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망노예 ‘지하철도’와 노래들;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다정한 마차는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흑인 영가(spiritual)에서는 미국 노예제 헌정사를 볼 수 있다. 흑인 영가에는 노예들의 애환만이 아니라 자유에의 여정도 담겨 있다.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Follow the Drinking Gourd>, <다정한 마차,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Swing Low, Sweet Chariot>는 노예들의 탈출과 그들을 돕는 ‘지하철도(Underground Railroad)’ 운동을 배경으로 한다.
미국 남부의 흑인 노예들은 자유를 찾아 북부로 탈출하였고, 남부는 ‘도망노예법’을 제정하여 그들을 체포하고자 하였다. 북부 노예폐지론자들은 탈출한 노예들을 보호하며 캐나다까지 인도하는 ‘지하철도’ 운동을 전개하였다.
역사적 배경
멕시코와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미국은 방대한 영토를 얻고 노예제를 확산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노예제를 둘러싸고 남과 북의 대립은 심화되었고 결국 남북 전쟁에 이르게 된다.
멕시코 전쟁에서 획득한 영토를 자유 주(Free States)로 할 것인지 노예 주(Slave States)로 할 것인지 논란이 되었다.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캘리포니아는 자유 주로 하고 다른 지역들은 주민들의 자결권에 맡기기로 하였다. 사실상 노예제 확산을 승인한 것이다. 이를 ‘1850년 타협(Compromise of 1850)’이라고 부른다.
1850년 타협에는 또 하나의 중요한 부분이 있었다. 도망노예법(Fugitive Slave Act)을 강화한 것이다. 도망노예법이란 남부에서 북부로 탈출한 노예들을 남부 주인이 잡아 올 수 있게 한 법이었다. 원래 미국 제정 헌법에 근거 규정이 있었으며, 1793년 최초의 도망노예법이 만들어졌다.
다만, 1793년의 도망노예법은 노예 체포를 남부 주인의 권리로 인정하되 연방정부와 북부 주 정부들의 협조의무를 명기하지 않았다. 나아가 북부 주들은 ‘인신 자유법들(personal liberty laws)’을 제정하여 도망노예법을 무력화시켰다.
또한 북부 사람들은 남부에서 탈출해 온 노예들을 도왔다. 여러 거점들에서 노예들을 보호하며 노예제가 폐지된 캐나다까지 도피시켜 주었다. 이를 소위 ‘지하 철도(Unerground Railroad)’라고 부른다. <월든(Walden)>의 작가 쏘로(Thoreau), <작은 아씨들(Little Women)>의 작가 앨콧(Alcott)의 집도 지하 철도의 거점이었다.
남부인들은 그에 불만이었고 마침내 ‘1850년 타협’으로 새롭게 강화된 도망노예법이 제정되었다. 새로운 도망노예법은 미국의 모든 카운티에 1명 이상의 판무관(commissioner)을 두도록 하였다. 판무관은 도망노예 체포를 위해 부관 혹은 자경단을 임명할 수 있도록 했다. 연방보안관에게 피의자 체포 명령을 발할 수도 있었다. 연방보안관은 연방 군대 주 민병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었다(조지형, “도망노예법과 미국 연방사법체제의 위기”, 서양사론(한국서양사학회), 제93호(2007), 97쪽). 이제 도망노예의 체포는 남부 주인의 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북부의 책무가 된 셈이었다.
이는 북부인들의 양심을 찔렀다. 모든 북부인들은 노예제에 동조할 것인가 저항할 것인가 결단을 해야 했다. 스토우(Harriet Beecher Stowe) 여사는 도망노예법에 분개하여 <톰 아저씨의 오두막 Uncle Tom's Cabin>이라는 소설을 발표하였다. 이 소설은 엄청난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노예폐지론(Abolitionism)은 내면화되고 확산되었다.
2. 노래 설명
(1)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Follow the Drinking Gourd>
작자 미상인 흑인 영가(black spiritual)이다. 탈출한 노예들을 자유의 땅으로 인도하는 경로가 담겨있다. 북두칠성을 바라보고 북으로 가고, 강을 따라 가고, 나무에 새겨진 표시를 보고 가라고 안내하고 있다.
아래 멜라니 클래린(Melanie Clarin)의 노래 영상과 가사를 올린다. 영상 애니메이션에서 노래 가사의 peg foot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가사는 여러 버전이 있으나 널리 불리는 리 헤이즈(Lee Hays)의 가사를 소개한다. 이 노래 및 다른 버전들에 대하여는 https://www.followthedrinkinggourd.org/What_The_Lyrics_Mean-Notes.htm#Trees를 참조하기 바란다.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Follow the Drinking Gourd>
작자 미상(Lee Hays 버전), 번역 정태욱
VERSE 1 When the sun comes back, and the first quail calls, Follow the drinking gourd The old man is awaiting for to carry you to freedom If you follow the drinking gourd. CHORUS Follow the drinking gourd, Follow the drinking gourd, For the old man is awaiting for to carry you to freedom If you follow the drinking gourd. VERSE 2 The river bank will make a mighty good road The dead trees show you the way Left foot, peg foot, traveling on Follow the drinking gourd. CHORUS VERSE 3 The river ends between two hills, Follow the drinking gourd, There's another river on the other side, Follow the drinking gourd. CHORUS VERSE 4 Where the great big river meets the little river Follow the drinking gourd The old man is awaiting for to carry you to freedom If you follow the drinking gourd. | 해가 다시 떠 오르고, 첫 메추라기가 울음 울면,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노인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요, 자유의 땅으로 데려가 줄.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합창(후렴)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노인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요, 자유의 땅으로 데려가 줄 강언덕이 훌륭한 좋은 도로가 될 것입니다. 죽은 나무들이 당신에게 길을 알려 줄 것입니다. 왼 발, 페그(peg; 의족 목발) 발 계속 여행해요.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합창(후렴) 강은 두 언덕 사이에서 끝납니다.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다른 쪽에 또 하나의 강이 흐르고 있어요.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합창(후렴) 큰 강이 작은 강을 만나는 곳에서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노인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요, 자유의 땅으로 데려가 줄. 북두칠성을 따라가요. |
(2) <다정한 마차,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Swing Low, Sweet Chariot>
이 흑인 영가는 월리스 윌리스 Wallace Willis 작곡으로 알려져 있고, 19세기 후반 흑인 아 카펠라(A cappella: 기악 반주 없이 목소리만으로 화음을 맞추어 부르는 노래) 그룹인 피스크 쥬빌리 싱어즈(Fisk Jubilee Singers)가 불러 널리 알려졌다.
원 가사는 지상의 고통을 벗어나 천상의 고향으로 갈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구약성경 이스라엘 선지자 엘리야(Elijah)가 불의 마차(chariot of fire)를 타고 승천하였다는 구절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영어 위키 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Swing_Low,_Sweet_Chariot).
한편 이 노래도 남부 노예들의 탈출을 위한 ‘지하철도’와 관계있다는 견해도 있다. 즉 남부에서 북부로 탈출해 온 흑인 노예들이 마차로 인도되어 캐나다 안전한 자유의 땅으로 가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노예들은 이 노래를 ‘Swing Low, Sweet Harriet’로 바꾸어 부르기도 하였다고 한다. Harriet는 바로 Harriet Tubman을 가르킨다(미국 USA Today 인터넷 판 “Story behind spiritual 'Sweet Chariot' emerges”, 2006년 8월 14일, http://usatoday30.usatoday.com/life/movies/news/2006-08-14-chariot_x.htm?csp=34). 해리어트 터브만은 그 자신이 탈출 노예 출신이며 ‘지하철도’ 운동의 대표자였다.
이 노래는 또한 1960년대 미국 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s) 당시 조안 바에즈(Joan Baez) 등에 의해 많이 불렸다.
아래 흑인 아 카펠라 그룹 플랜테이션 싱어즈(The Plantation Singers)의 노래와 가사를 올린다.
가사는 영어 위키 백과에서 가져왔다. https://en.wikipedia.org/wiki/Swing_Low,_Sweet_Chariot#cite_note-7
<다정한 마차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Swing Low, Sweet Chariot>
작사 작곡 월리스 윌리스 Wallace Willis, 번역 정태욱
Refrain: Swing low, sweet chariot, Coming for to carry me home. Swing low, sweet chariot, Coming for to carry me home. I looked over Jordan, and what did I see, Coming for to carry me home. A band of angels coming after me, Coming for to carry me home. [Refrain] If you get there before I do, Coming for to carry me home. Tell all my friends I'm coming too, Coming for to carry me home. [Refrain] The brightest day that ever I saw Coming for to carry me home. When Jesus washed my sins away, Coming for to carry me home. [Refrain] I'm sometimes up and sometimes down, Coming for to carry me home. But still my soul feels heavenly bound, Coming for to carry me home. [Refrain] | 후렴 : 다정한 마차,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다정한 마차, 흔들거리며 내려와요,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나는 요단 강 너머를 바라 보았지요. 나는 보았어요. 천사의 부대들이 나를 찾아 왔어요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주기 위해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주기 위해 후렴 반복 당신이 나보다 먼저 그곳에 간다면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친구들 모두에게 말해 주오, 나도 오고 있다고,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후렴 반복 내가 본 날들 중 가장 밝은 날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예수님이 내 죄를 씼어 주는 날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후렴 반복 나는 때로는 행복하고 때로는 우울해요.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그러나 내 영혼은 하늘을 향해 있다고 느낍니다.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줄. 후렴 반복 |
3. 이후의 전개과정
1850년 타협에서 공인된 주민 자결의 원칙은 노예제 헌정사를 파탄으로 몰고 갔다. 1854년 캔자스(Kansas)와 네브라스카(Nebraska)가 새롭게 미 연방에 가입하게 된다. 캔자스 주민 투표를 앞두고 갈등이 고조되었다. 북부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등에서 노예폐지론자들이 대거 이주해 왔고, 캔자스 옆 미주리 주에서는 소위 ‘경계지 불한당(Border Ruffian)’ 노예제 지지자들이 이주해 왔다. 결국 이들 사이에 유혈 충돌이 발생하였다. 이 ‘유혈의 캔자스(Bleeding Kansas)’는 남북 전쟁의 전조였다.
캔자스 유혈 충돌의 주역이었던 노예폐지론자 존 브라운(John Brown)은 더욱 급진적인 계획을 실행했다. 연방 무기고를 습격하여 노예제 폐지의 폭동을 내란을 기도하였다. 브라운의 봉기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으나, 남북의 여론은 극단으로 치달았다. 노예 확산 반대론자 링컨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남부는 사우스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를 필두로 연방 탈퇴를 시작했다. 그리고 1861년 남북 전쟁이 발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