 당시의 현상에 준하다. 신앙 자유
유,재산 소유를 인정한다.
(2) 정치에 관한 규정
a. 스페인은 네덜란드를 승인한다.
b. 독일은 스웨덴의 독립을 승인한다.
c. 스웨덴에 포메라니아 (Ponerania)의 일부와 뤼겐 (Rugen)섬을 할양하고 이
지역 대표는 독일 국회에 참석한다.
d. 프랑스는 메츠 (Metz) 툴루즈 (Toulouse), 베르덩 (Verdun),알자스 (Alsace
의 대부분을 획득한다.
e. 각국은 자유로 서로 연합하여 또 자기 나라와 외국 간에 맹약할 수 있다.
17. 아르메니우스파의 신학론과 도르트레히트 회의
( Dordrecht = 도르트.Dort)
1) 아르미니우스 (Arminius,1560-1609)
(1) 156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출생.
(2) 제네바에 유학한 후 1588년에 암스테르담 목사가 됨.
(3) 학시과 웅변이 탁월하였다.
(4) 코오른허트 (Coornhert) 설을 논박해 달라는 관의 위촉을 받고 연구하다
가 여기에 탁월하였다.
(5) 1603년 라이든 대학 교수가 되어 칼빈의 예정론을 반대함.
2)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차이
┌──────┬──────────┬──────────┐
│ 문 제 │ Calvin 파 │ Arminius 파 │
├──────┼──────────┼──────────┤
│ 인 간 │ 완 전 타 락 │자유 의지 의존 │
├──────┼──────────┼──────────┤
│ 예 정 │ 무조건 예 정 │예지 예정 │
├──────┼──────────┼──────────┤
│ 속 죄 │ 제한된 선택 구원 │무한 선택 구원 │
├──────┼─╨────────┼──────────┤
│ 은 총 │ 불가항적 은총 │가향적 은총 │
├──────┼──────────┼──────────┤
│ 성 도 │ 성도의 견인 (보호) │성도의 보호 불확실. │
└──────┴──────────┴──────────┘
3) 도르트레히트(Dordrecht, Dort) 회의
(1) 목적...칼빈파의 아르미니우스파의 분쟁을 종결 짓고 아르미니우스 파를
배제할 목적.
(2) 시일,장소...1618.11.13. 네덜란드 도르트레히트에서 회집.
(3) 소집자 및 회원...네덜란드 국회의원 84명,아르미니우스는 피고로 참석.
(프랑스의 불참)
(4) 결의 내용
a. 아르미니우스파 국외 추방.
b. 칼빈 신조를 채택하여 <도르트 레히트 신조>를 제정.
(5) 결과
a. <정치적 속죄론>으로 우세하던 아르미니우스파가 쇠퇴하므로 개혁파의 위
기를 막았다.
b. 드르트레히트 신조는 그후 위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작성에 큰 영향을 줌.
18. 소키누스 (Socinus) 신학
삼위일체 교리를 반대하고 단일신론 (Unitarianism)을 주장하는 흐름.제세례파
와 신비주의 중에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소키누스에 와서 구체화 되었다.
1) 소키누스 (Faustus Socinus, 1539-1604).
(1) 이탈리아 귀족으로 법률가
(2) 백부 레리오 소키누스 (Lelio Socinus, 1525-1562)의 유지를 받들어 삼위
일체설을 반대하는 것을 평생의 사명으로 삼고 폴란드로 감.
(3) 만년에 신조와 문답서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4) 1605년에 시말쯔 (Schmalz)가 이를 완성하고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였다.
(5) 1638년 예수회에 의해 폐쇠되고 추방을 당함.
2) 사상
(1) 신앙...신의 명령과 약속을 승인.
(2) 성경...교리와 도덕을 가르친 글.
(3) 기독론
a. 그리스도의 교사적 측면 강조
b. 신인 양성의 합일을 부인.
c. 기적적 탄생으로 보통 인간과 다르게 출생.
d. 전도에 착수하기 전 하늘에 올리워져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으며 부활 승
천하여 하나님 나라의 지배권을 얻음.
(4) 속죄론...대속설 반대.
그리스도는 죄의 지배에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하여 죽고, 우리의 죄를 버
리게 하셨다.
(5) 삼위일체 교리를 구원에 필요치 않으나 대단히 유용하다.
19. 그리이스 교회
1) 키릴로스 루카리스(Cyrillos Lucaris)
(1) 1572년 그레데 섬에서 출생.
(2) 1602년에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가 됨.
(3) 1616년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 조오지 아보트 (Georg Abbot)와 연락.
(4) 알렉산드리아 사본 (Codex Alexandrinus) 을 영국왕 차알즈 1세에게 기증.
(5) 162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가 됨.그는 신앙 고백서를 제네바에서 출
판하여 이단으로 몰리고 5번 추방 되고 5번 복직되었다. 1638년 6월에 사
형을 당하였다.
2) 러시아의 교회
(1) 몽고의 침입으로 유럽과 교통이 끊어졌으나 기독교가 널리 전파되었다.
(2) 교회의 중심지는 키에프(Kiev) 였고 후에 모스크바 (Moskva)로 옮겼다.
(3) 주교 필라레트 로마노프 (Philaret Romanov) 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국난을
막음. 그의 아들 1613년에 즉위함.
(4) 니콘 (Nikon 1652-1667)
a. 필라레트 로마노프의 후계자로서 교회 개혁을 기도...교직자 음주를 금하
고, 인쇄소를 설치하여 문서 운동을 전개, 교회 음악 개량.
(5) 페트로 대제 (1689-1725)
a. 진실한 신자.
b. 모스크바 대주교를 폐하고 성회(성회)를 설치하여 그 의장이 되었다.
7.4.양차 대전 사이의 시온주의 운동
7.4.1.영국 위임통치하의 팔레스틴
영국이 점령한 팔레스틴은 발포아 선언 직후에도 군정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팔레스틴 내의 공식 언어는 영어와 아랍어였으며, 공식 언어로 히브리
어가 첨가되는 것은 매우 귀찮은 일로 여겨졌다. 또 팔레스틴에로의 이민은 여
전히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1918년 시온주의의 공식대표(official delegation)가 팔레스틴에 도착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정착촌(Yishuv), 보건소, 교육기관, 도로, 항만등이 세워지
기 시작하였다. 제1차대전 이전의 11개의 정착촌은 1918년 여름까지 모두 29개
로 늘어났다.이제 팔레스틴은 에레츠 이스라엘(Eretz Yisrael)로 불리워졌고,
청색과 흰색의 깃발, 공휴일로 안식일과 종교 절기가 정해지기도 하였다.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착지에 있는 젊은이들은 군사적 힘을 갖추기로 하
여 1918년 2월에 1,100여명의 지원자로 구성하고, 이집트에서 훈련을 받기도 하
였다.
1919년에는 대규모의 이민(the third Aliyah)이 시작되어 전쟁 당시 미국에
있었던 시온주의 지도자인 벤 구리온(David Ben-Gurion)과 벤 쯔비(Izhak
Ben-Zvi)가 들어왔다. 벤구리온은 당시 [Poalei Zion]("시온의 노동자들")과
[Hapoel Hatzair]("청년노동")로 나누어져 있던 노동 캠프를 하나로 연합하여
[Ahdut Haavodah]("노동연합")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당시의 경제적 사정은 매우 어려웠으며, 영국 군정의 대표들과 시온주의 지도
자들 사이에 종종 충돌이 노출 되기도 하였다. 특히 아랍인들의 공격은 유대인
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였다. 1920년 3월 1일 아랍인들의 텔 하이
(Tel Hai) 공격에서 지도자 트럼펠더(Trumpeldor)가 희생되었으며, 그 후 청년
자위대의 방어가 보다 본격화 되었다.
7.4.2.국가 건설을 위한 투쟁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발포아 선언이 곧 국가건설을 가져다 준 것은 아
니었다. 유대 기구는 먼저 영국이 통제하는 팔레스틴 발전기구를 만들어 개발한
후 나중에 국가연합이 관리하는 형태를 제안했는가 하면, 바이츠만은 영국이 영
국인의 국가인 것 처럼 유대인들이 다수인 팔레스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서둘러 보다 많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틴으로 이주해 와야한다고 맞섰다.
1919년 2월 27일에 유대인 대표들-바이츠만, 솔로코브, 우시쉬킨등-이 모여
최고 연합 회의(Allied Suprime Council)에 '이민과 정착의 장려'를 요청하였
다. 이 때에 일부 지도자 중에서 레비(Sylvain Levi)같은 이는 팔레스틴은 영토
가 너무 좁아 수백만의 유대인들을 수용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 그들의 목표는
단지 팔레스틴 안에 자치정부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 작가이며 지역
주의자였던 장그빌(Israel Zangwill)은 "유대민족의 고향은 다수의 아랍인과
함께 사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는 것으로 충분하다"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이 당시까지만 해도 아랍인들의 방해는 그리 심각하지 않았다. 1919년
1월 3일에 있었던 바이츠만과 아랍 지도자 화이잘과의 만남에서 "유대인은 아랍
과 그 혈통이 매우 가까와 두 민족 사이의 갈등이 있지 않다. 원칙적으로 우리
는 하나이다"라며, 팔레스틴에 어떤 기구를 둘 때에는 반드시 1917년 11월에 영
국 정부가 선언한 내용을 충실히 보장하는 선에서 모든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라는 내용의 협의서에 서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협정은 곧 거부되었으
며, 시리아 의회는 즉각 시온주의자들의 팔레스틴에서의 국가 건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팔레스틴은 영국이 위임 통치하는 형태
(formulation of the Mandate)로 결정되었다:1920년 4월 산 리모(San Remo)에서
열린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회합에서 영국이 오토만 제국의 유산을 물려 받아
통치하도록 결정하였다. 이 결정은 유대인들에게 보다 유리한 결정이었으나, 아
랍 팔레스틴들에게는 결정적으로 불리하게 된 셈이었다. 영국 정부는 첫 팔레스
틴 지방장관으로 조지가 지명한 사무엘(Herbert Samuel)을 파견하였다. 유대인
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국가 건설에 한 걸음 더 가까와진 셈이었
다.
7.4.3.위임통치와 아랍문제
영국의 팔레스틴 위임 정부는 1920년 11월 2일에 공식적으로 일을 시작
하였다. 위임 정부는 "유대 민족 국가" 건설을 위한 발포아 선언을 수행하기 위
해 일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지방장관인 사무엘은 이러한 일을 수행할 분명한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발포아 선언을 수행
하는 것을 꺼려하며, 아랍인들의 요구를 들어주도록 장려하는 군사고문들을 보
유하고 있었다. 그는 팔레스틴에로의 이민을 사실상 방해하였으며, 영국의 기금
에 도움을 청하는 대신 시온주의 기구가 보다많은 발전기금을 확보하도록 요청
하였다.
여러 정치 단체나 민족주의 기구들에 속한 아랍인들은 영국 정책과 유대인 이
민에 반대하는 시위를 일으켰으며, 이러한 일은 영국 총독부의 군사 행정가들의
후원을 받고 있었다. 아랍인들은 예루살렘, 특히 구도시에서 많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살인과 약탈을 자행했으며, 이 일에 맞서 유대 젊은 자위 청년단을 조
직하여 싸우던 자보틴스키(Jabotinsky)는 영국인들에 의해 체포되어 15년간의
형을 받고 복역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여러 시온주의자들 가운데는 미리부터 독립적인 유대 군사력을 이룩해야 한다
는 주장을 펼쳐 이미 팔레스틴의 여러 지역에서 방어 의무를 수행해 오고 있었
다. 이들은 영국정부에게 이들 스스로 유대 정착지를 방어할 수 있는 권한을 넘
겨 주도록 요청하였다. 결국 시온주의 지도자들은 독립적인 유대 방어군을 필요
로 하고 있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비밀리 작전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에 임
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믿었다.
1921년 5월 대규모의 아랍인들의 공격이 시작 되었다. 욥바의 이민 센타를 공
격하여 14명의 유대인을 살해 했으며, 다음 날도 43명의 유대인들을 살해 하였
다. 페타크 티크바(Petah Tikvah)에도 공격하여 유대인들을 추방하였으며, 유대
인 자위대는 이에 맞서 정착지 방어에 나섰다. 폭동이 일어나자 영국 총독부는
유대 이민을 중지시켰으며, 이에 맞서 유대기구는 그들의 임무를 중단하였으며
영국 식민지 비서인 처칠(Winston Churchhill)이 이민 재개를 승락할 때까지 철
회하지 않기로 결의하였다.
영국 총독부는 조사 결과 아랍인들의 공격으로 단정 짓고, 몇몇 아랍인 경찰
이 폭동에 참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대 기구에는 폭동이 일어날 경우 적절히
대응할 것을 허락하였다. 이들은 보다 조직적인 군사 훈련기구를 두고 불법적인
활동을 하였다. 이 후 계속되는 아랍인들의 공격에 대해 [HAGANAH](자위대) 지
도자들은 "공격에는 공격으로"이라는 원칙을 하달 하였다.
1921년 여름 사무엘은 활동 보고서에서 아랍인들의 관심과 유대인들의 민족적
야망이 연합될 가능성이 있는 일로 보았다:"팔레스틴에 이룩하려는 유대인들의
민족적 야망은 현재의 거주자(아랍인)들의 권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여기
서 말하고 있는 '거주자의 권리'란 유대 국가 건설을 반대하는 모든 아랍인의
권리를 말한다. 이 정책이 나오면서 전 아랍인들의 반대 투쟁은 더욱 거세어져
갔다. 이 결정은 예루살렘에서 아랍 민족주의를 이끌어 오던 후세이니(Amin
el-Husseini)를 더욱 자극한 셈이 되었다. 이들의 투쟁 목표는 1)아랍 민족 독
립을 위한 열망, 2)유대 국가 건설에 대한 증오와 우려였다. 아랍 지도자들은
아랍인들이 유대인들에게 땅을 매매하는 일을 엄격하게 금지시켰다.
1921년 3월 처칠이 팔레스틴을 방문하였을 때 아랍 민족주의를 이끌던 후세인
(Sherif Hussein)의 아들 압둘라(Emir Abdullah)에게 요단강 동편(Transjordan)
을 그의 통치권 아래 줄 것을 약속하였다. 이 협상의 모든 내용은 1922년 여름
에 출판된 처칠 백서(Churchill's White Paper)에 요약, 강조되었다.
이 정책 선언은 발포아 선언에 대한 위임정부의 협력을 강조함과 동시에, 아
랍인들의 자치기구 설치를 아울러 약속하고 있었다. 또 팔레스틴에로의 이주는
국토의 경제적 수용 능력에 따라 허가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유대인의
입장에서 볼 때 영국정부가 팔레스틴을 "영국이 영국인의 것인 것 처럼 팔레스
틴이 유대인의 것"이라는 원칙에 반대하고 있는 것임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었
다.
1929년 백서(Passfield White Paper)에서는 영국정부는 유대인들과 비유대계
인들을 각각 인정하였으며, 이에 대해 유대인들은 아랍인들과 더불어 공존한다
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비판하였다. 특히 이들은 이 백서가 발포어 선언의 원칙
과 맞지 않는다며 총독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급기야 바이츠은 이 백서가 유대민족의 희망을 고갈시켰다(sterilization)는
시온주의자들의 비판에 의해 유대기구의 의장직으로부터 사임해야 했다. 결국
1938년 11월에 발간된 백서에서는 유대인과 아랍인의 각기 다른 독립국가 건설
은 정치, 행정, 재정적으로 실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아랍인들이 들고 일어나 이 모든 제안을 거부하자, 1939년 5
월에 선포된 백서에서는 "팔레스틴이 유대국가가 되는 것은 영국정부의 정책이
아니다"라고 선언했고, 영국정부는 10년 내에 독립된 팔레스틴 국가(an
independent Palestine State)를 세울 계획임을 천명하였다. 이 백서가 나오자
제네바에서 열린 제20차 시온주의 총회(1939년 8월)에서 일부의 반대에도 불구
하고 벤 구리온은 영국 정부에 일체의 협조를 하지 않을 것을 제안하였다. 이
회의가 끝난 얼마 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고, 독일의 유대인 박해의 전조
가 시작되었다.
이처럼 시온주의자들과 영국정부 사이의 긴장은 국가건설을 위한 과정에 중대
한 장애를 가져왔으며, 이에 대한 시온주의자들의 정책은 결코 동의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갈등은 영국 정부로 하여금 팔레스틴에 두 민족의 생존권 보
존을 위한 분할 계획을 갖도록 해 주었다. 즉 지중해안, 갈릴리, 이즈르엘 골짜
기, 예루살렘, 베들레헴, 욥바를 포함한 지역에 유대인 국가를, 에브라임 산지,
유대 산지 및 네게브 지역에 아랍 국가를 세우는 계획이 세워지게 된다. 이 계
획이 세워지면서 영국정부는 아랍 국가 건설로 예정된 지역의 땅을 유대인에게
매매하는 일을 금지시켰으며, 1938년 3월에는 유대인 이민을 년8,000명으로 제
한하기로 결정하였다. 유대 시온주의자들은 영국정부의 이러한 제안을 환영하였
다. 왜냐하면 이들에게 있어서 "아랍 팔레스틴에서 소수의 유대인으로 남는 것
보다 작은 유대국가 내에서 다수의 유대인으로 남는 것"이 보다 유리하기 때문
이었다.
7.4.4.1920년대의 팔레스틴
이러한 내외적인 변화와 갈등이 계속 된 것과 더불어 유대인들의 정착
지는 계속 늘어 갔다. 정착촌의 인구는 10년 동안 160,000명으로 늘어 났으며,
1929년의 조사에 의하면 110개의 농업 정착촌과 37,000명의 농업 종사자가 활동
하였다. 1920-29년 사이의 이민자는 약 100,000명에 이르렀고, 이 가운데 1925
년에는 30,000여명이, 1927년에는 2,713명이 들어왔으나, 경제 사정이 악화되기
시작한 1928년에는 2,178이 들어왔으며, 오히려 2,168이 에레츠 이스라엘을 떠
났다.
한편, 230여개의 학교에서 21,000여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았고, 예루살렘의
히브리 대학에는 약 200여명의 학생이 있었다. 30,000여명이 의료보험(kuppat
Holim)의 가입자가 되었고, 사망율이 세계 최저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보다 중요한 사실은 히브리어가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히브리
대학을 비롯한 전 교육기관의 공식언어로 채택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로부터 히
브리 문화의 부흥기(the cultural renaissance)를 맞이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이민은 더욱 급증하여 총인구가 1933년에 250,000명이던
것이 1939년에는 500,000명으로 늘어 났으며, 120,000명의 농업 종사자와 68개
의 키브츠, 71개의 모샤브가 자리를 잡았다. 히브리 대학에 1,000명의 학생과,
하이파 테크니온에 약500명의 학생이 입학하여 연구하였다.
7.5.나치 대학살(Holocaust)
7.5.1.1920년대 독일에서의 반유대주의의 발흥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Weimar Republic)의 지배로부터 반유대주의의 선
동은 중요한 정치적 현상으로 시작되었다. 많은 단체들이 이에 동조하였으며,
특히 독일 민족당(Deutsche-nationale Party)은 선두에서 이 일을 진행하였다.
이 당은 1920년의 66석에서 1924년의 96석으로 의석 수가 놀랄만큼 증가하였다.
가장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자들이 이 당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독일 민족 사회
노동당(German National-Socialist Workers Party)과 연합하여 만든 당의 지도
자가 그 유명한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였다. 히틀러는 제1차 세계대전의
대장였던 루덴돌프(Ludendorff)의 지원을 받았으며, 곧 권력 장악을 성공한다.
독일에서의 반유대주의 정당들은 많은 출판물등을 통하여 소위 '과학적인'
(Scientific) 반셈족 이론을 전개하였다. 이들의 이론은 전쟁과 위기를 경험한
이후 형성된 독일 내의 반합리적, 반민주적 무드를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앗시리아학자(Assyriologist)였던 델리췌(Friedrich Delitsch)는 1920년
에 출판한 "위대한 착각"(The Great Delusion)이라는 에세이에서 '바벨(Babel)
과 성경(Bibel)'의 이론을 제시하면서 성경(Bibel)은 바벨론 문화의 모방 이상
의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설파하였다. 그는 유대인을 비도덕적인 범법자들로 보
았으며, 그들이 말하는 신은 단지 '집없이 떠돌아 다니는 신'의 풍자만화에 불
과한 것으로 멸시하였다. 또 한스 구엔테르(Hans Guenther)는 1922년에 출판된
[독일 국민의 인종적 기원](The Racial Origins of the German People)에서 독
일인의 인종적 우월성을 잡종적 인종(mongrel race)인 유대인과 비교하여 서술
하였다. 그 이외도 많은 반유대적인 소설이 나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
로 아더 딘터(Artur Dinter)의 [피를 거스린 죄](The Sin against the Blood)이
다.
7.5.2.반유대적 선동과 나치의 부상
1929년의 세계를 휩쓴 대공황의 바람은 독일에게도 불어 닥쳤다. 이와
함께 좌우파 간의 충돌은 드높아 갔으며, 나치는 이를 틈타 정치적 세력을 뻗쳐
나갔다. 1930년의 선거에서 6천 4백만명의 지지를 얻은 나치는 독일 연방의회
하원(Reichstag) 107석을 확보하였다. 1932년 7월에 실시한 선거에서는 전국민
의 37%인 1400만의 지지를 얻어 230석의 하원의원을 확보하여 단연 최강의 정권
이 탄생하였다.
1933년 1월 30일 정부를 이양 받아 독일 수상(Chanceller)이 된 히틀러는 강
력한 힘을 바탕으로 반대자들을 모조리 숙청하였다. 1933년 3월에 실시한 하원
선거에서는 전체 유권자의 44%의 지지를 얻어 228석을, 같은 해 말에 다시 실시
한 선거에서는 다른 정당들을 모두 해산시켜 버리고 나서 92%의 지지를 얻어 1
당 독재의 길을 열어 놓았다.
유대인에 대한 나치의 계획은 히틀러의 [나의 투쟁](Mein Kampf)과 알프레드
로젠버그(Alfred Rosenberg)의 [20세기의 신화](Myth of the Twentieth
Century)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책은 한 마디로 독일내의 유대인의 뿌리를 뽑아
버리는 것이었다. 이들의 슬로건은 "유대인을 처단하자"는 것이었다.
나치 정부는 유대인 지도자, 법률사등을 체포하였으며, 유대인이 저술한 책을
불살랐고, 유대 상점과 공공 건물에 방화하였다. 특히 율리우스(Julius
Streicher)의 신문인 [Der Stuermer]는 셈족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을 찬양하였
던 대표적인 언론이었다. 1935년 6월에는 독일 의학협회에서는 의학잡지에 {유
대인과 결핵균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유대인을 숨겨주는 모든 이들에
게 결핵 감염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하였다.
7.5.3.뉴렌버그 법(Nuremberg Laws)과 독일계 유대인의 반응
나치 정권이 들어선 첫 2년은 그런대로 유대인들에 대한 박해를 못 마
땅해하는 독일인들로부터 어느 정도의 동정을 샀으나, 1935년 9월 15일에 제정
된 뉴렌버그 법의 선언은 모든 유대인들의 정치적 권리를 박탈시켜 버렸다.
이 법에 따르면 독일 안에서 정치적 권리는 아리안 족의 혈동을 가진 자만이
갖도록 규정하고 있다. 같은 날 하원에서는 [독일 국민의 피와 명예를 지키는
법](the Law for the Protection of German Blood and Honour)이 통과되어 독일
국민의 순수한 혈통을 지키기 위해 유대인은 비유대인과 결혼할 수 없는 조항,
45세 이하의 비유대인만을 가정부로 둘 수 있다는 조항, 그리고 독일 국기를 게
양하는 조항등을 두고 있다. 이 법은 '유대인'을 '3대조(three Jewish
grandparents) 내에 유대인의 피가 섞여져 있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1938년까지 독일 내에 살던 유대인 중에서 13 가량이 독일을 떠났으며, 이 때
로부터 "노란 뱃지"(Yellow Badge)를 달게 되었다. 시온주의 신문인 [J dische
Rundschau]는 "이를 영광으로 알고 노란 뱃지를 달아라. 다윗의 별을 단 모든
유대인들아! 이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라"고 쓰고 있다. 많은 시온주의 지도자들
은 독일내의 유대인들의 고통에 동참하려는 운동을 유럽 각처에서 벌였으며, 이
러한 나치의 박해는 유대국가 독립 운동에 부흥을 가져다 주었다.
1938년은 유대인을 향한 나치 정권의 최악의 시간이었다. 1938년 히틀러에 의
한 오스트리아의 합병은 독일에 살고 있는 350,000명의 유대인과 함께 오스트리
아에 살고 있던 190,000명의 다른 유대인들에 대한 고통의 확장이 된 셈이 되었
다. 그해 4월 독일 영토내에 살고 있는 5,000마르크 이상의 재산을 가진 모든
유대인들은 신고를 하도록 하였으며, 7월에는 모든 유대인의 의사 자격증을 박
탈하였고, 9월에는 변호사의 자격증도 그렇게 하였다. 8월에는 모든 유대인들에
게 이스라엘식 이름을 더하였으며, 모든 유대인 여자의 이름엔 '사라'(Sarah)라
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1938년 11월 7일 나치에 의해 독일로부터 폴란드로 추방된 부모의 부당한 처
우에 저항하던 젊은 유대 청년인 그린츠판(Herschel Grynszpan)은 파리의 독일
대사관에 침입하여 독일 참사관 한 명을 암살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나치로 하여금 본격적인 유대인 박해를 촉진시켰다. 11월 9일 밤 나치 폭력단은
유대인들의 집을 공격하여 무차별 부수고 때리고 약탈하였다. 90명의 유대인이
희생되었고, 수 백개의 회당이 불탓으며, 7,500개의 유대인 가게가 부서졌고,
26,000명의 유대인들이 체포되어 포로수용소에 감금되었다. 그들 중에는 수 백
명의 사람들이 그곳에서 죽었다. 유대 어린이들은 학교에서 추방되었고, 문화
행사에 출입이 금지 되었으며, 모든 경제적 생활은 영위될 수 없을 만큼 파괴되
었다.
1939년 6월 독일 비밀경찰(Gestapo)에 의해 통제되는 유대인 민족 연합회
(Reichsvereinigung der Juden)에 모든 유대인은 가입되어 감시를 받았으며, 이
일은 게슈타포의 특별 조직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 일을 담당한 자는 바로 아돌
프 아이흐만(Adolf Eichmann)이었다. 이 비밀 감시와 통제는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이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1941년 10월 31일 유대인 이민이 철저히 금지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39년 전쟁이 발발하자 150,000명의 유대인들이 독일을
떠났으며, 100,000명의 유대인도 전쟁 발발 전까지 오스트리아를 빠져 나갔고,
30,000명의 유대인이 이민 금지 발표 이전에 더 탈출하였다.
7.5.4.제2차 세계 대전과 유대인 게토(Ghetto)
나치 독일의 중부 및 동부 유럽의 점령이 확산되면서 각 나라에 살고
있던 유대인들에게 똑같은 피해가 늘어만 갔다. 유대인 강제 이주를 주장하는
선동이 커졌으며, 폴란드에서는 1937년에 유대인들을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에 강제 이주시키기로 결정하기도 하였다. 수 십만이 넘는 유대인 수용소의 문
제가 심각해지자 국제연맹은 이 일을 주관하는 국제연맹의 대표로 제임스 맥도
날드(James MacDonald, 그는 후에 이스라엘의 미국대사가 되었다)를 선정하였으
나, 불과 2년 후에 국제연맹이 깨지면서 그 일을 더 이상 담당하지 못하게 되었
다.
나아가 나치가 폴란드를 점령하자 독일과 소련 사이에 거주하는 200만명의 유
대인이 히틀러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로써 나치는 보다 조직적인 유대인
억압 정책을 펼쳐 나갔다. 1939년 10월 말부터 독일 점령지 폴란드 내의 모든
유대인들에게는 노란 바탕의 다윗의 별 뱃지를 달도록 하는 법령이 시행되었으
며, 그 해 12월에는 14세부터 60세 까지의 모든 남자는 2년동안의 강제 노동을
위해 입영시켰다.
1939년 11월과 12월에는 모든 유대인들은 도시의 특정 구역인 게토(ghetto)로
이주하라는 명령이 하달되었다. 첫 게토는 1940년 2월에 로츠(Lodz)에 세워 졌
으며, 1940년 11월에는 바르사바 게토(Warsaw ghetto)가 세워졌다. 1941년 10월
에는 게토 밖에서 발견되는 어떤 유대인은 사형에 처해질 것이 선언되었다.
1940년 4월과 6월 사이에는 덴마아크, 노르웨이, 벨기에, 네델란드, 그리고
프랑스가 차례로 점령되었다. 500,000명의 유대인이 다시 히틀러의 수중에 들어
갔다. 모든 유대인들은 특별한 도장이 찍힌 유대인 등록증을 소지하고 다녀야
했으며, 이 때 비유대계인으로써 유대인 증명서를 발급받은 사람만도 40,000명
이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이 러시아를 공격하는 동안 독일군은 행동대
(Einsatzgruppen)를 훈련시키고 있었다. 이들의 목적은 점령지역 안에 있는 유
대인과 짚시를 처형할 계획이었다. 드디어 1941년 10월 10일 6개 독일 사단에
명령이 하달 되었다:"동부에 있는 군인들은 단순한 전사(warrior)가 아니요, 민
족이념의 가차없는 수행자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군사들은 인간 이하의
유대인들에게 복수할 것을 명하는 바이다". 이 때부터 루마니아, 헝가리, 러시
아, 독일등에 있던 유대인들은 무차별 학살되기 시작하였다. 그 통계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게토에서의 통치는 독일에게 있어서 두 가지 목적이 있었다: 유대인들을 감독
하고 앞으로 멸종시키기 위해 집중시키는 것이었으며, 동시에 얼마동안 경제적
착취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대규모의 게토에서는 군사물자를 만들기도 하였
고, 작은 곳에서는 도로 건설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음식
만이 제공되었을 뿐 인간적인 삶의 모습을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1940년 폴란
드에 설치된 여러 게토에서는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유대 사회의 지도자들은 경
제,정치,사회 활동을 유지 하였고, 예배와 교육등 종교행위를 수행하기도 하였
다.음악과 연극 활동을 하였고, 카페와 나이트 클럽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얼마간의 활동마져 1941년 중반에 와서는 중단될 수 밖에 없었
다. 게토 안에서의 기아와 질병, 전염병의 만연으로 인하여 수 없이 많은 사람
이 죽어 갔으며, 생존을 위한 초인적인 노력도 허사가 되었다. 화장터만이 그들
이 가는 길이었을 뿐이었다.
1942년 1월 20일 나치 회의가 베를린에서 모였다. 이 회의는 [Wannsee
Conference]로 명명 되었다(베를린 회의 장소의 거리 이름). 이곳에는 S.S.단원
과 비밀경찰의 지도자인 헤이드리흐(Heydrich), 뮬러(M ller), 그리고 아이흐만
(Eichmann)이 참석하였다. 이들은 유럽에 남아 있는 1,100명의 유대인들은 어떻
게 처리할 것인가를 놓고 계획을 세웠다. 마지막 해결 방안('Final Solusion'
Plan)에 의하면 흩어져 있는 유럽의 모든 유대인들을 어느정도 밀집되어 있는
동부 유럽으로 모아서, 그들이 죽기 전까지 유대인의 정신을 말살 시키자는 것
이었다. 이 일은 곧 착수되어 곳곳에서 유대인 강제 추방및 이주가 계속 실시
되었다.
게토 안에 강제 이주된 유대인들은 나름대로의 저항운동을 계획하고, 무기를
사들여 무장하기 시작하였다. 첫 게토 안에서의 소요는 바르샤바 게토의 젊은
유대인들에 의해 일어났다. 모르도개(Mordechai Anilewicz)가 이끄는 청년단들
은 1943년 1월 18일 경비원을 무찌르고 탈출에 성공 하였다. 독일 나치는 이 일
에 대한 보복을 게토에 하기로 결정하고 1943년 4월 19일에 군대를 게토 안에
보내어 파괴와 살상을 자행 하였다. 게토 안에서 유대인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
았으나 이 사건으로 7,000명의 유대인들이 희생되었다. 이러한 저항은 이 외에
도 비알리스토크(Bialystok), 민스크(Minsk), 코브노(Kovno)등에서도 일어났다.
이러한 투쟁이 승리를 희망할 수 있는 일은 아니었으나, 적어도 게토에 유대인
을 수용하여 한꺼번에 유대인의 정신을 말살 할 수 있다는 독일의 계획에 일침
을 가한 상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7.5.5.중서부 유럽에서의 유대인의 파멸(멸종)
유대인들에 대한 독일인의 박해는 식을 줄 몰랐다. 그들은 계속하여 전
중서부 유럽의 유대인들을 괴롭혔다. 그들은 길에서, 집에서 발견되는 전 유대
인들을 닥치는 대로 체포하여 수용소로 보냈다. 베를린에서는 수 십만의 유대인
이 정처없이 떠났으며, 프랑스에서는 13,000명의 유대인들을 체포하여 아우스비
츠로 보냈다. 화란과 슬로바키아, 그리이스의 살로니카에서도 수 많은 유대인들
이 살상 당하였다. 특히 헝가리 내에 살던 유대인은 가장 큰 멸망의 위기를 경
험하였다. 당시의 유럽에 살고 있던 유대인들의 수에 비하여 2차 세계대전 이후
의 생존자들은 극히 적은 수에 불과 한 것이 이 사실을 대변해 주고 있다.
7.5.6.유대 역사에 있어서의 Holocaust와 각국의 반응
유대인의 나치 독일로 부터의 대량 학살은 유대인의 역사에서 뿐만 아
니라, 전 세계사적인 관점에서도 결코 작은 사건이 아니었다. 살상된 수에서 뿐
만 아니라 그 고통 역시 엄청난 것이었다. 이 사건이야말로 인간사의 가장 큰
정신적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현대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나은 인
간의 행복을 추구하며 성취할 수 있다는 인간의 희망이 이 사건을 통하여 회의
적으로 비취어 졌으며, 나아가 "세계의 정화"(to purity the world)를 위한 명
목으로 행해진 가스 사용의 결과는 엄청난 인간 역사에 오염을 남겼다.
대학살은 유럽의 유대인들을 거의 몰살 시켰으며, 특히 폴란드, 독일, 오스트
리아,화란, 체코, 유고, 그리이스등지의 모든 유대인들을 멸종시켰다.그들의 절
반만이 생존하게 되었다. 여자와 어린이들을 포함한 이러한 참극은 지구의 어떤
곳에서도 일어난 적이 없었다.
나치 전범에 대한 전후의 처리 문제도 대부분의 독일인들은 무관심하였으며,
소수의 '의로운 이방인들'(few righteous among the nations)만이 이에 동조할
정도였다. 베를린의 카토릭의 사제였던 리크텐베르그(Bernard Lichtenberg)는
유대인을 위해 공공연히 기도하다가 체포되어 유대인들과 함께 수용소로 보내져
처형당하였으며, 비스바덴의 페인트공이었던 루이스 비르크(Louis Birk)는 나치
의 지도자들이 언젠가는 그들 손으로 부순 유대인들의 회당을 건설할 의무를 가
지게 되리라는 발언으로 1943년에 처형되었다. 또,독일 고백교회(Confessing
Church)의 본 훼퍼(Bon Hoeffer)목사는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하여 활동하다
가 발각되어 종전 직전에 처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럽인들은 이에 침묵으로 일관하였다. 폴란드인들은 나치에
협조하지는 않았으나, 동시에 유대인들을 돕지도 아니하였다. 특히 독일 국교인
루터교(Lutheran Church)는 확실히 반유대적 태도를 견지하였으며, 유대인이었
다가 기독교로 개종한 몇몇 사제들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이에 동조하거나, 신학
적 정당성을 기초로 부추기기도 하였다.
독일 카톨릭 교회 역시 나치의 유대인 정책에 관하여 큰 관심이 없었으며, 개
별적인 유대인에 대한 태도를 말하고 있었을 뿐이었다. 1942년 12월 박해받는
유대인에 대한 '엄숙한 선언'(solemn resolution)안이 거부되었으며, 교황 파이
우스 12세(Pius XII)는 결코 나치와 그의 행위를 정죄하지 아니하였다. 1943년
독일 바티칸 대사가 독일 외무부 장관에게 보낸 공문에 의하면 "여러 경로를 통
한 압력에도 불구하고 교황께서는 유대인을 로마로부터 추방한 나치 독일에 관
하여 정죄하지 않았읍니다. 이것이 우리의 적으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게 된다
하더라도, 그리고 유럽안에 있는 개신교도들이 아무리 카톨릭을 반대하는 선전
을 한다 하더라도 독일 정부와의 관계를 손상시키지 아니할 것입니다". 이러한
카톨릭의 공식 입장은 폴란드, 헝가리의 추기경들과, 희랍정교회의 대주교의 입
장과 같은 것이었다.
7.5.7.Holocaust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해석들
7.5.7.1.인간학적 질문과 신학적 대답
이 사건에 대한 유럽 유대인들의 반응은 대체로 두가지 입장으로 요
약될 수 있다:1)하나님의 뜻의 명시(manifestation of the divine will), 2)인
간의 반역(human rebelion). 다시말하면 이 사건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인간학
적 질문과 신학적 대답의 관계로 설명되어 왔다. 이스라엘 백성은 많은 고난의
과정을 경험해 오면서 이 질문에 관하여 오랫동안 숙고해 왔다. 특히 성경의 가
장 위대한 고난 문학 가운데 하나인 욥기(Job)는 바로 인간의 고난과 고통의 문
제를 질문하고 이에 대해 신학적 대답을 시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대문학이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대학살은 '고난받는 종'(사53장)의 신학에서 처럼 '무고
한 대속적 피'(innocent redemtive blood)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역사의 고
난을 모두 '대속적 고난'이라는 주제로 해석하게 되면, 인간이 경험한 역사
를 통한 자기 반성이나 성찰의 기회를 상실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
로 역사 발전에 도움이 되지않는 역사해석이 되고 만다. 이 주제는 인간의 가
장 원초적인 질문이기도 하여 많은 종교가 이 주제에 관하여 각각의 대답을 시
도하고 있다.
7.5.7.2.정치적 사건과 정치적 책임
'역사는 곧 인간의 책임'이라는 전제 하에 이 사건을 인간이 저지른 인
간의 사건으로 보려는 시각으로써 철저한 인간들의 정치적 책임을 강조하는 입
장을 말한다. 그러나 이 입장에서 본다면 당시의 세계인들의 반응은 대단히 지
탄 받아 마땅한 일이었다. 단적으로 미국은 고통당하는 유대인들에 대해 매우
냉담(apathy)하였다. 1939년 4월의 [Fortune]지에는 미 상원의원들의 앙케이드
조사 결과가 보도 되었는데, 이에 따르면 미국의 이민 제한법을 넘어서서 유럽
의 난민들을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해 83%가 반대를, 8.7%가 찬성을, 8.3%가 무
응답을 하였다.
7.5.7.3.종교적 주제로서의 사건
레비(Guenter Lewy)의 [카토릭 교회와 나치 독일](The Catholic
Church and Nazi Germany)과, 아더 모르스(Arthur D.Morse)의 [600만명이 죽을
때](While Six Million Died, A Chronicle of American Apathy)는 이 사건에 대
한 세계의 냉담함과 침묵을 적고 있다. 특히 이러한 태도를 가진 기독교 신학자
들은 "유대인들은 결코 무고한 피를 흘린 것이 아니다. 모든 유대인들은 죄를
지었으며, 죄를 지은 자들은 죽어 마땅하다. 그들은 그들의 죄로 인하여 징벌은
받은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역사가 토인비(Arnold J.Toynbee)는 그의 [역사의 연구](A Story of History)에
서 "20세기 독일의 정신(psyche)은 자신의 얼굴을 들여다 보게하는 볼록거울이었다. 만일 20
세기의 독일이 괴물이었다면, 20세기의 유럽의 문명은 독일의 괴물을 만들어 낸 프랑켄스타인
(Frankenstein) 이었다".
7.5.7.4.화해의 가능성으로서의 몇가지 변화들
1991년 1월 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hn Paul II)는 [세계 평화의
날] 선언에서 "사람들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진리(신앙)를 타인에게 강요해서는
아니되며,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자들을 경멸해서도 아니된다"고 말하면서,
종교적 관용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 선언에 앞서 1985년 6월에 로마에 있는 유
대인 회당을 로마 교황으로는 처음으로 방문하여 유대인을 '우리의 형제'(our
elder brother)라고 부르며, 카토릭 교회의 유대인 박해에 관하여 용서를 구하
고 서로의 화해를 요청하였다.이는 2,000년 동안의 유대인과 기독교인들간의 갈
등을 정리하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되어 마땅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직까지 독일 교회는 공식적으로 이 일에 대한 화해의 악수를 건넨적이 없
다. 현재 독일과 이스라엘의 국제관계는 1952년 9월 10 이후 대사급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여러가지 불편함이 남아있다. 독일은 이스라엘에 $7억 2000만
불을 피해 보상금으로 주었으며(현금이 아닌 물품으로), 4억 5000 마르크를 유
대기구에 지불하였다.이러한 정부의 결정에 많은 시민들은 반대하였으나, 이 후
이스라엘의 경제는 매우 건설적인 발전을 하게 된 것은 사실이다.
이스라엘은 독립 이후 예루살렘에 [야드 바쉠](Yad Vashem)이라는 600만 학살
기면관(Holocaust Museum)을 건립하고, 이 시대에 자행된 각종 자료와 사진을
전시하여 국민들과 세계인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결코 이 사건의 과거의
사건으로 보지 않는다. 이들에게 있어서 '과거'란 늘 '현재'요, 또 '미래'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구호는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기를!"(Never Again!)이다. 이
구호는 반드시 윤리적 동기를 바탕으로 이해해야 하며, 동시에 유대인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인류의 참혹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인류의 미래에 대한 신념과
희망을 결코 포기하지 말아야 하며, 이를 위한 역사적 책임을 보다 강하게 자각
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것은 하나의 '신앙'(faith)이어야 할 것이다.
7.6.현대 이스라엘 독립과 그 과정
7.6.1.제2차 세계대전 중의 유대인의 활동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팔레스틴의 모든 유대인은 벤 구리온이 제
21차 시온주의 총회에서 제안한 "히틀러와 싸우자"는 연설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다. 시온주의 지도자들은 히틀러에 대항하여 싸울 수 있는 유대 군사력을
위한 조직을 제안하였으며, 또 전쟁에 참여할 것을 결의하기도 하였으나 영국
정부는 이들이 팔레스틴에 남아 줄 것을 엄격히 요구하였다. 한편 1940년 여름
팔레스틴 보병대의 발대식이 있자 영국군은 이들에게 매우 협조적인 입장이 되
기도 하였다.
1941년 4월 롬멜(Rommel)장군이 이끄는 독일군이 이집트 국경까지 이르자 영
국은 유대인을 영국 군사 본부에 배치하여 정보활동등을 시켰다. 3,000명 이상
의 유대인 남녀가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르군](Irgun)이 영국에 협조하기 시
작한 셈이다. 1941년 5월 이라크에서 알리(Rashid Ali)가 이끄는 친나치 혁명
이 일어나자 이들이 그 곳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1942년 봄, 롬멜 장군의 독일
군이 다시 이집트 국경에 재진격했을 때 5,000명의 유대인들이 영국군에 지원하
여 영국군과 함께 이를 격퇴하였다.
1942년 4월 바이츠만은 미국에 방문하여 뉴욕의 빌티모어(Biltmore)에서 가진
유대 지도자들과의 회합에서 '시온주의 운동의 정치적 활동'을 위한 기초를 놓
았다. 이를 후에 [빌티모어 계획](The Biltmore Programme)이라고 부르게 되었
다. 이 선언의 내용은 1)팔레스틴으로 향한 대규모의 유대인 이민의 문을 열
것, 2)이민을 포함한 국가 발전을 위한 모든 관련 업무를 유대기구(Jewish
Agency)로 통합할 것, 3)팔레스틴에 유대 독립 국가 설립을 요구할 것을 요구하
는 내용이다. 빌티모어 계획서는 1942년 11월 시온주의 대표들에게 적극적인 지
지를 얻게 되었다.
한편, 팔레스틴의 영국 식민지 정부는 점차 유대인들의 반란을 두려워하기 시
작하였다. 특히 이들은 '한 국가안의 국가'(a state within a state)라는 논리
로 유대인들의 활동에 민감하였고, [하가나](HAGANAH)를 해체하려는 시도를 하
기도 하였다. 1943년 4월 영국은 드디어 [유대 신병보충대](Jewish Agency
Recruitment Bureau)를 수색하였고, 그 이외의 많은 지역을 수색하여 유대인들
이 불법으로 소지하고 있던 많은 무기들을 압수하였다.
이러한 일이 계속되면서 많은 유대인은 반영국 감정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이
에 맞서기 시작하였다. 반영국 활동은 [이르군](Irgun)과 [레히](Lehi, Lohamei
Herut Ysrael), 그리고 [이스라엘 자유투사회](Israel Freedom Fighters)에 의
해 시도되었다. [레히]의 창설자 스테른(Abraham Stern)은 이 일을 유대 지도자
들에게 알려 지원을 호소하였으나 지지를 얻지 못하자 단독으로 활동을 시작하
였다. 그는 결국 1942년 2월 영국군에 의해 체포되는 현장에서 사살되었다. [이
르군](Irgun)은 그들이 전쟁중에 수행한 영국군과의 정책적 협조 관계를 강조하
면서, 그들의 활동을 유지하였으나 결국 1943년 정책을 바꾸어 '정복자 영국에
대항하는 혁명운동'을 선언하였다. 이들은 영국 정부의 경찰서, 방송국등에 공
격을 가하였으며, 요인을 암살하는 일도 수행하였다. 1944년 11월 5일 두 명의
행동대원에게 영국의 중동국장 모인(Lord Moyne)경이 이집트에서 암살당하는 사
고가 발생하였다. 영국은 이에 맞서 저항을 스스로 중단하던지, 아니면 힘에
의해 중단되든지를 선택하도록 선언했고, 이어 시온주의 운동 기구는 [이르군]
에게 이 일을 중단할 것을 명령하는 결의를 하였다. 약 250명의 [이르군] 대원
들이 체포되었다. 이들의 대부분은 에리테리아(Eritrea)로 유배되었다.
7.6.2.시온주의 기구와 영국정부 사이의 관계 악화
이러한 여러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영국정부는 유대 여단(Jewish
Brigade) 설치를 결정하였다는 것을 1944년 9월에 발표하였다. 이 여단은 군사
조직으로 그 해 년말에 계획되어 있는 이태리 공격을 위한 사전 준비로 알려졌
다. 약 25,000명의 병력이 군사훈련을 받았다. 이 결정은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팔레스틴의 군사력 강화라는 측면과 유럽의 유대인들과의 접촉 가능성을 열어놓
은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한편, 미국의 루즈벨트(Roosevelt) 대통령은 1944년 10월 미국 시온주의 기구
에 보낸 서한에서 "팔레스틴에 유대 자유 민주국가 건설을 지지한다"고 말하였
으며, 1945년 2월에 있은 얄타회담(Yalta Conference)이 후 사우디 아라비아의
왕 사우드(Ibn Saud)를 만나 이 결정에 관하여 의견을 나누었다.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영국 처칠의 연립내각은 유대국가 건설을 지원할 것과
팔레스틴에서 다수의 유대인이 정착하는 문제에 지지를 선언하였다. 1944년 노
동당의 결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가 준비해 주지 않으면 팔레스틴에 유대
민족의 집이 세워질 희망이 전혀 없는 것은 사실이다...독일로 부터 심한 박해
를 받아 온 유럽의 유대인들에게 이것은 하나의 반가운 초청이 될 것이다. 우리
가 아랍을 밀어 내고 유대인들을 이주시킵시다... 아랍은 다른 넓은 영토를 많
이 가지고 있읍니다. 그들은 작은 팔레스틴에서 유대인들을 밀어낼 것을 주장하
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1945년 7월 노동당이 재집권하였으나 여전히 이민의 문은 열리지 않았
다. 유대기구는 즉각 팔레스틴에 유대 국가 설립을 요청하였으나 외무장관 베빈
(Ernest Bevin)은 그 해 11월 팔레스틴에 대한 정책을 발표하면서 "유대인과 아
랍인 무두를 위한 영국의 이중의무"(Britain's dual obligation towards the
Jews and the Arabs)을 거듭 천명하였다.
이러한 영국의 선언은 팔레스틴이 유대인 난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역
이 아님을 의미하고 있으며, 유대인 난민들에게 유럽에서 다시 재건설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바이츠만은 10월 런던에 건너가 베빈장관을 냉대 속에
만나 이 문제를 논의 했으나, 그는 정부의 이같은 백서는 유효하다는 입장을 고
집하고 있었다. 그 해 9월 전후 처음으로 런던에서 열린 제21차 세게 시온주의
총회에서 랍비 실버(Rabbi Silver)는 "우리의 제안이 다시 거부된다면 우리는
어떠한 무기를 동원해서라도 우리의 뜻을 이루겠다"고 연설하였으며, 그는 바이
츠만에게 "우리가 원하는 것은 유대국가이지 영국정부의 허가장이 아니다"라고
강력히 건의했다.
한편, 베빈은 팔레스틴 문제와 유럽의 유대인 문제를 토의할 영미 심의 위원
회(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여 1946년 1월
7일 워싱톤에서 영국과 미국의 동수 위원회가 설치 되었다. 이 위원회에서는 유
대인들 토지 거래 금지법을 무효화 시켰으며, 영국의 위임통치권을 UN이 인수하
는 것도 제안하였다. 점차 유대 독립을 위한 진보가 이룩되기 시작 하였다.
7.6.3.불법 이민(Illegal Immigration)
전후 영국 정부는 여전히 유럽 유대인들의 팔레스틴에로의 이민을 금지
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살의 생존자들은 이민의 문이 열리도록 계속적인 압력
을 가하였다. 수용소를 나온 일부 유대인들은 서부 유럽으로 이주하여 정착하기
도 하였으나, 대 다수의 사람들은 팔레스틴에로의 이주를 희망하였다.
1946년 4월 두 척의 배가 불법 이민자를 싣고 이태리의 항구 라 스페찌아(La
Spezia)를 떠나려고 하자, 영국은 압력을 가하여 이 배를 억류하였다. 그 배 안
에 있던 전 유대인들은 석방될때까지 단식투쟁을 시작하였다.
이 사건이 유대인의 승리로 끝나자 더 많은 이민자가 이주를 희망하였으나,
영국은 계속하여 이민을 방해하고 금하였다. 또 불법 입국자를 잡아 텔 아비브
에 수감하였다.
1947년 7월 프랑스를 떠난 엑소더스(EXODUS)호는 4,500명의 이민자를 싣고 떠
나 하이파 항구에 도착하였다. 영국은 이 배의 정박을 방해하며 발포를 하여 수
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들은 다시 돌려보내기로 결의 하였으나 끝까지 싸웠다.
1945년부터 독립할 때까지 약 70,000명의 유대인들이 불법으로 이민왔으며,
이들 가운데 약 5,000명은 체포되어 사이프러스 섬으로 되돌려 보내졌다. 이들
은 1948년 이스라엘이 독립하면서 팔레스틴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7.6.4.팔레스틴 문제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그 결정
UN이 제안한 위임 통치권에 관한 제안이 영국에 의하여 거부되자, 팔레
스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이 수립되었다. [모리슨 그래디 안](The
Morrison-Grady Plan)이라고 불리우는 이 계획서에 의하면 팔레스틴을 4개 지역
으로 나누어 유대인(17%), 아랍인(40%), 그리고 두 영국 지역(예루살렘과 네게
브,43%)로 분할한다는 것이다. 또, 영토 전체의 관할은 영국이 담당하고, 유대
및 아랍 지역은 자치로 하는 안이었다. 이 안은 영국 외무성의 모리슨(Herbert
Morrison)과 런던 주재 미국 대사인 그래디(Grady)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계획안은 아랍과 유대인들 모두에게서 거부되었다. 1946년 12월 바슬리
(Basle)에서 열린 제22차 시온주의 총회에서 지도자들은 영국이 제안한 런던회
의 참석을 거부하였고, 팔레스틴 아랍인도 거부하였다. 1947년 2월 14일 영국
외무 장관 베빈은 영국은 더 이상 팔레스틴 내의 두 민족간의 화해에 관하여 관
심이 없으며, 이 모든 문제를 UN에 넘긴다고 발표하였다.
같은 해 5월에 시작된 안보리에서 소련의 대표 그로미코(Andrei Gromyko)는
'자기 국가를 건설하려는 유대인들의 정신을 지지한다'고 발언하였다. 여기서
안보리는 UNSCOP(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을 발족하여
11개 국가를 선출하였다. 이들은 각계의 많은 의견을 청취하고 8월 말에 결론을
내렸다.
1)7개 국가는 팔레스틴을 유대 국가, 아랍국가 그리고 UN이 관리하는 국제지
역으로 분할하는 안에 찬성하였다. 그리고 이 안은 아랍과 유대 국가는 경제 조
합(an economic union)으로 연결되도록 제안하였다. 이 안에 따르면 유대 국가
의 영토는 예루살렘, 중서부 갈릴리, 유다-사마리아 산지 및 유대광야를 제외한
지역으로 전 팔레스틴의 약 64%에 해당되었다. 2) 3개 국가의 안으로는 유대-아
랍 연방국가(a Jewish-Arab federative state)를 세운다는 것이었으며, 3)나머
지 1개 국가는 두 제안에 기권하였다.
미국은 제1)안에 찬성하였으며, 여기에 네게브를 유대국가에 덧붙이는 제의를
하였고, 소련을 비록한 공산 블럭은 하나의 유대국가를 세우는데 지지하였고,
영국은 이 계획과 관련하여 곧 영국군을 그곳으로부터 철수할 것을 알려왔다.
1947년 11월 29일 UN 안보리는 팔레스틴을 두 국가로 분할하여 독립시킨다는
역사적인 결정을 33:13으로 가결하였다. 영국은 1948년 2월 1일에는 유대인 이
민을 위한 항구를 열고, 같은 해 8월 1일 모든 군대를 철수 시켰다.
7.6.5.독립전쟁
UN의 결정이 있은 직후 뉴욕의 유대인들은 거대한 환영 행사를 펼쳤고,
텔 아비브와 예루살렘은 모든 교통이 단절되고 시민들은 거리로 나와 새벽이 맞
도록 춤과 노래로 축제를 벌였다. 벤 구리온은 인터뷰에서 "2000년 동안의 어둠
을 깨고 구원의 여명이 밝아 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UN 안전보장 이사회가 열리는 동안 아랍인들은 분할계획에 전면 반대
하고 나섰다. UN의 결정 직후부터 아랍인들은 유대인들의 자동차와 건물에 공격
을 시작하였고, 주변 아랍국가에서 소위 '해방군'(liberation Army)이 들어와
이를 지원하였으나 영국은 이를 묵과하였다. 해외의 유대인들에게도 이들은 공
격을 하였다. 유대인들도 이에 맞서 공격을 시작하였고, 마을 입구에 초소를 세
우고 경비를 강화하였다. 1948년 3월 아랍인들의 대규모 공격이 시작되면서 예
루살렘과 네게브, 서부 갈릴리의 통로가 차단되었다. 이 때까지 약 1,200명의
유대인들이 죽었다. 상황이 점차 심각해지자 UN의 미국 대표는 UN의 결정을 취
소하고 다국적군이 통치하는 신탁통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대인들은 주도권을 장악하기로 결의하고 체코로부터 대량
의 무기를 선적하여 싣고 들어왔다. 이 무기를 사용하여 4월 초 [나흐숀 작전]
(Operation Nahshon)이라는 이름으로 예루살렘으로 통하는 길을 다시 열었다.
그러는 동안 키브츠 미쉬마르 하에멕(Kibutz Mishmar Haemek)은 아랍 '해방군'
들에 의해 심하게 공격당했다.
아랍인들은 공포에 질려 도주하기 시작하였으나 일부 지도자들이 이끄는 아랍
인들은 끝까지 항거하였다. 예루살렘 근처 데비르 야신(Deir Yassin) 아랍 마을
은 여자와 어린이들을 포함하여 대량 도주가 행해졌다.
1948년 4월 중순과 5월 중순 사이에 [하가나](HAGANAH)는 하이파, 티베리야,
사팟등을 정복하고, 5월 13일 텔아비브 위성도시인 욥바를 점령하였다. 예루살
렘에서는 4월 13일 전망산(Mt.Scopus)으로 가는 의사와 간호원이 탄 버스가 영
국군의 호위를 받으며 가다가 아랍인들의 공격을 받아 전원 살해된 사고가 발생
하였다.
UN은 팔레스틴에서의 전쟁을 막는데 성공하지 못하자 1948년 4월 16일 안보리
를 소집하여 이 상황에 관한 토론을 하였다. 이 때 UN은 UN의 결정을 곧 수행할
것을 토의하였으나 영국이 UN 대표들의 입국을 거부하고 나서는 바람에 아무런
새로운 결정을 내리지 못한채 폐회되었다.
7.6.6.독립선언
1948년 5월 14일(금) 오후4시 텔 아비브 박물관에서는 [하티크바]
(Hatiqva,"희망"이라는 제목의 국가)가 불리워 진후 다빗 벤 구리온(David
Ben-Gurion)이 독립헌장이 기록된 두루마리를 읽고 있었다:"우리는 유대인의 역
사적이며 본질적인 권리와 UN 안보리의 결정에 따라 이스라엘이라 불리우는 국
가를 팔레스틴에 세움을 선언하다"
이 선언는 15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건국의 지도자들이 알파벳 순서
대로 서명하였다. 이스라엘 국가의 정부는 임시 국민의회에 의해 곧 비준되었
다. 독립선언 직후 미국과 소련 정부로부터 이스라엘 국가는 사실상 인정되었
다. 그날 자정을 1시간 남겨둔 시간에 영국 식민지 대표는 하이파항을 떠났고,
다음 일요일에는 이스라엘의 초대 대통령으로 하임 바이츠만이 선출되었다.
그 날 밤 5개 아랍 연합군은 이스라엘에 공격을 개시하였고, 여기에 참여한
이집트는 UN 안보리에 서한을 보내 '이집트는 UN에 의해 인정되는 도덕적이고
원칙적인 국가재건을 위하여' 팔레스틴에 들어 간다고 알려왔다. 이들은 주로
네게브의 유대인 마을들을 고립시켜 곤궁에 처하도록 하였으며, 레바논은 말키
야(Malkiyyah)와 카데쉬 납달리(Kadesh Naphtali)로 들어왔고, 시리아는 제마
(Zemah)와 샤르 하골란(Shaar Hagolan)을 점령하고 갈릴리 호수 옆 엔게디까지
공격했으며, 이라크는 나불러스(Nablus), 제닌(Jenin), 툴카렘(Tulkarm)을 공격
해 왔으나 이스라엘이 격퇴하였다.
이스라엘 군대는 계속하여 라툰을 경과하여 예루살렘 구도시로 진격하였다.
구도시의 유대인 지역에 오랫동안 고립당해 있던 유대인들을 구출하는데 성공하
였으나 아랍인들은 라툰 도로를 차단하여 이스라엘 군인들에게 공급되는 식량과
물을 차단하였다.
이러한 와중에서도 수상과 국방상을 겸임한 벤구리온은 이스라엘 방위군
(IDF,Israel Defence Forces)을 창설하였다. 6월 1일 [이르군](Irgun)은 해체되
고 방위군에 편입된다고 선언하였다.
이러한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UN은 중재자로 스웨덴인 버나도트(Count Folke
Bernadotte)를 파견하 휴전을 제안하였다. 그는 1947년 11월 29일의 UN의 결의
를 지켜 줄 것을 이스라엘에 요구하였다. 즉, 전쟁 중에 점령한 네게브를 돌려
주고, 하이파 항구는 국제항으로 둔다는 안을 제안하였으나, 이 안은 얼마 후
아랍측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아랍은 다시 전렬을 정비하여 침략하였으나, 이스
라엘에 의하여 오히려 더 많은 영토를 내 주게 되었다: 휴전이 끝나던 7월 9일
부터 10일 동안에 이스라엘은 나사렛을 점령했고, 갈릴리와 룻다(Lydda)와 람레
(Ramleh)를 점령하였다.
제2차 휴전은 안보리의 노력으로 시작되어 협상에 들어갔다. 버나도트
(Bernadotte)는 다시 이스라엘이 전쟁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것과 아랍 난민들
을 안전하게 그들의 집으로 돌려보내라는 안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에 반대하고
나선 레히(Lehi) 그룹의 이스라엘 청년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살해되었다.
이 사이에 이스라엘은 다시 네게브를 공격하여 이집트로부터 고립되어 있던
많은 정착지들을 재확보해 나갔다. 1949년 1월 7일에는 홍해와 소돔과 엔게디에
이르는 사해를 점령했다.
1949년 1월 12일 UN 중재 대행자로 번취((Ralph Bunche)가 부임하여 협상을
재개하였다:이집트는 2월 14일에 네게브를 이스라엘에 내 주는 대신 엘 아리쉬-
아부 알제리아 선(El Arish-Abu Ageila Line)과 가지지구(Gaza Strip)를 차지하
기로 동의 하였고, 레바논은 3월 23일에, 트랜스 요르단과는 4월 3일에, 그리고
시리아와는 7월 20일에 각각 휴전에 조인하였으나 이라크는 끝내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로써 이스라엘 국가는 영국이 위임통치하던 서부 팔레스틴 영토의 80%를 차
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여전히 안보와 평온을 이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시온주의자들의 꿈인 이스라엘의 국가건설은 시온주의 창시자인
헬쩨의 예언대로 50년만에 세워졌다. 이렇게 하여 한 예언가의 꿈은 이룩되었으
며, 유럽에서의 수 없는 박해와 대량 학살 가운데서도 살아남은 이스라엘 백성
들은 자기의 땅과 주권을 가진 새로운 이스라엘을 회복하게 된 것이다. 국가 건
설의 꿈은 많은 이들의 피흘림의 결과였으며, 아직도 산적해 있는 많은 과제들
을 두고 있는 이스라엘은 어떠한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인가? 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10. 미국의 여러 교파들
1) 독립전의 종교 제도
(1) 식민지 각 주마다 종교 정책이 다름.
(2) 한 교파를 주 종교로 선정하는 예가 많았다. 뉴우 잉글랜드 지방은 회중
정치를,버어지니아주와 남부 여러 주들은 기독 교회를 선정하였다.
2) 독립 후의 정교 분리
(1) 국회 목사를 선정하고 기도로 개회
(2) 대통령이 군목 임명.
(3) 감사적을 국경일로.
(4) 국가 위기에 금식일 선포.
3) 여러 교파들
(1) 회중 교회
a. 뉴우 잉글랜드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 확장되었다. 내외 전도에 힘씀.
b. 지도자는 예일 대학장 드와이트와 신학 교수 테일러 였다.
c. 1808년 앤도우버 (Andover)신학교,1834년 하아프퍼드 (Hartford)신학교,
1834년에 오우벌린 (Oberlin) 대학을 설립하였다.
d. 1864년에 보스턴에서 총회 모임.
(2) 장로교회
a.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지방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구성
b. 필라델피아에서 총회 구성하고 위스트민스터 신조를 채택하였다.
c. 38년에 두파로 분렬되었다.
ᄀ.이유:(1) 신학 사상적 차이
(2) 회중 교회에 대한 태도
(3) 전도 기관 감독 문제.
ᄂ.분렬..(1) 신파 - 유니언 신학교.
(2) 구파 - 프린스턴 신학교 구파는 다시 남. 북 장로교로 분렬
ᄃ.합동...신파와 북장로교 합동,1970년대 와서 다시 남 장로교와 합동,
여기에 반대하는 보수적 칼빈주의 교회는 따로 미국 장로회(PCA)
를 조직하였다.
(3) 컴벌런드 (Cumberland )장로 교회
a. 1797년 켄터키 지방의 신앙 부흥으로 목사의 수가 부족하자 목사 자격 완
화를 요청하며 분렬하였다.
b. 1906년에 장로 교회와 합동.
(4) 개혁 교회 (Reformed Church)
a. 화란 개혁교회 (Reformed Church of America)
ᄀ. 화란에서 목사 파견,화란어 사용.
ᄂ. 신앙의 표준은 하델베르크 문답서
b. 독일 개혁 교회
ᄀ.박해받은 칼빈파가 펜실베이니아로 이주하므로 시작
ᄂ.랭카스터 (Lancaster)에 신학교를 설립.
(5) 감독 교회
a. 영국교회에 속한 이주민에 의하여 1785년 설립.
b. 필라델피아,뉴우 요오크 감독 임명.
(6) 개혁 감독 교회
a. 조오지 커민즈(George Cummins)에 1873년에 조직.
b. 감독을 계급으로 보지 않고 직분으로 보고, 성례에 대해 완고하지 않음.
(7) 메터디스트 교회
a. 1784년에 설립, 영국의 39개조 신조를 채택하였다.
b. 처음 감독은 토머스 코우크 (Thomas Coke).
c. 1845 년 노예 제도 폐지 문제로 남북 감리교회를 분렬되었고,1830년에는
총회에 평신도 대표 참속 문제 때문에 푸르테스탄트 메도디스트 교회가
분파 되었다.
(8) 복음 교회 (Evangelical Association)
a. 펜실베이니아에 이주한 독일인 야코보 알브라이트 (Jacob Albright)가 설
립하였다.
b. 정치는 감리 교회와 같다.
(9) 침례 교회
a. 프로비던스, 뉴우 포우트에 설립되었다.
b. 정치 형태는 회중파 정치이며 교회의 자치권을 부여하였다.
c. 교육 기관으로 브라운 대학 (1763)외에 5개의 신학교가 있다.
d. 여러 분파가 생겼다.
(10) 루토 교회
a. 1742년에 뮬렘버그 (H.M,Muhlemberg)가 설립하고, 1820년 미국 루터 교회
가 독립하였다.
b. 1917년 종교 개혁 400주년을 계기로 통합되었으나 1970년 대에 다시 분열
이 있었다.
(11) 유니버니설리스트(Universalist)
a. 1770년 존 머리 (John Murray) 가 첨음 설립.
b. 만인 구원설, 삼위일체 교리를 믿음.
(12) 크리스찬 사이언스 (Christian Science)
a. 1867년 보스턴에서 에디 (Mary B. Eddy) 부인에 의하여 설립.
b. 약을 쓰지 아니하고 기도로 병 고친다고 주장.
11. 로마 교회
1) 예수회의 부흥
(1) 교황 피우스 7세는 1814년 8월 7일에 예수회의 재건과 종래의 헌법과 특
권을 회복할 것을 발표하엿다.
(2) 도미니크 파가 예수회 세력권에 흡수됨.
(3) 성심회가 조직되어 일선 기관으로서 활동함.
2) 이탈리아 통일로 생긴 변환
(1) 1864년 9월 프랑스 왕과 이탈리아왕이 조약을 체결하엿다.
a. 이탈리아왕은 교황의 남은 땅을 보존케 할 것.
b. 프랑스 군대는 점차 철수할 것.
(2) 가리발디 (Gribaldi Giuseppe)의 봉기로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 군대를
로마에 진주시켜 교황을 보호하였다.
(3) 1870년 보불 전쟁의 결과로 프랑스 군대는 철수하고 엠마누엘의 군대는
로마로 진군하여 교황군을 격파하고 1870.9.20.성베드로 성당에 백기가
게양되었다.
(4) 교황청은 이탈리아 왕국과 병합되고 교황에게는 300만 리라의 수입 보장
과 바티칸,라테란의 두 궁전과 간돌포(Gandolfo)성을 주었다.
3) 성모 무염 시태 교리 (Immaculate Conception).
(1) 트랜토 회의에서 해결 못보았으나 예수회에서 이 교리를 주장하였고 교
황 역시 이를 좋아했다.
(2) 1849년 각국 감독에게 설문하여 6백명 중 4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찬동하
였다.
(3) 1854년 12월 8일 성모무염시태설을 성 베드로 성당에서 선포.
(4) 14년후 바티칸 회의에서 교리로 확정하였다.
4) 바티칸 회의
(1) 시기...1868-1871 (제20회 세계 대회의) 피우스 9세 재위시에 소집하여
보불 전쟁으로 중지
(2) 회원...76명 출석 (24명으로 위원회 조직)
(3) 위원장은 홍의 주교,회의는 비밀로 필기는 금함.
(4) 목적...a.가톨릭 교회 신앙 규칙 통과
b.교황 무오교리 채택...교황은 그리스도의 보좌이므로 그리스도
의 무오교리 채택...교황은 그리스도의 보좌이므로 그리스도의
무오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 이 결의에 46명의 감독이 반대.
5) 현대주의 (Modernism)
(1) 개혁 교회의 자유 신학과 비슷.
(2) 성경과 교회 역사에 비평을 시인.
(3) 실제적 방면을 중시하고 전제주의를 반대.
(4) 대표자는 영국의 티렐 (George Tyrrell), 프랑스의 블롱델 (Blondel),
이탈리아의 무리 (Romolo Murri) 등이다.
(5) 교황 피우스 10세는 1907년에 이 운동과 저서를 금하였다.
12. 프랑스의 교회들
1) 프랑스 가톨릭 교회와 로마 교회
(1) 갈리카니슴 (Gallicanism)...프랑스 교회를 교황의 지배 밖에 두려는 것.
(2) 울트라몬타니즘 (Ultramontanism)...프랑스 교회 (가톨릭)는 교황의 지배
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
2) 나폴레옹 3세의 몰락과 교회
(1) 몰락전 유물주의가 사람들을 사로잡음...르낭 (Ernest Renan)이 <예수전>
저술 (1863).
(2) 나폴레옹 3세 몰락 후의 양상
a. 종교적 신앙심의 부흥. b. 미신적 신앙 유행.
c. 화려한 성당 건축 d. 거룩한 처소에의 순례자가 많아짐.
3) 국가와 교회
(1) 종교와 교육의 분리 (1882)
a. 베르 (Paul Bert)가 종교와 교육의 분리를 규정하는 교육법 개정.
b. 1904년에 로마와 외교 관계 단절.
(2) 정치와 교회 분리 법안 통과 (1905.12).
a. 국가는 종교적 예배와 양심의 자유를 보호하거나 어느 한 종교를 승인하
지 못한다.
b. 과거 30년간 국가로부터 봉급을 받은 60세의 목사는 종신토록 4분의 3을,
45세로 20년간 근속자는 반액을 급여함.
c. 교회 재산은 종교 재단을 구성하고 이관한다.
4) 개혁 교회
(1) 1858년 예배 자유 허가
(2) 1872년 정통파와 개혁파로 분열.
(3) 1872년 파리에서 양파 대표자로 신교 총회를 구성.
(4) 신학교는 파리, 제네바,몽토방 (Montauban)에 있었다.
13. 동 유럽의 교회들
1) 터어키 제국
(1) 1839년과 모하메드교인을 정치상 동등 지위에 두는 법령을 발펴했으나
실해되지 아니하였다.
(2) 크리미아 (Crimea) 전쟁 후 파리 조약 체결로 종교에 관계 없이 평등 지위
를 소유한다는 법령을 발표 (1856).
2) 희랍
(1) 1828-1829 러시아와 터어키 전쟁의 결과로 남부 그리이스가 자유를 얻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보호를 받음.
(2) 1833년 그리이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의 관리에서 떠남.
(3) 오늘날의 희랍 교회는 국왕이 임명한 교무원에 의해 지배된다.
3) 불가리아
(1) 15세기 이후 그리이스 교회 대주교의 관할 하에 있었다.
(2) 아리스산 수도사 파인트가 불가리아 교회의 독립을 고취시켰다.
(3) 1829년 5월 11일에 독립하였다.
(4) 술탄 (Sultan)이 불가리아 (Bulgaria) 인 1만 5천명 학살.
4) 알바니아(Albania)
(1) 1895년 카르드 (Card)인의 소행으로 신도 10만명이 학살당하였다.
5) 러시아
(1) 알렉산더 2세 재위시 (1855-1881) 어느 계급 출신이든지 교직자가 될 수
있게 하였다.
(2) 1860년에 코카서스 (Caucasus) 인 전도를 위해 전도회 조직 1866년에는 모
하메드 교도 전도 위해 조직하엿다.
(3) 처음에는 반대했으나 국교 외에는 박해하였고 공산 혁명 후에는 종교 자유
를 일체 허락하지 않았다.
14. 리츨과 현대 신학
1) 리츨 (Albrecht Ritschl,1822-1889)
(1) 생애
a. 1822년 루터교 감독의 아들로 베를린에서 출생.
b. 본,할레 대학 등지에서 연구, 어드만의 감화를 받음.
c. 본 대학의 강사, 교수로 신약학을 강의.
(2) 저서
a. <칭의와 화해 > 3권
b. <경건주의 역사 > <1880-1886)
(3) 신학
a. 특색...신학과 철학을 분리시켰다. 형이상학과 자연 종교로부터 독립시키
고 그리스도에 의하여 주어진 계시를 기초로 신학을 건설하였다.
b. 가치판단설...가치 판단은 주관의 가치에 의하여 그 인상을 평가하는 것
이다. 종교적 지식은 순연한 가치 판단의 범위 안에 있다.
c. 기독론
ᄀ.삼위일체 하나님,신인 양성,선재 등의 교리는 형이상학적인 관념들이며
우리들의 경험이 도달하지 못한 영역에 속한다.
ᄂ.<그리스도는 우리에게 어떤 분이 되시며 어떤 가치가 있는가>에서 출발
점을 구하여야 한다.
ᄃ.그리스도의 사업은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고난
을 당하셨다.
ᄅ.그리스도는 왕국을 건설하며 사람은 그 일원이 된다. 이 사회에 존재하는
그리스도의 감화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아들관계에 들어감으로부터 죄사함
을 받으며 여기서 하나님의 나라가 우리 구원의 중대한 요소가 된다.
ᄆ.교회 안에 그리스도의 정신이 살아 계시는데 그것이 그리스도의 역사이다
그리스도에게 나타난 것만으로 하나님을 생각할 수 있고 그리스도는 우리
에게 신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2) 키에르케고우르 (Kierkegoard)
(1) 생애
a. 1813년 코펜하겐 (Copinhagen) 출생.엄격한 부친 아래서 우울,변태성,내
성적 성격을 상속받았다.
b. 신학을 하엿으나 목사가 되지 않았고 약혼자와의 파혼이 큰 상처를 주었다.
(2) 사상
a. 헤겔 철학을 연구하였으나 기독교 진리에 비할 바 못하다고 반박.
b. 신과 인간의 부조화를 말하고 실존적 인간의 모습을 강조.
c. 그의 세가지 인간적 실존론
ᄀ. 미적 실존. ᄂ.윤리적 실존. ᄃ.종교적 실존.
3) 카알 바르트 (Karl Barth)
(1) 생애
a. 1886년 바젤에서 출생.베른 (Bern), 베를린, 튀빙겐, 마르부르크 (Marburg
대학에서 수학.
b. 1911년 목사가 되어 농민과 노동자의 교회를 섬겼다.
c. 본 (Bonn)뮌스터 (Munster), 바젤 대학에서 교수 생활.
d. 나치 정부에 반대 투쟁하다가 교수직 박탈당함.
(2) 신학
a. 신관
ᄀ.하나님은 만물을 지으시고 다스리시는 초월하신,거룩하신 분이다.
ᄂ.죄인된 인간을 긍휼히 여기시고 찾아오시는 사랑의 하나님이시다.
ᄃ.인간을 하나님의 거룩하신 영광의 자리로 올리려 하신다.
ᄅ.하나님은 도성인신 하신 그리스도에게서 계시되었다.
b. 성경관
ᄀ.성경에서는 하나님의 행위가 중요하며 인간의 행위는 하나님의 행위에 대
한 응답적 행위에 불과하다.
ᄂ.하나님의 주체성이 성경에 나타나 있다. 이것을 계시라고도 하고 하나님
의 말씀이라고도 한다.
ᄃ.계시와 말씀을 동일시하지 않았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이 성경
은 사람의 손을 빌어서 썼다는 점에서 계시와 말씀이 전적으로 일치할 수
없다.
c. 교회관
ᄀ.교회는 의롭다함을 입은 죄인들의 집단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자기 약한
것을 서슴없이 인정할 수 있을 만큼 강한 교회라야 한다.
ᄂ.교회의 권위와 자유는 말씀 아래 있다.
d. 속죄관
ᄀ. 인간의 도덕적 열의나 모험 정신으로 죄를 극복할 수 없다.
ᄂ. 하나님의 사죄 선포로 가능하다.
15. 신학의 발전.
1) 문헌 발견
(1) 1859년 시내산 수도원에서 시내산 원본의 발전.
(2) 1902년 함무라비 법전비 발견.
2) 성경 고등 비평
(1) 구약
a. 18세기 부터 창세기는 2개의 문서로 되었다고 주장. 19세기 초엽에는 모세
5경을 분석 비평.
b. 데 벳테 (De Wette 1780-1849). 블레에크(Friedrich Bleek, 1793-1859),
에발트 (Heinrich Ewald, 1803-1875)등이 비평 연구.
(2) 신약
a. 시트라우스 (Straus), 바우어(Bauer )등이 비평
b. 바울 서신에 대한 비평.
3) 성경 개역
(1) 1611년 흠정역 (King Jame's Version)
(2) 1885년 개정역 (Revised Version)
(3) 1952년 미국 개정표준역(Revised Standard Version)
(4) 1961년 신영역 성경 (New English Bible)
4) 성경 신학
성경의 종교 사상을 역사적 발전의 순서에 따라 연구 서술하였다.
5) 종교사,종교 심리학의 발달.
16. 기독교의 사회 사업.
1) 노예 폐지 운동.
(1) 영국왕 윌리엄 1세가 법률로 금함.
(2) 미국에서 궤이커파가 반대 운동.
(3)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참여.
(40 1863년 링컨이 해방 선언.
2) 주일 학교 운동
1781년에 영국의 로버트 레이크스(Robert Raikes 1735-1811)가 가난한 어린이
를 모아 일반 교육을 시키고 후에는 종교 교육만 시킴.
3) 금주 운동.
(1) 1829년 라이먼 비이쳐 (Lyman Beecher) 목사의 6회의 금조 설교로 영향.
(2) 1873년 미국 [여성 기독교 금주 동맹]을 결성
(3) 미국 캔자스 (Kansas)등 8개 주에서 주류 판매를 금지.
(4) 영국에서는 주일에 술집 문을 닫음.
4) 기독교 사회주의
(1) 영국의 신학자 모오리스와 킹즐러,러들로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이들은
기독교 사회 문제를 연구하였다.
(2) 이들의 주장
a. 사회주의는 기독교로 부터 발생한 것이니 기도교화하여야 한다.
b. 희생 정신과 협력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3) 기독교 사회주의 단체
a. 성 마태 조합 (Guild of Saint Matthews)...고교회파,1877.
b. 옥스퍼드 사회 동맹...온건파,1880
c. 사회주의 동맹 (Social Union)...비국교파,1905
d. 독일에서의 운동.
5) Y.M.C.A.
(1) 1844년 조오지 윌리엄즈 (George Williams)가 자기 상점에서 12명의 동지
와 함께 시작.
(2) 1851년 미국 기독교 청년회 설립.
(3) 1855년 파리에서 만국 동맹 결성.
(4) 1866년 뉴우요오크가 보스턴에 YMCA설립.
6) 구세군
(1) 1865년에 윌리엄 부우드(William Booth) 가 기독교 전도회 조직,1880년에
구세군으로 개편.
(2) 군대 조직으로 전도와 구제 사업에 종사.
17. 세계 선교 운동
1) 영국의 선교 운동
(1) 위슬리의 세계 전도 착안
(2) 윌리엄 캐어리 (William Carey, 1761-1834).의 인도 선교.
(3) 1795년 런던 전도회 설립.
(4) 1799년 대영 전도회 설립.
2) 미국의 선교 운동
(1) 1808년 윌리엄 대학생들의 선교 헌신 결의.
(2) 1812년 미국 선교 위원회 설립.
(3) 여러 선교 단체가 설립됨.
3) 각국 선교 상황
(1) 아프리카
a. 1736년 모라비아파 조오지 스미드 (George Smith)가 선교.
b. 1801년 런던 선교회가 선교 시작하여 리빙스턴 (David Livingstone, 1813-1873), 모파트
(Robert Moffatt, 1795-1883),그라프 (Joh ann Ludwig Krap, 1810-1881)
등을 파송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2) 남양군도
a. 1842년 미국 전도회에서 선교사업에 착수하였다.
b. 패터슨(John C. Patteson,1827-1871) 이 1855년에 멜라네시아 (Melanesia)
(3) 인도
a. 덴마아크 할레 선교회에서 선교.
b. 영국에서 윌리엄 캐어리 (Carey )를 파송하여 선교 사업에 착수.
(4) 중국
a. 모오리슨(Robert Morrison 1782-1834) 이 런던 선교회 파송으로 선교 활동
b. 허드슨 테일러 (Hudson Taylor) 가 독립 선교를 시작하여 1865년에 중국내
지 선교회 (China Inland Mission)를 조직.
(5) 일본
a. 1549년 예수회 소속 프란티스코 하브예르가 선교 사업 시작.
b. 7명의 선교사가 중국에서 건너옴.
c. 1872년 개신 교회 설립.
d. 1879 (신약) 1886 (구약) 번역.
18. 각종 신흥 종파들
1) 멘노파 교회 (Die Mennoniten;Mennonite Church)
(1) 원인
1512년 쯔빙글리가 교회와 국가의 연합을 제의하였을 때 이를 반대하는
개혁파들이 스위스 쮜리히에서 교회를 설립.
(2) 신조
1632년 화란 도르트레히트 화의 18기조를 기초한 것.
a. 하나님은 창조주.
b. 인류는 타락하였으나 그리스도가 오시므로 회복.
c. 복음서에 기록된 법 순종.
d.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로 십자가에서 인류 구속.
e. 구언을 얻으려면 회개.자복.
f. 세례는 신앙의 공적 표시.
g. 성찬은 서로의 단합,우정 맺음을 표시
h. 결혼 생활은 영적으로 같은 사람끼리.
i. 무기 사용 외에 정부 방침에 순종.
j. 고의적으로 죄를 범한 자는 출교.
2) 그리스도 교회 (Disciples of Christ)
(1) 원인
a. 1801년 장로교 부흥사 P.W.스톤에 의하여 창설.
b. 부흥회 2만명이 큰 은혜를 받음. 집회 절차가 교회 규례에 어긋낫다고 계
속 말썽을 일으키므로 장로교에서 탈퇴.
(2) 영향
a. 메더디스트 교회가 감독권 반대하여 탈퇴(제임스 오리게 중심)
b. 침례교 신조 반대하여 분파 (아부나 존수 중심)
c. 종파 분렬이 심하므로 크리스찬 협회 조직 (1809년 토머스 캠플 중심으로)
(3) 신조...성령을 기초로 초대 교회 회복.
(4) 주장
a. 정치는 회중 정치 b. 교회나 교인의 이름은 성경 이름대로.
c. 세례는 침례 d. 성찬은 주일마다 실시.
(5) 업적: 전도회,선교회,교회당 건축 회사 등 다방면으로 활동.
3) 나사렛 교회 (Church of thel Nazarene)
(1) 발생
미국 남북 전쟁 후 각 주에서 일어난 전국적인 성격 운동의 결과이다. 위
슬리의 거룩과 성화에 교리와 신학의 기초를 둔 성결교파 중에 가장 큰 교파.
(2) 교리
a. 성화 강조 (성화후 중생함) b. 교역자와 직원의 성화의 체험 주장.
c. 성경의 완전 영감설 주장.
d. 성경 속의 진리 포함 (속죄,의인,중생 통해 양자 부활과 심판)
e. 세례는 물을 뿌리는 것이나 침례를 동일시 하였다.
4) 무교회 주의 (Non Churchism)
(1) 일본의 우찌무라 간조오 (1861-1930)가 제창한 것으로서 기성 교회에 대한
것으로서 기성 교회에 대한 불만과 독립과 자유가 그들의 중요 신조였다.
(2) 현대 교회가 비성경적이며 지나치게 비성경적이어서 성경 중심, 하나님 중
심,신앙 중심이 아니다. 그러므로 개혁 하여야 한다고 주장.
(3) <에클레에시아>로서의 단체는 인정하나 교역자나 선정과 기타 교회 형식과
예전을 부인.
(4) 정신과 조직을 근본적으로 요구.
(5) 한국에서는 김 교신을 비롯하여 함석헌,노평구,유달영 등이 있으며 성경
연구와 간행물을 발간한다.
5) 오순절 교회 (Pentecostal Church)
(1) 원인 : 미국 교회 안에서 초대 교회 오순절 성령의 역사를 동경하는 신자
들이 조직.
(2) 조직 발전
a. 1898년 남 캐롤라이나주 앤더슨 (Anderson)에 모여 불세례 성결 교회를
조직
b. 일부는 오순절 성결 교회 조직.
c. 1911년 두 단체가 합동하여 오순절 교회를 조직.
(3) 교리
a. 감리교와 침례교 혼합 교리 채용. b.성경 무오설.
c. 예배는 정적 분위기 중심. d.침례는 전신 침례.
e. 성찬은 서로 발을 씻김. f.성령으로의 신유 은사 믿음.
(4) 정치...감독 정치
6) 하나님의 성회 (Assemblies of God General Council)
(1) 원인 : 1914 년 미국에서 오순절 교회 목사들과 복음주의파 목사보다 열렬
한 복음 전도 사업을 위하여 합동하였는데 각기들이 본 교회에서
승인하지 아니하므로 하나의 교파가 되었다.
(2) 신학과 정치
열렬한 근본주의자들이며 아르미니우스주의를 그들의 신학으로 하며 교회
정치는 장로 정치와 회중 정치를 겸한 것을 채택.
(3) 신조
a. 성경의 무오성과 영감성 확신 b.인간의 타락과 그리스도의 속량.
c. 성령,세례와 방언,신유 은사 d.거룩한 생활.
e. 예수 재림 강조
(4) 한국에는 1947년에 들어왔으며 일명 순복음 교회로 알려지고 있다.
7) 하나님의 교회 (Church of God)
(1) 설립...1830년 미국인 톰린슨 (A.S.Tomlinson)에 의해 설립.
(2) 분파...톰린슨이 죽은 후 2백여 분파로 분립되었고 교회수 2,000개.
(3) 조직: 목사 A.안수 목사.
B.임명 목사> a. 설교 목사 b.전도 목사. c.권면 목사.
(4) 주장 ; 의인,성결,성령의 세례,방언,중생,예수 재림 맞을준비.
(5) 예전 : 성찬은 발씻기기,세례는 침례.
19. 대표적 이단 종파들
1) 모르몬교 (Mormons)
(1) 명칭
미국의 유타주 소올티 레이크 시 (Salt Lake City)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이
종파는 <말일 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라고 자칭하며 한국에서도 열성적으로
전도하고 있다.
(2) 창시자
조세프 스미드 (Joseph Smith) 가 18세 때 하늘의 계시에 의하여 옛 예언
자 모르몬이 모라산에 감추어둔 황금판 계시책을 찾아 번역한 것이 모르몬경이
다. 1828년에 말일 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를 조직하였다.
(3) 신조
a. 하나님과 예수를 믿음.
b. 죄를 회개하며 성령의 세례를 받기 위하여 사죄의 세례를 받아야 한다. <
례를 침례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죄의 세례를 다시 받을수 있다.유아 세
례는 없다).
c. 성령은 신격이 없는 힘이다.
d. 사람의 영은 나기 전부터 있어서 많은 영혼이 지상에 오기를 기다림.
e. 예수 재림을 믿으며 예수가 재림하면 자기들이 천년 동안 왕 노릇한다.
(4) 특 색 : 모르몬경에는 없으나 일부 다처 제도를 허용한 일이 있었다.
2) 안식교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The Seventh Day Adventists)
(1) 창시자...윌리엄 밀러 (William Miller)
(2) 원인... 침례교 열성 분자들이 성경 연구하며 자기 주장대로 해석하여 선
지서 연구결과 재림일자를 발표( 그러나 맞지 않았다).
(3) 주장
a. 1884년 재림 심판 후 은혜문이 닫혔으므로 화이트를 통해서 구원얻을 수
있다.
b. 안식일 엄수 주장 (주일은 사람이 제정한 것이므로 주일을 지키면 짐승의
표를 받아 멸망한다고 주장).
c. 사신의 특권...14만 4천명,만원 되었다고 주장
d. 예수의 유죄성 주장
e. 죽은 후에 영혼은 침묵하며 무의식 상태이다.
3) 여호와 증인 (Jehovah's Witnesses)
(1) 원인
차알즈 러셀(Charles Taze Rusell)은 미국 피츠버어그 (Pittsburg)조합교회의
교인으로서 안식교 지도자인 J.H. 페이튼의 저서를 읽고 감화를 받아 시작.
(2) 시기
처음에는 <천년 왕국 여명> <여명> <만국 성소 협회>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으
나 1931년 이 종파 세계 대회에서 <여호와 증인>으로 개칭 (사13:10 근거).
(3) 교리
a. 그리스도의 신성 부인...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첫 피조물이다. 피조물 중
최고의 피조물이며, 출생하기 전에는 미가엘이었고 육신을 이루는 순간 처
사적 영체를 떠나서 우리와 같은 인간이 되었다 - 삼위일체 부인.
b. 예수의 부활은 육체의 부활이 아니고 육체는 여호와께서 어디로 옮개신 것
이고 새로운 영체를 입은 것이며 승천 후에는 여호와의 최고 집행관이 되
었다. (육체 부활 부인).
c. <죄의 값은 사망> 이라는 구절을 특별히 강조한다. 인류는 죄인이기 때문
에 죽은 순간에 멸망하고 영혼이 남지 않는다는 것이며 재림시에는 육체로
부활하여 두 번째 기회를 얻기 되며 그때에도 예수의 구원을 거부하면 멸
망이 아니라 자취도 없이 없애버린다고 강조.
d. 창조후 7,000년에는 그리스도의 왕국이 시작된다. 최초 계산으로는 1872년
이 그 왕국의 시작이고 1914년이 세상 끝날이라 하였으나 여러번 변경하
였다가 지금은 1984년이라고 했다 - 지상 천국 시대.
e. 모든 기성 교회는 마귀의 것이라고 선언.
f. 병역 의무 거부.
4) 크리스찬 사이언스 (Christian Science)
(1) 성격
이 종파는 미국에서 많은 기관과 외국 선교사들을 포용하고 있으나 현대
기독교 이단으로서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2) 창설
1862년 P.Quimby 의 최면술에 의하여 소녀 때부터 앓아온 신경통 고질을
나은 과부 에디 (Mary Baker Eddy)에 의하여 창설되었다.
(3) 그녀는 병 고치는 능력이 있었고 <과학과 건강>이라는 저서에 의한 막대한
수입과 재혼한 실럽가의 뒷받침으로 대학 신문사등을 경영하였다.
(4) 그들의 철학은 일원론적이고 범신론적이며 이상론적이다.
(5) 종교관
a. 하나님은 모든 것 안에 있는 모든 것이다.(원리이지만 인격자가 아니다)
b. 하나님은 선하고,선한 것은 마음이다.
c. 정신은 전부이며 물질은 없다.
d. 하나님은 전능하고,인간을 창조하지 않았다.
e. 우주는 창조자가 없고 동시에 존재하였다.
f. 기독교의 근본 교리를 부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