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초하루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새해의 첫 음식으로 순수와 장수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조선조 서울 풍속을 적은 "열양세시기"에는 "좋은 쌀을 빻아 체로 쳐서
시루에 쪄서 안반 위에 놓고 떡메로 친다" "장국을 펄펄 끓이다가
떡을 돈 모양으로 잘라서 국에 넣는다" "끈적하지도 않고 부서지지도 않게
알맞게 끓이며 돼지고기, 쇠고기, 꿩고기 등을 섞어 끓이기도 한다"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구대로 한 그릇씩 먹었다고 하기도 하구요.
전통음식연구소의 윤숙자 소장은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흰색의 음식으로 새해를 시작함으로써
천지만물의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는 뜻이 담겨 있다.
또 떡국을 ‘첨세병’이라고 해서 한 살을 더 먹는 상징으로 여겼다”고 말한다.
떡가래의 모양에도 각별한 의미가 있다.
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려 뽑는 이유는 ‘재산이 쭉쭉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고,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이유는 둥근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아서 새해에 재화가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그래서 "집안은 물론 세배 손님에게까지 떡국을 대접해 재물이 풍성하기를 기원해 줬다" 고 한다.
그 많은 떡 중에서도 특별히 화려하지 않고 정갈한 모양의 가래떡을 먹는 것은
소박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한해를 맞았던 선인들의 지혜도 읽게 한다.
우리 조상들은 쌀에 곡령이 깃들었다고 믿었는데,
흰쌀로 빚은 가래떡은 순수하고 깨끗해서 부정이 들지 않는다고 믿었다.
그래서 가래떡을 길고 가늘게 만들어 식구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고
새로운 한해의 풍요를 빌기도 했다.
독특하게도 개성지방에서는 조랭이 떡국을 먹었는데,
예전에 어린아이들의 옷끈에 나쁜 액을 쫓기 위해 달아주었던 나무조롱을 닮아
새해 첫날에 일년의 나쁜 액을 모두 막아주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궁중의 기록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밤참으로 즐겼다고 합니다.
도가니로 국물을 내어 떡을 넣고 끓이고 등심으로 산적을 하고 채 고명으로 꾸미었다고도 하구요.
지금과 끓이는 방법은 별 차이가 없죠.
때를 보면 설이 아닌 평소에도 단체 급식용으로 떡국을 이용했음을 알 수 있고 한여름에도 즐겼다 합니다.
한편 북쪽지방에서는 떡국 대신 만두가 있다.
밀가루를 반죽해 만두피를 만들고 육류와 두부, 김치 등의 다양한 재료를 넣고
소(속)를 만들어 만두피에 올려 빚은 음식으로
"복(福)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가 있어 설에 많이 만들어 먹는다.
떡국의 국물은 예전에 꿩고기를 우려내어 만들었다.
<동국세시기>에는 흰떡과 쇠고기, 꿩고기가 쓰였으나
꿩을 구하기 힘들면 대신 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나온 말이 '꿩 대신 닭' 이라고 한다.
첫댓글 나는 고마 한 살 더 보탤라꼬 묵는 줄 알았꺼등참말로 아는 것은 힘이라 그쟈디기 마이 바빠서 피곤할낀데 지기님 숙면으로 잘자고 낼아침에 보자굿나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