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성경은 히브리적인 사고로 기록되었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말씀을 히브리인들에게 주셔야 하므로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와 풍습, 그리고 문화를 사용하시면서도 하나님의 절대적인 권위가 전혀 훼손되지 않게 성경을 기록하게 하셨다. 따라서 성경은 히브리적 사고를 알아야 제대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성경을 읽는 사람은 반드시 히브리적인 사고의 구조 안에서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이스라엘 7개 절기를 히브리적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에서 출발하여 책으로 출판한 것으로 성경을 해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로교단 합동측) M.Div.eq과정과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목회학 박사과정을 수료 후 미국 Petra 에서Th.M., Th.D. 구약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현재 등불성경 책임편집자로 섬기고 있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 두라리교회 담임목사로, 목회 20년차 입니다. 저서로는 광야교회가 보인다, 성막이 보인다, 절기가 보인다가 있습니다.
도서목차
Ⅰ. 서론 7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7-14
2. 연구 방법과 범위 15
Ⅱ. 히브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16
1. 히브리적 사고의 정의 16
1) 히브리적 사고 16-18
2) 유대적 사고 18-20
2. 히브리적 사고와 헬라적 사고 20
1) 히브리적 사고와 헬라적 사고의 기원 21-22
2) 히브리적 사고와 헬라적 사고의 구조 차이 22-25
3) 히브리적 사고와 헬라적 사고의 절기 차이 25-29
4) 히브리적 사고가 가지고 있는 주요 특징 29
(1) 단어에 또 다른 의미가 있다 29-33
(2) 언어유희 33-35
(3) 키아즘 구조로 이루어진 성경 35-38
(4) 게마트리아와 답관체 38-43
Ⅲ. 성경에 나타난 7대 절기 44
1. 절기의 서론 44
1) 7대 절기인가 8대 절기인가 44-50
2) 시간의 주인 개념 차이 50-51
3) 거룩에 관한 규례와 절기와의 관계 51-53
2.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안식일 53
1) 안식일의 어원 53-54
2) 성회로서의 안식일 54-57
3) 안식일의 키아즘 구조 57-60
4) 안식일에 쉬어야 하는 동기와 이유들 60-62
5) 안식일에 할 수 있는 일들 62-64
3.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유월절 64-67
4.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무교절 68-69
5.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초실절 70
6.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칠칠절 71-73
7.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나팔절 73-77
8.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속죄일 78-82
9. 히브리적 사고로 보는 초막절 82-85
10. 절기와 기독론적 관점 85
1) 서론 85-91
2) 안식일과 기독론적 관점 91-95
3) 유월절과 기독론적 관점 96-99
4) 무교절과 기독론적 관점 99-103
5) 초실절과 기독론적 관점 103-105
6) 칠칠절과 기독론적 관점 105-113
7) 나팔절과 기독론적 관점 113-116
8) 속죄일과 기독론적 관점 116-119
9) 초막절과 기독론적 관점 119-123
11. 이스라엘 3대 절기에 관한 소고 124
1) 서론 124-126
2) 3대 절기 출애굽기와 신명기 본문의 차이 126-128
3) 3대 절기가 의미하는 것 128-134
Ⅳ. 결론 135-136