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하는 교실
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예, 물론) 찧었수, (그러나 그 때마다 빨리) 나와 쌓으매...”이다.
쩔쩔매는 남자의 얼굴이 보이는 듯하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찟수, 나오싸매...’ 라고 했다.
이 말을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治修收 納おさめ
치수수 납오사매 (‘납’자의 종성을 없애면)
치수수 나오사매 (한자에는 ‘찌’자가 없으므로 ‘치’자 로 대용함.
또한 ‘修’자는 ‘治’자의 종성으로 사용된 자임.
이 이두말을 백제 말로 고치면)
찟수, 나오싸매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찧었수, 나와 쌓으매.. (의 뜻이 된다.)
2. 역사를 보는 눈
*** 치수수→찟수; ‘찧었수, 찧었소’의 더 심한 일본지방 사투리.
(이두 표현)
*** 나오사매→나오싸매; ‘나와 쌓으매’의 일본지방 사투리.
** ~쌓다;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반복하거나 그 행동의 정도가
심함을 나타냄. (울어 쌓다.)
** 平仮名에는 ‘싸’자가 없으므로 ‘さ(사)’자로 대용하고 있다.
3. 초대 천황, 명치(1867년; 고종 15년)이후 일본정부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을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 말(조선 말)과 일본 말? 과의 경계선이다.
おさめる[治める]; (소란, 감정 등을) 진정시키다. (治; 다스릴 치)
[修める]; ①(심신,행실을)닦다. ②(학문,기예등을)익히다.
(修; 닦을 수)
[收める. 納める]; ①넣다. 담다.②받다. 받아들이다.
③납부하다. 바치다.
④끝내다, 마치다.
(收; 거둘 수, 納; 들일 납.)
4. 새 역사가 잉태되다.
** 위 단어는 이두인 ‘治, 修. 收納’자를 정책적으로 뜻으로 해석하여
백제 말 “(나)오사매”가 “닦다, 납부하다” 등의 뜻이 되었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본어? 의 단어를 만든 결과
‘治, 修. 收納’자를 ‘おさ’라고 읽는 웃지 못 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지금까지 “명치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다행히 백제 말을 한자로 기록해 놓은 ‘治, 修. 收納’자가 없었다면
‘おさめ(る)’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 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한 편, ‘治, 修. 收納’’자 옆에 있는 ‘める’는 “おさめる”와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일본정부와 어용학자들이 만들어 넣은 字이다.
*** 모든 일본 말?이라는 것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5. ‘おさめ’가 사용된 다른 예
(1) 연구하는 교실
모델이 된 말은 ‘(쉬고도 싸버리시어) 나와 쌓으매...’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시고도 싸비사) 나오싸매...’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しごと (仕爲事) 納おさめ
시고도 (사비사) 나오사매 (이 말을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쉬고도 (싸버리시어) 나와 쌓으매... (의 뜻이 된다)
(2) 명치이후 일본정부의 어용학자들은 위의 말을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단어들을 만들어 내었다
しごと おさめ [仕事. 納め]; 종무, 종무식.
(임진왜란과 한말에 일본이 침략해온 것은 덕망있고 학식있는
어른이 깡패들에게 얻어터진 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