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지사가 마산 준혁신도시 포기에 대한 대안으로 마산발전 5대 방안을 발표하고 경남도와 마산시가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세부 로드맵 마련에 착수함으로써 그 내용과 성사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본지는 ‘마산발전 5대 방안’의 내용과 과제·전망 등을 5차례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주)
(1)회성동 복합행정타운 조성
김 지사의 마산발전 첫 프로젝트는 마산시 회성동 일대를 마산교도소 이전과 연계하여 단계별로 자족형 복합행정타운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회성동 일대는 경남도가 주택공사 등 주택기능군 3개 공공기관을 유치해 준혁신도시를 건설키로 했던 곳으로 마산교도소 부지를 중심으로 149만㎡에 이른다.
▲내용=사업은 크게 3가지로 마산교도소 조기 이전과 도시형 첨단산업단지 조성. 그리고 복합행정타운 조성이다.
경남도와 마산시가 밝힌 내용은 1단계로 19년간 마산시민의 숙원사업인 마산교도소를 내서읍 평성리로 이전하고. 창원지법 마산지원과 창원지검 마산지청의 신설계획에 따른 보호관찰소 등 법조타운 조성과 시단위 공공기관 등을 포함한 행정타운 조성한다는 것이다.
2단계로는 2012년 경전철 복선화 사업으로 철도노선 이전과 연계하여 친환경 주거 및 상업 지원 단지를 조성. 산업과 지역경제의 재생을 가능케 하여 마산의 미래가치를 향상시킨다. 3단계로는 2013년 마산교도소 이전과 연계하여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 및 로봇산업과 조선기자재산업 등 자연산업 유치를 위해 396만6000㎡ 규모의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구상이다.
▲효과= 도와 시는 회성동 일원에 도시형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될 경우 직접 파급효과가 1조원. 고용창출효과가 1만1000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울러 진북산업단지와 마산밸리를 연결하는 첨단산업의 허브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산지원과 지청 신설을 이끌어 낸 이주영 의원(마산 갑)은 2일 “법원과 검찰. 교정시설 등 법조타운이 조성될 경우 마산 시민을 비롯 함안·의령 군민들에 대한 사법 서비스가 크게 향상된다”고 말했다.
안홍준 의원(마산 을)은 “준혁신도시 사업대상지역이었던 회성동 일대의 도시형 첨단산업단지 및 복합행정타운 개발은 상대적으로 높은 부가가치의 창출로 사업적 성과가 매머드급이다”고 밝혔다.
▲과제·전망= 회성동 일원을 자족형 복합행정타운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그린벨트 해제가 전제돼야 한다. 지난 2005년 9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마산 창원 진해 광역도시계획 결정으로 이 일대 그린벨트 해제가 가능하도록 근거를 만들어 놓았다.
경남도 관계자는 “도시계획위가 교도소 이전 부지와 공업지역 부지는 ‘지역현안사업’에 따른 그린벨트 조정 대상지역. 회성동 일원은 일반조정 가능 그린벨트로 분류해 당초 목적대로 공공개발이 이뤄지면 자동적으로 그린벨트는 해제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앙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한다하더라도 법무부. 건교부 등과의 협의과정과 주택공사와 실시협약 체결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고 용지보상과정에서도 주민들과의 마찰이 생길 경우 착공 및 시설물 이전이 늦어질 수도 있다.
또 도시형 첨단단지에 민간사업자를 끌어들이는 것도 이 사업의 승패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현재 마산·창원 등과 연고가 있는 국내 대기업을 대상으로 입주와 투자의향을 광범히 하게 타진하고 있다.
복합행정타운 조성과 관련 법조타운 외에 마산보훈지청과 마산세무서. 기타 기관 등을 추가로 유치한다는 복안이지만 마산시는 시단위가 아닌 도단위 기관의 유치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점도 풀어야 할 과제이다. 김진호기자 kimjh@knnews.co.kr
[사진설명] 도시형 첨단산업단지 및 복합행정타운 조성을 추진 중인 마산시 회원동 마산교도소 일대 전경. /김승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