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기업 부장인 이용진(45·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씨는 최근 사내 체육대회에서 축구를 하다 갑자기 장딴지가 칼로 찢기는 듯이 아파 왔다. 걷기도 힘들 만큼 통증이 심해 찾아간 병원에서는 ‘근육파열’로 진단했다.
갑자기 무리하다 근육이 끊어져 손상되는 근육파열 환자가 많아지고 있다.
-------------------------------------------------------------------------------------------------------------
이화여대 의대 이대목동병원 재활의학과 배하석 교수는 “근육파열은 운동선수 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흔하다”며 “새로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이 많아서 환자가 많다”고 말했다.》
○ 운동 전 몸 충분히 풀어야
근육에 무리한 힘이 갑자기 가해져 근육 또는 근육과 뼈를 이어주는 ‘힘줄’이 끊어지는 것으로 단순한 ‘근육통’과는 다르다.
환자들은 근육이 끊어지는 순간 ‘앗’ 소리가 저절로 나올 정도로 아픈 통증을 경험한다. 일부 환자는 “전기가 ‘찌릿’ 통한 것 같다” 또는 “고무줄이 뚝 끊어지는 듯했다”고 호소한다.
인제대 의대 서울백병원 스포츠메디컬센터 김진구 소장은 “근육에 갑자기 힘이 주어지면서 성격이 서로 다른 조직이 만나는 ‘근건이행부’(근육이 힘줄로 이어지는 부위) 또는 ‘골부착부’(힘줄이 인대로 연결되는 부위)가 끊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림 참조).
근육파열을 줄이려면 운동 전 ‘워밍업’이 가장 중요하다.
스트레칭 등으로 땀이 살짝 날 정도로 준비운동을 하면 체온이 올라가면서 근육과 힘줄 등의 탄력이 좋아진다.
이화여대 배 교수는 “처음부터 한쪽 다리를 쫙 펴고 무릎을 꾹꾹 눌러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오히려 근육에 무리가 간다”며 “가볍게 스트레칭하다 다리가 땅길 때는 10초 동안 멈췄다가 다시 시도하라”고 말했다.
○ 방향전환 때 가장 위험
근육이 파열되는 곳은 대부분 다리이지만 어떤 운동을 하느냐에 따라 다치는 부위도 조금씩 다르다.
전문가들은 운동할 때 갑작스럽게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고 입을 모은다.
무릎 아래쪽 장딴지 근육(비복근)의 별명은 ‘테니스 레그’.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테니스를 하면서 날아오는 공을 치기 위해 급격히 방향을 전환하다가 근육이 파열되는 일이 잦아 붙여진 이름이다.
또 급작스러운 출발과 정지 또는 뛰어오르는 동작으로도 잘 다친다.
축구를 할 때는 무릎 위 앞쪽 근육(대퇴사두근)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인제대 의대 김 소장은 “골을 넣으려고 공을 찰 때는 자기 체중의 2, 3배를 들어 올리는 정도로 힘을 주게 된다”며 “이때 근육에 무리가 생겨 아무것에도 부딪히지 않았는데 자주 근육이 끊어진다”고 말했다.
무릎 위 뒤쪽 근육(햄스트링)도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과도한 스트레칭을 할 때 다치기 쉬운 부위.
야구선수 박찬호는 1루 쪽으로 달리다가 갑자기 3루 쪽으로 몸을 틀면서 햄스트링이 파열된 적이 있다.
○ 초기대응 잘해야 부상 줄어
응급처치를 잘못하면 회복이 느린 만큼 ‘프라이스(PRICE)’ 원칙에 따라 초기 대응을 잘 해야 한다.
프라이스란 ‘Protection(보호)·Rest(휴식)·Ice(얼음)·Compression(압박)·Elevation(올리기)’의 약자로
△다리를 부목 등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고
△얼음찜질을 해 상처의 염증반응을 줄이며
△피가 상처 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높게 올리라는 등의 대처 요령이다.
특히 상처에 뜨거운 찜질을 하면 상처를 악화시키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응급처치를 한 지 2시간 정도가 지나도 좋아지지 않을 경우 병원에 가서 X선, 초음파 등으로 근육의 파열 정도를 점검하는 게 좋다.
인제대 의대 김 소장은 “근육파열의 95%는 근육의 일부가 파열된 경우로 다친 근육이 더 손상되지 않도록 목발 등을 이용해 3주 정도 안정을 취하면 낫는다”며 “근육이 완전히 끊어진 경우엔 수술로 끊어진 부위를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에껀 종아리 근육파열에 대해서 가장 자세히 나온 자료인것 같네요.
제 경험으론
종아리 근육파열은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 정상체중에도 자주 생김)
날씨가 추울수록
준비운동을 안할수록 ( 다친분들의 공통점입니다.거의 대부분이 첫게임에 다칩니다)
과격하게 뛸수록 많이 생기는거 같습니다. (나름 배드민턴 치다 종아리 파열일어난 10여명을 상대로 조사한것임^^)
일단 종아리 부위를 다쳤다면 특히 공이나 돌에 맞은듯 따끔하다면 (제 경우엔 칼로 베이는 느낌이었습니다.)
일단 손을 안대는것이 좋습니다. 혹 쥐가 났다고 다리를 쭉쭉 땡기는것은 더 않좋을수 있습니다.
손대지 말고 걷는것도 종아리가 땡기지 않게 조심해서 걷고 바로 병원으로 가장 좋습니다.
파열이 일어나도 다 같은건 아니고
깁스 안하고 1,2주 쉬는 정도로 회복되는 경우도 있고
보통 3주 깁스하고 서서히 회복되거나
심하면 저 처럼 6주 깁스하고 석달씩 공 못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번 파열이 일어난 자리는 2,3달안에 다 회복이 되지만 딱딱한 근육이라 좀 부자연스럽고
원래의 부드러운 섬유질 근육으로 완전히 돌아오는데는 빨라야 3년이라고 합니다.
날씨가 춥거나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더더욱 많은 준비 운동만이 예방이라고 생각합니다.
|
첫댓글 오늘 하산 도중 받은 종아리의 갑작스런 통증(벌에 쏘인듯한)을 당한것관 관련 여러 증상들을 추적해 본 결과 종아리 근육 일부 파열인것 같더군요...... 등산전 준비운동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무척 중요한 것 같아 올립니다.. 다시는 저와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미리 마음의 준비자세와 실천(준비운동)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운전할 수 있을 정도로 심하지 않아야 할 텐데 걱정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