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이란
제주4·3이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미군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1947년 3월 1일,
요란한 총성이 울렸다
1947년 3월 1일, 제28주년 3·1절 기념 제주도대회가 열렸고, 제주읍에서는 북국민학교의 3·1절 행사가 오후 2시에 끝나자 군중들은 가두시위에 나섰다.
시위대가 관덕정을 거쳐 서문통으로 빠져나간 뒤 관덕정 부근에 있던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치여 다쳤다.
이때 기마경찰이 다친 아이를 그대로 두고 지나가자 흥분한 군중들이 돌을 던지며 항의했고 관덕정 부근에 포진하고 있던 무장경찰은 군중을 향해 총을 쏘았다.
경찰의 발포로 주민 6명이 희생되었고, 이 사건이 기폭제가 되어 그때까지 큰 소요가 없었던 제주사회가 들끓기 시작했다.
제주4·3의 도화선이라 불리는 ‘3·1사건’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경찰의 발포로 주민 6명이 사망한 3·1사건에 항의하여 1947년 3월 10일부터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민·관 합동 총파업이 시작됐다.
제주도민의 민·관 총파업에 미국은 제주도를 ‘붉은 섬’으로 지목했다. 본토에서 응원경찰이 대거 파견됐고, 극우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서청) 단원들이 속속 제주에 들어와 경찰, 행정기관, 교육기관 등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빨갱이 사냥’을 한다는 구실로 테러를 일삼아 민심을 자극시켰고, 이는 4·3사건 발발의 한 요인이 되기도 했다.
당시 한반도는 분단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었다. 남로당 제주도당은 이반된 민심과 5·10단독선거 반대투쟁을 결합하여 경찰과 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된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한라산 기슭 오름마다 봉화가 붉게 타오르면서 남로당 제주도위원회가 주도한 무장봉기가 시작되었다. 350명의 무장대는 12개 경찰지서와 서북청년회 등 우익단체 단원의 집을 지목해 습격했다.
해안선으로부터 5KM
전국에서 5·10선거를 반대하는 유혈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5·10 총선거를 앞두고 미군정과 무장대와의 평화협상(4월 28일)이 성사되었다. 그러나 협상 사흘만인 5월 1일 우익청년단이 제주읍 오라리 마을을 방화하는 소위 ‘오라리사건’이 벌어지고, 5월 3일 미군이 경비대에게 총 공격을 명령함에 따라 협상은 깨어졌다. 경찰은 오라리 마을에서 경찰의 후원 아래 우익청년단원들이 방화한 사실을 무장대의 방화로 몰아갔다. 미군정은 ‘오라리 방화사건’ 이후 평화적 해결 대신 무력에 의한 강경진압작전으로 선회했다.
무장대는 5·10 선거를 무산시키기 위해 주민들을 산으로 보내고 5·10 총선거(200개 선거구)에서 제주도 2개 선거구만이 투표수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되었다. 그러자 미군정은 이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저해하는 불순세력의 음모로 판단했다. 미군정은 미군 대령을 제주도 총사령관으로 파견해 무리한 검거작전을 감행하며 6·23 재선거를 시도했으나, 그마저도 실패하자 충격을 받았다. 결국 제주도에 대한 강경 토벌작전이 실시되어 도민들이 집단 희생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달았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된 뒤 정부는 제주도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군 병력을 증파하여 강력한 진압작전을 펼치고, 대대적인 강경토벌작전이 제주 전역을 휩쓸게 된다.
10월 11일 제주도에 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해안에서 5KM 이상 들어간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대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발표됐다. 이때부터 군경토벌대는 중산간마을에 불을 지르고 주민들을 집단으로 살생하기 시작했다.
01
01.
불타는 오라리. 오라리 방화사건의 항공사진
<기록영화 ‘제주도 메이데이’,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소장>
이 사건은 경찰이 조작했던 사건이었다. 경찰의 방조 아래 우익청년단체원들이 저지른 방화를 무장대가 자행한 것처럼 경찰이 조작했던 사실이 4·3진상규명운동 과정에서 밝혀졌다.
1948년 11월 17일,
계엄령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중산간마을을 초토화시킨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이 전개되었다. 중산간 지대뿐만 아니라 소개령에 의해 해안마을로 내려간 주민들까지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했다. 폭도라 지목당하는 것만으로도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그러나 학살은 군경토벌대만 저지른 것은 아니었다. 무장대들은 해안마을을 습격하여 경찰가족과 우익인사를 살해했다. 그 와중에 무고한 주민들도 상당수 희생되었다. 복수와 증오심. 복수는 복수를 낳았고 증오는 격한 충돌로 이어져 민간인들의 희생은 극에 달했다.
1949년 3월 “산에서 내려와 귀순하면 과거 행적을 묻지 않고 살려주겠다”는 방침의 선무공작이 전개되어 한라산에 피신해 있던 1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하산했다. 그러나 선무공작 방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1,600여 명이 총살당하거나 전국 각지의 형무소로 보내졌다. 1949년 5월 10일에야 재선거가 치러졌고, 그해 6월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되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예비검속자와 전국의 형무소 재소자들이 또다시 희생되었다.
기나긴 수난의 세월을 보낸 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禁足)지역이 전면 개방되었다. 1947년 3·1절 발포사건과 1948년 4·3무장봉기로 촉발되었던 제주4·3사건은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2만 5,000~3만 명의 주민들이 희생된 가운데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세계적인 냉전 상황과 한반도 분단체제의 고착화 과정에서 발발·전개된 제주4·3사건은 국가공권력에 의한 집단 희생으로 귀결되었고, 이후 반세기를 넘어 진상규명운동의 과정을 거쳐 명예회복을 통한 화해와 상생의 해결 과정을 밟고 있다.
02
02.
중산간 지대로 피신한 주민들과 아이들.
사진 찍는 모습을 보면서 자기를 가리키는 어린이의 표정 속에서, 부표처럼 떠밀릴 수 밖에 없었던 제주도민의 비극적 운명을 예견할 수 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이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특별법’의 목적에 따라 사건의 진상규명과 희생자·유족들의 명예회복에 중점을 두어 작성되었으며, 4·3사건 전체에 대한 성격이나 역사적 평가를 내리지 않았습니다. 이는 후세 사기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4·3특별법’이 제시하고 있는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가는 소중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서문>
국문 다운로드
영문 다운로드
일문 다운로드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보고서 I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는 2003년 정부가 확정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미진한 분야에 대한 보완적인 추가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피해실태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추가진상조사서I은 마을별, 집단학살 사건, 수형인 행방불명, 예비검속, 교육계, 군인·경찰·우익단체의 구체적인 피해실태와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발굴을 다루고 있습니다.
국문 다운로드
영문 다운로드
제주4·3바로알기
이 책자의 자료는 정부에서 발행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의 내용과 이 보고서 발행 이후 보완된 자료들을 간추려 정리했습니다. 자료의 갈증을 해소하고 믿을 수 있는 4·3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국문 다운로드
영문 다운로드
일문 다운로드
4·3이 머우꽈
'머우꽈'는 표준어 '무엇입니까'의 제주도어 표현입니다. 본 자료집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발행하였으며 현재 동의를 얻어 제주4·3평화재단이 제작·배포하고 있습니다. 제주4·3을 알기 쉽게 풀어 쓴 입문서로서 본 자료집이 제주4·3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국문 다운로드
영문 다운로드
일문 다운로드
중문 다운로드
한눈에 보는 4·3
제주4·3평화공원은 제주 사람들의 기억투쟁의 결정체입니다. 공원의 핵심시설인 제주4·3평화기념관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어온 4·3을 담은 진실의 그릇입니다. 지하 1층에 마련된 상설전시실은 4·3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꾸며졌습니다. 본 자료집이 4·3전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국문 다운로드
영문 다운로드
일문 다운로드
중문 다운로드
제주4·3
재단기관지4·3과 평화
뉴스레터
온라인추모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찾아오시는길
관련사이트
우) 6331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430 제주4·3평화기념관 4층
TEL : 064-723-4301~2, 4344
FAX : 064-723-4303
Copyright ⓒ 2018 JEJU 4·3 PEA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